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20U - 틀니용 칫솔 - Google Patents

틀니용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20U
KR20160000220U KR2020140005227U KR20140005227U KR20160000220U KR 20160000220 U KR20160000220 U KR 20160000220U KR 2020140005227 U KR2020140005227 U KR 2020140005227U KR 20140005227 U KR20140005227 U KR 20140005227U KR 20160000220 U KR20160000220 U KR 20160000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unting surface
sponge
head portion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20U/ko
Publication of KR20160000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73Denture toothbrush, i.e. used for dentures specif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02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pitch, resin, cement, or other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은,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 설치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브러쉬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설치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펀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틀니용 칫솔{TOOTHBRUSH FOR DENTURE}
본 고안은 틀니용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품을 발생시키거나 인공 치아를 부드럽게 닦아줄 수 있는 스펀지와, 인공 치아들의 표면과 사이사이의 이물질을 섬세하게 솔질할 수 있는 브러쉬를 헤드부에 양면으로 적용시킴으로써, 거품 발생과 섬세한 칫솔질을 통해 틀니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틀니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를 닦아주어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손잡이의 전방에 형성된 헤드부에 칫솔모가 결합된 상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칫솔질을 하도록 하였다.
한편, 인공적인 치아들로 구성된 틀니의 경우, 구강으로부터 틀니를 빼낸 후에 칫솔을 이용해 닦아 세척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칫솔은 구강 내로 삽입해야 하는 특성상 칫솔모의 면적이 넓지 않아 틀니를 닦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고, 틀니를 전체적으로 닦아주기 위해서는 세척제를 다량으로 도포시켜야 하지만 거품 발생이 용이하지 않아 세척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8-0000259호(1998년 03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펀지와 브러쉬를 헤드부에 양면으로 적용시킴으로써, 거품 발생과 섬세한 칫솔질을 통해 틀니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틀니용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은,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 설치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브러쉬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설치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설치면은 상기 브러쉬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은 상기 스펀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와의 연결 부위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보다 더 넓은 폭의 상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의 전단은 상면이 상기 상부 설치면에 상향된 곡면으로 연결되며, 하면이 상기 하부 설치면에 하향된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상면과 하면에는 손으로 파지시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한 한 쌍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들은 상기 손잡이의 상면과 하면의 전방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제1파지면 및, 상기 손잡이의 상면과 하면의 후방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위치되는 제2파지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지면의 표면에는 횡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 또는 홈이 종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파지면은 상기 손잡이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는 상하면과 좌우면이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설치면과 상기 스펀지의 사이에는 부착을 위한 접착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들은 중심 부위를 더 짧게 형성시킨 제1오목 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펀지는 중심 부위를 더 좁은 폭으로 형성시킨 제2오목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거품을 발생시키거나 인공 치아를 부드럽게 닦아줄 수 있는 스펀지와, 인공 치아들의 표면과 사이사이의 이물질을 섬세하게 솔질할 수 있는 브러쉬를 헤드부에 양면으로 적용시킴으로써, 거품 발생과 섬세한 칫솔질을 통해 틀니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브러쉬로 솔질을 하기 이전에 스펀지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인공 치아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의 브러쉬와 스펀지를 타원 형상으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틀니용 칫솔은 손잡이(100)와, 헤드부(200)와, 브러쉬(300)와, 스펀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손잡이(100)는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전후로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00)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는 상하면과 좌우면이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00)는 중심 부위가 오목한 유선형으로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때의 그립 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손으로 파지시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한 한 쌍의 미끄럼 방지부재(11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0)들은 제1파지면(110) 및, 제2파지면(1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면(110)은, 도 1과 도 2에서처럼 손잡이(100)의 상면과 하면의 전방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하 방향에서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지면(110)은 손잡이(10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1파지면(110)에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가 각각 밀착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파지면(110)의 표면에는 횡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111a) 또는 홈이 종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파지면(110)은 고무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재질을 선택적을 사용할 수 있다.
제2파지면(112)은, 손잡이(100)의 상면과 하면의 후방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파지면(112)은 손잡이(100)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파지면(112)은 상면과 하면이 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그립 감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파지면(112)의 상면과 하면에는 볼록한 돌기 또는 오목한 홈을 형성시킨 후 그림, 상표 등을 새겨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100)는, 일반적인 자연 치아용 칫솔의 손잡이와 달리 인공 치아가 외부로 노출된 틀니를 닦는 용도를 가지므로, 자연 치아용 칫솔의 손잡이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헤드부(200)는, 손잡이(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200)의 상면에 상부 설치면(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설치면(210)과 대응되는 헤드부(200)의 하면에 하부 설치면(220)이 형성된다.
상부 설치면(210)은, 후술 될 브러쉬(300)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면으로, 후술 될 브러쉬(30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설치면(210)은,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기울이는 경우, 상면이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어 세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설치면(210)에는 후술 될 브러쉬(300)들의 일단을 암수로 대응 결합시키기 위한 제1삽입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홈(211)은, 후술 될 브러쉬(300)들을 일정 개수로 모아 하나의 제1삽입홀(211) 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설치면(210)은,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기울인 상태로 틀니를 닦는 경우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설치면(210)은, 일반적인 칫솔에 비해 큰 사이즈로 형성되므로, 후술 될 브러쉬(300)를 이용해 틀니를 넓은 면적으로 닦아 줄 수 있다.
하부 설치면(220)은, 후술 될 스펀지(4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면으로, 후술 될 스펀지(40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설치면(220)에는 후술 될 스펀지(400)의 일단을 암수로 대응 결합시키기 위한 제2삽입홈(2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설치면(220)은, 일반적인 칫솔에 비해 큰 사이즈로 형성되므로, 후술 될 스펀지(400)를 이용해 틀니를 넓은 면적으로 닦아 줄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200)는 손잡이(100)와의 연결 부위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손잡이(100)보다 더 넓은 폭의 상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손잡이(100)의 전단은 상면이 상부 설치면(210)에 상향된 곡면으로 연결되며, 하면이 하부 설치면(220)에 하향된 곡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0)와 손잡이(100) 간의 연결 부위에 단차를 형성시킴으로써, 틀니를 닦을 때 사용자의 엄지나 검지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200)는 손잡이(100)와 동일한 수지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헤드부(200)와 손잡이(100)의 재질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브러쉬(300)는, 헤드부(200)의 상부 설치면(210)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설치면(210)에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기울이는 경우,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스펀지(400)는, 헤드부(200)의 하부 설치면(210)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200)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펀지(400)는 생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도 1에서처럼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설치면(220)과 스펀지(400)의 사이에는, 부착을 위한 접착제층(5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처럼 브러쉬(300)들의 상면에는 중심 부위를 더 짧게 형성시킨 제1오목 홈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스펀지(400)의 하면에는 중심 부위를 더 좁은 폭으로 형성시킨 제2오목 홈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오목 홈부(310)와 제2오목 홈부(410)는 인공 치아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닦아줄 수 있어 세척의 편의성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거품을 발생시키거나 부드럽게 닦아줄 수 있는 스펀지(400)와, 인공 치아들의 표면과 사이사이의 이물질을 섬세하게 솔질할 수 있는 브러쉬(300)를 헤드부(200)에 양면으로 적용시킴으로써, 거품 발생과 섬세한 칫솔질을 통해 틀니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브러쉬(300)로 솔질을 하기 이전에 스펀지(400)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인공 치아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틀니용 칫솔은 틀니의 외형과 유사한 구강용 물품의 세척에도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구강에 탈부착할 수 있는 치아 교정기나 운동시 치아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마우스 피스 등의 세척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틀니용 칫솔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잡이 110: 미끄럼 방지부재
111: 제1파지면 111a: 돌기
112: 제2파지면 200: 헤드부
210: 상부 설치면 211: 제1삽입홈
220: 하부 설치면 221: 제2삽입홈
300: 브러쉬 310: 제1오목 홈부
400: 스펀지 410: 제2오목 홈부
500: 접착제층

