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495A - 구강 관리기구 - Google Patents

구강 관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495A
KR20130057495A KR1020137011050A KR20137011050A KR20130057495A KR 20130057495 A KR20130057495 A KR 20130057495A KR 1020137011050 A KR1020137011050 A KR 1020137011050A KR 20137011050 A KR20137011050 A KR 20137011050A KR 20130057495 A KR20130057495 A KR 20130057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ral care
scrubbing
cleaning member
scrubb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리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05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22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rubber bristles being fixed in or on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과 같은 구강 관리기구는 헤드 및 칫솔 헤드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세척요소를 포함한다. 치아세척요소는 바람직하게 기부를 가진 엘라스토머제 스크러빙 요소와, 기부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청결부재를 가진 치아 계합부분을 포함한다. 1실시예에서, 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포함하여, 스크러빙 요소가 강성을 갖게 한다. 청결부재는 1실시예에서 기부로부터 바람직하게 외향 및 상향하여 돌출되어, 치약을 보유하기 위한 중앙 공동을 함께 한정한다. 구강 관리기구의 실시예는 스크러빙 요소의 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스크러빙 요소와 연관된 원형의 칫솔모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관리기구{ORAL CARE IMPLEMENT}
본 발명은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아세척요소를 가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과 같은 구강 관리기구는 일반적으로 구강 공동 내의 치아 및/또는 연성조직을 청결하게(cleansing) 하는 치약과 함께 사용한다. 치약 또는 이와 유사한 구강 관리제품은 1개 이상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칫솔질을 통해 칫솔을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치아 및/또는 잇몸의 표면으로부터 치석 및 찌꺼기를 제거하고, 치아를 닦아서 희게하고, 구강 면의 세균을 없애는 등과 같은 구강 건강의 이점을 제공한다.
종래 칫솔의 헤드는 일반적으로 치아 및/또는 잇몸에 치약을 적용하는 동안 치약(dentifrice)을 일시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칫솔모와 같은 복수개의 치아세척요소를 보유하고 있다. 설계에 의해, 상기 칫솔모들은 수많은 개별적인 칫솔모 가닥(strands)(통상적으로 나일론 또는 다른 폴리머로 제조됨)을 포함하는 다발(tufts)로 형성되며, 주로 찌꺼기를 제거하는데 채택된다. 이런 일반적인 목적의 칫솔모 만으로는 치아 또는 잇몸을 최적하게 세척할 수 없으며, 특히 미백 및 광택제(polishing agent)를 포함한 치약과 함께 사용할 때에는 최적하게 치아 면을 광택내고 얼룩을 제거할 수 없다. 각각의 칫솔모 가닥의 선단부(tip)는 치아 면과의 표면적 접촉부가 원하는 세척 및 광택을 달성하는데 최적하지 않은 유형으로 이루어진다.
페이스트(paste) 치약과 같은 구강치료 치약은 타터(tarter) 제거/제어, 미백, 과민성 감소(reducing sensitivity), 에나멜 보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제법(formulations)으로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런 제품으로부터 최대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치약이 바람직하게 칫솔질을 하는 동안 치아와 접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치약은 일반적으로 치약을 지지하는 칫솔모로부터 사용자의 입 안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칫솔모 사이와 칫솔모의 기부(base)쪽으로 하향하는 힘을 받아 이동하여서, 치약의 효과를 최소가 되게 한다.
따라서, 세척/광택 작용이 우수하고 칫솔질을 하는 동안 치아에 적용하는 치약을 양호하게 지지하는 치아세척요소를 가진 칫솔 헤드를 포함하는 칫솔을 원하고 있다.
