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730A -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730A
KR20160000730A KR1020140078296A KR20140078296A KR20160000730A KR 20160000730 A KR20160000730 A KR 20160000730A KR 1020140078296 A KR1020140078296 A KR 1020140078296A KR 20140078296 A KR20140078296 A KR 20140078296A KR 20160000730 A KR20160000730 A KR 2016000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ad
accident
detec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730A/ko
Publication of KR2016000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3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27Post collision measures, e.g. notifying emergency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기초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장치는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차량 하중 검출부;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 및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사고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ccident of vehicle using load change}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를 요청하는(E-Call; Emergency Call)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의 경우 E-Call(Emergency Call)에 대한 법규화가 추진되어 현재 생산되고 있는 차량에는 의무적으로 E-Call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종래 E-Call 모듈은 운전자에 의해 긴급 구난 버튼이 입력되거나 에어백의 전개가 감지되면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와 사고 상황 등의 정보를 센터로 전송한다.
그러나 차량 사고가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의식을 잃는 등 긴급 구난 버튼을 입력할 수 없는 상황이 많으며, 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센터에 긴급 구난을 요청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9208호는 차량 사고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장치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에 따라 긴급 구난 지원 요청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기초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차량 하중 검출부; 상기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 및 상기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사고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하중 검출부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로드 셀(Load Cell)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륜축, 앞쪽 바퀴 등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한 곳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륜축, 뒤쪽 바퀴 등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한 곳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하중 검출부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하며, 상기 차량 사고 감지 장치는 상기 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들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추출하는 비정상 센서 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는 상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사고 감지 장치는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구조 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사고 감지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주행 정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사고 판단부는 상기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추가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로드 셀(Load Cell)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들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추가 판단한다.
본 발명은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기초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차량 사고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차량 사고 발생시 실시간으로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요청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차량 사고 감지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를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 변화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복, 낙하 등을 감지하거나 낙하물에 의한 사고를 인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E-Call(Emergency Call) 시스템에서 차량의 하중 변화를 기초로 사고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함으로써 사고 상황 인지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되면(S105) 운전자는 E-Call 버튼을 작동시키며(S110), 차량의 제1 E-Call 시스템은 이 입력을 감지하여(S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MSD(Minimum Set of Data) 메시지를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로 전송한다(S125).
또한 제1 E-Call 시스템은 에어백 전개 신호를 감지하여(S115, S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MSD 메시지를 PSAP로 전송한다(S125).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차량의 하중 변화를 기초로 차량 사고 여부를 판단하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사실을 PSAP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E-Call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로드 셀(Load Cell), 압력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값을 모니터링한다(S130).
이후 제1 E-Call 시스템은 검출된 차량의 하중값을 수집하여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를 산출한다.
이후 제1 E-Call 시스템은 산출된 차량의 하중 변화를 기초로 비정상적으로 하중이 증가하는지 여부 및 비정상적으로 하중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5, S140).
제1 E-Call 시스템은 비정상적으로 하중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된 MSD 메시지를 PSAP로 전송한다(S125).
본 발명은 E-Call 시스템에 사고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추가 방안을 적용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하중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를 사고로 인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 셀 등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하여 차량의 하중을 체크하며, 차량 하중의 변화가 특정 시간(x초) 이상 큰 변화를 보이고 있을 경우 사고로 인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제1 E-Call 시스템(200)은 스트레인 게이지(210), 하중 모니터링부(220), 데이터 처리 장치(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210)는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210) 대신에 로드 셀,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중 모니터링부(220)는 스트레인 게이지(210)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차량의 하중을 모니터링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230)는 하중 모니터링부(220)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하중값을 수집하여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를 산출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230)는 산출된 하중 변화를 기초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통신 모듈(240)은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MSD 메시지를 PSAP로 전송한다(S240).
이상 설명한 제1 E-Call 시스템(200)은 스트레인 게이지(210) 등을 통해 차량의 하중을 모니터링하며 비정상적으로 차량의 하중 증가(ex. 차량 상단에 낙하물에 의한 사고 등) 혹은 감소(ex. 전복, 낙하 등)에 의한 사고시 차량 사고로 인지하여 사고 통보를 한다. 순간의 비정상적인 하중 변화는 사고가 아닌 경우에도 발생이 가능하므로, 제1 E-Call 시스템(200)은 사고를 감지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차량의 제2 E-Call 시스템은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 셀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을 모니터링한다(S310). 제2 E-Call 시스템은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를 기초로 비정상적으로 차량의 하중이 증가하는지 여부(S320) 및 비정상적으로 차량의 하중이 감소하는지 여부(S330)를 판단한다.
