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87A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87A
KR20160000187A KR1020140077231A KR20140077231A KR20160000187A KR 20160000187 A KR20160000187 A KR 20160000187A KR 1020140077231 A KR1020140077231 A KR 1020140077231A KR 20140077231 A KR20140077231 A KR 20140077231A KR 20160000187 A KR20160000187 A KR 2016000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movement guide
sensing
recog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833B1 (ko
Inventor
신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7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83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동전의 상태를 감지하기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기는, 이송된 동전을 하나 씩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에 수용된 동전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을 가지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홀을 따라 배출된 동전이 굴러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동전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 처리기는, 투입된 동전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8은 종래의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1)와, 투입된 동전을 인식기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와, 이송장치(2)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을 인식하는 인식기(3)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기(3)는, 이송장치(2)에서 낙하되는 동전의 자기를 감지하는 자기센서(4)와, 동전의 크기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5a, 5b, 6a, 6d)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센서(4)는 동전이 낙하될 때 동전의 자기 성분을 감지함으로써, 동전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5a, 5b, 6a, 6d)는, 동전의 낙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센서(5a, 5b)와 제2센서(6a, 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5a, 5b)와 상기 제2센서(6a, 6b)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센서(5a, 5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발광센서(5a)와, 제1수광센서(5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센서(6a, 6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발광센서(6a)와, 제2수광센서(6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전처리기는 동전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제1센서와 제2센서가 동전을 감지하는 시간을 기초로 동전의 크기를 판단한다.
그런데, 종래의 동전처리기에 의하면, 이송장치에서 2개 이상의 동전이 함께 낙하되는 경우에는 동전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또한, 이송장치에서 하나의 동전이 낙하되는 경우에도 자유 낙하에 따른 동전의 회전(수직하게 낙하되지 않고, 회전되어 경사지게 낙하되거나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임), 속도 변화에 의해서 동전의 인식이 정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물체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기는, 이송된 물체를 하나 씩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에 수용된 물체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을 가지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홀을 따라 배출된 물체가 굴러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는 상기 물체가 굴러갈 때 상기 물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물체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기는, 이송된 물체를 하나 씩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에 수용된 동전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을 가지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홀을 따라 배출된 물체가 굴러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는 상기 물체가 굴러갈 때 물체의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체의 지름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물체를 처리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된 물체가 하나 씩 굴러 내려가도록 하면서 물체의 크기 또는 지름을 인식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의 동전이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므로, 동전 인식율이 향상되고, 동전이 이동 가이드를 따라 굴러 내려가므로, 동전의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동전의 흔들임이나 자유 낙하에 따른 속도 변화가 최소화되므로 동전 인식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식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이 제2감지부를 지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식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식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전 처리기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거나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식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이 제2감지부를 지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동전 투입구(10)와,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0)와,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하나 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30)와, 이송된 동전의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구(10)는, 투입된 동전을 하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가이드(guide: 112)와,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10)는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부재(110)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는 상기 동전 투입구(10)에서 개폐 부재(11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직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측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로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는 다수의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의 최저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가이드(112)의 측면에 배출구(114)가 형성되지 않고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의 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roller)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에 둘러져, 상측에 놓인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belt: 216)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중 어느 하나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장치(20) 중에서 상기 이송벨트(216)가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은 상기 이송장치(20) 중에서 상기 이송벨트(216)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30)의 이격된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와,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에 둘러져 회전하는 분리벨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는, 상기 구동부(214)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분리롤러(310)와, 상기 제1분리롤러(3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분리롤러(320) 및 제3분리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리롤러(320)와 상기 제3분리롤러(330)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frame)에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 중 상기 제1분리롤러(310)가 상기 이송벨트(216)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리롤러(310)와 상기 이송벨트(216)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제2분리롤러(320)와 제3분리롤러(330) 각각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롤러(310)가 상기 구동부(214)의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상기 제1분리롤러(310)가 상기 구동부(214)에 의해서 회전되면, 상기 제1분리롤러(310)와 상기 분리벨트(340)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분리벨트(340)가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분리벨트(340)는 상기 각 분리롤러(310, 320, 330)에 일정 크기의 장력을 가지고 둘러져 있으므로, 상기 분리벨트(340)가 움직이면 장력에 의해서 상기 제2분리롤러(320) 및 상기 제3분리롤러(33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벨트(340)(제1분리롤러(310)와 접촉하는 부분임)와 이송벨트(216) 사이 간격(최소 간격임)은 최대 두께의 동전 보다 크고, 최소 두께의 2개의 동전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로 한국 동전의 경우, 상기 간격은 오백원짜리 동전의 두께 보다 크고, 십원짜리 두 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에 이송장치(2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송벨트(216)에 놓인 동전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분리벨트(3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송벨트(216)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는 동전 중 일부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된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의 현재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동전으로 이송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를 통과한 동전은 상기 인식기(40)로 이송된다.
