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43A - 마늘 다짐 장치 - Google Patents

마늘 다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43A
KR20160000243A KR1020140077396A KR20140077396A KR20160000243A KR 20160000243 A KR20160000243 A KR 20160000243A KR 1020140077396 A KR1020140077396 A KR 1020140077396A KR 20140077396 A KR20140077396 A KR 20140077396A KR 20160000243 A KR20160000243 A KR 2016000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actuating
unit
oper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귀남
임경헌
Original Assignee
푸른노무법인
임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노무법인, 임경헌 filed Critical 푸른노무법인
Priority to KR102014007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43A/ko
Publication of KR2016000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8Beaters or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30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ving perforated container for the ground material; having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마늘을 다지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모터 구동 방식의 마늘 다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마늘을 포함한 다짐 대상물을 다지는 작동체가 제공되어 있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컵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에는 대체로 끝이 잘린 원뿔 모양의 작동체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는 적어도 양측이 상기 작동체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마늘을 미분화로 인한 즙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늘 자체가 지닌 고유의 영양소 파괴를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마늘을 다진 후 그 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늘 다짐 장치 {garlic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마늘을 다지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모터 구동 방식의 마늘 다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늘(garlic)은 중앙아시아가 원산인 백합과(白合科) 중 가장 매운 식물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극동(極東)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약용에 가까운 마늘의 항암 작용 및 심장병 예방 효능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마늘의 특별한 효능은 마늘 고유의 냄새를 나게 하는 유황화합물인 알린과 또 다른 성분인 스코르디닌이란 성분 때문이다. 알린 성분은 비타민 B1과 결합해 인체에 흡수되기 쉬운 성분으로 바뀐다. 비타민 B1이 체내에 많이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성분이 함유된 마늘을 상용하는 것이 활성 비타민 섭취에 도움이 된다.
특히, 쌀밥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우리에게 마늘은 결핍되기 쉬운 비타민을 보급해주는 창고였다. 스코르디닌이란 성분은 우리 몸에 강장 효과를 나타내 허약 체질 극복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마늘은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요리에 사용된다. 마늘의 강한 향이 비린내를 없애고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식욕 증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향신료(양념)로도 사랑받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흔히 접할 수 있는 마늘은 보통 돼지고기, 소기기와 같은 육류를 구워 먹을 때에는 생마늘을 잘게 썰어서 먹고, 음식에 양념으로 사용할 때에는 다진 상태로 음식물에 첨가된다.
전자의 경우와 같이 세절된 상태의 마늘을 소량 얻고자 할 때에는 각각의 마늘을 칼로 세절하는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후자와 같이 다진 상태의 마늘을 소량 얻고자 할 때에는 내측벽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절구통이 흔히 이용된다.
그러나, 대규모의 음식점 또는 음식물을 생산 공급하는 업체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작업만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사용해서는 그 생산성이 떨어진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마늘 다짐과정에서 마늘의 세절된 파편이나 마늘즙이 사방으로 튀기 때문에 주변을 더럽히는 것은 물론, 마늘 특유의 냄새 때문에 별도로 청소를 해야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전자의 경우를 개선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2710호 (2001년03월26일 등록, 발명의 명칭 "마늘 세절장치")가 언급될 수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는 호퍼를 통해 투입되어 낙하하는 마늘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균일한 두께의 조각으로 기계적으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마늘 자동세절기를 제안하였다.
후자의 경우를 개선하기 위한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016호 (20067년 7월 13일 등록, 고안의 명칭 "세척이 용이한 개량 마늘 다지기")가 언급될 수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문헌에서는 가위처럼 손잡이를 잡고 누르는 동작에 의하여 상하부 가압편 사이에 놓여진 마늘을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마늘 다지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마늘을 하나씩 가압편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고, 마늘을 가압할 때 발생되는 마늘즙과 마늘 파편에 대한 후속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는 여전하다. 특히, 통마늘의 경우 표면이 미끄럽고 단단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쉽게 압착되지 않아 실제 주방에서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쉽게는 통상의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마늘을 분쇄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마늘의 미분화로 다량의 즙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영양소 파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마늘을 통상의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사용하여 잘게 분쇄시킨 후에는 그 안에 장착되어 있는 분쇄부, 즉, 날개 부분의 하부를 세척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2710호 (2001년03월26일 등록, 발명의 명칭 "마늘 세절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2016호 (20067년 7월 13일 등록, 고안의 명칭 "세척이 용이한 개량 마늘 다지기")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마늘을 미분화로 인한 즙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늘 자체가 지닌 고유의 영양소 파괴를 염려할 필요가 없는 마늘 다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마늘을 다진 후 그 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구조의 마늘 다짐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마늘을 포함한 다짐 대상물을 다지는 작동체가 제공되어 있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컵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에는 대체로 끝이 잘린 원뿔 모양의 작동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는 적어도 양측이 상기 작동체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는 상기 