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625B1 -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 Google Patents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625B1
KR102292625B1 KR1020200006349A KR20200006349A KR102292625B1 KR 102292625 B1 KR102292625 B1 KR 102292625B1 KR 1020200006349 A KR1020200006349 A KR 1020200006349A KR 20200006349 A KR20200006349 A KR 20200006349A KR 102292625 B1 KR102292625 B1 KR 10229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leaner
toothbrush
tongue cleaner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900A (ko
Inventor
노창현
Original Assignee
노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창현 filed Critical 노창현
Priority to KR102020000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칫솔로 양치질과 혀에 있는 설태[舌苔]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구강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설태 제거시 혀에 전달되는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갖도록 한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끝 부분에 구비되는 혀 클리너부;로 구성되되, 상기 혀 클리너부는 판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구부러진 단일 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본 발명은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칫솔로 양치질과 혀에 있는 설태[舌苔]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구강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설태 제거시 혀에 전달되는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갖도록 한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에 형성된 플라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서, 다수의 솔을 통해 치아와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플라그를 비롯한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약의 마모작용을 돕게 된다.
과거에는 양치질이 단순히 치아건강을 위해 사용되었던 반면, 현대에 들어서는 상호간의 에티켓을 위해 입냄새가 나지 않도록 양치질에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특히 입냄새의 주원인은 혀에 생긴 설태[舌苔]로부터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설태는 건강상태에 따라 설태의 발생량, 색상, 악취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입냄새의 주된 원인에 해당하는 설태를 제거하기 위해서 칫솔모를 이용하여 혀를 닦아내고 있지만, 칫솔모의 구조적 특성상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설태를 제거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의 혀 클리너를 이용하여 설태를 긁어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혀 클리너는 칫솔과 별개로 구비해야되기 때문에, 별도의 보관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족구성원이 늘어날수록 구성원마다 혀 클리너를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보관해야되기 때문에 보관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혀 클리너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면서 혀를 긁어주는 부분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혀에 접촉하여 쓸어내리는 힘이 혀 표면에 그대로 전달되며, 이렇게 전달된 힘에 의해 혀에 상처가 나거나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혀를 닦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은 이미 사용한 후에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순간적으로 인지할 수 없어 혀에 생기는 통증 및 상처를 방지하기 어려웠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10-1807525호(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에는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모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혀 표면에 생기는 설태를 긁어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태제거날개를 포함하는 혀 클리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는 다각형 형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장식무늬가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태제거날개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설태제거날개의 돌출되는 높이는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칫솔에 형성된 혀 클리너는 종래의 혀 클리너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에 설태제거날개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혀를 닦는 과정에서 쓸어내리는 힘이 혀에 그대로 전달되어 혀에 통증 및 상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칫솔의 손잡이 부분에 혀 클리너를 구비함으로써, 칫솔을 통한 양치질 이외에 혀 클리너를 통한 설태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구강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사용편의성을 높이도록 하고, 혀 클리너가 사용자의 힘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태 제거과정에서 혀의 통증 및 상처를 방지할 수 있는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끝 부분에 구비되는 혀 클리너부;로 구성되되, 상기 혀 클리너부는 판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구부러진 단일 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 클리너부는; 단일경로의 고정된 시작지점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고정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가 끝나는 지점에는 일정 폭만큼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제1설태제거부와, 상기 제1설태제거부가 끝나는 지점에는 다시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곡선형태로 연장되어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제2설태제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 클리너부의 수직단면은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 클리너부는 손잡이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끝 부분에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혀 클리너부에는 