본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칫솔과 같은 구강 관리기구는 칫솔모 요소 및 1개 이상의 치아 세척-광택 유닛을 가진 복수개의 치아세척요소를 지지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세척-광택 유닛은 치아에 향상된 세척, 광택, 및 미백을 제공하게 형성된다. 세척-광택 유닛은 기부 및 일체형 치아 계합부분을 가진 엘라스토머제 스크러빙 요소(elastomeric scrubbing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계합부분은 기부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손가락 형상의 청결부재를 포함한다. 청결부재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칫솔 헤드로부터 멀게 기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가져서 스크러빙 요소가 강성(stiffen)이 되게 한다. 구강 관리기구의 실시예들은 원주방향으로 그 둘레에 배치된 원형의 칫솔모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칫솔모 필드는 스크러빙 요소와 상관하여 칫솔질을 하는 동안 스크러빙 요소를 지지하여 청결부재가 과도하게 외향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지(splay) 않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청결부재의 최상부는 정 모양(chisel-shaped) 또는 각도를 이룬(angled) 스크러빙 면을 가진 상단부에서 종결되며, 정 모양 또는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은 치아와 잇몸 사이에 청결부재의 자유단부의 삽입 깊이를 증가시키며 치아와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하여 찌꺼기와 치석 제거에 양호하게 작용하여 유익한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한정한 헤드 및 적어도 1개의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를 포함한다. 스크러빙 요소는 칫솔 헤드에 부착된 지지 기부(supporting bas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가져서 강성을 갖는다. 스크러빙 요소는 부가로 바람직한 일체형 치아 계합부분도 포함하며, 상기 치아 계합부분은 기부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청결부재를 포함한다. 청결부재는 기부로부터 외향하여 돌출되며, 치약을 보유하기 위해 중앙 공동을 함께(collectively) 한정한다. 청결부재의 상부부분은 치아 및 잇몸과 계합하게 형성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을 가진 상단부에서 종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한정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1개의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를 포함한다. 스크러빙 요소는 칫솔 헤드에 부착된 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갖는다. 스크러빙 요소는 부가로 기부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아치형 청결부재를 가진 치아 계합부분을 포함한다. 청결부재는 기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되며, 치약을 보유하기 위해 내부 중앙 공동을 함께 한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청결부재는 부가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이 치아 및 잇몸과 계합하게 형성된 상단부에서 종결되는 상부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를 이룬 면은 치아 및 잇몸 라인을 따라 우수한 세척작용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과 브러싱 앞면(front brushing side)과 적어도 1개의 세척-광택 유닛을 한정하는 헤드를 포함한다. 세척-광택 유닛은 원통 구조를 가진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러빙 요소는 칫솔 헤드에 부착된 지지 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 및 기부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청결부재를 가진 근접한 치아 계합부분을 포함한다. 청결부재는 칫솔 헤드로부터 멀게 기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되며, 치약을 보유하기 위해 중앙 공동을 함께 한정한다. 청결부재의 상부부분은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이 치아 및 잇몸과 계합하게 형성된 상단부에서 종결된다. 세척-광택 유닛은 부가로 치아 스크러빙 요소와 연관된 칫솔모 요소를 포함하며, 칫솔모 요소는 원형 패턴으로 스크러빙 요소의 둘레를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된 스크러빙 요소에 근접하게 위치한 복수개의 칫솔모 다발을 포함한다. 원형 패턴의 칫솔모 다발은 칫솔질을 하는 동안 청결부재에 지지부를 제공하여 상기 부재가 과도하게 외향하여 바깥으로 벌어지지 않게 하여, 세척 및 광택 작용을 향상시킨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2는 칫솔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칫솔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칫솔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5는 (칫솔의 손잡이를 향해보았을 때) 도2의 칫솔 헤드의 말단부도이다.
도6은 도2의 칫솔 헤드의 사시도이며,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 중 1개 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도6의 치아 스크러빙 요소의 상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도2의 스크러빙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칫솔에 사용할 수 있는 스크러빙 요소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도8의 스크러빙 요소의 평면도이다.
모든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제품, 부품, 또는 시스템의 실제 물리적 모습이 아니며, 척도로 나타낸 것도 아니다. 따라서,도면은 도시되는 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실시예를 통한 설명을 본원의 전체 명세서의 일부로 판단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에서, 방향에 대한 임의적인 표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표현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하여", "하향하여", "상향하여" 등과 같은 표현으로부터 파생된 "하향", "상향", "수평", "수직", "위", "아래", "상층부", "하층부", "상부(top)" 및 "저부(bottom)"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인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장치가 그와 같이 분명하게 나타낸 것 이외에 특별한 방향으로 장치를 구성하거나 작동할 필요는 없다. "부착", "고정", "연결", "계합", "상호 연결"과 같은 용어는, 다르게 표현된 것을 제외하고는 양쪽 이동성이나 단단한 부착 또는 상호관계와 같이, 구조가 개입 구조(interving structures)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상호관계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득이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명의 특징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것과 조합하여 있을 수 있는 특징의 가능한 비-제한적인 조합을 설명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도1은 칫솔(100)로 형성된 구강 관리기구의 1실시예를 나타내며, 칫솔(100)은 목 부분(101)을 가진 가늘고 긴 헤드(102)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03)를 포함한다. 손잡이(103)는 목 부분(101)에 영구적으로 또는 탈착식으로 연결된다. 탈착식 손잡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 교체식 헤드를 가진 칫솔용으로 적합한 것이다. 손잡이(103)는 일반적으로 가늘고 긴 형상이며,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적당한 치수로 이루어진 인체공학적이고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03)는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폴리머,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칫솔 손잡이용으로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1개 이상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03)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 길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손잡이(103)는 배터리 작동식 칫솔의 일부로 형성되어, 전원 및 전기/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칫솔 헤드(102)는 그 적용에서 수동식 칫솔 또는 배터리 작동식 칫솔에 단독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칫솔 헤드(102)는 브러싱 앞면(104), 반대편 뒷면(105), 2개의 반대 측면(106, 107), 말단부(108), 및 손잡이(103)에 최근접한 기부근접 단부(proximal end)(109)를 포함한다. 주(primary) 구강관리영역(110)은 측면(106, 107)사이의 브러싱 앞면(104), 말단부(108), 및 기부근접 단부(109)로 한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뒷면(105)은 보조(secondary) 구강관리영역(111)을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구강관리영역은 복수개의 너브 및/또는 다른 부수적인 치아 또는 연성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엘라스토머제 혀 클리너(180)를 지지한다. 칫솔 헤드(102)는 1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타원형 또는 계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목 부분(101)은 손잡이(103)쪽으로 완만한 과도부(transition)로 경사지며 헤드(102)보다 좁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가상선 X-Y-Z 좌표는 기술하는 치아세척요소(120)를 참조하기 용이하게 칫솔 헤드(102)에 대해 구별시켰다. 수평 면과 방향은 X-Y축(일반적으로 칫솔 헤드(102)의 브러싱 앞면(104)과 평행함)으로 한정되며, 수직 면과 방향은 X-Z축 및 Y-Z축(일반적으로 칫솔 헤드(102)의 브러싱 앞면(104)과 직교함)으로 한정된다. 칫솔 헤드(102)는 Y축과 대체로 일치하는 종축(LA) 및 X축에 일치하며 말단부(108)와 기부근접 단부(109) 사이의 중간에서 종축에 대해 직교하는 횡축(TA)을 갖는다. 이것은 구강관리영역(110)을 손잡이(103)에 최근접한 기부근접 처리 절반부(proximal treatment half)와 칫솔 헤드(102)의 말단부(108)에 최근접한 말단부 처리 절반부(distal treatment half)로 분할한다(도3 참조).
