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153Y1 -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 Google Patents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153Y1
KR200433153Y1 KR2020060026671U KR20060026671U KR200433153Y1 KR 200433153 Y1 KR200433153 Y1 KR 200433153Y1 KR 2020060026671 U KR2020060026671 U KR 2020060026671U KR 20060026671 U KR20060026671 U KR 20060026671U KR 200433153 Y1 KR200433153 Y1 KR 200433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oothbrush
cleaner
tongue clea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도진
Original Assignee
변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도진 filed Critical 변도진
Priority to KR2020060026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 손잡이부의 말단부에 혀 크리너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종래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이용하여 혀 바닥 크리닝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칫솔질과 병행하여 구강내 혀 바닥에 붙어 구취 등을 유발시키는 설태 등을 간단히 닦아 제거할 수 있는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칫솔 손잡이부;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된 칫솔부; 상기 칫솔부의 일측면에 식재되어 있는 칫솔모;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혀 크리너; 및 상기 칫솔부의 배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구비된 구강 크리너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칫솔의 일측에 혀 크리너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설태 제거를 위한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준비할 필요 없이 양치질과 동시에 첫솔 자체를 이용하여 설태까지도 제거할 수 있으며, 둘째 혀 크리너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혀 바닥과 구강 사이의 구석진 곳까지 닿아 혀 바닥에 낀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세째 칫솔부의 배면에 구강 크리너를 구비함으로써 양치질과 병행하여 구강 크리너로 구강내를 문질러 줌으로써 구강내의 낀 이물질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혀 크리너, 설태, 칫솔