Claims (10)

  1. 길이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부 설치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다수의 브러쉬;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설치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설치면은,
    상기 브러쉬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설치면은,
    상기 스펀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와의 연결 부위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손잡이보다 더 넓은 폭의 상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의 전단은,
    상면이 상기 상부 설치면에 상향된 곡면으로 연결되며, 하면이 상기 하부 설치면에 하향된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면과 하면에는,
    손으로 파지시 마찰력을 부가하기 위한 한 쌍의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들은,
    상기 손잡이의 상면과 하면의 전방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제1파지면 및,
    상기 손잡이의 상면과 하면의 후방 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위치되는 제2파지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면의 표면에는,
    횡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 또는 홈이 종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파지면은,
    상기 손잡이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타원 형상을 가지며, 상면과 하면이 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는,
    상하면과 좌우면이 오목하게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설치면과 상기 스펀지의 사이에는,
    부착을 위한 접착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들은,
    중심 부위를 더 짧게 형성시킨 제1오목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펀지는,
    중심 부위를 더 좁은 폭으로 형성시킨 제2오목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칫솔.
KR2020140005227U 2014-07-11 2014-07-11 틀니용 칫솔 KR201600002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27U KR20160000220U (ko) 2014-07-11 2014-07-11 틀니용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27U KR20160000220U (ko) 2014-07-11 2014-07-11 틀니용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20U true KR20160000220U (ko) 2016-01-20

Family

ID=5531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27U KR20160000220U (ko) 2014-07-11 2014-07-11 틀니용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692A (ko) * 2015-06-08 2018-04-09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슈머 헬스케어 (유케이) 아이피 리미티드 의치들로부터 의치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해 적응된 툴을 갖는 구강 세정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692A (ko) * 2015-06-08 2018-04-09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슈머 헬스케어 (유케이) 아이피 리미티드 의치들로부터 의치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해 적응된 툴을 갖는 구강 세정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5275A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KR20120065929A (ko) 복개식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다기능 칫솔 구조
JP2014505563A (ja) 口又は歯清浄器具
KR20120005449U (ko) 칫솔
KR20040032038A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TW201703685A (zh) 新式裝置
KR100911412B1 (ko) 양면칫솔
KR20160000220U (ko) 틀니용 칫솔
KR200465802Y1 (ko) 양면 칫솔
KR20170069441A (ko) 혀클리너 칫솔
CN201418489Y (zh) 具有刮除舌苔结构的安全牙刷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CN218650763U (zh) 一种乳牙刷
KR20210030445A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CN205612044U (zh) 一种安全型趣味儿童牙刷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JP3182169U (ja) 軟質指歯ブラシ
CN210930116U (zh) 一种高效全面口腔清洁牙刷
CN210248896U (zh) 一种改良型牙刷
CN215125241U (zh) 牙缝刷
KR200298194Y1 (ko)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CN207653783U (zh) 儿童牙刷刷头
KR200469883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