삽입몸체가 삽입구멍의 단면형상에 맞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의 독립개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독립개체의 연결부분은 원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칫솔을 구성하는 손잡이부의 끝 부분에 혀 클리너부를 자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도구로 칫솔의 양치질 뿐만 아니라 혀의 설태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서, 사용편의성을 높이고 구상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혀 클리너의 구조가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태 제거과정에서 혀의 통증 및 상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혀 클리너부를 손잡이부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혀 클리너부의 기본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혀 클리너부 사용시 당김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혀 클러너부 수직단면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의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00)와, 상기 손잡이부(200)의 끝 부분에 구비되는 혀 클리너부(300);로 구성되는 기술이다. 즉, 상기 손잡이부(200)의 일측에는 헤드부(10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혀 클리너부(300)가 형성되어 별도의 혀 클리너를 구비하지 않고도 칫솔모와 혀 클리너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혀 클리너부(300)의 형태가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혀 클리너부(300)는 판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구부러진 단일 경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것에 있다. 즉, 하나의 경로를 따라 " S " 자 형태로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되, 설태제거시 적절한 힘으로 사용될 경우 형상이 어느 정도 유지되어 설태제거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혀 클리너부(300)를 구성할 경우, 설태 제거과정에서 혀의 상처나 통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적정한 힘으로 혀 클리너부(300)를 사용할 경우, 크게 변형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설태제거가 이루어지고, 지나친 힘으로 혀 클리너부(300)를 사용할 경우, 혀 클리너부(30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힘이 고스란히 전달되지 않고 완충작용를 수행할 수 있고, 혀 클리너부(300)가 변형되는 정도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적절한 힘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혀 클리너부(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경로의 고정된 시작지점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가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고정부(310)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원호부(320)와, 상기 원호부(320)가 끝나는 지점에는 일정 폭만큼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설태제거가 이루지는 제1설태제거부(330)와, 상기 제1설태제거부(330)가 끝나는 지점에는 다시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곡선형태로 연장되어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제2설태제거부(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310), 원호부(320), 제1설태제거부(330), 제2설태제거부(340)는 판상형의 수직단면으로 이루어진 혀 클리너부(300)의 단일경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 경로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고정부(310)는 혀 클리너부(300)의 시작지점으로써, 고정되어 있으며 설태제거 폭이 짧아 설태제거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31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되면서 시작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310)는 단지 단일경로의 진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따라 그 기능이나 효과가 달라지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원호부(320)는 고정부(310)의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설태제거부(330)와 고정부(310)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탄력적으로 변형될 때 영구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설태제거부(330)는 원호부(320)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설태제거부(330)는 폭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혓바닥에 대고 쓸어내렸을 때 설태를 긁어내게 된다. 상기 제1설태제거부(3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전에는 제1설태제거부(330)의 직선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져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당김력에 의해 제1설태제거부(330)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一)자로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설태제거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설태제거부(340)는 제1설태제거부(330)가 끝나는 지점부터 형성되어 반대편으로 연장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제1설태제거부(330) 쪽으로 만곡되어 곡선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2설태제거부(340) 역시 제1설태제거부(330)와 마찬가지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혀 클리너부(300)를 쓸어내리는 방향으로 당겼을 때 설태를 긁어내게 된다. 상기 제2설태제거부(340)의 형상은 곡선형태로 되어 있어서, 설태제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혀 클리너부(300)는 제1설태제거부(330)가 1차적으로 설태제거가 이루어진 다음, 제2설태제거부(340)가 지나면서 2차적으로 설태제거가 이루어져 한 번의 당김 동작만으로 2회의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혀 클리너부(300)의 수직단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양쪽 끝부분은 설태를 효과적으로 긁어내기 위해 얇게 구성되되, 중심부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혀 클리너부(300)의 지지강성을 높이고, 사용시 당김력에 의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혀 클리너부(300)는 손잡이부(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200)의 끝 부분에 삽입구멍(2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2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혀 클리너부(300)에는 삽입몸체(350)가 삽입구멍(210)의 단면형상에 맞게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혀 클린부를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경우, 혀 클리너부(300)만 따로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혀 클리너부(300)가 결합되지 않은 칫솔에 기존에 사용하던 혀 클리너부(300)를 결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칫솔에서 손잡이부(2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의 칫솔과 같이 단순히 막대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의 독립개체(2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독립개체(220)의 연결부분은 원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이어져 있다. 