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206Y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206Y1
KR200405206Y1 KR2020050028418U KR20050028418U KR200405206Y1 KR 200405206 Y1 KR200405206 Y1 KR 200405206Y1 KR 2020050028418 U KR2020050028418 U KR 2020050028418U KR 20050028418 U KR20050028418 U KR 20050028418U KR 200405206 Y1 KR200405206 Y1 KR 200405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eeth
mouth
handle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열
Original Assignee
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열 filed Critical 최열
Priority to KR2020050028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2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 안쪽의 치아 및 치아와 잇몸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닦아 줄 수 있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갖는 칫솔대의 손잡이 반대측 단부에 다수의 칫솔모가 측면상 폭보다 정면상 폭이 좁게 고정되어 있는 칫솔에 있어서, 칫솔모는, 측면상 칫솔대의 손잡이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되고, 정면상 바깥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볼살과의 폭이 좁은 구강 안쪽의 치아를 보다 원활하게 닦아낼 수 있어 구강 안쪽의 치아를 깨끗하게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치아의 표면을 원활히 닦을 정도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원활히 침투하여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칫솔{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칫솔대 2 : 칫솔모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안쪽의 치아 및 치아와 잇몸 사이를 보다 용이하게 닦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칫솔은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된 칫솔대의 선단부에 칫솔모가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이의 사이사이와 용이하게 접촉하여 이 사이의 이물질을 쓸어내는 작용을 함으로써 치아를 보다 깨끗하게 오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신체 구조상 구강의 안쪽은 볼살과 치아의 사이가 매우 가깝고 그 사이를 벌리기 어려운데 반해 칫솔은 칫솔모의 자유단부에서부터 칫솔대 저부까지의 폭이 일정하므로 구강 안쪽의 치아를 닦아주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구강 안쪽의 치아가 쉽게 썩는 경향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치아와 잇몸의 사이 역시 매우 좁은 공간인데 반해, 칫솔모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폭으로 구성되어 있어 큰 힘을 주지 않는한 칫솔모가 치아와 잇몸 사이의 공간까지 닦아내기는 어려웠던바, 이러한 공간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프라그를 형성하여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모든 칫솔모의 자유단부를 뾰족하게 구성한 칫솔이 등장하였는데, 이럴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 치아와 치아 사이의 공간으로는 쉽게 침투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칫솔모의 강성이 떨어져 치아의 표면을 원활히 닦아 낼 수 있는 힘을 받쳐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측면상 칫솔모의 길이가 손잡이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하여 볼상과의 사이공간이 좁은 구강 안쪽의 치아를 원활히 닦아주도록 한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정면상 칫솔모의 바깥쪽을 뾰족하게 구성하여 치아와 잇몸의 사이를 쉽게 닦아내도록 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를 갖는 칫솔대(1)의 손잡이 반대측 단부에 다수의 칫솔모(2)가 측면상 폭보다 정면상 폭이 좁게 고정되어 이루어지는데, 칫솔모(2)는 측면상 칫솔대(1)의 손잡이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때, 칫솔모(2) 개개는 전체적으로 그 직경이 동일하여 그 강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칫솔모(2)에 치약을 묻혀 양치질을 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강성을 가진 칫솔모(2)에 의해 치아의 표면 및 치아의 사이사이를 원활하게 닦아 줄 수 있다.
또한, 볼살과 치아의 사이공간이 좁은 구강 안쪽의 치아를 닦아 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칫솔모(2)가 손잡이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칫솔의 제일 앞쪽에 위치하는 부위의 높이가 가장 낮게 되어 폭이 좁은 구강 안쪽의 치아와 볼살의 사이로 원활히 진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강 안쪽의 치아를 원활하게 닦아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칫솔모(2)가 측면상 칫솔대(1)의 손잡이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지도록 하면서 정면상 바깥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바깥쪽에 위치하는 칫솔모(2)가 그 개개는 일반적인 칫솔과 동일한 강성을 유지하지만 전체적인 형상이 뾰족해지게 되므로 칫솔로서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치아와 잇몸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원활하게 침투할 수 있어 치아와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칫솔모가 손잡이 반대측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차 짧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볼살과의 폭이 좁은 구강 안쪽의 치아를 보다 원활하게 닦아낼 수 있어 구강 안쪽의 치아를 깨끗하게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으며, 칫솔모 개개는 일정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칫솔모 바깥쪽 형상이 뾰족하게 되어 치아의 표면을 원활히 닦을 정도의 강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치아와 잇몸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원활히 침투하여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손잡이를 갖는 칫솔대(1)의 손잡이 반대측 단부에 다수의 칫솔모(2)가 측면상 폭보다 정면상 폭이 좁게 고정되어 있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2)는, 측면상 상기 칫솔대(1)의 손잡이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2)는 정면상 바깥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20050028418U 2005-10-05 2005-10-05 칫솔 KR200405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18U KR200405206Y1 (ko) 2005-10-05 2005-10-05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18U KR200405206Y1 (ko) 2005-10-05 2005-10-05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206Y1 true KR200405206Y1 (ko) 2006-01-11

Family

ID=4175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418U KR200405206Y1 (ko) 2005-10-05 2005-10-05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2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922B2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US20200121069A1 (en) Head for an oral-care implement and a kit comprising such head
JP2021100576A (ja) 口腔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口腔ケア器具
KR200473116Y1 (ko) 원형모다발과 다각형모다발의 식모구조를 갖는 칫솔
JP2012513796A (ja) 異なる歯科領域に対し異なるブラシ毛区画を有する歯磨き用マウスピース
US8732891B2 (en) Oral cleaning section
KR102292625B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KR200453026Y1 (ko) 측면양치부 및 전방돌출부가 구비된 칫솔
KR200405206Y1 (ko) 칫솔
KR101860855B1 (ko) 3방향 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JP6366920B2 (ja) 改良型歯ブラシ
CN110786625A (zh) 一种齿缝清洁刷具
CN206507539U (zh) 一种刷毛弧形切割的牙刷
KR20210030445A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CN213696070U (zh) 一种新型牙刷刷毛
KR102100362B1 (ko) 곡선형 칫솔모 치은열구 칫솔 (칫솔모를 구부려 만든 )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KR200302942Y1 (ko) 앞니 안쪽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된경사모 칫솔
KR20070003230A (ko) 중앙이 개구되어진 칫솔
JP3215254U (ja) 歯ブラシ
KR20070001313U (ko) 치아를 감싸면서 구부러진 칫솔모를 가진 칫솔
KR20090111921A (ko) C 형 칫솔
JP3113431U (ja) 口腔洗浄具
KR200432178Y1 (ko) 팔각형의 까칠까칠한 칫솔 모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