제2 E-Call 시스템은 N초 이상 비정상적으로 차량의 하중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40)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고(S360), 응급 신호 즉 MSD 메시지를 PSAP로 송출한다(S370).
한편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센서는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E-Call 시스템은 복수개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E-Call 시스템은 각 위치 센서별 측정값을 보팅(voting)하여 센서 오류를 검출하며, 센서 오류가 검출되면 해당 센서를 차량의 하중을 모니터링하는 대상에서 제외한다(S350). 제2 E-Call 시스템은 이를 통해 차량의 하중값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차량 사고 감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E-Call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 또는 시동의 여부와 상관없이 차량의 전복, 낙하, 낙하물 등에 의한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제2 E-Call 시스템(400)은 차량 하중 입력부(410), 모니터링 유닛(420), 프로세싱 유닛(430), 응급 신호 송출 유닛(440) 및 메모리(450)를 포함한다.
차량 하중 입력부(410)는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 셀 등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유닛(420)은 차량 하중 입력부(410)를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을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싱 유닛(430)은 차량의 하중값을 수집하여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를 산출하며, 이 하중 변화를 기초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430)은 각 위치 센서별 측정값을 보팅하여 센서 오류를 검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응급 신호 송출 유닛(440)은 프로세싱 유닛(430)에 의해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MSD 메시지를 PSAP로 전송한다(S440).
메모리(450)는 모니터링 유닛(420)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하중값이나 프로세싱 유닛(430)에 의해 산출된 하중 변화량을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E-Call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센서부(431)는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값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 측정값 비교부(433)는 각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값들을 비교하여 센서 오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센서 설정부(432)는 센서 오류가 검출되면 해당 센서를 제외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처리부(435)는 각 센서 설정부(432)에 의해 특정 센서가 제외되면 이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값을 수집하고 일정 시간동안의 차량의 하중 변화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35)는 이 하중 변화를 기초로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데이터 관리부(434)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차량의 하중값, 데이터 처리부(435)에 의해 산출된 차량의 하중 변화량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VN 디스플레이부(436)는 데이터 처리부(435)의 처리 결과 예컨대 차량 사고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일실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리프트를 통한 차량의 수리시 하중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센서의 장착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센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축 중앙부(610)와 후륜축 중앙부(6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바퀴(630)와 뒷쪽 바퀴(6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스트레인 게이지, 로드 셀, 압력 센서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비정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하중이 특정 시간 이상 발생할 경우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단순 전복 뿐만 아니라 수중으로의 추락, 차량의 상단부로의 낙하물에 의해 발생한 사고 등도 차량 사고로 정확하게 감지해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는 차량 하중 검출부(710),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720), 차량 사고 판단부(730), 전원부(750) 및 주제어부(760)를 포함한다.
전원부(750)는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760)는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배터리 등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ECU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전원부(750)와 주제어부(760)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차량 하중 검출부(710)는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하중 검출부(710)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로드 셀(Load Cell)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한 센서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는 차량의 전륜축, 앞쪽 바퀴 등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한 곳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2 센서는 차량의 후륜축, 뒤쪽 바퀴 등 차량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한 곳에 부착될 수 있다.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720)는 차량 하중 검출부(710)에 의해 검출된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720)에 의해 산출된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하중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일 때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하중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미만이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 하중 검출부(710)는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는 비정상 센서 추출부(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 센서 추출부(770)는 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하중들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는 비정상 센서 추출부(77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720)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한다.
한편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는 구조 신호 송출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 신호 송출부(740)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조 신호 송출부(740)는 차량에 장착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1 단말,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한 제2 단말, 및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3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이용하여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운전자가 휴대한 제2 단말은 예컨대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소지한 것으로 경찰청, 교통 관제 센터 등의 서버에 등록된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에 추가될 수 있는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는 주행 정보 검출부(810), 충돌 판단부(820), 위치 검출부(830) 및 도어 잠금 검출부(8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정보 검출부(810)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 정보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 차량에 장착된 각종 기기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주행 정보 검출부(810)는 주행 정보로 차량에 장착된 변속기의 기어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현재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추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기어 상태 정보가 주차(P) 모드와 중립(N) 모드를 제외한 다른 모드이고 현재 속도가 제1 기준 속도 이하일 때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기어 상태 정보 또는 현재 속도가 검출되지 않을 때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기준 속도는 예컨대 0일 수 있다.
한편 속도가 순간적으로 0km로 변경되는 경우를 고려할 때, 주행 정보 검출부(810)와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다음과 같이 구동될 수 있다.
즉 주행 정보 검출부(810)는 현재 속도를 검출할 때 현재 시간을 함께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현재 속도가 0일 때 이전 속도와 현재 속도 사이의 차이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이전 속도와 함께 검출된 이전 시간과 현재 시간 사이의 차이값이 제2 기준값 이하일 때,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기어 상태 정보가 주차(P) 모드와 중립(N) 모드를 제외한 다른 모드이고 현재 속도가 제2 기준 속도 이상일 때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준 속도는 예컨대 0일 수 있다.
