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038A -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 Google Patents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038A
KR20040032038A KR1020030018166A KR20030018166A KR20040032038A KR 20040032038 A KR20040032038 A KR 20040032038A KR 1020030018166 A KR1020030018166 A KR 1020030018166A KR 20030018166 A KR20030018166 A KR 20030018166A KR 20040032038 A KR20040032038 A KR 2004003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ongue
tongue cleaner
cleaner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477B1 (ko
Inventor
최장호
Original Assignee
최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호 filed Critical 최장호
Publication of KR2004003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Office equipment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대의 칫솔모 반대측에 혀 크리너를 구비하여 양치질 후 혓바닥을 칫솔을 사용하지 않고 혀 크리너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소제하고자 하는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칫솔을 사용하여 설태를 제거할 경우 헛구역질이 유발되고, 느낌이 좋지 않으며, 혀 신경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이를 감안하여 중간부에 파지부를 갖는 칫솔대의 상단부에 칫솔모가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칫솔에 있어서, 칫솔대의 하단부에는 전면과 하부로 돌출되게 칫솔대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그 전면측의 길이가 하부측 폭보다는 긴 판형의 혀 크리너를 형성하고, 혀 크리너의 상부측 칫솔대에는 혀 크리너 사용시 파지를 위한 혀 크리너용 파지부를 형성하되, 혀 크리너는 칫솔대보다는 강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혀 크리너용 파지부는 칫솔대보다는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혓바닥 전체에는 혀 크리너의 전면측을 사용하고 혓바닥 중앙 골이진 부위는 혀 크리너의 하부측을 사용하여 설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혀 크리너의 폭이 좁아 목구멍과 접촉될 일이 없고 치약성분도 없으므로 헛구역질이 없으며, 혀 크리너의 재질이 칫솔대보다는 강성이 강한 재질로 되어 있어 칫솔의 폐기시까지 변형없이 오래토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Toothbrush having tongue cleaner}
본 발명은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대의 칫솔모 반대측에 혀 크리너를 구비하여 양치질 후 혓바닥을 칫솔을 사용하지 않고 혀 크리너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소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칫솔은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된 칫솔대의 상단부에 칫솔모가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이의 사이사이와 용이하게 접촉하여 이 사이의 이물질을 쓸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입안에서 이물질은 이 사이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혓바닥에도 끼어 이를 설태라 부르는데, 일반적으로는 양치질 후 그 칫솔을 사용하여 혓바닥을 닦아주어 설태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설태를 제거하기 위해 칫솔을 사용하여 혓바닥을 닦아주게 되면 칫솔모에 남아있던 치약성분이 목구멍으로 넘어가거나 칫솔모의 높이가 높아 칫솔대가 목구멍과 접촉하게 되어 헛구역질이 유발됨은 누구나 경험하고 있는 일이며, 혓바닥과 입천장 사이가 좁은 구석진 부위로는 칫솔이 들어갈 수 없으므로 혓바닥을 골고루 닦아주지 못하여 설태가 잔존함으로써 구취가 심하게 나고, 강한 강성을 갖는 칫솔모가 부드러운 혓바닥을 쓸어내듯 닦아주게 되므로 혓바늘이 돋고 혓바닥 부위가 손상되어 미각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칫솔대의 하단부에 전면과 하부로 돌출되게 칫솔대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진 판형의 혀 크리너를 형성하고, 혀 크리너의 상부측 칫솔대에는 혀 크리너의 사용시 파지를 위한 파지부를 형성하여양치질한 다음 칫솔대를 뒤집어 혀 크리너로 혓바닥을 긁어주도록 함으로써 헛구역질이 전혀 없으면서도 혓바닥의 구석구석을 깨끗하게 소제할 수 있어 구취가 나지 않게 하고, 자극이 심하지 않아 혓바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혓바닥 전체 소제시 상태.
(b)는 혓바닥 중앙 골이진 부위의 소제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로서, 혀 크리너가 착탈식으로 구성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칫솔 101 : 파지부
102 : 칫솔대 103 : 칫솔모
104 : 체결돌기 110 : 혀 크리너
111 : 혀 크리너의 전면 111a : 홈
112 : 혀 크리너의 하부 113 : 체결홈
120 : 혀 크리너용 파지부 T : 혓바닥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에 파지부(101)를 갖는 칫솔대(102)의 상단부에 칫솔모(103)가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칫솔(100)에 있어서, 칫솔대(102)의 하단부에는 전면과 하부로 돌출되게 칫솔대(102)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진 판형의 혀 크리너(110)를 형성하고, 혀 크리너(110)의 상부측 칫솔대(102)에는 혀 크리너(110) 사용시 파지를 위한 혀 크리너용 파지부(120)를 형성하되, 혀 크리너(110)는 칫솔대(102)보다는 강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혀 크리너용 파지부(120)는 칫솔대(102)보다는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한 것으로, 혀 크리너(110)의 전면(111)측 길이는 하부(112)측 폭보다는 길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혀 크리너(110)의 전면(111)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11a)을 형성하여 설태 제거시 혓바닥(T) 부위의 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혀 크리너(110)의 하단부는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혓바닥(T)의 중앙 오목한 부위의 설태 제거시 사용토록 한 것이며, 혀 크리너(110) 형성부위의 칫솔대(102)는 상부로부터 하부로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만곡지게 구성하고, 칫솔대(102)의 혀 크리너 돌출부위 반대측은 불룩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칫솔대(102)와 혀 크리너(110)는 성질이 다른 2종의 합성수지가 적용된 것이므로 칫솔대(102)의 하단부에 혀 크리너(110)를 고정할 때에는 2중사출 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즉, 칫솔대(102)를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PE, PP, PVC 등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후 그 하단부에 이보다는 강성이 강한 ABS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혀 크리너(110)를 사출성형하게 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도 칫솔대(102)와 혀 크리너(110)의 접촉부위가 열에 의해 서로 융착되어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후 칫솔대(102)보다는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된 각각의 파지부(101)(120)를 칫솔대(102)의 상부와 하부의 정해진 위치에 각각 부착하면 된다.
