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24U -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 Google Patents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24U
KR20160000624U KR2020160000237U KR20160000237U KR20160000624U KR 20160000624 U KR20160000624 U KR 20160000624U KR 2020160000237 U KR2020160000237 U KR 2020160000237U KR 20160000237 U KR20160000237 U KR 20160000237U KR 20160000624 U KR20160000624 U KR 20160000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tact
hole
dril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447Y1 (ko
Inventor
황선일
Original Assignee
황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일 filed Critical 황선일
Priority to KR2020160000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4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06Making holes, e.g. by drilling, punching, flame-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 형성용 드릴(300), 상기 레일(10)의 머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레일 수용 공간(122)이 형성된 ∩자 형상의 레일 고정부(120), 및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탑재하고,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접근시켜 홀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홀(102)이 형성된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을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210), 및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220)을 하나의 수직면 상에 포함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기 레일 고정부(120)를 상기 레일(10)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밀착 수단(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Drill Movable on Board a Rail for Forming Hole}
본 고안은 홀 형성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에 탑재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콘크리트 도상에 대한 천공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레일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레일을 따라 콘크리트 도상에 형성된 침목 삽입 홀에 삽입된 침목을 매개로 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었는데, 강우 등의 환경 요인으로 침목이 훼손되기에 주기적으로 침목을 교체해야 했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침목에 설치하지 않고 그대로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침목의 교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6-11192호("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직접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체결을 위한 홀을 미리 형성해야 한다. 이러한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들이 드릴을 손에 들고 천공하는 방식에 의하였다. 그런데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야 할 수많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무수히 많은 홀을 형성해야 하므로, 이와 같은 작업자들에 의한 수작업으로는 인건비가 많이 들어 원하는 만큼의 수익을 얻을 수가 없고, 드릴 작업상의 안전사고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또한, 작업자들이 직접 도상에 작업하는 경우 도상에 손상을 줄 수 있고, 형성해야 할 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6-11192호 (2006.02.03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들이 드릴을 휴대하여 직접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지 않고, 드릴을 장착하고 레일 상에 탑재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인 콘트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할 수 있는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은 레일(10)에 탑재되어 움직이면서 콘크리트 도상에 신규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로서,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 형성용 드릴(300), 상기 레일(10)의 머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레일 수용 공간(122)이 형성된 ∩자 형상의 레일 고정부(120), 및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탑재하고,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접근시켜 홀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홀(102)이 형성된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을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210), 및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220)을 하나의 수직면 상에 포함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기 레일 고정부(120)를 상기 레일(10)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밀착 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밀착 수단(200)은 상기 레일(10)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10)을 따른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롤러 형태의 접촉 부재(204), 상기 접촉 부재(204)의 회전축(208)의 양단에 체결된 접촉 부재 고정 틀(206), 일단이 상기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 홀(108)과 볼트 체결된 회전 볼트(202), 및 상기 회전 볼트(202)의 타단에 결합한 조작 손잡이(201)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작 손잡이(20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접촉 부재(204)와 상기 본체(100)를 밀착 또는 해제하면서, 상기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밀착 수단(210)의 상기 접촉 부재(204a)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접촉 면의 가운데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b, 204c)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b, 204c)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좌우측면의 하단 수직면(12)에 접촉하는 반경이 작은 제1 영역(222) 및 상기 레일(10)의 허리부의 상단 경사면(14)에 접촉하는 반경이 큰 제2 영역(2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상기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에는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 및 경사 조절하기 위한 지지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에 의하면,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야할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한 무수히 많은 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작업자들이 직접 위험한 작업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드릴 가공부가 레일에 고정된 본체 상에 설치되어 있어 콘크리트 도상의 정확한 위치에 홀을 형성할 수 있어 도상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밀착 수단(200)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및