도1 내지 도5를 계속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강관리영역(110)에서의 칫솔 헤드(102)의 앞면(104)은 칫솔 헤드(102)에 부착된 복수개의 다양한 치아세척요소(120)를 지지한다. 치아세척요소(120)는 다양한 칫솔모 및/또는 엘라스토머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의 공칭 기준 브러싱 면(BP)은 치아세척요소(120)의 상부/자유 단부(tops/free ends)에 의해 대략적으로 한정되며, 상기 상부/자유 단부는 칫솔 헤드(102)(요소가 치아에 대해 가압될 때 세척요소(120)의 높이 변화 및 변형을 할 수 있게 하는 변화를 가짐)의 종축(LA) 및 브러싱 앞면(104)으로부터 오프셋되며 대체로 평행하다. 브러싱 면(BP)에 근접한 치아세척요소(120)의 상부부분은 실제 브러싱 영역을 한정하며, 칫솔질을 하는 동안 세척요소(120)와 치아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접촉이 이곳에서 일어난다. 치아세척요소(120)는 이하에서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1 내지 도5를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아세척요소(120)는 도6 내지 도9에 부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가요성 및 탄성적인(resiliently) 구조의 치아 세척-광택 유닛(15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세척-광택 유닛(150)은 치아 접촉 면이 독특한 구조로 형성되어, 치아를 양호하게 광택/세척하면서, 치약(D)을 치아 접촉 면 위에 얹혀 놓고 지지하여 칫솔질을 하는 동안 손실을 최소화시킨다(도8 및 도9를 참조함). 1실시예에서, 세척-광택 유닛(150)은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130) 및 연관된 칫솔모 요소(140)와 같은 탄성/가요성 돌출부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세척-광택 유닛(150)에는 스크러빙 요소(130) 만이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세척-광택 유닛(150)은 관형 또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부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칫솔(100)을 사용하는 동안 구강 공동에 치약을 보유, 유지 및 배출시키기 위한 중앙 공동(136)을 한정할 수 있다.
도6은 1개의 스크러빙 요소(130)만을 나타낸 칫솔 헤드(102)의 확대 사시도이며, 상기 요소(130)의 크기는 스크러빙 요소의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도2의 스크러빙 요소보다 크게 과장되었다.
이제 도2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라스토머제 스크러빙 요소(130)는 칫솔 헤드(102)로부터 외향하여 신장된 하부의 수직으로 가늘고 긴 지지 기부(131)와 상부의 치아 계합부분(170)을 포함한다. 스크러빙 요소(130)는 요소(130)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브러싱 앞면(104)과 종축(LA)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수직한 중앙요소 축(A1)을 한정한다. 기부(131)는 칫솔 헤드(102)에 고정된 저부단부(132) 및 반대편 자유 상단부(133)를 포함한다. 1실시예에서, 지지 기부(131)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횡방향 단면 형상은 상부로부터 보았을 때 원형이다. 기부(131)는 원주방향으로 신장하는 형상의 수직 측벽(137)을 한정하며, 상기 측벽(137)은 상단부(133)와 하단부(132)사이에서 신장된다. 1실시예에서, 원주방향의 수직한 측벽(137)은 바람직하게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스크러빙 요소(130)에 강성을 제공한다. 측벽(137)은 도6, 도8, 및 도9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직선이며 칫솔 헤드(102)의 브러싱 앞면(104)에 대해 직교한다.
