KR20160000923U - 표시판 회전 시계 - Google Patents

표시판 회전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923U
KR20160000923U KR2020140006660U KR20140006660U KR20160000923U KR 20160000923 U KR20160000923 U KR 20160000923U KR 2020140006660 U KR2020140006660 U KR 2020140006660U KR 20140006660 U KR20140006660 U KR 20140006660U KR 20160000923 U KR20160000923 U KR 201600009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ase
reference frame
numbers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식
Original Assignee
강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식 filed Critical 강진식
Priority to KR2020140006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923U/ko
Publication of KR20160000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9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6Shiftable dials, e.g. indicating alternately from 1 to 12 and from 13 to 2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침, 분침 및 초침이 구성되지 않아도 시간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판 회전 시계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하고,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숫자들과,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눈금을 포함하는 표시판; 및 내부가 개방되고, 상기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숫자들이 이동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숫자들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투시창과, 상기 투시창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핀을 포함하는 기준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결합부에 기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위치 변경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시각을 확인하는 형태를 손쉽게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지루하지 않음은 물론 어린이의 숫자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종래 시계의 시침, 분침 및 초침이 결합되는 축에 표시판을 결합시킴에 따라 종래의 시계도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은 비용으로 종래 시계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표시판에 사진 또는 광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판 회전 시계{Clock with circulating clock face}
본 고안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침, 분침 및 초침이 구성되지 않아도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판 회전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일정하게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시각을 알려주는 기기이다.
이러한 시계는 태엽 또는 전지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무브먼트와, 무브먼트의 축에 결합되는 시계침과, 숫자 등이 포함되며 시계침의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각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무브먼트의 구동력을 받은 시계침이 표시판 위를 움직이면서 사용자에게 현재의 시각을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계는 형태나 디자인 자체가 무브먼트의 구동력을 받은 시계침이 표시판 위를 움직이는 것을 중심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형태를 변형시키기가 어려워 다양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취향을 맞추기가 힘든 문제가 있었고,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고정되어 있는 디자인으로 인해 지루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계의 형태 또는 디자인을 편리하게 변형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지루함을 유발하지 않는 표시판 회전 시계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하고,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숫자들과,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눈금을 포함하는 표시판; 및 내부가 개방되고, 상기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숫자들이 이동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숫자들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투시창과, 상기 투시창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눈금을 가리키는 기준핀을 포함하는 기준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판 회전 시계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구성되되,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결합홈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양측에 삽입되는 삽입편과, 양측의 상기 삽입편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하측에 삽입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케이스는 배면 상측에 걸이홈이 형성되고, 저면에 거치프레임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의 결합부에 기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위치 변경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시각을 확인하는 형태를 손쉽게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지루하지 않음은 물론 어린이의 숫자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종래 시계의 시침, 분침 및 초침이 결합되는 축에 표시판을 결합시킴에 따라 종래의 시계도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은 비용으로 종래 시계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표시판에 사진 또는 광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케이스에 기준프레임을 위치 변경하여 결합시킨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케이스에 거치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은 시침, 분침 및 초침이 구성되지 않아도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판 회전 시계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0), 표시판(200) 및 기준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여러 소비자의 취향을 맞출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와,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종래의 시계에 구비되는 전지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고, 상기 구동부(120)는 종래의 시계에 구비되어 전지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무브먼트와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며, 상기 회전축(130)은 종래의 시계에 구비되어 무브먼트의 구동을 통해 시계침을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하는 축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한 것이므로, 상기 전원공급부(110), 구동부(120) 및 회전축(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그 가장자리에 구성되어 상기 기준프레임(30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케이스(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40)를 통하여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상기 케이스(100)의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정면으로부터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는 결합홈(141)과, 상기 결합홈(141)이 절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결합홈(141)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 