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92U - 팽이파일 - Google Patents

팽이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92U
KR20160000092U KR2020140004918U KR20140004918U KR20160000092U KR 20160000092 U KR20160000092 U KR 20160000092U KR 2020140004918 U KR2020140004918 U KR 2020140004918U KR 20140004918 U KR20140004918 U KR 20140004918U KR 20160000092 U KR20160000092 U KR 20160000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ection
pile
reinforcin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관
Original Assignee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092U/ko
Publication of KR20160000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팽이파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파일 헤드; 및 파일 헤드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파일 헤드에 결합되는 말뚝 다리부를 포함하며, 파일 헤드의 벽면에는 철근이 거치되는 비직선형의 철근 거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팽이파일{Top base file}
본 고안은, 팽이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팽이파일에 관한 것이다.
팽이파일은 주로 연약지반에 설치되며, 연약지반에 대한 응력분산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중을 분산시켜 전달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팽이파일에 의한 연약지반의 보강효과는 곧바로 나타나기 때문에 건축물의 기초지반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반보강의 능률성과 경제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팽이파일은 그 대부분이 공장에서 세트의 형태로 미리 제작된 후에 건설현장으로 운반되어 시공되어 왔다.
하지만, 이처럼 공장에서 제작한 것을 사용하게 되면 팽이파일 세트의 부피가 크고 무거워 건설현장까지 운반 시 파손률이 높으며, 또한 운반비용 등의 물류비용이 높아지고 시공도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제기되어 왔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다수의 팽이파일을 연약지반에 평면상으로 배열한 후, 팽이파일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하여 시공함으로써 팽이파일로 인한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팽이파일의 경우, 단순 깔때기 형상의 구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팽이파일을 연약지반에 설치한 후에 팽이파일에 철근을 배근하고 팽이파일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미리 배근된 철근이 자리 이탈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철근이 팽이파일로부터 자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는 철근을 팽이파일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하는데, 그러려면 별도의 철선을 이용하여 철근을 팽이파일에 일일이 묶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이는 곧 재료비 상승과 더불어 작업공수의 증가 문제로 이어져 전체적으로 공기를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팽이파일에 대한 효율적인 구조 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46348호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팽이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파일 헤드; 및 상기 파일 헤드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상기 파일 헤드에 결합되는 말뚝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헤드의 벽면에는 철근이 거치되는 비직선형의 철근 거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상기 파일 헤드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십자가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간; 및 상기 철근 삽입구간과 연통되며, 상기 철근이 상기 파일 헤드의 상방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철근 이탈저지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 삽입구간은, 상기 말뚝 다리부의 축심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철근 삽입구간은, 상기 말뚝 다리부의 축심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상기 철근 삽입구간과 상기 철근 이탈저지구간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철근 연결구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철근 삽입구간, 상기 철근 연결구간 및 상기 철근 이탈저지구간은 영문자 J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철근 이탈저지구간과 상기 철근 연결구간은 상기 철근 삽입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마주보는 것끼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일 헤드에 덧대어진 덧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말뚝 다리부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말뚝 다리부에는 원주 방향을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말뚝 다리부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더미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팽이파일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팽이파일의 시공예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팽이파일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도면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팽이파일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팽이파일의 시공예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100)은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파일 헤드(110)와 말뚝 다리부(130)를 포함한다.
파일 헤드(110)와 말뚝 다리부(130)는 단일 재료, 예컨대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성형되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우선, 파일 헤드(11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깔때기 형상을 갖는 구조물로서,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파일 헤드(110)의 내주면의 궤적은 원형의 궤적을 이룰 수 있다.
원주 방향을 따라 파일 헤드(110)의 외벽면에는 군데군데, 예컨대 4군데에 덧살부(111)가 형성된다. 덧살부(111)는 파일 헤드(110)의 외벽 일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파일 헤드(110)의 벽면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철근이 거치되는 비직선형의 철근 거치홈부(120)가 형성된다.
파일 헤드(11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데, 콘크리트가 충전되기 전에 파일 헤드(110)에 예컨대, 십자가 형태로 철근이 미리 배근될 경우, 철근에 의한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에 의한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100)은 연약지반에 대한 응력분산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중을 분산시켜 전달함으로써 연약지반을 보강하기에 충분하다.
파일 헤드(110) 하나에 십자가 형태의 철근이 배근될 수 있도록 파일 헤드(110)에는 전술한 비직선형의 철근 거치홈부(120)가 형성된다.
비직선형의 철근 거치홈부(120)는 특히, 파일 헤드(110)의 덧살부(111)에 형성됨으로써, 철근으로 인해 파일 헤드(110)의 측벽이 변경되는 등의 폐단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철근 거치홈부(120)는 파일 헤드(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십자가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치적인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한 쌍의 철근을 서로 교차되게 십자가 형태로 쉽게 배근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철근 거치홈부(120)는 파일 헤드(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 예컨대 4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의 철근 거치홈부(120)들은 서로 마주보는 것끼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래야만 철근의 배근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철근 거치홈부(120)는 철근 삽입구간(121), 철근 이탈저지구간(123), 그리고 철근 연결구간(122)을 포함한다.