작동체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날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날개부의 전방에는 대체로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각각의 상기 만곡부에는 전방으로 침 모양의 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마늘을 포함한 다짐 대상물을 다지는 작동체가 제공되어 있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컵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에는 대체로 끝이 잘린 원뿔 모양의 작동체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전방으로 대체로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각각의 상기 만곡부에는 전방으로 침 모양의 쐐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동체는 적어도 양측이 상기 작동체 지지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마늘을 미분화로 인한 즙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늘 자체가 지닌 고유의 영양소 파괴를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마늘을 다진 후 그 부위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전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늘 다짐 장치 중의 일부, 즉, 작동부와 컵 형상의 수용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 중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변형 확대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부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부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 중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를 나타낸다. 특히,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전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늘 다짐 장치 중의 일부, 즉, 작동부와 컵 형상의 수용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 중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의 (a)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B-B 부분 단면도이며,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변형 확대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는, 구동부(100), 작동부(200) 및 수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00)에는 구동모터(M)가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모터(M)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구동부(1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예를 들어 마늘을 포함한 다짐 대상물을 다지는 작동체(220)를 포함한다.
작동부측 작동체(220)는 상기 작동부(200)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대체로 끝이 잘린 원뿔 모양의 작동체 지지부(210)의 위에서 작동한다. 상기 작동체 지지부(210)의 중앙에는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M)와 직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봉(110)의 삽입된다. 다르게는, 상기 작동체 지지부(210)가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M)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220)는 상기 작동체 지지부(210)의 상부에서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222)와 상기 회전체(222)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날개부(22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동부측 작동체(220)는 전원에 의한 구동부측 구동모터(M)의 회전에 의해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들려 작동하게 된다. 즉, 작동 전에는 날개부가 도면부호 22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위치에 있다가 작동 중에는 원심력에 의해 도면부호 22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부측 작동체(220)의 날개부(224)가 회전체(222)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써 이의 세척 시에 날개부(224)를 들어 올려 세척할 수 있어 날개부(224)의 후면 세척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확실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고정 방식의 경우에는 날개부(224)의 후면 및 날개부 후면에 위치한 지지부(210)를 세척하기가 곤란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가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작동부측 작동체(200)를 이루는 회전체(222) 및 날개부(224)의 전방에 대체로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226)가 복수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만곡부(226)가 반구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형상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의 곡면 형상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각각의 상기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226)의 전방으로는 침 모양의 쐐기부(228)가 마련된다.
우선, 예를 들어 마늘을 다질 때 상기한 침 모양의 쐐기부(228)는 마늘을 쪼개는 역할을 하고, 쐐기부(228)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만곡부(226)는 마늘을 다지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단단한 물체로서의 마늘에 침과 같은 쐐기부(228)가 순간적으로 침습하게 되면 빠르게 쪼개지며 쪼개진 마늘은 쐐기부(228)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들어 절구 모양의 만곡부(226)에 의해 다져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가령 수박에 날카로운 칼이 침습할 때 적은 침습에도 수박이 쪼개지는 것과 흡사한 것이다.
이때, 컵 모양의 수용부(300)의 내부에 다량의 마늘이 수용되므로 쐐기부(228)에 의해 쪼개지는 마늘의 후방에 놓인 마늘이 후방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마치 절구통에서 마늘을 빻아 다지는 것과 유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마늘의 영양소는 그대로 보존되고 즙 발생의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각각의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2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hacha하게 배치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날개부(224)의 전면이 완전히 배제되게 하는 구조이고, 이러한 구조는 다량의 마늘을 다지는 데 보다 유리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를 나타낸다. 특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부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부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의 작동 중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는 상기한 구동부측 지지부(210)가 구동모터(M)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봉(110)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한 작동체(220) 중의 회전체(22)가 생략된 상태로 각각의 날개부(224)가 지지부, 즉 회전봉(110, 210)에 결합핀(225)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른 마늘 다짐 장치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달리 회전체(22)가 생략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회전체(22)의 후방에 잔여할 수 있는 다짐 대상물의 잔여물의 존재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되어 더욱 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회전봉
M : 구동모터 200 : 작동부
210 : 지지부 220 : 작동체
222 : 회전체 224 : 날개부
226 : 만곡부 228 : 쐐기부
300 : 컵 모양의 수용부

