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525A -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525A
KR20140147525A KR20130070948A KR20130070948A KR20140147525A KR 20140147525 A KR20140147525 A KR 20140147525A KR 20130070948 A KR20130070948 A KR 20130070948A KR 20130070948 A KR20130070948 A KR 20130070948A KR 20140147525 A KR20140147525 A KR 2014014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ain body
contact
hole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일
Original Assignee
황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일 filed Critical 황선일
Priority to KR2013007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525A/ko
Publication of KR2014014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06Making holes, e.g. by drilling, punching, flame-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에 탑재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레일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레일의 머리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밀착 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밀착 수단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가공 작업시 상기 밀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고정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작업에 따른 도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잔격을 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Movable Rail Processing Apparatus on Board a Rail}
본 발명은 레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에 탑재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레일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레일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레일을 따라 콘크리트 도상에 형성된 침목 삽입 홀에 삽입된 침목을 매개로 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되었는데, 강우 등의 환경 요인으로 침목이 훼손되기에 주기적으로 침목을 교체해야 했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침목에 설치하지 않고 그대로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침목의 교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6-11192호("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및 레일 체결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직접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와의 체결을 위한 홀을 미리 형성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홀의 형성을 위하여 작업자들이 일일이 드릴을 손에 들어 구멍을 파는 방식을 이용했었다. 이러한 종래의 작업자들에 의한 수작업에 의한다면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야할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한 무수히 많은 홀을 형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가 없고, 안전 사고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또한, 작업자들이 직접 도상에 작업하는 경우 도상에 손상을 줄 수 있고, 형성해야 할 홀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들이 가공장치를 휴대하여 직접 레일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공장치를 장착하고 레일 상에 탑재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피가공물이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용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용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는 레일의 머리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밀착 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밀착 수단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가공 작업시 상기 밀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고정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압축 장치 및 상기 압축 장치의 말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의 표면에 밀착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되어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 장치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선이 있는 관통 홀 및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말단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의 표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을 따른 상기 본체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롤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상면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접촉 면의 가운데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좌우측면의 하단에 접촉하는 반경이 작은 제1 영역 및 상기 레일의 허리부의 상단에 접촉하는 반경이 큰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가공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상하 이동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단에 상기 가공부에 의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 홀 이외에는 상단으로 외부와 격리되어 있어 상기 가공부에 의한 가공시 이물질이 본체의 상단으로 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형태에 따른 실시 예는 레일에 탑재되어 이송되면서 콘크리트 도상에 신규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홀 형성용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로서, 상기 레일의 머리부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 가공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밀착 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밀착 수단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홀 형성 작업시 상기 밀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고정하여 상기 홀 가공부에 의하여 상기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에 의하면, 레일을 따라 설치되어야할 베이스 플레이트를 위한 무수히 많은 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작업자들이 직접 위험한 작업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공부가 레일에 고정되어 있어 도상에 정확한 위치에 홀을 형성할 수 있어 도상의 손상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밀착 수단(200)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및
