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345B1 -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 Google Patents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345B1
KR101696345B1 KR1020150168781A KR20150168781A KR101696345B1 KR 101696345 B1 KR101696345 B1 KR 101696345B1 KR 1020150168781 A KR1020150168781 A KR 1020150168781A KR 20150168781 A KR20150168781 A KR 20150168781A KR 101696345 B1 KR101696345 B1 KR 10169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im
crusher
foo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김석민
Original Assignee
김진혁
김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혁, 김석민 filed Critical 김진혁
Priority to KR102015016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강판이 결합되어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갈면서 조리 음식을 쉽게 준비할 수 있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는 음식물을 올려놓고 절개할 수 있는 도마 본체와, 도마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포함하며, 도마 본체는 테두리부와, 테두리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놓여져 절개되는 평탄부와, 테두리부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절개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평탄부에서 배출부로 음식물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테두리부의 배출부 측에는 분쇄기 겸용 강판이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마에서 음식물의 채칼 작업 및 분쇄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도마에서 음식물을 한 곳으로 쉽게 모을 수 있어,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갈면서 조리 음식을 쉽게 준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Kitchen Board with plate for Grater and Crusher}
본 발명은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강판이 결합되어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갈면서 조리 음식을 쉽게 준비할 수 있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 시 각종 야채나 육류 등을 썰거나 다지고 칼집을 내는 손질을 할 때 싱크대나 조리대에서 도마 위에 올려놓고 손질을 한다. 손질 도구로는 식칼, 채칼, 가위, 다짐 방망이 등을 사용하여 도마 위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구 상호간의 내구성과 위생을 고려하여야 한다.
칼의 내구성과 편의성이 점점 좋아지면서 이에 대응하는 도마의 위생성과 편의성 등이 진보하게 되고 재질도 항균 성분이 함유된 나무나 플라스틱이 사용되며 편의성에서도 단순히 음식물을 자르는 받침대 역할에서 조리할 음식물을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조리대로 옮겨지기까지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추거나 자체 항균 능력을 가지는 도마도 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 가정의 주방이나 식당의 조리대에서 사용되는 도마는 일반 목재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보통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모양으로 일측에 손잡이 용도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양면 도마가 아닌 일반 도마는 바닥쪽 면에 받침목 용도의 부재가 하나 또는 그 이상 다수개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도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일정 단면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을 가지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손잡이부(12)와, 본체부(11) 아랫면에 구비되어 바닥의 평행을 유지하는 받침목부(1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마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본체부(11) 일측에 일정 크기의 평면을 가지는 작용면에 음식물을 올리고 칼이나 기타 주방기구에 의해 음식물을 자르거나 또는 육류나 마늘 같은 다짐 작업이 필요한 음식물은 다짐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작용면 반대쪽 면에는 받침목부(13)가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가 나사결합이나 끼워 맞춤 형태로 구비되고 본체부(11)의 작용면과 반대쪽에 받침목부(13)가 형성된 면 사이에 관통공을 뚫어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도마를 닦거나 사용된 도마를 닦고 양지에서 말릴 때 사용된다.
그런데, 도마에서 음식물을 자르는 작업 외에 강판에 갈거나 분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종래 도마는 이러한 작업에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음식을 갈기 위해서 강판을 준비하여도 도마 위에서 강판을 잡고 작업하여야 하므로 가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음식물을 분쇄할 때에도 별도의 분쇄기를 준비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분쇄기에 분쇄된 음식물을 옮겨 담아야 하므로 음식물을 모으기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100910호(공개일:2008.11.21.)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0038호(공개일: 2009.09.23.)
한국등록특허 제10-0897830호(등록일: 2009.05.0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마에서 음식물의 채칼 작업 및 분쇄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도마에서 음식물을 한 곳으로 쉽게 모을 수 있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는 음식물을 올려놓고 절개할 수 있는 도마 본체와, 도마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포함하며, 도마 본체는 테두리부와, 테두리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놓여져 절개되는 평탄부와, 테두리부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절개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평탄부에서 배출부로 음식물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테두리부의 배출부 측에는 분쇄기 겸용 강판이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테두리부의 저면은 평탄부의 저면보다 돌출하여 도마 본체의 받침면을 이루고 있다. 받침면은 복수의 돌출부가 배열된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분쇄기 겸용 강판은 관통구가 형성된 채칼부와, 채칼부에 결합되며 분쇄돌기가 형성된 분쇄부와, 분쇄부에서 이어진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채칼부와 분쇄부는 힌지 결함되어 접힘에 따라 음식물을 으깰 수 있게 되어 있다. 분쇄부의 저면에는 채칼부가 접혔을 때 삽입되어 맞추어지는 요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에 의하면, 도마에서 음식물의 채칼 작업 및 분쇄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도마에서 음식물을 한 곳으로 쉽게 모을 수 있어,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갈면서 조리 음식을 쉽게 준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마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쇄기 겸용 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쇄기 겸용 강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쇄기 겸용 강판이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도 4의 분쇄기 겸용 강판이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마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100)는 도마 본체(110)와, 분쇄기 겸용 강판(120)을 포함한다.