상측에 걸이홈(150)이 형성되어 못 등에 걸 수 있게 됨으로써, 벽걸이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에 거치프레임(16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탁상시계와 같이 테이블 등의 평면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벽걸이용 또는 탁상용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선택적으로 특정 공간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표시판(200)은 상기 회전축(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통상적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표시판(200)은 상기 구동부(120)가 상기 회전축(1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구동부(120)가 상기 회전축(1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상기 회전축(130)에 결합된 상기 표시판(2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판(200)은 배면 중심부에 고정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30)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시계의 시계침을 축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축에 상기 표시판(200)을 결합하는 간단한 과정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시계의 형태 및 디자인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판(200)은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숫자들(220)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판(2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숫자들(220)은 시계 방향의 역순으로 배치되고, 도 6과 같이, 상기 표시판(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숫자들(220)은 시계 방향의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숫자들(220)은 1부터 12까지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표시판(200)의 정면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눈금(230)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눈금(230)은 일정 간격으로 분할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숫자들(220)은 발광소재로 이루어져 야간에 별도의 조명이 없어도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시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같이, 상기 표시판(200)은 중앙부에 사진 또는 광고문구 등을 각인 또는 부착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각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특정 공간 내에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공간 내의 심미감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준프레임(300)은 내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310)가 하측에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310)는, 상기 끼움부(310)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141)의 양측에 삽입되는 삽입편(311)과, 양측의 상기 삽입편(311) 사이에서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42)의 하측에 삽입되는 고정편(31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끼움부(310)를 상기 결합부(1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어 넣어 상기 삽입편(311) 및 고정편(312)을 상기 결합홈(141)에 삽입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42)가 상기 결합홈(141)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12)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기준프레임(300)의 상·하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끼움부(310)가 상기 결합부(14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프레임(300)의 상·하 유동이 억제됨에 따라,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파지하여 들어올리게 되더라도 상기 기준프레임(300)이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게 됨으로써,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손잡이로 활용하여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파지하고 들어올려 시계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파지하여 전방으로 빼내어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준프레임(300)이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판(200)의 외주연과 가장자리는 내부가 개방 형성된 상기 기준프레임(3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준프레임(300)은, 회전하는 상기 표시판(200)을 통하여 상기 기준프레임(300)의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숫자들(220)이 통과하는 통로(3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로(320)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숫자들(220)이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시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330)이 정면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투시창(3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눈금(230)을 가리키는 기준핀(331)이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표시판(20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표시판(200)의 외주연에 배치된 상기 숫자들(220)이 이동하되, 상기 투시창(33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숫자들(220)을 확인하여 시간을 인지하게 되고, 상기 기준핀(331)이 가리키는 눈금을 인지하여 분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기준프레임(300)이 시각을 확인하는 기준이 됨에 따라, 복수개가 구성된 상기 결합부(140)에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선택적으로 위치 변경하여 결합시켜 시각을 확인하는 기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시계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기준프레임(30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투시창(330)의 위치도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투시창(330) 내부에 위치하는 숫자만을 확인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 숫자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의 숫자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투시창(330)은 내측에 가로 방향으로 분할바(332)가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3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숫자들(220)과 눈금(230)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는 상기 숫자들(220)이 보여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상기 기준핀(331)을 통해 가리켜지는 상기 눈금(230)이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할바(332)의 위치는 상기 투시창(330)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표시판(200) 정면의 둘레가 겹쳐져 인식되지 않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표시판(200)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기 숫자들(220)이 상기 분할바(332)로부터 돌출된 것처럼 보여져 상기 숫자들(220)과 눈금(230)이 정확히 분할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통로(320)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상기 숫자들(220)의 가로 및 세로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준프레임(300)이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330)이 상기 표시판(200)보다 일정 