도6 및 도8에 도시한 1실시예에서, 스크러빙 요소(130)의 기부(131)는 측벽(137)의 내부 리세스(134)를 한정하는 중공 관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134)는 치약(D)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중앙 공동(136)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기부(131)의 상단부(133)는 기부(131)가 중공 중심을 가진 관 형상이기 때문에 환형상 상부 면(135)을 한정한다. 도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러빙 요소(130)의 기부(131)는 대체로 중실 원통 또는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후자의 실시예에서, 기부(131)의 상단부(133)는 대체로 평탄한 중실 상부 면(135)을 한정한다. 도6 및 도8에 도시된 기부(131)의 중공 관/원통의 실시예는 스크러빙 요소(130)가 도9에 도시된 중실 원통의 실시예에 비해 치약(D)을 유지하기 위한 용적을 추가하며 더 많은 용량을 갖게 한다. 또한, 도6 및 도8에 도시된 기부(131)의 중공 원통의 실시예는 스크러빙 요소(130)가 도9에 도시된 중실 원통/막대모양 기부에 비해 횡방향으로 더 용이하게 변형되는 가요성의 얇은 수직한 측벽(137)으로 인해 광택/세척 동작을 향상시키는 더 큰 횡방향 가요성을 갖고 제공된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는 도9에서와 같이 더 경성인 중실 기부(131)를 제공하여 치아에 단단하게 침적된 치석을 강력하게 긁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강성의 스크러빙 요소(130)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9의 중실의 원통형 기부(131)는 도8의 리세스(134)가 제거되어 칫솔 헤드(102)가 적절하게 헹구어(rinse)지지 않은 경우 칫솔질을 한 후 사용되지 않은 치약이 스크러빙 요소(130)에 남아있을 수 있는 기회를 줄였다. 따라서, 기부(131)의 상술한 중공 원통의 실시예 또는 중실 원통의 실시예가 의도된 용도 및 스크러빙 요소(130)의 원하는 성능 특성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3에 가장 잘 나타낸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스크러빙 요소(130)는 바람직하게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횡방향 단면 형상을 가진 전체 형상이 대략 원통형이다. 그러나, 다른 가능한 형상을 갖는 스트러빙 요소(130)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타원형이나 계란형, 또는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각형 형상이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스크러빙 요소(130)는 특정한 단면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2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엘라스토머제 스크러빙 요소(130)의 상부 치아 계합부분(170)은 바람직하게, 스크러빙 요소(130)의 기부(131)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하는 복수개의 일체적으로 형성된 탄성적 가요성 손가락 모양의 청결부재(160)를 포함한다. 1실시예에서, 청결부재(160)는 기부(131)의 상단부(133)에 의해 한정된 상부 면(135)으로부터 외향하여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특정 실시예에서 도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청결부재(160)가 축(A1)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칫솔 헤드(102)의 브러싱 앞면(104)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면(135)으로부터 상향하거나 직교하여 신장되는 것이다. 청결부재(160)는 경성 기부(131)에 비해 가요성이 매우 높은 치아 계합부분(170)을 제공한다.
도2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청결부재(160)는 바람직하게 기부(131)의 상부 면(135)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저부의 원형 횡단면 형상에 대체로 일치하는 대략 원형의 패턴을 한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청결부재(160)는 기부(131)의 횡방향 둘레 또는 엣지(138)(그 예를 도시한 도6 및 도10을 참조)를 따라 근접하여 배치된다. 복수개의 대응 갭(G)이 근접한 청결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치아에 대해 스크러빙 요소(130)로부터 외향하여 횡방향으로 치약(D)을 배출한다. 또한, 청결부재(160)의 간격관계는 경성의 기부(131)와 대비하여 청결부재의 가요성도 증가시켜서, 치아에 대한 광택작용과 세척작용을 향상시킨다. 청결부재(160)는 집단적으로 치약(D)을 수용 및 보유하게 형성된 상향하여 개방되는 상부를 가진 중앙 공동(136)의 일부를 한정한다. 기부(131)가 공동(136)과 연통하는 리세스(134)를 그 안에 포함하는 여기에 기술된 도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공동(136)의 용적이 증가되어 추가 치약(D)을 보유하게 된다. 청결부재(160)의 원주방향으로 적당히 떨어진 간격 및 그 사이의 갭(G)의 폭에 대한 결정은,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범위 내에서 과도한 실험을 하지 않고, 실제 칫솔질 영역에서 장시간 치약이 보유되도록 공동(136)으로부터 과도한 치약(D)의 손실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스크러빙 요소(130)의 가요성은 최대가 되게 정할 수 있다.