도 4는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제1 접촉 부재(204a)와 제2 또는 제3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은 본체(100), 홀 형성용 드릴(300), 및 밀착 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레일(10)의 머리부에 고정된다.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은 본체(100)에 결합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한다. 홀 형성용 드릴(300)은 이러한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 제공부, 작업 수행부, 기타 작업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도상에 형성되는 홀은 콘크리트 도상에 직접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일정한 깊이의 구멍이다. 하나의 실시 예에서 홀은, 체결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 스파이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스파이크 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직접 설치하는 방식은 콘크리트 도상에 방진 패드를 깔고 그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 구멍을 통하여 홀로 나사 볼트를 조여 체결한다. 이때, 홀 내부에 나사 스파이크를 삽입하여 나사 볼트를 조이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100)를 레일(10)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한다. 따라서 본체(100)를 레일(10)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밀착 수단(200)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가공 작업시 밀착 수단(200)에 의하여 본체(100)를 레일(10)에 고정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10)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동일한 홀 형성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는데, 레일(10) 상의 하나의 작업 영역에서 본체(100)의 고정, 및 작업 완료 후 다른 작업 영역으로의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본체(100)와 레일(10)의 해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과 해제는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조임 볼트의 단순한 회전 또는 푸시/풀 방식 등에 의하여 쉽게 체결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밀착 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와 홀 형성용 드릴(300)의 무게를 고려할 때 밀착 수단(200)을 레일(10)의 한 지점에만 설치하기보다는 적어도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하여 작업시 또는 이동시 본체(100)가 흔들리지 않고 홀 형성용 드릴(300)에 의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밀착 수단(200)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210), 본체(100)와 레일(10)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의 머리부 사이를 체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체(100)에 탑재된 홀 형성용 드릴(300)에 의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할 때 본체(100)와 레일(10)의 기부(base)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벌리는 것이 작업중 그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작업 부산물, 부수 장비, 케이블 등의 장애물에 의한 걸림 등을 피할 수 있어서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착 수단(200)은 모두 레일(10)의 머리부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레일(10)의 허리부나 기부에 체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수한 목적 및 상황에서는 레일(10)의 허리부나 기부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수평 밀착 수단(220)은 레일(10)의 양 측면을 밀착하기 위하여 수직 밀착 수단(210)의 아래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평 밀착 수단(220)이, 적어도 레일(10)의 머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면 충분할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 사이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 장치 및 상기 압축 장치의 말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의 표면에 밀착되는 접촉 부재(20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밀착 수단(210)의 상기 접촉 부재(204)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되어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 예의 압축 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압축 장치 하나와 수평으로 설치된 두 개의 수평 압축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압축 장치와 수평 압축 장치는 소정의 밀착 압력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수평 압축 장치를 적절한 압력(접촉 부재의 좌우 움직임이 생기지는 않으나 접촉 부재의 회전은 자유로운 상태)으로 조인 후 본체(100)를 레일(10)을 따라 전후로 움직여 작업 장소로 이동시킨 후에 수직 압축 장치를 강하게 조이는 방식으로 밀착 수단(200)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 장치는 본체(100)에 형성된 나사선이 있는 관통 홀(108) 및 상기 관통 홀(108)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부재(202 및 206), 즉 나사 봉을 포함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부재(204)는 상기 이동 부재의 말단에 부착되어 레일(10)의 표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동 부재는 조작 버튼(201)이 형성된 회전 볼트(202)와 회전 볼트(202)의 말단에 연결된 접촉 부재 고정 틀(20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볼트(202)는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사용자가 조작 버튼(201)을 돌리면, 같이 회전하면서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고정된 접촉 부재(204)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즉, 밀착 수단(200)은 레일(10)의 표면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204), 접촉 부재(204)의 회전축(208)의 양단에 체결된 접촉 부재 고정 틀(206), 일단이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 홀(108)과 볼트 체결된 회전 볼트(202), 및 회전 볼트(202)의 타단에 결합한 사용자 조작 손잡이(201)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201)를 회전하여 접촉 부재(204)를 본체(100)로부터 레일(10)로 밀어 레일(10)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제1 접촉 부재(204a)와 제2 또는 제3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촉 부재(204)는 레일(10)을 따른 본체(100)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롤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직 밀착 수단(210)의 접촉 부재(204a)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접촉 면의 가운데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롤러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머리부의 좌우측면의 하단 수직면(12)에 접촉하는 반경이 작은 제1 영역(222) 및 상기 레일의 허리부의 상단 경사면(14)에 접촉하는 반경이 큰 제2 영역(2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부재(204)가 레일(10)과 접하는 영역을 레일(10)의 형상에 맞추어 제조함으로써 본체(100)를 레일(10)에 더욱 밀착 고정할 수 있고, 작업시 또는 이동시 본체(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수평 밀착 수단(220)의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의 제2 영역의 존재로 본체(100)의 좌우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홀 형성용 드릴(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홀 형성용 드릴(300)은 상기 지지대(160)에 의하여 상하 이동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경사 조절은 지지대(160)의 하단에 부착된 사다리 형상의 경사 조절 부재(165)에 의하여 회전축(162)에 대하여 회전하여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 측면에 손잡이(106)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레일(10)을 따라 본 장치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단에 홀 형성용 드릴(300)에 의한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홀(102) 이외에는 작업 영역이 상단으로 외부와 격리되어 있어 홀 형성용 드릴(300)에 의한 가공시 냉각수 또는 작업 부산물 등의 이물질이 본체의 상단으로 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본체(100)의 일단에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은 본체(10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여기에 홀 가공부(300)를 탑재할 수 있고, 작업 홀(102)도 여기에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레일 100: 본체