도마 본체(110)는 음식물을 올려 놓고 절개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테두리부(111)와, 평탄부(112)와, 배출부(113)와, 안내부(114)와, 안착부(115)로 이루어진다. 도마 본체(110)는 평탄부(112)부분만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부분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111)는 도마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의 일측이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서, 높이 방향으로 평탄부(112)보다 돌출되어 있다. 테두리부(111)의 저면은 평탄부(112)의 저면(112a)보다 돌출하여 도마 본체(110)의 받침면(111a)을 이루고 있다. 받침면은 복수의 돌출부가 배열된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평탄부(112)는 칼로 음식물을 절개할 때 받치는 부분으로서 나무나 플라스틱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부(111)와 안내부(114) 사이에 형성된다. 평탄부(112)에서 안내부(114) 측은 안내부의 돌출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되어 있다. 평탄부(112)는 테두리부(11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놓여져 절개된다.
배출부(113)는 안내부(114)와 테두리부(111)의 곡선 부분 사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서, 테두리부(111)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평탄부(112)에서 절개된 음식물이 안내부(114)를 거쳐 이동하여 도마 본체(11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도마 본체(110)가 수집용기 또는 그릇 상에 설치될 때, 배출부(113)를 통해 배출되어 수집용기 또는 그릇에 음식물이 모이게 된다.
안내부(114)는 평탄부(112)에서 배출부(113)로 절개된 음식물을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배출부(113)를 향하여 경사된 경사면(114a)를 구비하는 한편, 평탄부(112)에서 배출부(113)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중간부가 파인 골부(114b)를 구비한다. 골부(114b)는 평탄부(112)의 오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중간에 형성되어 경사면(114a)을 따라 낮아져 배출부(113)에 이루는 가이드 길을 이룬다.
안착부(115)는 테두리부(111)의 배출부(113)측 곡선부분 내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곡선부분 내면을 따라 형성된 홈띠 형태로 형성되거나 간헐적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15)의 홈에는 분쇄기 겸용 강판(120)의 후술하는 채칼부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안착부(115)에는 분쇄기 겸용 강판(120)이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는 분쇄기 겸용 강판(120)이 원터치나 플립플롭 작동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기 겸용 강판(120)은 채칼부(121)와, 분쇄부(122)와, 손잡이부(123)로 이루어지며, 스테인레스 강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분쇄기 겸용 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쇄기 겸용 강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채칼부(121)는 절개시킨 날에 의해 관통구가 형성되어 무우 등을 갈 때 잘려진 부분이 관통구를 통해 하측으로 빠지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쓰이는 강판과 동일한 구조이다. 분쇄부(122)는 분쇄돌기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채칼부(121)와 분쇄부(122)는 힌지부(124)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서로 접힘에 따라 마늘 등의 음식물을 으깨거나 압착하여 즙을 짤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의 (a) 내지 (c) 는 채칼부(121)와 분쇄부(122)가 힌지부(124)를 중심으로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다.
분쇄부(122)의 분쇄돌기는 채칼부(121)의 날이 돌출된 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분쇄부(122)의 저면에는 채칼부(121)가 접혔을 때 삽입되어 맞추어지는 요입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손잡이부(123)는 분쇄부(122)에서 이어진 부분으로서, 분쇄기 겸용 강판(120)을 잡고 핸들링하기 용이하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부(123)는 분쇄부(122)에서 연장된 부분에 사각의 구멍이 형성되어 손잡이를 이루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쇄기 겸용 강판(120)이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분쇄기 겸용 강판(120)은 필요에 따라 도마(110)의 안착부(115)를 따라 이동시켜 안착시킬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과 같이 안착되어 고정된 분쇄기 겸용 강판(120)의 채칼부(121)에 무 등을 갈면 갈린 무는 반대편으로 빠져서 배출부(113)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수집용기 또는 그릇에 담겨지게 된다. 평탄부(112)에서 칼로 절개된 음식물은 안내부(114)의 골부(114b)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부(113)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수집용기 또는 그릇에 담겨지게 된다. 평탄부(112)에서 음식물을 절개하는 방향에 따라 분쇄기 겸용 강판(120)을 다양한 각도로 이동 위치시켜 조리 준비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도마
110 : 도마 본체 111 : 테두리부
111a : 받침면 112 : 평탄부
112a : 저면 113 : 배출부
114 : 안내부 114a : 경사면
114b : 골부 115 : 안착부
120 : 분쇄기 겸용 강판
121 : 채칼부 122 : 분쇄부
122a : 요입부 123 : 손잡이부
124 : 힌지부

Claims (6)

  1. 음식물을 올려놓고 절개할 수 있는 도마 본체(110)와, 상기 도마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 겸용 강판(120)을 포함하며,