도 4는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제1 접촉 부재(204a)와 제2 또는 제3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는 본체(100), 가공부(300), 및 밀착 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레일(10)의 머리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공부(300)는 본체(100)에 결합하여 레일(10)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한다. 가공부(300)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는 피가공물은 레일(10) 상의 또는 레일(10)을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나 침목, 베이스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콘크리트 도상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들로서 가공부(300)가 이러한 피가공물에 대하여 드릴에 의한 천공 작업, 볼트의 체결, 대상의 연마 작업 등의 다양한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가공부(300)는 이러한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 제공부, 작업 수행부, 기타 작업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100)를 레일(10)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한다. 따라서 본체(100)를 레일(10)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밀착 수단(200)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가공 작업시 밀착 수단(200)에 의하여 본체(100)를 레일(10)에 고정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일(10)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동일한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는데, 레일(10) 상의 하나의 작업 영역에서 본체(100)의 고정, 및 작업 완료 후 다른 작업 영역으로의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본체(100)와 레일(10)의 해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과 해제는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조임 볼트의 단순한 회전 또는 푸시/풀 방식 등에 의하여 쉽게 체결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10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와 가공부(300)의 무게를 고려할 때 밀착 수단(200)을 레일(10)의 한 지점에만 설치하기보다는 적어도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하여 작업시 또는 이동시 본체(100)가 흔들리지 않고 가공부(300)에 의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밀착 수단(200)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210), 본체(100)와 레일(10)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의 머리부 사이를 체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체(100)에 탑재된 가공부(300)에 의하여 레일(10)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 본체(100)와 레일(10)의 기부(base)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벌리는 것이 작업중 그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작업 부산물, 부수 장비, 케이블 등의 장애물에 의한 걸림 등을 피할 수 있어서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착 수단(200)은 모두 레일(10)의 머리부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레일(10)의 허리부나 기부에 체결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수한 목적 및 상황에서는 레일(10)의 허리부나 기부에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수평 밀착 수단(220)은 레일(10)의 양 측면을 밀착하기 위하여 수직 밀착 수단(210)의 아래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평 밀착 수단(220)이, 적어도 레일(10)의 머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면 충분할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밀착 수단(200)은 본체(100)와 레일(10) 사이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 장치 및 상기 압축 장치의 말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의 표면에 밀착되는 접촉 부재(20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밀착 수단(210)의 상기 접촉 부재(204)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는 상기 레일(10)의 머리부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되어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 예의 압축 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압축 장치 하나와 수평으로 설치된 두 개의 수평 압축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 압축 장치와 수평 압축 장치는 소정의 밀착 압력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수평 압축 장치를 적절한 압력(접촉 부재의 좌우 움직임이 생기지는 않으나 접촉 부재의 회전은 자유로운 상태)으로 조인 후 본체(100)를 레일(10)을 따라 전후로 움직여 작업 장소로 이동시킨 후에 수직 압축 장치를 강하게 조이는 방식으로 밀착 수단(200)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 장치는 본체(100)에 형성된 나사선이 있는 관통 홀(108) 및 상기 관통 홀(108)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부재(202 및 206), 즉 나사 봉을 포함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 부재(204)는 상기 이동 부재의 말단에 부착되어 레일(10)의 표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동 부재는 조작 버튼(201)이 형성된 회전 볼트(202)와 회전 볼트(202)의 말단에 연결된 접촉 부재 고정 틀(20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볼트(202)는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형성된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사용자가 조작 버튼(201)을 돌리면, 같이 회전하면서 접촉 부재 고정 틀(206)에 고정된 접촉 부재(204)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도 4는 도 2의 밀착 수단(200)의 제1 접촉 부재(204a)와 제2 또는 제3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접촉 부재(204)는 레일(10)을 따른 본체(100)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롤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직 밀착 수단(210)의 접촉 부재(204a)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머리부의 상면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접촉 면의 가운데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롤러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220)의 상기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의 머리부의 좌우측면의 하단에 접촉하는 반경이 작은 제1 영역 및 상기 레일의 허리부의 상단에 접촉하는 반경이 큰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부재(204)가 레일(10)과 접하는 영역을 레일(10)의 형상에 맞추어 제조함으로써 본체(100)를 레일(10)에 더욱 밀착 고정할 수 있고, 작업시 또는 이동시 본체(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수평 밀착 수단(220)의 접촉 부재(204b 또는 204c)의 제2 영역의 존재로 본체(100)의 좌우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가공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60)를 더 포함하고, 가공부(300)는 상기 지지대(160)에 의하여 상하 이동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경사 조절은 지지대(160)의 하단에 부착된 사다리 형상의 경사 조절 부재(165)에 의하여 회전축(162)에 대하여 회전하여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 측면에 손잡이(106)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레일(10)을 따라 본 장치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단에 가공부(300)에 의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홀(102) 이외에는 피가공물의 가공 영역이 상단으로 외부와 격리되어 있어 가공부(300)에 의한 가공시 냉각수 또는 작업 부산물 등의 이물질이 본체의 상단으로 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수한 실시 예로서 홀 형성용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즉, 레일에 탑재되어 이송되면서 콘크리트 도상에 신규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의 