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14A -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14A
KR20160000014A KR1020140076291A KR20140076291A KR20160000014A KR 20160000014 A KR20160000014 A KR 20160000014A KR 1020140076291 A KR1020140076291 A KR 1020140076291A KR 20140076291 A KR20140076291 A KR 20140076291A KR 20160000014 A KR20160000014 A KR 2016000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phone
vehicle
avn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341B1 (ko
Inventor
이동훈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텔레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텔레컨스 filed Critical (주)텔레컨스
Priority to KR102014007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3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에 장치된 AVN 장치가 스마트폰이 GPS모듈에서 발생된 속도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면 스마트폰이 차량내에 위치하고 인지하여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 발생시 스마트폰을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스마트폰에서 알람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폰의 위치를 인지시켜 스마트폰이 차량 내부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a) 스마트폰이 내장된 GPS모듈의 속도 정보를 감지하여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b) 이후 스마트폰의 접속시도시 AVN장치가 접속을 허락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c) 스마트폰이 AVN장치로부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d) 차량에 설치된 차량정보출력장치가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발생시 AVN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와; e) AVN 장치가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스마트폰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입출력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 loss of smart phone in vehicle using AVN device}
본 발명은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정보출력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의 정보를 받아 차량 차량의 운행, 정지, 도어열림과 같은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차량의 정지 또는 도어 열림시 스마트폰에서 알려줌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가 차량에서 이탈시 스마트폰을 분실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음악, 동영상, 및 네비게이션 등 다양한 앱을 다운받아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가능하게 된 이유는 이동통신망이 LTE 등으로 개편되면서 고속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폰은 저장매체의 발달로 대용량의 전화를 포함한 연락처 정보, 스케줄 정보, 업무나 학업을 위한 각종 자료, 인증서를 포함한 각종 금융자료, 각종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저장할 수 있게 되어 노트북 컴퓨터 영역도 대체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스마트 폰의 분실과 같은 사고가 일어나게 되면 그 사용자는 일상 생활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분실이 일어나게 되면 보통 스마트폰을 찾거나 자료의 유출을 막기 위해 스마트 폰의 위치를 추적하는 앱, 스마트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앱, 스마트폰 내 자료를 초기화 시키는 앱 등을 이용하여 대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앱 등은 대부분 스마트폰 분실 후를 대비한 방편들로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앱이나 장치 등은 아니어서 분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앱이나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차량 등에서 스마트폰을 놓고 내려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앱이나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최근 차량에는 CD, DVD 플레이어, 라디오, 네비게이션,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텔레메틱스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탑재되고 있는데, 이러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는 일종의 서버 컴퓨터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장치와 차량 내 주변 장치들과 정보 및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여러 통신방식을 가진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는 여러 통신모듈 장치를 이용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과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도록 미러 링크(Mirror Link) 또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과 같은 다양한 미러링(Mirroring) 관련 기술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각종 앱 실행 화면을 보여주거나 스마트폰 내에 저장된 음악과 동영상을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양방향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의 ECU정보를 스마트폰에 제공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운항정보 및 정비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되었다.
이처럼 차량의 AVN 장치와 스마트폰과의 융합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는 실정인데, 아직까지 신뢰성 있게 차량에서 사용중인 스마트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AVN 장치와의 연계를 통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94159(2007.03.06.)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19229(2005.03.03.)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1-0111129(2001.12.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치된 AVN 장치가 스마트폰이 GPS모듈에서 발생된 속도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면 스마트폰이 차량내에 위치하고 인지하여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 발생시 스마트폰을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스마트폰에서 알람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폰의 위치를 인지시켜 스마트폰이 차량 내부에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a)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이 실행중인 스마트폰이 내장된 GPS모듈의 속도 정보를 감지하여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b) 이후 스마트폰의 접속시도시 AVN장치에 설치된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이 실행되어 인증된 스마트폰일 경우 접속을 허락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c) 스마트폰이 AVN장치로부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d) 차량에 설치된 차량정보출력장치가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발생시 AVN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와;