도10에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청결부재(160)는 바람직하게 횡단면이 (위에서 보았을 때) 대략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기부(131)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이외의 다른 횡단면 형상을 갖고, 그러나, 청결부재(160)는 바람직하게 제공된 기부의 횡방향 둘레 또는 엣지의 형상에 대체로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청결부재가 기부의 엣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청결부재(160)는 적절한 개수를 제공할 수 있다. 1실시예에서는 3개의 엘라스토머제 청결부재(160)가 제공되며, 도3, 도6, 또는 도10에 가장 잘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많거나 적은 개수의 청결부재(160)가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2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청결부재(160)는 부가로 아치형상의 수직한 측벽(167)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167)은 외향 수직 면(161), 반대편 내향 수직 면(162), 및 기부(131)의 상부 면(135)에 근접하며 일체적으로 형성된 저부(163), 및 반대편 최상측 자유 상부(164)를 한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아치형 측벽(167)은 바람직하게 칫솔(100)의 브러싱 앞면(104)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며, 기부(131)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측벽(137)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도6,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러빙 요소(130)의 전체 원통 형상이 이루어진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청결부재(160)의 최상부 부분(164)은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165)을 한정한 정(chisel) 모양의 상단부에서 종결되며, 상기 정 모양의 상단부는 치아와 잇몸 사이로의 청결부재(160)의 삽입 깊이를 증진하고, 부재(160)와 치아 사이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이런 독특한 구조는 수직한 직선의 상부 치아/잇몸 접촉 면만이 있는 구조의 것보다 더 바람직한 찌꺼기 제거 및 세척결과를 발휘한다.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165)은 도7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청결부재(160)의 내향 수직 면(162)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Θ)로 배치된다. 1실시예에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165)은 스크러빙 요소(130)의 중심 축(A1)을 향해 내향하여 경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면(165)은 청결부재(160)와 치아 또는 잇몸 사이의 접촉 표면적의 계합을 최대로 하기 위해 외향 및 상향하여 세척 및 광택작용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상부부분(16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얇은 거의 선형인 최상부 엣지(166)를 한정하여, 치아와 잇몸 사이의 잇몸 라인을 따라 형성된 공간 안으로의 접근 및 침투력을 양호하게 확장하여서 세척 및 찌꺼기 제거작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엣지(166)는 선형이며, 나이프 모양의 윤곽으로 형성된다.
스크러빙 요소(130)의 기부(131)는 치약을 보유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스크러빙 요소에 안정성과 강성도 더하는데, 이것은 기부에 비해 더 가요성으로 형성된 청결부재(160)와 대비되는 기술구조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131)는 축 높이(H1)를 정의한 거리로 브러싱 앞면(104)으로부터 수직 또는 상향하여 신장되며, 일체형 청결부재(160)는 축 높이(H2)를 정의한 거리로 수직 또는 상향하여 신장된다(HI과 H2는 스크러빙 요소(130)의 요소 축(A1)을 따라 측정됨). 높이 H1과 H2는 함께 스크러빙 요소(130)에 대한 총 높이 Ht(예: Ht = H1 + H2)를 정의한다. 스크러빙 요소(130)의 총 높이(Ht)는 근접한 칫솔모 요소(140)의 칫솔모의 축 높이보다 작게 하여(도4 참조) 칫솔질을 하는 동안 스크러빙 요소의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크러빙 요소(130)의 원하는 강성이 청결부재(160)의 효과적인 세척/광택작용에 적당한 정도의 가요성을 제공하는 성질과 균형을 이루게 높이(H1)를 높이(H2)와 대체로 같거나 작게 할 수 있다. 1실시예에서, 높이(H1)는 총 높이(Ht)의 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한 높이는 총 높이(Ht)의 30% 미만이다. 칫솔 헤드(102)에 분리되어 직접적으로 각각 부착될 수 있는 개별적인 청결부재(160)와 대조적으로, 칫솔 헤드(102)에 부착 지점에서 청결부재(160)를 지지하도록 환형상 또는 중실 기부(13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칫솔질을 하는 동안 청결부재가 바깥쪽으로 벌어지지 않게 매우 양호하게 저항하며(resistance to splaying), 그에 따라서 우수한 세척성능이 발휘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1예의 배치에서는 적어도 2개의 스크러빙 요소(130)가 제공된다. 도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러빙 요소(130)는 1실시예에서 측면(106, 107) 사이에 칫솔 헤드(102)의 종축(LA)을 따라서 중앙부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스크러빙 요소(130)에서, 그 중 1개의 유닛은 횡축(TA)과 말단부(108) 사이에 배치되며 다른 유닛은 횡축(TA)과 기부근접 단부(108) 사이에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1개 또는 2개의 스크러빙 요소(130)가 종축(LA)에 대하여 축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말단 및 기부근접 스크러빙 요소에 더하거나 대신하여, 헤드의 중앙에서 칫솔 헤드(102)의 종축(LA) 및 횡축(TA)의 교차지점에 위치한 스크러빙 요소(130)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러빙 요소(130)는 헤드(102)상의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공되는 스크러빙 요소의 위치 또는 개수에 제한받지 않는다.
엘라스토머제 스크러빙 요소(130)는 적절한 가요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재료는 상기 요소를 제조하기 위해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상 기억(shape memory)을 갖는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한적이지 않은 예를 들어, 스크러빙 요소(136)는 고무 또는 TPE로 제조될 수 있다. 스크러빙 요소(130)는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서 단일체로 성형된 엘라스토머제 구조물이 될 수 있다. 1실시예에서, 지지 기부(131)와 청결부재(160)를 포함하는 스크러빙 요소(130)는 단일 엘라스토머제 구조물의 일체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은 예를 들어 종래 방식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칫솔 헤드(102)에 성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러빙 요소(130)는 분할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성형, 가열, 접착제, 초음파 또는 열 용접, 기계식 체결, 또는 AFT(anchor free tufting)방법과 관련하여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칫솔 헤드(102)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칫솔 헤드(102)에 스크러빙 요소(130)를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제한받지 않는다.