Description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허브
20: 니들
30: 고정부재
40: 주입관 내삽 체결팁
본 고안은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 손잡이부의 말단부에 혀 크리너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종래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이용하여 혀 바닥 크리닝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칫솔질과 병행하여 구강내 혀 바닥에 붙어 구취 등을 유발시키는 설태 등을 간단히 닦아 제거할 수 있는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된 칫솔대의 상단부에 칫솔모가 직각방향으로 식재되어 있어 이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식후에는 이물질이 이 사이에만 국한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혀 바닥 또는 구강내에도 끼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를 설태라 지칭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설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양치질 후 칫솔의 칫솔모로 혀 바닥을 쓸어 제거하거나 또는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이용하여 혀 바닥 크리닝을 해 주었다. 그러나, 칫솔모로 혀 바닥을 쓸어주는 경우에는 칫솔모에 남아있던 치약성분이 목구멍으로 넘어가거나 칫솔모의 높이가 높아 칫솔대가 목구멍과 접촉하게 되어 헛구역질이 유발되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혀 바닥과 입천장 사이의 구석진 부위로는 칫솔이 들어갈 수 없으므로 혀 바닥을 골고루 닦아주지 못하여 설태가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경제적인 부담을 야기시킴은 물론, 양치질시 항상 칫솔과 함께 설태 제거기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따라서, 특별한 제조 원가의 상승 없이 칫솔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구비가능하여 보관 및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특히 구석진 혀바닥에 끼인 설태까지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이 요구되어져 왔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칫솔의 일측에 혀 크리너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설태 제거를 위한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준비할 필요 없이 양치질과 동시에 첫솔 자체를 이용하여 설태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혀 크리너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혀 바닥과 구강 사이의 구석진 곳까지 닿아 혀 바닥에 낀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칫솔부의 배면에 구강 크리너를 구비함으로써 양치질과 병행하여 구강 크리너로 구강내를 문질러 줌으로써 구강내의 낀 이물질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칫솔 손잡이부;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된 칫솔부; 상기 칫솔부의 일측면에 식재되어 있는 칫솔모;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혀 크리너; 및 상기 칫솔부의 배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구비된 구강 크리너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혀 크리너는 그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길이 및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어, 혀 바닥에 눌러질 경우 탄성력을 가져 효과적으로 설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혀 크리너는 칫솔 손잡이부의 두께 절반 정도까지 절삭되어 얇게 형성되고, 그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혀 크리너는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움푹 패어 있고, 그 말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설태 제거부를 구비하고, 그 설태 제거부는 칫솔모 방향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혀 크리너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부채꼴의 호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태 제거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칫솔 손잡이부(10), 상기 칫솔 손잡이부(10)의 일단에 구비된 칫솔부(20), 상기 칫솔부(20)의 일측면에 식재되어 있는 칫솔모(30), 상기 칫솔 손잡이부(10)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혀 크리너(40) 및 상기 칫솔부(20)의 배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구비된 구강 크리너(5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 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혀 크리너(40)는 그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이는 혀 크리너가 상처 나기 쉬운 혀를 쓸어 소제하는 것임을 감안하여, 뾰족한 부분에 혀 바닥이 찔려 상처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둥글게 라운드 처리된 혀 크리너(40)는 혀 바닥의 뿌리까지 깊숙하게 넣더라도 상처 입을 염려가 없게 된다. 혀 크리너(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푹 패어져 칫솔 손잡이부(10)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됨과 동시에, 길이 및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혀 크리너(4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게 되고, 그 결과 혀 크리너(40)로 혀 바닥을 눌러 쓸어 줄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힘이 혀 바닥과 접촉하는 부위에 전달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설태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혀 크리너(40)는 소정의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칫솔부(20)의 배면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인 구강 크리너(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구강 내부 예컨대 볼 안쪽, 입천장 등에 낀 이물질을 쓸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칫솔모로 이를 닦으면서 구강 크리너(50)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의 이물질을 쓸어내어 제거하고, 최종적으로는 혀 크리너(40)를 이용하여 혀 바닥에 낀 설태까지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칫솔에 혀 바닥의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혀 크리너(40)와 구강 내 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강 크리너(50)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칫솔로서 입 내부의 구석 구석까지 편리하게 소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크리너(50)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함으로써 부드럽게 구강 내부를 쓸어 소제하거나 입 내부 조직에 소정의 자극을 가하여 염증 등의 발병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에 구비된 혀 크리너(40)는 칫솔 손잡이부(10)의 두께 절단 정도까지 절삭되어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혀 크리너(40)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혀 크리너(40)는 혀 바닥의 뿌리까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그 결과 보다 효과적으로 설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혀 크리너(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이유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하였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구강 크리너(50)의 구조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하였는 바,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의한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 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칫솔에 구비된 혀 크리너(40)는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움푹 패어 있어, 칫솔 손잡이부(10) 보다는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은 용이하게 작은 크기로 제조가능하여, 특히 어린이 및 유아용으로 적합할 것이다. 혀 크리너(40)의 말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설태 제거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설태 제거부(42)는 혀 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혀 바닥에 낀 설태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설태 제거부(4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칫솔모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설태 제거부를 혀 바닥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쓸어 내는 방식으로 소제하게 되므로, 혀 바닥에 낀 설태가 만곡진 설태 제거부(42)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쓸려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강 크리너(50)가 칫솔부(20)의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데, 그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는 바,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 의한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혀 크리너가 구비된 칫솔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칫솔에 구비된 혀 크리너(4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채꼴 모양 으로 이루어진 혀 크리너의 두께는 칫솔 손잡이부(10)의 두께 보다 얇게 구성되어 있어, 혀 뿌리까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혀 크리너(40)의 호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태 제거부(4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설태 제거부(42)를 혀 바닥에 직접 접촉 시킨 상태에서 쓸어 내어 줌으로써 혀 바닥에 낀 설태를 외부로 용이하게 쓸어 배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실시예에도 구강 크리너(50)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구조 및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하였는 바,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칫솔의 구성 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칫솔의 일측에 혀 크리너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설태 제거를 위한 별도의 설태 제거기를 준비할 필요 없이 양치질과 동시에 첫솔 자체를 이용하여 설태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혀 크리너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혀 바닥과 구강 사이의 구석진 곳까지 닿아 혀 바닥에 낀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째, 칫솔부의 배면에 구강 크리너를 구비함으로써 양치질과 병행하여 구강 크리너로 구강내를 문질러 줌으로써 구강내의 낀 이물질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에 있어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칫솔 손잡이부;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된 칫솔부;
    상기 칫솔부의 일측면에 식재되어 있는 칫솔모;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혀 크리너; 및
    상기 칫솔부의 배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구비된 구강 크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크리너는 그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고, 움푹 패어져 칫솔 손잡이부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며, 길이 및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어, 혀 바닥에 눌러질 경우 탄성력을 가져 효과적으로 설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크리너는 칫솔 손잡이부의 두께 절반 정도까지 절삭되어 얇게 형성되고, 그 말단이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크리너는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움푹 패어 있고, 그 말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설태 제거부를 구비하고, 그 설태 제거부는 칫솔모 방향으로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크리너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부채꼴의 호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태 제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KR2020060026671U 2006-09-29 2006-09-29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KR200433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71U KR200433153Y1 (ko) 2006-09-29 2006-09-29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671U KR200433153Y1 (ko) 2006-09-29 2006-09-29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153Y1 true KR200433153Y1 (ko) 2006-12-11

Family

ID=4178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671U KR200433153Y1 (ko) 2006-09-29 2006-09-29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1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449U (ko) 칫솔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KR102292625B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US20040121284A1 (en) Head brush for a dental fissure cleaning device
KR101481532B1 (ko) U자형 칫솔
KR200433153Y1 (ko)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US11122882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US11051605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a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KR20130003421U (ko) 칫솔
KR102337467B1 (ko) 칫솔
KR20070003230A (ko) 중앙이 개구되어진 칫솔
KR20070014921A (ko) 칫솔
KR200481656Y1 (ko) 물이 필요없는 양치 도구
KR200219014Y1 (ko) 칫솔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469883Y1 (ko) 칫솔
KR200467404Y1 (ko) 칫솔
KR200275808Y1 (ko) 칫솔의 손잡이 끝에 혀 클리너(Cleaner)가 결합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