e) AVN 장치가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스마트폰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입출력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e) 단계는 AVN 장치가 자체 AVN 입출력부를 통해서도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d) 단계는 차량정보출력장치가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로부터 도어열림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없으면 엔진 RPM 센서로부터의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량정보출력장치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또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와 회로연결된 CAN 트랜스시버로부터 CAN 통신라인을 통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받아 내장된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AVN장치로 전송토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단계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와이파이 모듈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AVN장치에 장치된 무선 AP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를 검색하여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단계는 GPS모듈의 속도 정보가 0 km/h 보다 클 경우 스마트폰이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양태로 GPS모듈,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스마트폰 입출력부, 스마트폰 제어부 및 스마트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GPS모듈에서 발생된 속도 정보에 따라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토록 구성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될 경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해 사용자에게 차량 내 스마트폰 위치를 인지시켜 주도록 무선 AP,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AVN 입출력부, AVN 제어부 및 AVN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AVN장치와;
상기 AVN 장치에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및 엔진 RPM 센서에서 발생된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차량정보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차량정보출력장치는 CAN 통신라인을 통해 CAN 트랜스시버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CAN 트랜스시버는 타측단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및 엔진 RPM 센서와 회로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 블루투스 모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스마트폰은 AVN장치로부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받으면 스마트폰 입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 진동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AVN장치는 스마트폰으로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시 동시에 AVN 입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을 통해 알람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스마트폰은 GPS모듈의 속도 정보가 0 km/h 보다 클 경우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장치된 GPS 모듈에서 제공된 속도가 설정 속도 보다 클 경우 스마트폰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작동시켜 AVN 장치와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된 AVN 장치는 차량의 운행 및 각종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차량정보출력장치로부터 차량의 도어가 열리거나 차량의 엔진 시동 꺼짐 정보를 받으면 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알람토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사용자가 차량 내 스마트폰 위치를 확인하게 됨으로써 차량 내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GPS모듈(11),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2), 스마트폰 입출력부(13), 스마트폰 제어부(14) 및 스마트폰 저장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GPS모듈에서 발생된 속도 정보에 따라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토록 구성된 스마트폰(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될 경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해 사용자에게 차량 내 스마트폰 위치를 인지시켜 주도록 무선 AP(Access point, 21),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2), AVN 입출력부(23), AVN 제어부(24) 및 AVN 저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2)와;
상기 AVN 장치에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 및 엔진 RPM 센서(6)에서 발생된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차량정보출력장치(OBD:On Board Diagnostics, 3);가 구비된다.
상기 차량정보출력장치는 CAN 통신라인을 통해 CAN 트랜스시버(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4)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CAN 트랜스시버는 타측단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 및 엔진 RPM 센서(6)와 회로연결된다. 이때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는 도어 개수만큼 장치되어 회로연결된다.
상기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라 함은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는 인증된 스마트폰을 가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이 속도 변화에 따라 AVN 장치와 접속하게 된다. 또한 AVN 장치는 차량내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및 엔진 RPM 센서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차량의 엔진 시동이 꺼지거나 차량도어가 열렸다는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이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용 앱이 스마트폰의 출력장치를 통해 소리, 진동 또는 화면을 통해 알람 작용을 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차량 내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한다.
스마트폰(1)의 스마트폰 저장부(15)에는 통상적으로 알고있는 공지의 스마트폰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각종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인데, 여기에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이 설치된다.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은 GPS모듈(11)에서 발생된 정보에 따라 차량내 스마트폰이 위치하고 있음을 AVN장치에 인식시키고 AVN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 입출력부(13)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 진동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보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위치를 인식하여 차량내에 놓고 내리지 않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토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앱니다. 이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은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와 같은 다수의 앱 마켓에서 다운받거나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은 최초 설치시 항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하거나 실행 명령을 주었을 때만 실행되어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은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을 설치 후 스마트폰 입출력부(13)를 구성하는 터치패널 스크린을 통해 환경설정 항목을 변경하여 선택하면 된다.
스마트폰 제어부(14)는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이 로드되어 실행되게 되면 GPS모듈(11)의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속도 이상의 정보가 수신되면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2)을 활성화하여 주변에 AVN 장치(2)가 있는지를 검색하게 된다.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이용하여 검색하게 된다. 와이파이 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AVN장치의 무선AP를 통해 접속을 시도하게 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하게 되면 AVN장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무선 AP를 거치지 않도 직접 AVN장치를 검색하여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모듈이 활성화되면 주변에 있는 무선 AP를 검색하여 검색된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사전에 비밀번호 입력과 같은 사전 인증과정을 거친 무선 AP일 경우 자동으로 연결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주변을 검색하면 미리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개방된 상태의 AVN 장치(2)가 검색되고 별도의 확인 작업 없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2)는 무선 AP(Access point, 21),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2), AVN 입출력부(23), AVN 제어부(24) 및 AVN 저장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보통 차량 대시보드에 고정 설치된다.