이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척-광택 유닛(150)의 특정 실시예는 부가로 칫솔모 요소(140)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 요소는 스크러빙 요소(130)와 관계하며 협력하여 치아를 세척하고 광택내는 기능을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칫솔모 요소(140)는 브러싱 앞면(104)으로부터 수직적으로 외향하여 신장되는 복수개의 개별적인 칫솔모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소(140)는 스크러빙 요소(130)를 에워싸고 기부근접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서 각각의 스크러빙 요소(130)의 둘레에 원형의 칫솔모 필드 패턴을 형성한다. 치아를 세척 및 광택내는 작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일을 돕는 작용에 더하여, 칫솔모 요소(140)는 스크러빙 요소(130)에, 특히 치아에 압박을 가할 때 요소 축(A1)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외향하여 변형되거나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경향이 있는 가요성 청결부재(160)에 제공되는 횡방향 지지를 지원한다. 따라서, 칫솔모 요소(140)의 각각의 칫솔모 다발은 바람직하게 접촉하기 충분하게 가깝게 배치되어 칫솔(100)을 사용하는 동안 방사방향으로 외향하여 변형되거나 바깥방향으로 벌어질 때 청결부재(160)를 지지하는 일에 협력한다. 바람직하게, 칫솔모 요소(140)는 청결부재가 사용하는 동안 변형되거나 외향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는 방향과 무관하게 청결부재(160)를 지지하도록 전체 360도에 대해 스크러빙 요소(130)를 원주방향으로 에워 싼다. 칫솔모 요소(140)의 칫솔모 다발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칫솔 헤드(102)의 브러싱 앞면(104)으로부터 수직적으로 외향하여 측정). 1실시예에서, 도4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모 요소(140)의 칫솔모 다발은 기부근접 단부(109) 및 말단부(108)를 향하는 방향으로 높이를 증가시켜, 특히 앞어금니와 어금니의 첨단부(cusp) 사이 및/또는 치아 사이의 치간공간 사이를 세척하기 위한 칫솔모와 브러싱 효과가 미치는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광택 유닛(130)의 다른 실시예는 청결부재(137) 및 칫솔모 요소(140) 내에서 다른 형상의 칫솔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횡방향 둘레 칫솔모 요소(170)와 같은 추가 칫솔모 및/또는 엘라스토머제 치아세척요소(도2 내지 도4 참조)가 치아세척요소의 전체 필드를 제공하도록 제공되어 세척-광택 유닛(150)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곳에 설명된 치아세척요소는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AFT(anchor free tufting), 사출성형, 초음파 용접,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적절한 종래의 방법으로 칫솔 헤드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곳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들은 수동 또는 전동 칫솔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서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첨부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추가, 변경,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면 본 발명의 정신 및 기본적인 특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른 특정한 형태, 구조, 배치, 비율, 크기, 및 다른 요소, 물질, 및 부품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면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 변경, 배치, 비율, 크기, 물질, 및 부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 환경 및 작동 요구조건에 특별히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서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고 제한적이 아닌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상술한 서술 또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0)

  1. 구강 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기구는:
    종축을 한정하는 헤드; 및
    적어도 1개의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스크러빙 요소는:
    칫솔 헤드에 부착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가진 지지 기부; 및
    기부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청결부재를 가진 치아 계합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청결부재는 기부로부터 외향하여 돌출하며 치약을 보유하기 위한 중앙 공동을 함께 한정하며, 상기 청결부재의 상부부분은 치아와 잇몸을 계합시키기 위해 형성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을 갖는 상단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는 전체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청결부재는 기부로부터 수직적으로 상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은 스크러빙 요소로부터 외향하며, 구강 관리기구의 헤드로부터 멀어지게 상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은 청결부재의 내향 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는 청결부재가 그 위에 배치된 환형상 상부 면을 한정하는 중공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부는 부가로 그 안에 치약을 보유하기 위해 내부 리세스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는 청결부재가 그 위에 배치된 평탄한 중실 원형 면을 한정하는 중실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제2스크러빙 요소를 부가로 포함하며, 제1 및 제2스크러빙 요소는 칫솔 헤드의 종축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청결부재는 축 높이를 갖고, 기부는 청결부재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축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0. 구강 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기구는:
    헤드; 및
    적어도 1개의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 스크러빙 요소는:
    칫솔 헤드에 부착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가진 기부; 및
    상기 기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아치형 청결부재를 가진 치아 계합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청결부재는 기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되며 치약을 보유하기 위한 내부 중앙 공동을 함께 한정하며, 상기 청결부재의 상부부분은 치아 및 잇몸과 계합하게 형성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을 가진 상단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는 전체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은 청결부재의 내향 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는 청결부재가 그 위에 배치된 환형상 상부 면을 한정하는 중공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부는 부가로 그 안에 치약을 보유하기 위한 내부 리세스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4. 제10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는 그 위에 청결부재가 배치된 평탄한 중실 원형 면을 한정하는 중실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5. 제10항에 있어서, 치아 스크러빙 요소와 작동적으로 연관되며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칫솔모 다발을 가진 칫솔모 요소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칫솔모 요소는 원형 패턴으로 스크러빙 요소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6. 구강 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기구는:
    가늘고 긴 헤드; 및
    적어도 1개의 세척-광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광택 유닛은:
    칫솔 헤드에 부착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속한 측벽을 가진 지지 기부와, 상기 기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개의 청결부재를 가진 치아 계합부분을 구비하며 원통 구조로 이루어진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치아 스크러빙 요소와;
    치아 스크러빙 요소와 작동적으로 연관되며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원형 패턴으로 스크러빙 요소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된 복수개의 칫솔모 다발을 가진 칫솔모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청결부재는 기부로부터 상향하여 돌출하고 함께 치약을 보유하기 위해 중앙 공동을 한정하며, 상기 청결부재의 상부부분은 치아 및 잇몸과 계합하게 형성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을 갖는 상단부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은 스크러빙 요소로부터 외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각도를 이룬 스크러빙 면은 청결부재의 내향 면에 대해 90도 미만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19. 제16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는 청결부재가 그 위에 배치된 환형상 상부 면을 한정하는 중공 원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부는 부가로 그 안에 치약을 보유하기 위해 내부 리세스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20. 제16항에 있어서, 스크러빙 요소의 기부는 청결부재가 그 위에 배치된 평탄한 중실 원형 면을 한정하는 중실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
KR1020137011050A 2010-09-30 2010-09-30 구강 관리기구 KR20130057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50961 WO2012044312A1 (en) 2010-09-30 2010-09-30 Oral care imp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495A true KR20130057495A (ko) 2013-05-31

Family

ID=4411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050A KR20130057495A (ko) 2010-09-30 2010-09-30 구강 관리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26324B2 (ko)
EP (3) EP2710919B1 (ko)
KR (1) KR20130057495A (ko)
CN (1) CN103118566B (ko)
AU (1) AU2010361391B2 (ko)
BR (1) BR112013007279A2 (ko)
CA (1) CA2810609A1 (ko)
MX (1) MX338599B (ko)
RU (1) RU2539322C2 (ko)
TW (1) TW201225879A (ko)
WO (1) WO201204431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785A (ko) 2014-03-21 2015-10-02 애경산업(주) 칫솔
KR200493005Y1 (ko) 2019-12-05 2021-01-20 진영매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KR20230002220U (ko) 2022-05-13 2023-11-21 진영매 광고용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5893B2 (en) * 2007-11-07 2015-04-28 Eugene VAYNBERG Brush with internal compartment
ES2682256T3 (es) 2013-06-06 2018-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bezal para un utensilio de cuidado bucal
US20150047672A1 (en) * 2013-08-13 2015-02-19 Fatimah Giwa Removable tip oral hygiene device
CN105682510B (zh) * 2013-11-05 2018-05-22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器具
USD751295S1 (en) 2013-11-05 2016-03-1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057464B1 (en) 2013-11-05 2018-07-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49855S1 (en) 2013-11-05 2016-02-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3057465B1 (en) 2013-11-05 2018-03-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64804S1 (en) 2013-11-05 2016-08-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RU2017106760A (ru) 2014-09-03 2018-10-03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Зубная щётка с повышенной эффективностью чистки
EP3023028B1 (en) * 2014-11-19 2023-11-15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U2014414820B2 (en) * 2014-12-23 2018-03-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76436S1 (en) * 2015-07-23 2017-01-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77446S1 (en) * 2015-07-23 2017-01-3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ndle
USD912988S1 (en) 2018-02-09 2021-03-16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handle
USD960581S1 (en) 2018-02-09 2022-08-16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head
USD931617S1 (en) 2018-09-03 2021-09-28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head
USD901183S1 (en) 2019-03-22 2020-11-10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CN110353397B (zh) * 2019-08-05 2024-05-17 慈溪赛嘉电子有限公司 牙刷
US11510483B2 (en) * 2020-01-31 2022-11-2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14095S1 (en) 2020-07-02 2024-02-13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USD957135S1 (en) 2020-07-02 2022-07-12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head
CA218833S (en) 2020-11-06 2023-11-08 Gillette Co Llc Toothbrush head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1863A (en) * 1923-11-23 1928-11-13 Robert H Van Sant Toothbrush
GB989953A (en) 1960-09-13 1965-04-22 Bernard Cyz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othbrushes
US3707042A (en) 1970-11-20 1972-12-26 Thomas E Talaga Powered medical tool incorporating means for cleaning the same
US4348060A (en) 1979-07-20 1982-09-07 Tucel Industries, Inc. Method for making a tufted brush