따라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와 상기 분리장치(30)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동전이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분리벨트(340)로부터 동전이 이송력을 전달받지 못한다.
반면, 동일한 종류의 동전 또는 종류가 다른 동전이 2개 이상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 사이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최 하측에 있는 동전 외의 하나 이상의 동전은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하게 된다. 최 하측에 있는 동전 외의 다른 동전은 원래의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송력을 전달받으므로, 최 하측의 동전 만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의 간격을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 상에 적층된 다수의 동전 중에서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한 동전을 상기 분리벨트(340)와 비접촉한 동전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분리장치(30)에 의해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를 통과하게 되므로, 동전의 이송 과정에서 잼(Jam)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 사이를 통과하나, 상기 이송장치(20)의 폭 방향으로 다수의 동전이 배치된 경우에는 한 층에 다수의 동전이 놓여 있음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이송되어도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에 의해서 한 층의 동전만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 사이를 통과하여 인식기(40)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층으로 쌓인 동전이 한꺼번에 인식기(40)로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어, 인식기(40) 내에서 동전의 일부가 미인식되거나 인식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분리벨트(340)가 접촉된 동전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도, 분리벨트(340)가 동전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하여 안정적인 동전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분리벨트(340)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벨트(340)는 동전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동전이 이송될수록 상기 이송벨트(216)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 때, 동전과 상기 분리벨트(3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적층된 다수의 동전 간의 분리가 원활해지도록, 상기 분리벨트(340)와 이송벨트(216)가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14)에서 동전이 원활히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 중에서 상기 배출구(114)와 인접한 분리롤러(도 1에서는 제3분리롤러(330))의 높이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의 종류 및 정상 동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기(40)는 정상 동전과 비정상 동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서 낙하된 동전을 하나 씩 수용하기 위한 회전부재(420)와, 상기 회전부재(420)를 수용하며, 상기 회전부재(420)에 수용된 동전이 하나 씩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가이드(410)와, 상기 배출가이드(410)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가이드(442, 4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20)는 도 1을 기준으로 수직선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20)에는 회전축(414)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414)은 상기 배출 가이드(410)를 관통하여 구동부(4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20)는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수용홈(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4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수용홈(422) 각각에 하나의 동전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410)는, 상기 회전부재(4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420)의 둘레를 감싼다. 그리고, 상기 배출가이드(410)는, 상기 회전부재(42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각 수용홈(422)에 수용된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홀(41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홀(412)은 상기 회전축(414) 보다 낮게 위치되며,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420)의 수용홈(422)이 상기 배출홀(412)과 정렬되면, 동전이 배출홀(412)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홀(412)이 하향 경사지므로, 동전은 하측으로 굴러 떨어지게 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442, 444)는, 제1이동 가이드(432)와, 상기 제1이동 가이드(442)와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이동 가이드(4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 가이드(442)는 상기 배출홀(412)에서 배출되는 동전의 일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굴러 내려가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부재(420)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거나 상기 회전부재(420)의 경사 각도 보다 큰 경사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가이드(442, 444)는 동전이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서 낙하된 동전이 상기 회전부재(420)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 가이드(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이 상기 경사 가이드(402)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전은 눕혀지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4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동전이 수용홈(4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동 가이드(442, 444)를 따라 하측으로 굴러 내려가는 동전의 높이(또는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450)와, 동전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450)는, 상기 제1이동 가이드(422)와 제2이동 가이드(424)가 접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는 다수의 센서(sensor: 451, 452, 453, 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451, 452, 453, 454)는, 제1센서 내지 제4센서(451, 452, 453, 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동전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제1감지부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센서(451)는 일 예로 한국 동전 중에서 크기(지름)가 제일 작은 동전(C1)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센서(454)는 일 예로 한국 동전 중에서 크기(지름)가 제일 큰 동전을 감지할 수 있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전의 크기(지름)에 따라서 동전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일 작은 동전(C1)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1센서(451) 만이 상기 동전(C1)를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제일 큰 동전(C2)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1센서 내지 제4센서(451 내지 454)가 동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국가 별로 동전의 크기나 개수가 다르므로, 상기 동전 처리기가 사용되는 국가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센서(451, 452, 453, 454)의 개수 및 설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에는 동전을 감지하는 센서에 따른 동전의 크기(지름)가 저장되어 있다. 즉, 제1센서(451) 만이 동전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동전의 크기가 R1인 것으로 저장되고, 제1센서 내지 제4센서(451, 452, 453, 454)가 동전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동전의 크기가 R2인 것으로 저장된다.