102: 작업 홀 106: 손잡이
108: 관통 홀 160: 지지대
200: 밀착 수단 210: 수직 밀착 수단
220: 수평 밀착 수단 204, 204a, 204b, 204c: 접촉 부재
300: 홀 형성용 드릴

Claims (3)

  1. 레일(10)에 탑재되어 움직이면서 콘크리트 도상에 신규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로서,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 형성용 드릴(300);
    상기 레일(10)의 머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레일 수용 공간(122)이 형성된 ∩자 형상의 레일 고정부(120), 및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탑재하고,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접근시켜 홀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홀(102)이 형성된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을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210), 및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내측과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220)을 하나의 수직면 상에 포함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기 레일 고정부(120)를 상기 레일(10)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밀착 수단(200);
    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밀착 수단(200)은 상기 레일(10)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레일(10)을 따른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롤러 형태의 접촉 부재(204), 상기 접촉 부재(204)의 회전축(208)의 양단에 체결된 접촉 부재 고정 틀(206), 일단이 상기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레일 고정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 홀(108)과 볼트 체결된 회전 볼트(202), 및 상기 회전 볼트(202)의 타단에 결합한 조작 손잡이(201)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조작 손잡이(20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접촉 부재(204)와 상기 본체(100)를 밀착 또는 해제하면서, 상기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밀착 수단(210)의 상기 접촉 부재(204a)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접촉 면의 가운데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b, 204c)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b, 204c)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좌우측면의 하단 수직면(12)에 접촉하는 반경이 작은 제1 영역(222) 및 상기 레일(10)의 허리부의 상단 경사면(14)에 접촉하는 반경이 큰 제2 영역(2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기 홀 형성용 드릴 탑재 영역(110)에는 상기 홀 형성용 드릴(300)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 및 경사 조절하기 위한 지지대(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KR2020160000237U 2016-01-15 2016-01-15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KR200481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37U KR200481447Y1 (ko) 2016-01-15 2016-01-15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37U KR200481447Y1 (ko) 2016-01-15 2016-01-15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450A Division KR20150110442A (ko) 2015-09-09 2015-09-09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24U true KR20160000624U (ko) 2016-02-23
KR200481447Y1 KR200481447Y1 (ko) 2016-09-30

Family

ID=5544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37U KR200481447Y1 (ko) 2016-01-15 2016-01-15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29B1 (ko) * 2016-03-14 2016-07-04 권득윤 항공등화용 철재홀 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4A (ja) * 1992-06-19 1994-01-11 Daifuku Co Ltd レール接続用の位置決め装置
JPH0665234B2 (ja) * 1985-01-22 1994-08-22 株式会社アマダ 出力安定化回路
JP2726398B2 (ja) * 1995-04-11 1998-03-11 東北技研工業株式会社 レール頭部継目溶接残部の研削装置
KR20060011192A (ko)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234B2 (ja) * 2007-05-22 2011-04-06 双友機工株式会社 枕木穿孔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234B2 (ja) * 1985-01-22 1994-08-22 株式会社アマダ 出力安定化回路
JPH062304A (ja) * 1992-06-19 1994-01-11 Daifuku Co Ltd レール接続用の位置決め装置
JP2726398B2 (ja) * 1995-04-11 1998-03-11 東北技研工業株式会社 レール頭部継目溶接残部の研削装置
KR20060011192A (ko)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29B1 (ko) * 2016-03-14 2016-07-04 권득윤 항공등화용 철재홀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47Y1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4009B2 (ja) 軌道格子の高さ調節のためのスピンドル装置
JP6474165B2 (ja) 溶接テーブルのための軌道システムの軌道、連結枠およびローラー脚
US8739704B2 (en) Railroad tie hardware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691525B1 (ko) 레고형 대차 동바리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KR20110005132U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지지장치
KR20150110442A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KR200481447Y1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JP2010255404A (ja) 掘削モジュールおよび可搬式掘削装置ユニット
KR101607890B1 (ko) 대차가 구비된 일체형 동바리
KR20140072317A (ko) 원터치식 발리스 취부대
KR100707140B1 (ko) 레벨링 조절장치
JP3065557B2 (ja) 軌条支承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道床軌道の敷設工法
KR20140147525A (ko)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CN214164973U (zh) 一种用于轨道列车实验的轨道设备
KR200172226Y1 (ko) 철도레일의 볼트구멍 가공용 코아드릴 지지장치
KR101849772B1 (ko) 건축물 지붕재 해체 시스템
CN211522693U (zh) 混凝土结构找平装置
CN212704467U (zh) 一种适用于不同型号的h型钢自动夹紧装置及钻孔系统
CN208072217U (zh) 一种便捷式摊铺轨道
RU27500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онта бетонного основания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варианты)
CN103738863A (zh) 一种用于塔式起重机的防风锚定装置
CN210151493U (zh) 对正架
KR101832215B1 (ko) 집전장치 및 이를 갖춘 크레인
KR101787585B1 (ko) 가공지선 압축기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