AU7982291A (en) 1990-06-19 1992-01-07 Procter & Gamble Company, The Toothbrush exhibiting three-dimensional bristle profile and end rounded bristles for improved interproximal cleaning without increasing gum irritation
US5604951A (en) * 1994-12-30 1997-02-25 Shipp; Anthony D. Prophy toothbrush
US5628082A (en) 1995-03-22 1997-05-1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improved efficacy
US6108851A (en) 1995-03-23 2000-08-29 Gillette Canada Inc. Toothbrush
GB9515596D0 (en) 1995-07-29 1995-09-27 Mariax Ltd Toothbrush
GB9524580D0 (en) 1995-12-01 1996-01-31 Unilever Plc A toothbrush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GB9620092D0 (en) 1996-09-26 1996-11-13 Unilever Plc A brus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735011A (en) 1996-11-19 1998-04-07 Asher; Randall S. Plaque removing toothbrush
DE19743556A1 (de) 1997-10-01 1999-04-08 Schiffer Fa M & 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Zahnbürste
US7814603B2 (en) 1999-06-11 2010-10-19 Gavney Jr James A Powered toothbrush with polishing elements
AU5535200A (en) 1999-07-02 2001-01-22 Unilever Plc Electric toothbrush
US6574820B1 (en) 1999-10-22 2003-06-10 The Gillette Company Brush head for toothbrush
DE10015062B4 (de) 2000-03-25 2010-05-12 Braun Gmbh Bürstenkop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ürstenkopfs
US6735804B2 (en) 2001-01-12 2004-05-18 Conair Corporation Toothbrush bristle disk
US20020138926A1 (en) 2001-04-02 2002-10-03 Braun Gmbh Electric toothbrush head
US6527552B2 (en) 2001-06-13 2003-03-04 Young Dental Manufacturing I, L.L.C. Lubricated disposable prophylaxis angle
US7143462B2 (en) 2002-09-20 2006-12-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TE341246T1 (de) 2001-08-14 2006-10-15 Unilever Nv Elektrische zahnbürste
US20030084526A1 (en) 2001-11-06 2003-05-08 The Procter & Gamble Co. Multi-motion toothbrush
DE10164336A1 (de) 2001-12-28 2003-07-17 Trisa Holding Ag Triengen Zahnbür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ahnbürste
USD480562S1 (en) 2002-02-07 2003-10-14 Mcneil-Ppc, Inc. Bristled head for a toothbrush
USD469958S1 (en) 2002-02-07 2003-02-11 Mcneil-Ppc, Inc. Toothbrush
US6889401B2 (en) 2002-03-26 2005-05-10 Colgate-Palmolive Company Powered toothbrush with vibrating section
US7614111B2 (en) 2002-08-09 2009-11-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757326B2 (en) 2003-10-30 2010-07-20 Colo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enhanced cleaning effects
US7360270B2 (en) 2002-08-09 2008-04-2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7721376B2 (en) 2002-09-20 2010-05-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2266432B1 (en) 2002-09-27 2019-08-21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20040123409A1 (en) 2002-12-16 2004-07-01 Dickie Robert G. Electric toothbrush having rotatably oscillating and pulsating bristle heads
DE10259723A1 (de) 2002-12-19 2004-07-01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934284B2 (en) 2003-02-11 2011-05-03 Braun Gmbh Toothbrushes
USD612611S1 (en) 2003-02-11 2010-03-30 The Gillette Company Head of a toothbrush
US7389557B2 (en) 2003-02-27 2008-06-24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20040200016A1 (en) 2003-04-09 200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US20070268476A1 (en) * 2006-05-19 2007-11-22 Nikon Corporation Kinematic chucks for reticles and other planar bodies
DE102006025825A1 (de) 2006-06-02 2007-12-06 Braun Gmbh Mundhygienegerät
US20090007357A1 (en) 2007-05-07 2009-01-08 The Gillette Company Oral Hygiene Implements
US8776302B2 (en) 2008-08-29 2014-07-1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2158872B1 (de) * 2008-09-01 2016-06-22 Braun GmbH Mundpflegeeinrichtung mit einem Funktions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2862478B1 (de) * 2008-09-01 2016-04-13 Braun GmbH Zahnbür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D611711S1 (en) 2008-11-06 2010-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hea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785A (ko) 2014-03-21 2015-10-02 애경산업(주) 칫솔
KR200493005Y1 (ko) 2019-12-05 2021-01-20 진영매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KR20230002220U (ko) 2022-05-13 2023-11-21 진영매 광고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26324B2 (en) 2016-12-27
EP2710920A1 (en) 2014-03-26
EP2710919A1 (en) 2014-03-26
AU2010361391A1 (en) 2013-05-02
MX338599B (es) 2016-04-22
CN103118566B (zh) 2015-11-25
EP2710920B1 (en) 2017-05-31
EP2710919B1 (en) 2017-08-02
TW201225879A (en) 2012-07-01
BR112013007279A2 (pt) 2016-06-14
US20130255017A1 (en) 2013-10-03
RU2013120082A (ru) 2014-11-10
MX2013003270A (es) 2013-04-24
CA2810609A1 (en) 2012-04-05
AU2010361391B2 (en) 2015-01-22
WO2012044312A1 (en) 2012-04-05
EP2621306B1 (en) 2017-05-24
RU2539322C2 (ru) 2015-01-20
CN103118566A (zh) 2013-05-22
EP2621306A1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7495A (ko) 구강 관리기구
KR101460422B1 (ko) 구강 관리 기구
KR100397825B1 (ko) 칫솔
AU2010344205B2 (en) Oral care implement
AU2014277704B2 (en) Oral care implement
KR20040017533A (ko) 개량형 칫솔
CN101513305A (zh) 咬合式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