AVN 저장부(25)에는 통상적으로 알고있는 AVN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각종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인데, 여기에 본 발명의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이 설치된다.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은 무선 AP(Access point, 21) 또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2)을 통해 인증된 스마트폰(1)이 접속을 시도하면 실행되어 인증된 스마트폰으로 판단되면 해당 스마트폰이 운행중인 차량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필요로 하는 차량 내부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앱이다. 이때 사용되는 차량 내부정보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 및 엔진 RPM 센서(6)를 통해 전송되는 차량 도어 열림 정보와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정보이다.
이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은 플레이스토어와 같은 앱 마켓에서 다운받거나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은 최초 설치시 항시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하거나 무선 AP(Access point, 21) 또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2)을 통해 인증된 스마트폰(1)이 접속을 시도할 때 활성화 되어 작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은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을 설치 후 AVN 입출력부(23)를 구성하는 터치패널 스크린을 통해 환경설정 항목을 변경하여 선택하면 된다.
AVN 제어부(24)는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이 로드되어 실행되게 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차량정보출력장치(OBD:On Board Diagnostics, 3)로부터 차량 도어 열림 정보와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정보를 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게 된다.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전력 소모량이 적은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AVN 장치(2)의 AVN 입출력부(23)는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에 의해 스마트폰 입출력부(13)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 진동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보내질 때, 함께 연동되어 AVN 입출력부(23)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으로도 함께 알람신호가 보내져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자가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에 탑승시 운전자 또는 주변의 탑승자가 알려줄수도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차량정보출력장치(OBD: On Board Diagnostics, 3)는 CAN통신라인으로 연결된 CAN 트랜스시버(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4)로부터 차량 도어 열림 정보와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정보를 받아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AVN 장치(2)로 전송하게 된다. 사용되는 근거리통신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인접거리에 있는 기기와 통신시 전력소모가 적어 바람직하다.
상기 CAN 트랜스시버(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4)는 일측단에 연결된 CAN 통신라인을 통해 차량 도어 열림 정보와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정보를 받아 차량정보출력장치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CAN 트랜스시버(4)를 사용하여 복수라인으로 이루어진 CAN 통신라인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게 되면 만약 어느 하나의 통신라인이 단선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차량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통신 방식이다. 차량 도어 열림 정보와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정보는 CAN 트랜스시버(4)와 회로 연결된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 및 엔진 RPM 센서(6)를 통해 전달된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 차량 도어마다 설치되어 차량 도어가 개폐시마다 ON 또는 OFF 신호를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도어가 열렸을 때 나타나는 ON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스마트폰에 알람 신호가 가도록 구성하면 도니다.
상기 엔진 RPM 센서(6)는 엔진 작동시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로 차량의 엔진이 작동하면 해당 회전수만큼 숫자가 올라가고 정지되게 되면 작동을 멈추게 되어 RPM이 제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엔진의 RPM이 제로가 될 때 상기 스마트폰에 알람 신호가 가도록 구성하면 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1)에 스마트폰 저장부(15)에 저장된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이 스마트폰 제어부(14)에 로드되면 실행되는 단계(S100)를 가진다.
이후 스마트폰 제어부(14)는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에 프로그래밍된 절차에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모듈(11)로부터 전달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101)를 가진다.
GPS모듈(11)로부터 전달되는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높다고 판단될 경우(S102) 스마트폰 제어부(14)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2)을 활성화하여 주변에 AVN장치(2)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S103)를 가진다. 만약 GPS모듈(11)로부터 전달되는 속도가 미리 설정된 속도보다 낮을 경우는 계속 GPS모듈(11)로부터 전달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S101)로 되돌아 간다. 여기서 설정된 속도는 차량이 정지한 속도를 기준으로 할 경우 경우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아니면 기타 임의의 속도를 설정하면 된다.
AVN 장치(2)는 스마트폰(1)에 내장된 와이파이 또는 와이파이다이렉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2)로부터의 접속시도가 감지되면 AVN 저장부(25)에 저장된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이 AVN 제어부(24)에 로드되어 실행되는 단계(S104)를 가진다.
이후 AVN 제어부(24)는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의 프로그래밍된 절차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는 스마트폰(1)이 인증된 스마트폰일 경우 자동으로 접속을 허락하여 연결되는 단계(S105)를 가진다.