거리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통로(320)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숫자들(220) 또는 눈금(230)과의 접촉에 따른 상기 표시판(200) 및 기준프레임(300)의 긁힘 또는 부러짐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는 상기 케이스(100)의 정면 가장자리를 따라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부착링(R)이 구비되어 상기 기준프레임(300)이 선택적으로 위치 변경되어 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부착링(R)이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기준프레임(300)의 끼움부(310)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부착링(R)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착링(R)이 자석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금속 재질로 제작하여 상기 부착링(R)에 선택적으로 부착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링(R)을 통해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시각을 확인하는 기준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기준프레임(3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9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는 상기 표시판(200)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숫자들(220)이 1부터 24까지 구성되고, 상기 표시판(200)의 정면을 절반으로 구획하여 해와 달이 그림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숫자들(220)이 1부터 24까지 구성되고, 상기 표시판(200)의 정면에 해와 달이 표시됨으로써, 오전과 오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시각을 인식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어린이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어 공간의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표시판 회전 시계는 케이스의 결합부에 기준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위치 변경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시각을 확인하는 형태를 손쉽게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지루하지 않음은 물론 어린이의 숫자 교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종래 시계의 시침, 분침 및 초침이 결합되는 축에 표시판을 결합시킴에 따라 종래의 시계도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적은 비용으로 종래 시계의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표시판에 사진 또는 광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케이스 110 : 전원공급부
120 : 구동부 130 : 회전축
140 : 결합부 141 : 결합홈
142 : 고정돌기 150 : 걸이홈
160 : 거치프레임 200 : 표시판
210 : 고정홈 220 : 숫자들
230 : 눈금 300 : 기준프레임
310 : 끼움부 311 : 삽입편
312 : 고정편 320 : 통로
330 : 투시창 331 : 기준핀
332 : 분할바 R : 부착링

Claims (3)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0)와, 상기 전원공급부(110)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30)과, 가장자리에 구성되는 결합부(14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상기 회전축(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하고, 외주연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숫자들(220)과,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눈금(230)을 포함하는 표시판(200); 및
    내부가 개방되고, 상기 결합부(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310)와, 상기 숫자들(220)이 이동하는 통로(320)와, 상기 통로(320)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숫자들(220)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투시창(330)과, 상기 투시창(33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눈금(230)을 가리키는 기준핀(331)을 포함하는 기준프레임(300)을 포함하는 표시판 회전 시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케이스(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가 구성되되,
    상기 끼움부(310)가 삽입되도록 상기 끼움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결합홈(141)과, 상기 케이스(100)의 외주연으로부터 상기 결합홈(141)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310)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41)의 양측에 삽입되는 삽입편(311)과, 양측의 상기 삽입편(311) 사이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42)의 하측에 삽입되는 고정편(3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판 회전 시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배면 상측에 걸이홈(150)이 형성되고, 저면에 거치프레임(16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표시판 회전 시계.
KR2020140006660U 2014-09-11 2014-09-11 표시판 회전 시계 KR201600009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660U KR20160000923U (ko) 2014-09-11 2014-09-11 표시판 회전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660U KR20160000923U (ko) 2014-09-11 2014-09-11 표시판 회전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923U true KR20160000923U (ko) 2016-03-21

Family

ID=5564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660U KR20160000923U (ko) 2014-09-11 2014-09-11 표시판 회전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92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4809A (zh) * 2018-07-31 2018-12-21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一种启蒙教育互动方法及电子设备
CN110244547A (zh) * 2019-06-19 2019-09-17 周志芳 一种可多用时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4809A (zh) * 2018-07-31 2018-12-21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一种启蒙教育互动方法及电子设备
CN110244547A (zh) * 2019-06-19 2019-09-17 周志芳 一种可多用时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6216B1 (en) Event clock
USD583697S1 (en) Watch dial
CN101874263B (zh) 具有简单的基于磁体结构的易于可变的标牌设备
US20130250738A1 (en) Clock
US6819632B1 (en) Wristwatch with removable face
US20160169463A1 (en) Lamp with internal projection
KR20160000923U (ko) 표시판 회전 시계
US20070099457A1 (en) Modular display board arrangement
US4506993A (en) Rectangular framed advertising display clock
KR200465044Y1 (ko) 시계 학습 교구
KR20130052388A (ko) 교체형 장식이 구비된 시계
CN2874564Y (zh) 多时区同步显示钟表装置
JP3219835U (ja) 時計付タスク管理形知育玩具
US6406301B2 (en) Clock teaching aid
KR200381778Y1 (ko) 진열장의 보드
KR101635314B1 (ko) 웨어러블 완구
US6525999B1 (en) Watch with an illuminated ornamental display system
KR100786309B1 (ko) 시간의 식별이 용이한 시계
KR20230122321A (ko) 회전하는 시계판 위로 기울어진 간유리를 통해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계
US20170241620A1 (en) Attachment for outlets, light switches, and other fixtures to aid locating and use
KR200484832Y1 (ko) 아날로그 시계
JP5821136B2 (ja) スティックを回転させることで様々な像を表すことができるスティック装飾具およびスティック装飾具の作動方法
KR20120134759A (ko)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시계
KR101547592B1 (ko) 나이테 벽시계
JPH06281753A (ja) 交換可能な装飾部材を備えたアラーム時計、壁時計またはナップザック等に装着される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