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02Y1 - 양면 칫솔 - Google Patents

양면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802Y1
KR200465802Y1 KR2020120007386U KR20120007386U KR200465802Y1 KR 200465802 Y1 KR200465802 Y1 KR 200465802Y1 KR 2020120007386 U KR2020120007386 U KR 2020120007386U KR 20120007386 U KR20120007386 U KR 20120007386U KR 200465802 Y1 KR200465802 Y1 KR 200465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handle
toothbrush
head por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차시호
Original Assignee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2020120007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은,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제1칫솔모 및, 상기 제1칫솔모들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의 전후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칫솔모들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2칫솔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면 칫솔{A DOUBLE FACED TOOTHBRUSH}
본 고안은 양면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헤드의 양면에 칫솔모를 각각 결합시켜, 칫솔을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서도 윗니와 아랫니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양면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건강과 구취제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와, 손잡이의 선단 부위에 다수의 칫솔모가 구비된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상하고 이동시키면서 칫솔질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가 일 방향에만 형성되어 있어, 윗니와 아랫니를 번갈아가면서 닦는 경우, 칫솔의 방향을 전환하는 동작이 이루어져야만 했었다.
그리고, 칫솔모의 마모 및 형상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수명이 다하게 되므로 사용 기간이 길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칫솔은 칫솔모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치아의 오목한 부분이나 치아들의 사이(치간)에 끼어있는 음식물 찌꺼기들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55480호(2011년 09월 0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헤드의 양면에 칫솔모를 각각 결합시켜, 칫솔을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서도 윗니와 아랫니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양면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칫솔의 중앙 부분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칫솔의 전후 부분의 길이를 상태적으로 더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치아의 오목한 부분과 구석진 부분을 쉽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는 양면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은,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결합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제1칫솔모 및, 상기 제1칫솔모들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의 전후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칫솔모들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구비되는 다수의 제2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헤드부의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손잡이와 상기 헤드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전단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얇게 형성된 전단의 외부에는 신축 가능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 중 어느 하나가 피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측 방향으로 일정 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중심과 상기 손잡이의 중심이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하방으로 일정 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전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수평으로 원을 이루도록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칫솔모들과 상기 제2칫솔모들은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칫솔모들과 상기 제2칫솔모들은 중앙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져, 반원 형상의 상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헤드의 양면에 칫솔모를 각각 결합시켜, 칫솔을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서도 윗니와 아랫니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칫솔의 중앙 부분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칫솔의 전후 부분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치아의 오목한 부분이나 구석진 부분을 쉽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직선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치아의 구석진 위치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의 연결부를 경사지게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은 손잡이(100)와, 헤드부(200)와, 다수의 제1칫솔모(300) 및, 다수의 제2칫솔모(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손잡이(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0)의 상하면에는 사용자의 엄지가 위치되는 전방측에 미끄럼 방지돌기(110)가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110)는 사용자의 엄지가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끄럼 방지돌기(110)는 손잡이(100)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므로, 방향에 관계없이 미끄럼 방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00)의 외주 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그립 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 등이 피복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손잡이(100)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하면에는 후술 될 제1칫솔모(300)들과 제2칫솔모(400)들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부(2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1칫솔모(300)들과 제2칫솔모(400)들의 일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0)와 전술한 손잡이(100)의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양단이 손잡이(100)와 헤드부(200)에 각각 연결되며, 손잡이(100)보다 작은 지름으로 헤드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120)는, 칫솔질을 할 때 헤드부(2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일정 각으로 휘어진 후,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120)의 전단에는 신축 가능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 중 어느 하나가 피복될 수 있다.
즉, 헤드부(200)의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결부(120)가 일 방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헤드부(200)를 통해 치아로 가해지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가 신축력을 갖기 때문에 헤드부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결부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3에서처럼 상기 연결부(120)는 측 방향으로 일정 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헤드부(200)의 중심과 손잡이(100)의 중심이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손잡이(100)로부터 측방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헤드부(200)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깊숙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직선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치아의 구석진 위치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칫솔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처럼 연결부(120)는 일정 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헤드부(200)는 연결부(120)의 전단에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부(200)를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하는 경우, 손잡이(100)가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깝게 위치되어도 헤드부(200)가 치아에 용이하게 근접 위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큰 각도로 회전시키는 동작 없이도 칫솔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각도는 45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연결부(120)의 각도는 다양하게 작용할 수 있다.
제1칫솔모(300)들은, 헤드부(200)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칫솔모(300)들은, 일단이 전술한 헤드부(200)의 결합홈(210)들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타단이 헤드부(200)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칫솔모(300)들은, 치아의 외면을 넓게 닦아주는 기능을 갖는다.
제2칫솔모(400)들은, 제1칫솔모(300)들을 기준으로 헤드부(200)의 전후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며, 제1칫솔모(300)들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칫솔모(300)들의 일단은 전술한 헤드부(200)의 결합홈(210)들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타단이 헤드부(200)의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칫솔모(300)들은, 치아의 구석진 부분이나 치아들의 사이 사이를 예리하게 닦아주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칫솔모(300)들과 제2칫솔모(400)들은 중앙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과 도 2에서처럼 상기 제1칫솔모(300)들과 제2칫솔모(400)들은 측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의 상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칫솔모(300)들과 제2칫솔모(400)들의 상하 단부는 치아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치아의 오목한 부분과 구석진 부분(치간 등)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처럼 전술한 헤드부(200)는 수평으로 원을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칫솔모(300)들과 제2칫솔모(400)들은 헤드부(200)의 상면과 하면에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헤드의 양면에 칫솔모를 각각 결합시켜, 칫솔을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방향 전환을 하지 않고서도 윗니와 아랫니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칫솔의 중앙 부분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고, 칫솔의 전후 부분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치아의 오목한 부분이나 구석진 부분을 쉽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직선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치아의 구석진 위치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칫솔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양면 칫솔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잡이
110: 미끄럼 방지돌기
120: 고무
200: 헤드부
210: 결합홈
300: 제1칫솔모
400: 제2칫솔모