이때 상기 S104 단계 또는 S105단계에서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251)이 작동되지 않거나 스마트폰과의 연결이 잘되지 않아 연결시도 횟수가 설정된 횟수 보다 많을 경우 연결실패 알림 단계(S107)를 거쳐 상기 S101단계로 가고, 연결시도 횟수가 설정된 보다 적을 경우는 재차 상기 S103 단계로 되돌아 가는 단계(S106)를 가진다.
이후 AVN장치와 연결된 스마트폰(1)은 접속되어 연결된 AVN장치로부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108)를 가진다.
이후 AVN장치(2)와 스마트폰(1)과 연결되면 차량에 설치된 차량정보출력장치(3)는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다가 어느 하나의 정보 발생시 AVN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S111, S112)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차량정보출력장치(3)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로부터 도어열림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9)와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로부터의 정보가 없으면 엔진 RPM 센서(6)로부터의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0)을 가진다.
이후 상기 S109단계 또는 S110단계에서 신호가 있으면 차량정보출력장치(3)는 AVN 장치로 도어열림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11) 또는 AVN 장치로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12)를 가진다.
이때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 또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5)는 회로연결된 CAN 트랜스시버(4)로 실시간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CAN 트랜스시버(4)는 CAN통신라인을 통해 접속된 차량정보출력장치(3)로 전송하고, 차량정보출력장치(3)는 내장된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AVN장치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저전력을 사용함으로 바람직하다.
이후 AVN 장치(2)는 수신된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S113)를 가진다.
이후 스마트폰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수신(S114)하면 스마트폰 입출력부(13)를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115)를 가진다. 신호는 스피커의 소리, 터치패널 스크린의 색상 반전효과, 진동부의 진동과 같은 수단을 통해 알람 신호가 사용자가 인지토록 하면 된다.
이후 스마트폰의 위치를 인지한 사용자가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비스를 종료(S116)코자 한다면 스마트폰의 스마트폰 입출력부(13)를 구성하는 터치패널 스크린을 조작하여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을 종료하는 단계(S117)를 거쳐 종료하면 된다.
만약 종료 의사가 없으면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151)은 자동재실행되는 단계(S118)을 통해 S101 단계로 되돌아 가도록 한다.
상기 S117 단계는 상기 S116 단계에서 스마트폰의 서비스가 종료되었을 때, 사용자의 의지로 종료를 시킨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는 비정상적인 종료가 일어났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재 시작되어 재실행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스마트폰 (2) : AVN장치
(3) : 차량정보출력장치 (4) : CAN 트랜스시버
(5) :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6) : 엔진 RPM 센서
(11) : GPS모듈 (12, 22)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13) : 스마트폰 입출력부 (14) : 스마트폰 제어부
(15) : 스마트폰 저장부 (21) : 무선 AP
(23) : AVN 입출력부 (24) : AVN 제어부
(25) : AVN 저장부 (151) :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
(251) :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

Claims (12)

  1. a) 스마트폰 분실방지 클라이언트 앱이 실행중인 스마트폰이 내장된 GPS모듈의 속도 정보를 감지하여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b) 이후 스마트폰의 접속시도시 AVN장치에 설치된 스마트폰 분실방지 서버 앱이 실행되어 인증된 스마트폰일 경우 접속을 허락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c) 스마트폰이 AVN장치로부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d) 차량에 설치된 차량정보출력장치가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발생시 AVN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와;
    e) AVN 장치가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단계와;
    f) 스마트폰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폰 입출력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AVN 장치가 자체 AVN 입출력부를 통해서도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차량정보출력장치가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로부터 도어열림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없으면 엔진 RPM 센서로부터의 차량 엔진 시동 꺼짐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출력장치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또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와 회로연결된 CAN 트랜스시버로부터 CAN 통신라인을 통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받아 내장된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AVN장치로 전송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와이파이 모듈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AVN장치에 장치된 무선 AP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를 검색하여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GPS모듈의 속도 정보가 0 km/h 보다 클 경우 스마트폰이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7. GPS모듈,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스마트폰 입출력부, 스마트폰 제어부 및 스마트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GPS모듈에서 발생된 속도 정보에 따라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토록 구성된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될 경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해 사용자에게 차량 내 스마트폰 위치를 인지시켜 주도록 무선 AP,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AVN 입출력부, AVN 제어부 및 AVN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AVN장치와;
    상기 AVN 장치에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및 엔진 RPM 센서에서 발생된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차량정보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출력장치는 CAN 통신라인을 통해 CAN 트랜스시버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CAN 트랜스시버는 타측단이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도어 개폐용 센서 및 엔진 RPM 센서와 회로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듈, 블루투스 모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AVN장치로부터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받으면 스마트폰 입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 진동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AVN장치는 스마트폰으로 도어열림 정보 또는 차량엔진 꺼짐 정보를 전송시 동시에 AVN 입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 터치패널 스크린을 통해 알람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GPS모듈의 속도 정보가 0 km/h 보다 클 경우 AVN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시스템.


