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823B1 -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823B1
KR101447823B1 KR1020130059726A KR20130059726A KR101447823B1 KR 101447823 B1 KR101447823 B1 KR 101447823B1 KR 1020130059726 A KR1020130059726 A KR 1020130059726A KR 20130059726 A KR20130059726 A KR 20130059726A KR 101447823 B1 KR101447823 B1 KR 10144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ensor
unit
moving
magnetoresistiv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59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존재하는 동전을 감지기 위한 동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감지부는, 동전의 자기 성분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벨트와 오버랩되는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자기저항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센서 이동부; 및 상기 센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본 명세서는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 처리기는, 투입된 동전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국공개특허 특1999-006725호에는, 자기센서를 사용한 정보의 취출, 및 그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의 검사를 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 문헌에는 피검지폐 또는 코인이 이송될 때, 고정된 위치에 구비된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지폐나 코인의 진위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위의 문헌의 경우, 지폐나 코인의 진위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송벨트 상의 동전의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고, 잼 현상에 의해서 이송되지 못하는 동전은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장치에 존재하는 동전의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존재하는 동전을 감지기 위한 동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감지부는, 동전의 자기 성분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벨트와 오버랩되는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자기저항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센서 이동부; 및 상기 센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상기 이송벨트에서 동전을 지지하는 면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 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동전을 보관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내에 존재하는 동전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동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동시키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센서가 센서 이동부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이송장치 내의 동전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동전감지부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감지부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자기저항센서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고, 도 5는 자기저항센서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됨.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전 처리기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거나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동전감지부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동전 투입부(10)와,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0)와,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하나 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30)와, 이송된 동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부(10)는, 투입된 동전을 하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가이드(guide: 112)와,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10)는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부재(110)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직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측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로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는 다수의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의 최저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가이드(112)의 측면에 배출구(114)가 형성되지 않고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의 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roller)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에 둘러져, 상측에 놓인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belt: 2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벨트(216)가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중 어느 하나는 제1구동부(214)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14)의 동력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중 어느 하나로 직접 전달되거나, 동력 전달부(미도시)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이송벨트(216)에 놓인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의 양측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30)의 이격된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와,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2, 314)에 둘러져 회전하는 분리벨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벨트(315)와 이송벨트(216) 사이 간격(최소 간격임)은 최대 두께의 동전 보다 크고, 최소 두께의 2개의 동전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로 한국 동전의 경우, 상기 간격은 오백원짜리 동전의 두께 보다 크고, 십원짜리 두 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동전의 현재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1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송벨트(216)에 놓인 동전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반면, 상기 분리벨트(31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이송벨트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는 동전 중 일부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분리장치(30)와 접촉된 동전을 상기 동전의 현재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동전이 이송하도록 상기 동전으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를 통과한 동전을 상기 인식기(40)로 이송된다.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의 종류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기(40)는 미인식된 동전과 인식된 동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 가이드(41)와, 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 가이드(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이 임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50)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전 보관함(80)과, 동전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 반환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은 상기 임시 집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는 동전의 종류 별로 구분되어 동전이 임시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보관함(80)은 동전의 종류 별로 구비되어 종류 별로 동전을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동전의 구분 없이 동전이 임시 집적되거나, 하나의 동전 보관함(80)에 두 종류 이상의 동전이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 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분리기(1)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켜, 상기 임시 집적부(50)가 상기 동전 보관함(8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에 둘러지는 이동벨트(6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벨트(616)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벨트(616)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 장치(6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랙과 피니언 구조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거나 다수의 링크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존재하는 동전을 감지하는 동전감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감지부(90)는 상기 이송벨트(216)에 놓인 동전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벨트(216)와 배리어 사이에 끼여 움직이지 못하는 동전 등 상기 이송장치(20)를 내에 존재하는 동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동전감지부(90)는, 금속재질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저항센서(920: Magnetic resistance sensor)와,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를 이송하기 위한 센서 이동부(911 내지 914)와,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의 위치를 감지하기 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962, 