Claims (6)

  1. 일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하 단부가 치아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제1칫솔모; 및
    상기 제1칫솔모들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의 전후 부위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칫솔모들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구비되며, 상하 단부가 치아를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제2칫솔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헤드부의 사이에는,
    양단이 상기 손잡이와 상기 헤드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전단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얇게 형성된 전단의 외부에는 신축 가능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 중 어느 하나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측 방향으로 일정 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중심과 상기 손잡이의 중심이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칫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방으로 일정 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부의 전단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와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칫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수평으로 원을 이루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칫솔모들과 상기 제2칫솔모들은 원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칫솔모들과 상기 제2칫솔모들은,
    중앙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져, 반원 형상의 상하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칫솔.
KR2020120007386U 2012-08-21 2012-08-21 양면 칫솔 KR200465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86U KR200465802Y1 (ko) 2012-08-21 2012-08-21 양면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86U KR200465802Y1 (ko) 2012-08-21 2012-08-21 양면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802Y1 true KR200465802Y1 (ko) 2013-03-15

Family

ID=5135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86U KR200465802Y1 (ko) 2012-08-21 2012-08-21 양면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43U (ko) 2015-09-11 2017-03-21 손병균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KR102047823B1 (ko) 2019-02-01 2019-11-22 정용채 사용시 탄력 복원이 우수한 양면 관통 일체형 칫솔
KR200492116Y1 (ko) * 2019-05-02 2020-08-10 송성빈 이중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06A (ko) * 2002-10-31 2004-05-08 권영준 연성 모와 경성 모를 동시에 구비한 칫솔
KR200352590Y1 (ko) 2004-01-27 2004-06-09 강민석 양면 칫솔
KR20060069495A (ko) * 2003-09-19 2006-06-21 더 지렛트 캄파니 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06A (ko) * 2002-10-31 2004-05-08 권영준 연성 모와 경성 모를 동시에 구비한 칫솔
KR20060069495A (ko) * 2003-09-19 2006-06-21 더 지렛트 캄파니 칫솔
KR200352590Y1 (ko) 2004-01-27 2004-06-09 강민석 양면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043U (ko) 2015-09-11 2017-03-21 손병균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KR102047823B1 (ko) 2019-02-01 2019-11-22 정용채 사용시 탄력 복원이 우수한 양면 관통 일체형 칫솔
KR200492116Y1 (ko) * 2019-05-02 2020-08-10 송성빈 이중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7818A1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KR20130057495A (ko) 구강 관리기구
US20090235474A1 (en)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ngue cleaner
KR20120005449U (ko) 칫솔
KR200465802Y1 (ko) 양면 칫솔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KR100911412B1 (ko) 양면칫솔
TWM507692U (zh) 牙刷刷頭(二)
CN207803754U (zh) 一种口腔粘膜清洁器
KR200468044Y1 (ko) 솔질과 닦는 기능을 갖는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KR101481532B1 (ko) U자형 칫솔
KR101456623B1 (ko) 칫솔
KR200462916Y1 (ko) 칫솔 헤드
CN101695416A (zh) 一种口腔清洁牙刷
CN106108364B (zh) 洁齿刷头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CN205757878U (zh) 一种防滑舒适型塑料牙刷
KR20160003092U (ko) 절곡된 각도를 갖는 칫솔
CN215688668U (zh) 一种电动牙刷刷头以及电动牙刷
KR20130003421U (ko) 칫솔
CN205831409U (zh) 一种牙刷
KR200433153Y1 (ko)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KR200444524Y1 (ko) 잇몸 맛사지용 칫솔
JP5540385B2 (ja) 舌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