KR1020140076291A 2014-06-23 2014-06-23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60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91A KR101602341B1 (ko) 2014-06-23 2014-06-23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91A KR101602341B1 (ko) 2014-06-23 2014-06-23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14A true KR20160000014A (ko) 2016-01-04
KR101602341B1 KR101602341B1 (ko) 2016-03-11

Family

ID=5516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91A KR101602341B1 (ko) 2014-06-23 2014-06-23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46B1 (ko) * 2018-01-25 2019-06-12 주식회사 오션아이 차량 탑승시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분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536246A (zh) * 2019-06-28 2019-12-0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防丢失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91B1 (ko) * 2017-02-09 2024-04-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원격 페어링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25634B1 (ko) 2020-09-24 2022-07-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폰 방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오디오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129A (ko) 2000-06-08 2001-12-17 백민호 무선인식을 이용한 도난방지 및 휴대전화 착신신호감지장치
KR20050019229A (ko) 2003-08-18 2005-03-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단말기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4159B1 (ko) 2004-12-0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분실된 이동 단말을추적하는 방법
KR20110085679A (ko) * 2010-01-21 2011-07-27 글로컴비즈코리아주식회사 지그비 통신과 캔 통신의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장치
JP2013191960A (ja) * 2012-03-13 2013-09-26 Panasonic Corp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40067688A (ko) * 2012-11-27 201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연결장치 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129A (ko) 2000-06-08 2001-12-17 백민호 무선인식을 이용한 도난방지 및 휴대전화 착신신호감지장치
KR20050019229A (ko) 2003-08-18 2005-03-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단말기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694159B1 (ko) 2004-12-03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분실된 이동 단말을추적하는 방법
KR20110085679A (ko) * 2010-01-21 2011-07-27 글로컴비즈코리아주식회사 지그비 통신과 캔 통신의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자가진단장치
JP2013191960A (ja) * 2012-03-13 2013-09-26 Panasonic Corp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KR20140067688A (ko) * 2012-11-27 2014-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연결장치 알림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346B1 (ko) * 2018-01-25 2019-06-12 주식회사 오션아이 차량 탑승시 무선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분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536246A (zh) * 2019-06-28 2019-12-0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防丢失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341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9762B2 (en) Remotely operating a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auxiliary device
US9701305B2 (en) Automatic valet parking
CN103825630B (zh) 利用装置运动和近场通信控制车辆接口的方法
US8626144B2 (en) Bluetooth low energy approach detections through vehicle paired capable devices
JP5966718B2 (ja) 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近距離無線通信端末
US20170032593A1 (en) Remote wireless keyfob diagnostics
US8391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communication device detection and connection
US9432828B1 (en) Vehicle emergency dialing system
US20140266635A1 (en) Communicating with residential electrical devices via a vehicle telematics unit
US9949267B2 (en) Vehicle telematics services in coordination with a handheld wireless device
US201703027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ular network backup connectivity
KR101602341B1 (ko) Avn 장치를 이용한 차량 내 스마트폰 분실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81023A1 (en) Enabling features and display reminders on a mobile phone
US9113288B2 (en) Controlling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vehicle telematics unit and an in-vehicle audio system
CN107182035A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US20170102697A1 (en) Selecting a vehicle function to control us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8632783A (zh) 由车辆进行的无线接入点检测和使用
US20160343233A1 (en) Providing a building door reminder in a vehicle
CN108737090A (zh) 用于动态车辆密匙生成和处理的方法和设备
CN109152088B (zh) 无线装置连接管理方法
US10251211B1 (en) Vehicle connection maintenance system
US9408043B2 (en) Detecting the presence of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CN106274908A (zh) 车辆功能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3153804A1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両用通信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KR20140052424A (ko) 차량 내 휴대 단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활성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