이러한 혀 크리너(110)는 칫솔대(102)의 하단부에 전면과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111)측이 하부(112)측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혓바닥(T) 전체면의 설태를 제거할 때에는 도 3의 (a)와 같이 혀 크리너(110)의 전면(111)측을 횡방향으로 하여 혓바닥(T)의 상부에서 하부로 쓸어내리면 되고, 혓바닥(T) 중앙부의 골이 진 부위의 설태를 제거할 때에는 도 3의 (b)와 같이 혀 크리너(110)의 전면(111)측보다는 폭이 좁고 라운드져있는 혀 크리너(110)의 하부(112)측을 세워혓바닥(T)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쓸어내리면 된다.
이때, 혀 크리너(110)의 전면(111)측 중앙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1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혓바닥(T)을 쓸어내리는 과정에서 혓바닥(T) 상부측 살이 이 홈(111a)에 순차 수용되면서 혀 크리너(110)가 미끄러지지 않고 혓바닥(T)과 밀착될 수 있으며, 홈(111a) 양측은 타부위보다는 상태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혓바닥(T)의 설태를 긁어줄 수 있어 보다 양호한 설태제거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바, 설태제거작업 중 혓바닥(T)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홈(111a) 양측 상단부는 자연스럽게 유선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 크리너(110)가 강성이 강한 합성수지로 구성되므로 혀 크리너(110)를 통한 설태제거작업시 혀 크리너(110)가 좌우방향으로 절대 꺾이지 않게 되어 설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수명을 칫솔(100) 폐기시까지 보존할 수 있으며, 혀 크리너(110) 형성부위의 칫솔대(102)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만곡지게 구성되어 있어 혀 크리너(110)를 견고히 지지함과 동시에 혀 크리너(110)의 사용시 입 내부의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칫솔대(102)의 혀 크리너 돌출부위 반대측은 외측으로 불룩하게 형성되어 있어 파지가 용이하고 혀 크리너(110)의 사용시 후방으로 꺾이지 않게 견고히 지지해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양치질할 때에는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가 칫솔대(102) 상부의 파지부(101)를 파지하게 되고, 혀 크리너(110)의 사용시에는 칫솔대(102) 하부의 혀 크리너용 파지부(120)를 파지하여 힘의 중심축을 이루게 되는데, 각파지부(101)(120)가 부드러우면서도 점착성을 가진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칫솔대(102)가 절대 밀리지 않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느낌이 부드러운 이점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칫솔대(102)와 혀 크리너(110)를 분리 구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착탈식으로 선택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일 예로 칫솔대(102)의 하단부에 체결돌기(104)를 형성하고, 혀 크리너(110)의 상단부에는 칫솔대(102)의 체결돌기(104)에 대응되는 체결홈(113)을 형성하여 서로 끼워맞춤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칫솔부분과 혀 크리너부분을 분리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일체로 사용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모의 반대측에 전면과 하부로 돌출되는 판형의 혀 크리너를 구비함으로써 양치질 후 혓바닥 부위의 설태를 혀 크리너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혀 크리너는 전면측 길이가 하부측 폭보다 길게 되어 있고 하부측은 라운드지게 되어 있어 혓바닥 전체에는 전면측을 사용하고 혓바닥 중앙 골이진 부위는 하부측을 사용하면 되므로 혓바닥 전체의 설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구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혀 크리너의 폭이 좁아 목구멍과 접촉될 일이 전혀없음은 물론 치약성분도 전혀없게 되므로 헛구역질없는 깔끔한 설태제거작업이 가능해지고, 혀 크리너의 재질이 칫솔대보다는 강성이 강한재질로 되어 있어 칫솔의 폐기시까지 변형없이 오래토록 사용할 수 있으며, 설태제거시 혓바닥부위에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주고 혓바늘이 돋지 않아 미각을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중간부에 파지부(101)를 갖는 칫솔대(102)의 상단부에 칫솔모(103)가 직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칫솔(100)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102)의 하단부에는 전면과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칫솔대(102)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그 전면(111)측의 길이가 하부(112)측 폭보다는 긴 판형의 혀 크리너(110)를 형성하고, 상기 혀 크리너(110)의 상부측 칫솔대(102)에는 상기 혀 크리너(110) 사용시 파지를 위한 혀 크리너용 파지부(120)를 형성하되, 상기 혀 크리너(110)는 상기 칫솔대(102)보다는 강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상기 혀 크리너용 파지부(120)는 상기 칫솔대(102)보다는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크리너(110)의 전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11a)을 형성하여 설태 제거시 혓바닥(T) 부위의 살을 순차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혀 크리너(110)의 하단부는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혓바닥(T)의 중앙 골이 진 부위의 설태 제거시 사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크리너 형성부위의 칫솔대(102)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만곡지게 구성하고, 상기 칫솔대(102)의 혀 크리너 돌출부위 반대측은 외측으로 불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소제용 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102)의 하단부에 체결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혀 크리너(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칫솔대(102)의 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소제용 칫솔.