Claims (7)

  1.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1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마늘을 포함한 다짐 대상물을 다지는 작동체(220)가 제공되어 있는 작동부(200); 및
    상기 작동부(2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컵 형상의 수용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200)에는 대체로 끝이 잘린 원뿔 모양의 작동체 지지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220)는 적어도 양측이 상기 작동체 지지부(210)의 상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220)는 상기 작동체 지지부(210)의 상부에서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222)와 상기 회전체(222)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날개부(2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24)의 전방에는 대체로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226)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만곡부(226)에는 전방으로 침 모양의 쐐기부(2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5.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구동부측 구동모터의 작동에 연동하여 마늘을 포함한 다짐 대상물을 다지는 작동체(220)가 제공되어 있는 작동부(200); 및
    상기 작동부(20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는 컵 형상의 수용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200)에는 대체로 끝이 잘린 원뿔 모양의 작동체 지지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측 작동체(220)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전방으로 대체로 반구체 형상의 만곡부(226)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만곡부(226)에는 전방으로 침 모양의 쐐기부(2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220)는 적어도 양측이 상기 작동체 지지부(210)의 상부에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짐 장치.
KR1020140077396A 2014-06-24 2014-06-24 마늘 다짐 장치 KR20160000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96A KR20160000243A (ko) 2014-06-24 2014-06-24 마늘 다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96A KR20160000243A (ko) 2014-06-24 2014-06-24 마늘 다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43A true KR20160000243A (ko) 2016-01-04

Family

ID=5516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396A KR20160000243A (ko) 2014-06-24 2014-06-24 마늘 다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952A (ko)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마늘 다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710B1 (ko) 1998-12-09 2001-06-15 한남천 마늘 세절장치
KR200422016Y1 (ko) 2006-02-23 2006-07-20 임현숙 세척이 용이한 개량 마늘 다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710B1 (ko) 1998-12-09 2001-06-15 한남천 마늘 세절장치
KR200422016Y1 (ko) 2006-02-23 2006-07-20 임현숙 세척이 용이한 개량 마늘 다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952A (ko)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엔에스디자인 마늘 다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2365A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AU2010246489B2 (en) Hand-held Masher Device
US9538883B2 (en) Grating disc for a food processor and a food processor comprising a grating disc
CN202426350U (zh) 搅拌刀
CN108135403B (zh) 用于制备食物配料的装置
CN108143243B (zh) 一种榨汁机的使用方法
KR20160000243A (ko) 마늘 다짐 장치
CN106859397B (zh) 一种多功能的食品加工机
KR102001828B1 (ko) 마늘 다짐용 절굿공이를 포함하는 마늘 다짐 장치
CN205359154U (zh) 一种果蔬粉碎机
CN213133443U (zh) 手推式果蔬切碎处理器
CN2684699Y (zh) 食物料理机刀片结构
KR100669212B1 (ko) 다수의 수직형 해머를 갖는 마늘 다지기용 푸드 쵸퍼
CN206381051U (zh) 一种多功能削果皮切菜机
CN219878008U (zh) 一种破壁装置
CN217039850U (zh) 料理机及多功能料理机
KR200380635Y1 (ko) 다수의 수직형 해머를 갖는 마늘 다지기용 푸드 쵸퍼
CN214210777U (zh) 一种竹笋加工用的切碎装置
US20110180644A1 (en) Food mincer
CN205214932U (zh) 一种多功能榨汁机
KR101696345B1 (ko)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CN220126446U (zh) 一种辣椒切碎器
CN215272281U (zh) 料理机的粉碎刀组件及料理机
KR20130142497A (ko) 다기능 커터기
CN215914275U (zh) 料理机的粉碎刀组件及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