구조 신호 송출부(630)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충돌 판단부(820)는 차량과 외부에 위치한 오브젝트 사이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충돌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차량과 오브젝트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충돌 판단부(820)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차량의 외부 각측에서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레이더, 및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충돌 판단부(820)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까지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하이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카메라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지 못하거나, 또는 카메라에 대한 디텍트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차량과 오브젝트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레이더를 이용하여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충돌 판단부(820)는 레이더에 의해 획득된 오브젝트까지의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이하이거나, 또는 레이더에 대한 디텍트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차량과 오브젝트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충돌 판단부(820)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충격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일 때 차량과 오브젝트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830)는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며, 위치가 검출될 때의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어 잠금 검출부(840)는 차량의 도어 잠금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경우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이전 시간에 검출된 차량의 위치와 현재 시간에 검출된 차량의 위치가 동일하고, 이전 시간과 현재 시간에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사고 감지 장치(7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고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 하중 검출부(710)가 차량의 하중을 검출한다(S910).
이후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720)가 차량의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한다(S920).
이후 차량 사고 판단부(730)가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930). 차량 사고 판단부(730)는 하중 변화량이 기준 변화량 이상일 때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조 신호 송출부(740)가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S940).
한편 차량 하중 검출부(710)는 S910 단계에서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상 센서 추출부(770)가 S910 단계와 S920 단계 사이에 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하중들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720)는 S920 단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S930 단계 이전에서 주행 정보 검출부(810)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차량 사고 판단부(730)가 S930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추가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행 정보 검출부(810)가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S930 단계 이전에 수행된다. 예컨대 상기한 단계는 S910 단계 이전에 수행되거나, S910 단계와 S920 단계 사이에 수행되거나, S920 단계와 S930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충돌 판단부(820)가 수행하는 단계, 위치 검출부(830)가 수행하는 단계, 및 도어 잠금 검출부(840)가 수행하는 단계도 S930 단계 이전에 수행되면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차량 하중 검출부;
    상기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 및
    상기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사고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하중 검출부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와 로드 셀(Load Cell)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전륜축 또는 앞쪽 바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차량의 후륜축 또는 뒤쪽 바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하중 검출부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하며,
    상기 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들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추출하는 비정상 센서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하중 변화량 산출부는 상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구조 신호 송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검출하는 주행 정보 검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사고 판단부는 상기 주행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추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8. 차량의 하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중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차량의 하중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하중 변화량과 기준 변화량을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각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하중을 검출하며,
    상기 각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차량의 하중들을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센서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여 차량 사고에 대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방법.
KR1020140078296A 2014-06-25 2014-06-25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00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296A KR20160000730A (ko) 2014-06-25 2014-06-25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296A KR20160000730A (ko) 2014-06-25 2014-06-25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30A true KR20160000730A (ko) 2016-01-05

Family

ID=5516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296A KR20160000730A (ko) 2014-06-25 2014-06-25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584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사고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584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사고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7555A (ko)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795249B1 (ko) 차량 및 그것의 주행 안전 지원 방법
US10670663B2 (en) Warning method for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in the case of an accident of the motor vehicle, a warning system for carrying out the warning method, and a motor vehicle that comprises components of the warning system
JP5817812B2 (ja) 歩行者衝突検知システム及び歩行者衝突通報システム
US20160104050A1 (en) Monitoring a degree of attention of a driver of a vehicle
US20190147746A1 (en) Device for identifying an accident situation of an open road vehicle
JP6318785B2 (ja) 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40019571A (ko) 후측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3057502B (zh) 一种检测车辆瞬时加速度提示汽车姿态的装置和方法、及汽车
KR100627603B1 (ko) 열차자동후부감지장치
JP2007025782A (ja) 車車間通信による走行支援装置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70035035A (ko)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0626259A (zh) 三角警示架及其撞击预警方法
JP2018142334A (ja) 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211229A (ja) 車両用体調監視装置
KR20160000730A (ko) 하중 변화를 이용한 차량 사고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311112B1 (ko) 차량 사고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17224075A (ja) 出庫支援装置、出庫支援方法及び出庫支援システム
KR20160064672A (ko) 차량의 전방충돌위험경보 및 안전운행가이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9763A (ko) Obd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사고 판단 방법
JP6710585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816443B (zh) 车辆监测方法、装置以及无人驾驶车辆
CN108058700A (zh) 车辆制动温度的监控方法、装置及车辆
KR20140059677A (ko) 운송 차량의 사고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