상기 제2감지부(460)는 동전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속도감지센서(461) 및 제2속도감지센서(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속도감지센서(461, 462)는 일 예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동전이 제1 및 제2속도감지센서(461, 462)를 지날 때의 시간 및 제1 및 제2속도감지센서(461, 462) 간의 거리(D)에 기초하여 동전이 각각의 속도감지센서(461, 462)를 지날 때의 동전의 속도를 판단한다.
상기 동전 처리기는,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 가이드(41)와, 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 가이드(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된 동전이 임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50)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전 보관함(80)과, 동전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 반환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반환될 수 있고, 정상 동전은 상기 임시 집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는 동전의 종류 별로 구분되어 동전이 임시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보관함(80)은 동전의 종류 별로 구비되어 종류 별로 동전을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동전의 구분 없이 동전이 임시 집적되거나, 하나의 동전 보관함(80)에 두 종류 이상의 동전이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 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분리기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켜, 상기 임시 집적부(50)가 상기 동전 보관함(8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에 둘러지는 이동벨트(6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벨트(616)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벨트(616)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 장치(6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랙과 피니언 구조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거나 다수의 링크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동전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동전 투입구(10)를 통하여 동전이 투입되면, 상기 동전 투입구(10)에서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동전이 이송된다(S1).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은 상기 인식기(40)로 낙하된다. 상기 인식기(40)로 낙하된 동전은 상기 경사 가이드(402)에 의해서 상기 회전부재(420) 측으로 이동되고, 하나의 동전이 상기 회전부재(420)의 수용홈(422)에 수용된다. 동전이 수용홈(4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420)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수용홈(422)이 상기 배출가이드(410)의 배출홀(412)과 정렬되면, 상기 수용홈(422)에 수용된 수용홈(412)이 상기 배출홀(412)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홀(412)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442, 444)로 배출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442, 444)로 배출된 동전은 일 면이 상기 제1이동 가이드(442)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422, 424)를 따라 굴러 내려간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부(460)는 동전의 높이(크기 또는 지름)를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451, 452, 453, 454)에서의 동전 감지 여부에 따라서 동전의 높이가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46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동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높이가 감지된 동전이 비정상 동전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3). 단계 S3에서 판단하는 비정상 동전은, 이동되는 동전이 최소 크기의 동전 보다 작거나, 동전의 형태가 완전한 원형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든 센서에서 동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동되는 동전이 최소 크기의 동전 보다 작은 것이므로 제어부는 비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가 연속적으로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일 예로 제1센서가 동전을 감지하고 제2센서가 동전을 감지하지 못하였으나 제3센서가 동전을 감지하는 경우, 동전이 완전한 원형이 아니므로 비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3에서 판단 결과, 이동되는 동전이 비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60)에서의 감지 결과와 무관하게 이동되는 동전이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S7). 즉, 동전은 상기 이동 가이드(422, 424)를 따라 굴러 내려가므로 상기 제2감지부(460)에서 동전이 감지되나, 단계 S3에서 이동되는 동전이 비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동전의 속도를 판단하지 않는다.
단계 S3에서 판단 결과, 이동되는 동전이 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46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동전의 속도를 판단한다(S4).
도 3을 참조하면, 제1속도감지센서(461)와 제2속도감지센서(462)의 거리는 D이고, 상기 제1속도감지센서(461)에서 동전이 최초로 감지될 때의 시점은 T1이다. 그리고, 상기 제2속도감지센서(462)에서 동전이 최초로 감지될 때의 시점은 T2이며, 상기 제2속도감지센서(462)에서 동전이 최초로 감지된 후 더 이상 동전이 감지되지 않을 때의 최초 시점은 T3이다.
상기 제1속도감지센서(462)에서의 동전의 속도는 하기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제1속도(V1) = D / (T2-T1)
또한, 상기 제2속도감지센서(462)에서의 동전의 속도는 하기의 수학식2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제2속도(V2) = (D+R) / (T3-T1)
여기서, R은 동전의 지름이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제1속도(V1)를 먼저 계산하고, 제1속도와 제2속도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수학식 2에서 동전의 지름(R)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450)에 의해서 감지된 동전의 지름(R1)과 수학식 2에서 계산된 동전의 지름(R)에 기초하여, 이동되는 동전이 비정상 동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단계 S5에서 판단하는 비정상 동전은, 이동되는 동전이 통용되는 동전이 아니거나 해당 국가의 동전이 아닌 다른 국가의 동전인 것이나, 이동되는 과정에서 형태가 변경되는 동전이거나 동전 외의 물품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동전 처리기로 투입될 수 있는 정상 동전과 그 외의 비정상 동전을 통칭하여 물체라 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동전은 물체 중 하나이며, 상기 동전 처리기로 투입된 물체가 인식기에 의해서 인식된 후에 정상 동전과 비정상 동전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450)에 의해서 감지된 동전의 지름(R1)과 수학식 2에서 계산된 동전의 지름(R)이 동일한 경우 이동되는 동전이 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이동되는 동전이 동전 보관함(80)에 보관되도록 제어한다(S6).