철근 삽입구간(121)은 철근이 최초에 삽입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철근 삽입구간(121)은 말뚝 다리부(130)의 축심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경사 배치된다.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은 철근 삽입구간(121)과 연통되며, 철근이 파일 헤드(110)의 상방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철근이 배근되고 나면 파일 헤드(1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데, 이때 철근을 지지하지 않으면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 과정에서 부풀어 오르는 철근에 의해 철근이 상방으로 이탈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철근 거치홈부(120)에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이 형성되고 철근이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이 걸리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양생되는 과정에서 부풀어 오르더라도 철근의 이탈 현상을 없다. 본 실시예에서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은 수직된 방향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철근 연결구간(122)은 철근 삽입구간(121)과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이 연통되게 결합되는 구간이다.
철근 연결구간(122)이 형성됨에 따라 철근은 철근 삽입구간(121)을 통해 삽입되어 철근 연결구간(122)을 지나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에서 걸리게 되는데, 설사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에서 철근이 이탈되려 하더라도 철근 연결구간(122)으로 인해 철근이 쉽게 이탈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철근 거치홈부(120)는 철근 삽입구간(121), 철근 이탈저지구간(123), 그리고 철근 연결구간(122)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영문자 J 형상을 갖는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혹은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철근 거치홈부(120)에 거치된 철근이 임의로 이탈되지는 않게 된다.
특히, 철근 거치홈부(120)가 영문자 J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철근이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특히 철선 묶음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기 단축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말뚝 다리부(130)는 상기 파일 헤드(11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파일 헤드(11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말뚝 다리부(130)는 단면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말뚝 다리부(130)에는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홀(131)이 형성된다. 철근 삽입홀(131)은 말뚝 다리부(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가지고 4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100)의 시공방법을 간략하게 알아본다.
우선, 도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팽이파일(100)을 도 5처럼 평면 상에서 측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한다.
그런 다음, 팽이파일(100)에 형성되는 철근 거치홈부(120)로 철근을 배근한다. 이때는 먼저 하나의 철근을 배근하고, 나머지 철근은 앞선 철근의 상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근한다. 배근 시 철근이 철근 삽입구간(121) 및 철근 연결구간(122)을 지나 철근 이탈저지구간(123)에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별도의 철근을 더 준비하여 말뚝 다리부(130)의 철근 삽입홀(131)에 끼워 대기한다.
다음, 팽이파일(100)의 파일 헤드(110)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또는 충전시킨 후, 양생한다.
콘크리트를 타설 또는 충전이 완료되면 팽이파일(100)들 사이사이의 공간에 쇄석이나 돌멩이를 채움으로써, 팽이파일(100)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보강공사를 쉽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팽이파일(100)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200) 역시, 파일 헤드(110)와 말뚝 다리부(130)를 포함하며, 파일 헤드(110)의 덧살부(111)에 철근 거치홈부(22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의 철근 거치홈부(220) 역시, 철근 삽입구간(221), 철근 이탈저지구간(223), 그리고 철근 연결구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철근 이탈저지구간(223)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형상으로 철근 이탈저지구간(223)이 형성되더라도 그 작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의 팽이파일(200)이 적용되더라도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300) 역시, 파일 헤드(110)와 말뚝 다리부(130)를 포함하며, 파일 헤드(110)의 덧살부(111)에 철근 거치홈부(32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의 철근 거치홈부(320) 역시, 철근 삽입구간(321), 철근 이탈저지구간(323), 그리고 철근 연결구간(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철근 삽입구간(321)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경사지지 않게 수직된 형상을 취하는데, 이와 같은 형상으로 철근 삽입구간(321)이 형성되더라도 그 작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의 팽이파일(300)이 적용되더라도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400) 역시, 파일 헤드(110)와 말뚝 다리부(130)를 포함하며, 파일 헤드(110)의 덧살부(111)에 철근 거치홈부(42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의 철근 거치홈부(420) 역시, 철근 삽입구간(421), 철근 이탈저지구간(423), 그리고 철근 연결구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철근 이탈저지구간(423)과 철근 연결구간(422)은 철근 삽입구간(421)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철근 이탈저지구간(423)과 철근 연결구간(422)이 철근 삽입구간(421)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경우, 철근의 배근 작업 시 그 방향에 무관하게 작업할 수 있어 유리하다.
본 실시예의 팽이파일(400)이 적용되더라도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팽이파일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파일(500) 역시, 파일 헤드(510)와 말뚝 다리부(530)를 포함하며, 파일 헤드(510)에 철근 거치홈부(52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파일 헤드(5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내부가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말뚝 다리부(530)에는 원주 방향을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말뚝 다리부(530)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더미 돌출부(531)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말뚝 다리부(530)에 더미 돌출부(531)가 더 형성되면 본 실시예의 팽이파일(500)을 지면에 세워둔 채로 작업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으며, 또한 주변 쇄석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안정적인 하부 구조를 이루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팽이파일(500)이 적용되더라도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미리 배근된 철근이 별도의 철선 묶음 없이도 자리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철선의 미사용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팽이파일 110 : 파일 헤드
111 : 덧살부 120 : 철근 거치홈부
121 : 철근 삽입구간 122 : 철근 연결구간
123 : 철근 이탈저지구간 130 : 말뚝 다리부
131 : 철근 삽입홀