964)와, 상기 위치감지센서(962, 964)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 이동부(911 내지 914)를 제어하는 제어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는 다수의 검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전의 자기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채널(Channel)은 다수 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동전감지부(90)는, 각 채널을 통하여 출력되는 검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증폭부(930)와, 각 증폭부(930) 중에서 인접하는 두 증폭부(9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산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940)와, 상기 차동 증폭부(94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컨버터(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를 구성하는 다수의 검출 소자는 상기 이송벨트(216) 이송 방향(도 2에서는 좌우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도 2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이송벨트(216) 상에 놓인 동전 뿐만 아니라, 이송벨트(216) 외측의 잼 발생 동전도 감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검출 소자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되는 두 소자(최외곽 소자) 간의 거리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폭(W) 보다 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검출 소자 중에서 두 개의 최외곽 소자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상하 방향으로 미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최외곽 소자 사이의 검출 소자는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의 자기를 검출하고, 최외곽 소자는 이송벨트(216) 외측 영역의 동전의 자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부(911 내지 914)는, 복수의 이동롤러(911, 912)와, 상기 복수의 롤러(911, 912)에 둘러지는 이동벨트(913)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911, 912) 중 어느 하나로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는 상기 이동벨트(913)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벨트(913)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962, 964)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위치감지센서(962)와 제2위치감지센서(9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962)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964)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이동부(911 내지 914)를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는 일 예로 상기 이송벨트(216)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962)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964) 사이의 거리(또는 복수의 이동롤러(911, 912)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사이의 거리 보다 짧다.
상기 각 위치감지센서(962, 964)는, 일 예로,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이거나, 적외선 센서이거나,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기저항센서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962)가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를 감지할 때의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의 위치를 초기위치라 하고,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964)가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를 감지할 때의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의 위치를 방향전환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전 처리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감지부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자기저항센서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고, 도 5는 자기저항센서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동전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동전 투입구(10)로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구(10)로 투입된 동전은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동전 투입구(10)에는 동전의 투입을 감지하기 위한 투입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 감지부에서 동전의 투입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제1구동부(214) 및 제2구동부(914)를 온시킨다.
상기 제1구동부(214)가 온되면,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가 회전되고, 상기 이송벨트(216)(이송벨트에서 동전을 지지하는 면)가 제1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4에는 일 예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이송벨트(216)가 움직이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동전도 상기 이송벨트(216)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2구동부(914)가 온되면, 상기 제2구동부(914)는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2구동부(91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911, 912)가 회전되고, 상기 이동벨트(913)는 초기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 움직인다. 도 4에는 일 예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기 이동벨트(913)가 움직이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자기저항센서(920)도 상기 이동벨트(913)를 따라 제2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각 구동부(214, 914)의 작동 초기에는 동전과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제2구동부(914)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964)에서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제2구동부(91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911, 912)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이동벨트(913)는 방향전환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를 향하여 제1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상기 이동벨트(913)와 함께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제1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도 5에서는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와 상기 동전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와 상기 동전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될 때,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이동벨트(913)의 이송속도(V2)(자기저항센서를 지지하는 면의 선속도임)가 상기 이송벨트(216)의 이송속도(V1)(동전이 놓일 수 있는 면의 선속도임) 보다 빠르도록 상기 제2구동부(913)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구동부(914)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1구동부(214)의 회전속도와 동일하거나 작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구동부(914)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구동부(214)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와 동전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동전의 자기 성분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벨트(914)의 속도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와 동전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의 이동속도가 상기 동전의 이송속도 보다 빠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방향전환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1회의 왕복이동 동안의 동전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구동부(214) 및 제2구동부(91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방향전환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1회의 왕복이동 중에 동전의 자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제1구동부(214) 및 상기 제2구동부(914)가 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2구동부(914)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자기저항센서(920)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다시 방향전환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방향전환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1회의 왕복이동 중에 동전의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960)는 상기 제1구동부(214) 및 상기 제2구동부(91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 상에 놓인 경우에는 상기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를 따라 이송될 수 있으나, 상기 동전이 주변 구조물 일 예로 배리어 등에 끼인 경우에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상기 동전이 오버랩되는 위치에 상기 동전이 위치하더라도 상기 동전은 이송벨트(216)를 따라 이송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기저항센서(920)가 상기 센서 이동부에 의해서 특정 구간 내에서 왕복이동할 수 있으므로, 잼 발생되어 이송되지 못하는 동전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이송벨트(216)에서 낙하된 동전은 상기 인식기(4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인식기(40)에서는 동전을 인식하게 되고, 동전이 미인식되면 미인식된 동전을 상기 제1배출 가이드(41)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1배출 가이드(41)로 배출된 동전은 상기 제1배출 가이드(41)에 의해서 동전 반환함(70)으로 이송된다.