독립개체(220)의 사이마다 중첩된 연결부분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고, 단턱부분에 손가락이 파지되면서 손잡이부(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원판형의 독립개체(220)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 각각 형성되어 십(十)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방향의 독립개체(220)와 수평방향의 독립개체(220)는 서로 엇갈린 형태로 구성되어 손가락이 효과적으로 단턱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헤드부 200 : 손잡이부
210 : 삽입구멍 220 : 독립개체
300 : 혀 클리너부 310 : 고정부
320 : 원호부 330 : 제1설태제거부
340 : 제2설태제거부 350 : 삽입몸체

Claims (6)

  1.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10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00);
    상기 손잡이부(200)의 끝 부분에 구비되는 혀 클리너부(300);로 구성되되,
    상기 혀 클리너부(300)는 판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구부러진 단일 경로를 따라 " S " 자 형태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되며,
    상기 혀 클리너부(300)는;
    단일경로의 고정된 시작지점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가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고정부(310)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원호부(320)와,
    상기 원호부(320)가 끝나는 지점에는 일정 폭만큼 직선형태로 연장되어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제1설태제거부(330)와, 상기 제1설태제거부(330)가 끝나는 지점에는 다시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곡선형태로 연장되어 설태제거가 이루어지는 제2설태제거부(34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설태제거부(330)는 직선부가 대각선방향으로 하향경사져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설태제거부(340)는 제1설태제거부(330)가 끝나는 지점부터 형성되어 반대편으로 곡선형태로 연장되되, 그 단부가 제1설태제거부(330) 쪽으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혀 클리너부(300)의 수직단면은 양쪽 끝부분은 얇게 형성되고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의 독립개체(22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독립개체(220)의 연결부분은 원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1020200006349A 2020-01-17 2020-01-17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10229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49A KR102292625B1 (ko) 2020-01-17 2020-01-17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49A KR102292625B1 (ko) 2020-01-17 2020-01-17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00A KR20210092900A (ko) 2021-07-27
KR102292625B1 true KR102292625B1 (ko) 2021-08-20

Family

ID=7712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349A KR102292625B1 (ko) 2020-01-17 2020-01-17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99B1 (ko) 2022-10-28 2023-11-20 김태환 진공석션 방식의 전동 혀 클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771A1 (ko) * 2022-06-14 2023-12-21 이석진 혀 클리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642A (ja) * 1998-08-21 2000-02-29 Shigeji Saito 舌苔掃除具付き歯ブラシ
JP2003531671A (ja) * 2000-04-24 2003-10-28 ヨンスク ハン 舌苔除去具
CN203088035U (zh) 2012-12-25 2013-07-31 许彭睿 一种牙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483770U (zh) * 2014-03-07 2014-08-11 jia-long Hong 刮舌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642A (ja) * 1998-08-21 2000-02-29 Shigeji Saito 舌苔掃除具付き歯ブラシ
JP2003531671A (ja) * 2000-04-24 2003-10-28 ヨンスク ハン 舌苔除去具
CN203088035U (zh) 2012-12-25 2013-07-31 许彭睿 一种牙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483770 U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199B1 (ko) 2022-10-28 2023-11-20 김태환 진공석션 방식의 전동 혀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00A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8883A (en) Combined tooth brush and gum massaging
KR20120005449U (ko) 칫솔
KR102292625B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KR200183557Y1 (ko) 요철을 갖는 칫솔 모(毛)
KR101481532B1 (ko) U자형 칫솔
KR101598695B1 (ko) 잇솔질 개량형 칫솔
CN110786625A (zh) 一种齿缝清洁刷具
KR200197161Y1 (ko) 칫솔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KR200433153Y1 (ko)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KR200405206Y1 (ko) 칫솔
KR102100362B1 (ko)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KR100300286B1 (ko) 칫솔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CN213696070U (zh) 一种新型牙刷刷毛
KR200264911Y1 (ko) 칫솔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KR20070014921A (ko) 칫솔
JP4005375B2 (ja) ヘアブラシ
KR200219014Y1 (ko) 칫솔
JPH11127956A (ja) 歯ブラシ
JP3026807U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