    상기 도마 본체(110)는 테두리부(111)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놓여져 절개되는 평탄부(112)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절개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3)와, 상기 평탄부에서 배출부로 음식물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114)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배출부 측에는 상기 분쇄기 겸용 강판이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11)는 상기 도마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의 일측이 곡선을 이루는 형태이고,
    상기 평탄부(112)는 상기 테두리부(111)와 상기 안내부(114) 사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평탄부(112)에서 안내부(114) 측은 상기 안내부(114)의 돌출형상에 맞추어 오목하게 되며,
    상기 배출부(113)는 상기 안내부(114)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곡선 부분 사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며,
    상기 안내부(114)는 상기 평탄부(112)에서 상기 배출부(113)를 향하여 경사된 경사면(114a)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평탄부(112)에서 상기 배출부(113)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중간부가 파인 골부(114b)를 구비하며,
    상기 골부(114b)는 상기 평탄부(112)의 오목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4a)을 따라 낮아져 배출부(113)에 이루는 가이드 길을 이루며,
    상기 안착부(115)는 테두리부(111)의 배출부(113)측 곡선부분 내면에 형성된 홈으로서, 상기 곡선부분 내면을 따라 형성된 홈띠 형태이며,
    상기 분쇄기 겸용 강판(120)은 상기 도마 본체(110)의 안착부(115)를 따라 이동시켜 안착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저면은 상기 평탄부의 저면보다 돌출하여 상기 도마 본체의 받침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은 복수의 돌출부가 배열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 겸용 강판은 관통구가 형성된 채칼부와, 상기 채칼부에 결합되며 분쇄돌기가 형성된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이어진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칼부와 상기 분쇄부는 힌지 결함되어 접힘에 따라 음식물을 으깰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의 저면에는 상기 채칼부가 접혔을 때 삽입되어 맞추어지는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KR1020150168781A 2015-11-30 2015-11-30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KR10169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781A KR101696345B1 (ko) 2015-11-30 2015-11-30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781A KR101696345B1 (ko) 2015-11-30 2015-11-30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345B1 true KR101696345B1 (ko) 2017-01-13

Family

ID=5783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781A KR101696345B1 (ko) 2015-11-30 2015-11-30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3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573Y1 (ko) * 2005-07-14 2005-10-05 강윤이 휴대용 다용도 채칼
KR100594488B1 (ko) * 2004-12-30 2006-06-3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방용 도마
KR20080100910A (ko) 2007-05-15 2008-11-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마
KR100897830B1 (ko) 2008-12-23 2009-05-18 한승길 기능성 도마
KR20090100038A (ko) 2008-03-19 2009-09-23 하순옥 다용도 도마
CN203987748U (zh) * 2014-07-26 2014-12-10 台州市托谱日用品有限公司 多功能菜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488B1 (ko) * 2004-12-30 2006-06-3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방용 도마
KR200397573Y1 (ko) * 2005-07-14 2005-10-05 강윤이 휴대용 다용도 채칼
KR20080100910A (ko) 2007-05-15 2008-11-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마
KR20090100038A (ko) 2008-03-19 2009-09-23 하순옥 다용도 도마
KR100897830B1 (ko) 2008-12-23 2009-05-18 한승길 기능성 도마
CN203987748U (zh) * 2014-07-26 2014-12-10 台州市托谱日用品有限公司 多功能菜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470B1 (en) Cutting board with funnel
US7134653B1 (en) Portable reversible cutting board having removable cover and tool
JP6170177B2 (ja) 食品の粉砕のための器具
CN204868974U (zh) 一种多功能切菜器
KR101696345B1 (ko) 분쇄기 겸용 강판을 구비한 도마
US6213008B1 (en) Multi-functional food processor
CN205310323U (zh) 手握式多功能切菜器
KR102001828B1 (ko) 마늘 다짐용 절굿공이를 포함하는 마늘 다짐 장치
CN207928232U (zh) 一种多功能刨菜器
PL216592B1 (pl) Wieloczynnościowe urządzenie kuchenne
US20110180981A1 (en) Interchangeable cutting board device with detachable cutting assembly
US20060213377A1 (en) Chop Board and Countertop Kitchen Utensil
CN208977954U (zh) 一种多功能切菜机
CN202408635U (zh) 一种多功能收纳砧板
CN215227005U (zh) 一种多功能切菜器
KR20170061503A (ko) 다기능 도마
KR20160084610A (ko) 주방용 다용도 거치대
KR102078460B1 (ko) 마늘 세절기
JP2019013721A (ja) 野菜調理器
KR100594488B1 (ko) 주방용 도마
KR200367555Y1 (ko) 다용도 전기 채썰기
CN213971460U (zh) 切菜器
CN210132532U (zh) 一种菜刀
JP3022202U (ja) 野菜等の調理器
CN210678885U (zh) 一种安全菜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