상기 제1감지부(450)에 의해서 감지된 동전의 지름(R1)과 수학식 2에서 계산된 동전의 지름(R)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부(450)에 의해서 감지된 동전의 지름(R1)을 수학식 2에 적용하여 실제의 제2속도(V2)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제1속도와 제2속도의 절대값의 차이가 일정 값 내이면, 이동되는 동전이 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전 보관함(80)에 보관되도록 제어한다(S6).
반면, 상기 제어부는, 계산된 제1속도와 제2속도의 절대값의 차이가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동되는 동전이 비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전 반환함(70)에 보관되도록 제어한다(S7).
계산된 제1속도와 제2속도의 절대값의 차이가 일정 값 이내인 경우는, 동전의 모양이 원형이 아니거나 찌그러지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계산된 제1속도와 제2속도의 차이가 일정 값 내이면, 이동되는 동전이 정상 동전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의 동전이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므로, 동전 인식율이 향상되고, 동전이 이동 가이드를 따라 굴러 내려가므로, 동전의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동전의 흔들임이나 자유 낙하에 따른 속도 변화가 최소화되므로 동전 인식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동전 처리기는 이전 실시 예의 동전 처리기에서 동전의 색상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color sensor: 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컬러 센서(470)는 동전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감지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동전의 종류 및 크기 외에 색상을 이용하여 동전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인식 정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인식기는, 고정부재(910)와, 상기 고정부재(910)를 관통한 구동부(930)에 연결되는 회전부재(9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920)는, 동전이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홈(924)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9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두 개의 리브(922)가 수용홈(924)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재(910)는 상기 회전부재(920)의 다수의 수용홈(924)을 커버한다. 상기 고정부재(910)는 동전이 상기 회전부재(920)의 수용홈(924)으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수용홈(924)은 입구 측의 면적이 상기 회전부재(920)의 중심부 측의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장치(20)에서 낙하된 동전이 상기 수용홈(924)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는 동전 처리기는 상기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부,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 획득부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전 투입구 20: 이송장치
40: 인식기 410: 배출가이드
420: 회전부재 450: 제1감지부
460: 제2감지부

Claims (9)

  1. 물체가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기는, 이송된 물체를 하나 씩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에 수용된 물체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을 가지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홀을 따라 배출된 물체가 굴러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는 상기 물체가 굴러갈 때 상기 물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2. 물체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물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기는, 이송된 물체를 하나 씩 수용하는 수용홈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에 수용된 동전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홀을 가지는 배출가이드와,
    상기 배출홀을 따라 배출된 물체가 굴러 내려가도록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와,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물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는 상기 물체가 굴러갈 때 물체의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체의 지름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동전 처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물체의 일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제1이동 가이드와,
    상기 제1이동 가이드와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입구 측의 단면이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 측의 단면 보다 큰 동전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높이가 서로 다른 배치되는 동전 처리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물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동전 처리기.
  8. 제 7 항에 잇어서,
    물체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는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9.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물체를 처리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된 물체를 하나 씩 굴러 내려가도록 하면서 물체의 크기 또는 지름을 인식하는 금융기기.
KR1020140077231A 2014-06-24 2014-06-24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62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231A KR101622833B1 (ko) 2014-06-24 2014-06-24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231A KR101622833B1 (ko) 2014-06-24 2014-06-24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87A true KR20160000187A (ko) 2016-01-04
KR101622833B1 KR101622833B1 (ko) 2016-05-31

Family

ID=5516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231A KR101622833B1 (ko) 2014-06-24 2014-06-24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3540A (zh) * 2016-06-30 2016-08-31 梧州学院 一种硬币自动清分计数收集一体装置
CN109785497A (zh) * 2019-02-26 2019-05-21 尹重添 硬币分类收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1878B2 (ja) 2010-08-03 2014-09-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3540A (zh) * 2016-06-30 2016-08-31 梧州学院 一种硬币自动清分计数收集一体装置
CN109785497A (zh) * 2019-02-26 2019-05-21 尹重添 硬币分类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833B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4911B2 (ja) 硬貨包装機
US10269201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with reject cassette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241703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62283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101457296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609458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657764B1 (ko) 매체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매체처리장치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1549757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383424B1 (ko) 동전 처리기
KR101390524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20180004267A (ko) 지엽류 취급 장치 및 지엽류 취급 방법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652182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44782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2573029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KR20180057025A (ko) 카세트의 지폐 유무 감지장치
KR101781304B1 (ko) 매체 보관 장치와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883318B1 (ko) 매체보관함,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101892478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분리집적장치
KR101940733B1 (ko) 매체 저장함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