Claims (10)

  1.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파일 헤드; 및
    상기 파일 헤드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상기 파일 헤드에 결합되는 말뚝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헤드의 벽면에는 철근이 거치되는 비직선형의 철근 거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상기 파일 헤드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십자가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간; 및
    상기 철근 삽입구간과 연통되며, 상기 철근이 상기 파일 헤드의 상방으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철근 이탈저지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삽입구간은
    상기 말뚝 다리부의 축심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삽입구간은
    상기 말뚝 다리부의 축심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상기 철근 삽입구간과 상기 철근 이탈저지구간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철근 연결구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철근 삽입구간, 상기 철근 연결구간 및 상기 철근 이탈저지구간은 영문자 J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이탈저지구간과 상기 철근 연결구간은 상기 철근 삽입구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거치홈부는 마주보는 것끼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일 헤드에 덧대어진 덧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다리부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다리부에는 원주 방향을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말뚝 다리부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더미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파일.
KR2020140004918U 2014-07-01 2014-07-01 팽이파일 KR20160000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18U KR20160000092U (ko) 2014-07-01 2014-07-01 팽이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18U KR20160000092U (ko) 2014-07-01 2014-07-01 팽이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92U true KR20160000092U (ko) 2016-01-11

Family

ID=5517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18U KR20160000092U (ko) 2014-07-01 2014-07-01 팽이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09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031B1 (ko) * 2018-11-14 2019-07-01 문형민 연약지반보강용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보강 시공방법
KR20200023130A (ko) 2018-08-25 2020-03-04 김규현 led를 이용한 아두이노 예제 학습키트
KR20200145330A (ko) 2019-06-21 2020-12-30 김현우 led를 이용한 아두이노 예제 학습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487A (ko) 2012-12-14 2014-06-24 주식회사 삼보지반기술 헬리컬 말뚝부와 프리캐스트 팽이부의 일체화 구조를 가지는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 팽이파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487A (ko) 2012-12-14 2014-06-24 주식회사 삼보지반기술 헬리컬 말뚝부와 프리캐스트 팽이부의 일체화 구조를 가지는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 팽이파일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30A (ko) 2018-08-25 2020-03-04 김규현 led를 이용한 아두이노 예제 학습키트
KR101995031B1 (ko) * 2018-11-14 2019-07-01 문형민 연약지반보강용 팽이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보강 시공방법
KR20200145330A (ko) 2019-06-21 2020-12-30 김현우 led를 이용한 아두이노 예제 학습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632B1 (ko) 튜브형 고무몰드를 활용한 중공 피씨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1168B1 (ko)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결합체 및 그의 접합 방법
KR101565468B1 (ko) 원터치식 철근 결합장치
KR101545649B1 (ko) 철근간섭을 방지한 코핑 시공방법
KR20160000092U (ko) 팽이파일
CN204402005U (zh) 一种新型的悬挑卸料平台锚环
KR101451167B1 (ko)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결합체 및 그의 접합 방법
JP6263873B2 (ja) 杭頭部の補強構造
KR101414054B1 (ko) Phc 말뚝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의 제조방법과 phc 말뚝의 두부보강방법
KR20150000958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구조
KR20150058748A (ko) 조립식 교각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28079B1 (ko) 사면 보강용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0194B1 (ko) 합성말뚝과 이의 제작방법
KR20110026206A (ko)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803658B1 (ko)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KR101694964B1 (ko) 합성말뚝
KR20090026867A (ko) 록크볼트
JP2015045202A (ja) アーチ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30146B2 (ja) 鋼管被覆コンクリートパイル
JP6964407B2 (ja) 柱脚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212279B1 (ko) Phc 합성 파일의 제조방법
KR101438306B1 (ko) 상부 덮개를 포함한 팽이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 지반 시공 방법
KR20150057518A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KR20190129174A (ko)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