머리부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 가공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밀착 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밀착 수단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홀 형성 작업시 상기 밀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고정하여 상기 홀 가공부에 의하여 상기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도상에 형성되는 홀은, 콘크리트 도상에 직접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일정한 깊이의 구멍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에서 홀은, 체결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 스파이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 스파이크 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도상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직접 설치하는 방식은 콘크리트 도상에 방진 패드를 깔고 그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 구멍을 통하여 홀로 나사 볼트를 조여 체결한다. 이때, 홀 내부에 나사 스파이크를 삽입하여 나사 볼트를 조이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레일 100: 본체
102: 작업 홀 106: 손잡이
108: 관통 홀 160: 지지대
200: 밀착 수단 210: 수직 밀착 수단
220: 수평 밀착 수단 204, 204a, 204b, 204c: 접촉 부재
300: 가공부

Claims (11)

  1. 레일의 머리부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 상의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밀착 수단;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밀착 수단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가공 작업시 상기 밀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고정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상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수직 밀착 수단,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양 측면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한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평 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압축 장치 및 상기 압축 장치의 말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축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의 표면에 밀착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접촉하고, 상기 수평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밀착되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장치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선이 있는 관통 홀 및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의 말단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의 표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을 따른 상기 본체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롤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상면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접촉 면의 가운데 부분이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밀착 수단의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레일의 머리부의 좌우측면의 하단에 접촉하는 반경이 작은 제1 영역 및 상기 레일의 허리부의 상단에 접촉하는 반경이 큰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공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지지대에 의하여 상하 이동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에 상기 가공부에 의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 홀 이외에는 상단으로 외부와 격리되어 있어 상기 가공부에 의한 가공시 이물질이 본체의 상단으로 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11. 레일에 탑재되어 이송되면서 콘크리트 도상에 신규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홀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홀 형성용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로서,
    상기 레일의 머리부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하여 상기 콘크리트 도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 가공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레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밀착하거나 이를 해제하는 밀착 수단;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 상에서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밀착 수단을 해제하여 이동하고, 홀 형성 작업시 상기 밀착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고정하여 상기 홀 가공부에 의하여 상기 홀 형성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형성용 레일 탑재 이동형 레일 가공장치.
KR20130070948A 2013-06-20 2013-06-20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KR20140147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948A KR20140147525A (ko) 2013-06-20 2013-06-20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948A KR20140147525A (ko) 2013-06-20 2013-06-20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450A Division KR20150110442A (ko) 2015-09-09 2015-09-09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25A true KR20140147525A (ko) 2014-12-30

Family

ID=5267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948A KR20140147525A (ko) 2013-06-20 2013-06-20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5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4009B2 (ja) 軌道格子の高さ調節のためのスピンドル装置
JP6474165B2 (ja) 溶接テーブルのための軌道システムの軌道、連結枠およびローラー脚
TWI647061B (zh) 研磨模組、研磨機器及研磨方法
CA28613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lling of railroad track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CA1039087A (en) Clamp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machining device
KR200478371Y1 (ko) 발전기 고정자 웨지 절단기
KR101848091B1 (ko) 탬핑 머신
CN204818657U (zh) 支撑装置
KR20150110442A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US8490548B2 (en) Device for railway maintenance
KR200481447Y1 (ko) 레일 탑재 이동형 콘크리트 도상의 홀 형성드릴
KR20140147525A (ko) 레일 탑재 이동형 홀 형성장치
JP6810405B2 (ja) ウオータージェットはつり装置
JP6415917B2 (ja) スタッドボルト溶接装置
KR100707140B1 (ko) 레벨링 조절장치
JP7361304B2 (ja) まくらぎ補修用台車及び台車セット
CA2487387A1 (en) Rail groom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CN103056581A (zh) 电动平台车液压缸焊接装置
KR101955153B1 (ko) 타일 절단기에 있어서 보조절단장치
KR2017000139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20120076927A (ko) 천공용 드릴 거치대
CN104014899A (zh) 磁力切割机升降导行装置
JP2008137140A (ja) グラインダ保持装置
JP2022081909A (ja) コンクリート枕木の設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