반면, 상기 인식기(40)에서 동전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기(40)는 인식된 동전을 상기 제2배출 가이드(42)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2배출 가이드(42)로 배출된 동전은 상기 제2배출 가이드(42)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에 보관된다.
동전의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 결과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식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거래를 완료하기 위하여 확인 명령을 입력하거나 취소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 장치(60)에 의해서 상기 동전 보관함(8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에 집적된 동전은 동전 보관함으로 낙하되어 보관된다.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배출된 동전은 집적 가이드(43)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동전 보관함(80)으로 낙하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취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 장치(60)에 의해서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에 보관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 외측에 놓인 경우에는 상기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를 따라 이송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송벨트(216)에 동전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자기저항센서(920)에서 동전의 자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960)는, 자기저항센서(920) 중에서 최외곽의 검출 소자에서 다수 회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최외곽의 검출 소자에서 다수 회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동전의 잼 해소 필요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전 처리기가 상기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금융 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부,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 획득부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전 투입구 20: 이송장치
40: 인식기 90: 동전감지부

Claims (10)

  1.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에서 배출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존재하는 동전을 감지기 위한 동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감지부는, 동전의 자기 성분을 감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송벨트와 오버랩되는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자기저항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센서 이동부; 및
    상기 센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상기 이송벨트에서 동전을 지지하는 면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전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저항센서가 상기 이송벨트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상기 이송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센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동전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저항센서가 상기 이송벨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자기저항센서의 속도가 상기 이송벨트의 속도 보다 빠르도록 상기 센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동전 처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된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저항센서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센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동전 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이동부는, 복수의 이동롤러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에 둘러지며, 상기 자기저항센서가 고정되는 이동벨트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 중 하나 이상의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저항센서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에서 상기 자기저항센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저항센서를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 측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전 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가 최초 위치에서 이동된 후에 다시 최초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 상기 자기저항센서에서 동전의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이동부와 상기 이송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전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다수의 검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검출 소자는 상기 이송벨트의 움직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전 처리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검출 소자 중에서 양측 최외곽에 위치되는 두 검출 소자 간의 거리는 상기 이송벨트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동전 처리기.
  9.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동전을 보관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내에 존재하는 동전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동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동시키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센서를 이동시키는 금융 기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검출 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증폭부와,
    적어도 두 개의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산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KR1020130059726A 2013-05-27 2013-05-27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44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726A KR101447823B1 (ko) 2013-05-27 2013-05-27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726A KR101447823B1 (ko) 2013-05-27 2013-05-27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823B1 true KR101447823B1 (ko) 2014-10-13

Family

ID=5199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726A KR101447823B1 (ko) 2013-05-27 2013-05-27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8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094Y2 (ja) * 1990-09-28 1997-03-05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2004318602A (ja) * 2003-04-17 2004-11-11 Laurel Seiki Kk 包装硬貨支払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094Y2 (ja) * 1990-09-28 1997-03-05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2004318602A (ja) * 2003-04-17 2004-11-11 Laurel Seiki Kk 包装硬貨支払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185B2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EP2690606B1 (en) Bill processing device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JP593244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10241703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671572B1 (ko)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KR101457296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62283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447823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1609458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JP5277757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4171B1 (ko) 매체처리장치,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90524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KR102573029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1383424B1 (ko) 동전 처리기
KR101793333B1 (ko) 매체 감지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549757B1 (ko)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2294704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집적장치
JP2013131094A (ja) 硬貨処理装置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KR10195845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