KR10-2003-0018166A 2002-10-08 2003-03-24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KR100457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39 2002-10-08
KR1020020061339A KR20030023590A (ko) 2002-10-08 2002-10-08 초이 닦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38A true KR20040032038A (ko) 2004-04-14
KR100457477B1 KR100457477B1 (ko) 2004-11-17

Family

ID=277286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39A KR20030023590A (ko) 2002-10-08 2002-10-08 초이 닦스
KR10-2003-0018166A KR100457477B1 (ko) 2002-10-08 2003-03-24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39A KR20030023590A (ko) 2002-10-08 2002-10-08 초이 닦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23590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021959B2 (en) 2014-12-23 2018-07-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182644B2 (en) 2014-12-23 2019-01-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226118B2 (en) 2014-12-23 2019-03-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426250B2 (en) 2014-12-23 2019-10-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455931B2 (en) 2014-12-23 2019-10-2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595628B2 (en) 2014-12-23 2020-03-2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660430B2 (en) 2014-12-23 2020-05-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687610B2 (en) 2014-12-23 2020-06-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743646B2 (en) 2014-12-23 2020-08-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29281B2 (en) 2014-12-23 2022-01-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US11517412B2 (en) 2017-12-12 2022-12-0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997567S1 (en) 2018-12-18 2023-09-05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US11833004B2 (en) 2017-12-12 2023-12-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3646B2 (en) 2014-12-23 2020-08-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779102B2 (en) 2014-12-23 2023-10-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182644B2 (en) 2014-12-23 2019-01-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226118B2 (en) 2014-12-23 2019-03-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426250B2 (en) 2014-12-23 2019-10-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455931B2 (en) 2014-12-23 2019-10-2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595628B2 (en) 2014-12-23 2020-03-2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80457S1 (en) 2014-12-23 2017-03-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660430B2 (en) 2014-12-23 2020-05-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10021959B2 (en) 2014-12-23 2018-07-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multi-component handle
USD883676S1 (en) 2014-12-23 2020-05-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portions thereof
US10835026B2 (en) 2014-12-23 2020-11-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29281B2 (en) 2014-12-23 2022-01-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04980S1 (en) 2014-12-23 2023-11-2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0687610B2 (en) 2014-12-23 2020-06-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517412B2 (en) 2017-12-12 2022-12-0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11833004B2 (en) 2017-12-12 2023-12-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handle and refill head thereof
USD997567S1 (en) 2018-12-18 2023-09-05 Colgate-Palmoliv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USD960582S1 (en) 2020-12-10 2022-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refill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477B1 (ko) 2004-11-17
KR20030023590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477B1 (ko) 혀 크리너를 구비한 칫솔
US4617694A (en) Finger-mounted device for cleaning teeth
US20040255416A1 (en) Toothbrush with tongue cleaning member
KR101591299B1 (ko) 칫솔
CZ288851B6 (cs) Zubní kartáček
BRPI0617773A2 (pt) Implementação para cuidado oral
JP7080379B2 (ja) 義歯から義歯接着剤を除去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道具を備えた口腔清掃器具
KR200478791Y1 (ko) 기역자형 칫솔
KR200484576Y1 (ko) 칫솔
KR200493005Y1 (ko) 크리너 및 치실이 포함되는 다기능 칫솔
KR101822036B1 (ko) 헤드부 교체 구조를 갖는 칫솔
US10898303B2 (en) Three-in-one tooth-cleaning device structured as toothpick, interdental brush, and floss pick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KR101865043B1 (ko) 칫솔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KR200465000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칫솔
CN211703785U (zh) 一种u型手动牙刷
RU2026626C1 (ru) Зубная щетка
US5408717A (en) Toothbrush with dome
CN211431465U (zh) 一种双头牙刷
KR200433153Y1 (ko) 혀 크리너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칫솔
KR200205458Y1 (ko) 유동가능한 칫솔모를 가진 칫솔
KR20180093715A (ko) 다기능 칫솔
JP2001061849A (ja) 舌垢の擦り取り具
KR200375311Y1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