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759A -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5759A KR20150145759A KR1020140074802A KR20140074802A KR20150145759A KR 20150145759 A KR20150145759 A KR 20150145759A KR 1020140074802 A KR1020140074802 A KR 1020140074802A KR 20140074802 A KR20140074802 A KR 20140074802A KR 20150145759 A KR20150145759 A KR 20150145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pair
- molten resin
- coupled
- injector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고, 전체 기구를 안정되어지게 고정하는 노즐 결합부(110)와; 상기 노즐 결합부(110)의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와;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투광기(132)와 수광기(134)로 구성된 한쌍의 센서장착부(13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사출기 노즐에서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작업자 또는 엔지니어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또는 엔지니어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사출기 노즐에서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작업자 또는 엔지니어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또는 엔지니어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입노즐의 팁에서 흘러나와 주입노즐의 팁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용융된 수지를 감지하여, 사출성형기의 작업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데 사출성형기를 사용하고 있다. 사출성형기는 수지를 가열실린더에서 용융한 다음, 사출기 노즐을 통하여 수지원료를 매니폴드로 주입시키고, 주입된 수지원료는 상하 금형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캐비티 내부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후, 냉각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플라스틱 수지를 금형 내부의 캐비티에 주입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호퍼에서 플라스틱 원료를 공급하고, 플라스틱 원료를 가열실린더의 내부로 보내고, 그 곳에서 플라스틱 원료를 용융시킨 후, 미리 설정된 분량의 플라스틱 용융물을 스크루에 의해 고압으로 밀어내고, 고압의 플라스틱 용융물은 사출기 노즐을 통하여 금형 내부의 캐비티로 주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금형은 상기 사출기 노즐을 안전하게 안내하고 상기 주입구멍에 일치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원형의 로케팅링을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상기 주입구멍이 위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의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물을 제조하게 될 경우, 사출기 노즐은 상기 금형 내부의 캐비티로 연결된 주입구멍에 강하게 밀착되어지게 되고, 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분량의 플라스틱 용융물을 상기 주입구멍을 통하여 금형 내부의 캐비티로 주입하게 되는데,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이 상기 캐비티로 완전하게 주입되지 못하고, 그 일부의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설되어서 상기 사출기 노즐의 외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예컨대, 사출작업 도중에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설되어 사출기 노즐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출성형기를 장기간 사용함으로 인하여 사출기 노즐이 조금씩 조금씩 하방으로 쳐지게 되어서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거나, 또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사출성형기로 여러가지 다른 사출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출기 노즐을 빈번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 교체된 사출기 노즐이 금형 내부의 주입구멍에 잘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거나, 또는 사출기 노즐의 끝단에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어떤 이물질이 끼어들어서 사출기 노즐의 밀착을 방해하거나, 또는 장시간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 소량의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출되어지고, 누출된 플라스틱 용융물이 고온에 의해 탄화됨으로써 사출기 노즐의 밀착을 방해하는 등의 사례를 예시할 수 있다.
현재, 성형작업 중에는 상기 사출기 노즐의 주위에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출되는 현상을 발견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사출성형기들이 자동화되어 있어서, 한 사람의 엔지니어가 수십대의 사출성형기를 상대로 하여 작업 도중에 일일이 플라스틱 용융물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안전을 고려하여 대부분의 사출성형기들이 사출기 노즐의 주위에 안전커버를 장착하고 있어서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날 대부분의 경우에는 일단 일련의 사출작업을 마친 이후에 비로소 사출기 노즐의 오염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사출기 노즐의 주위에 플라스틱 용융물이 흘러나와서 고온에 의해 탄화되거나, 사출작업을 마치고 냉각된 다음 고화되어지게 되면, 다음과 같이 매우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먼저, 사출기 노즐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출되어지면, 캐비티 내부에 주입되어야 할 플라스틱 원료가 누출된 분량 만큼 부족하게 되고, 이는 최종 제품의 품질에 심각한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정밀한 성형제품과 광학렌즈와 같이 광학분야의 성형제품의 경우에는, 외부의 치수는 문제되지 않지만, 제품의 내부에서 수축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빛의 굴절율을 불균일하게 야기하게 되어, 최종 제품에 치명적인 불량 원인으로 작용되는 것이다.
또한, 사출기 노즐의 외주연에 고착되어 있는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다. 일단 플라스틱은 상온에서 고화되어 딱딱한 물체로 변화되어 있는데,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조금씩 조금씩 깨트려가면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보통 하루 내지 이틀이 소요되기도 하는데, 이 기간은 매우 장기간에 속한다. 예컨대, 핸드폰 커버 성형품의 경우 매 10초 마다 금형에서 쏟아져나오고, TV의 테두리 베젤 성형품의 경우 매 1분마다 금형에서 쏟아져 나오게 되므로, 사출성형기를 하루 내지 이틀 가동시키지 못하는 것은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큰 손실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오늘날 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형품의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너무 강해서, 그 제거작업 자체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부득이 사출기 노즐의 플라스틱을 제거하느니, 차라리 오염된 사출기 노즐 자체를 폐기처분하고 새로운 사출기 노즐을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사출기 노즐의 외주연에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출되는 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이러한 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장치를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입노즐의 팁에서 흘러나와 주입노즐의 팁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용융된 수지를 감지하여, 사출성형기의 작업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출기 노즐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고, 전체 기구를 안정되어지게 고정하는 노즐 결합부와; 상기 노즐 결합부의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사출기 노즐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막대부와; 상기 사출기 노즐의 외주연에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센서 장착부;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즐 결합부는 상기 사출기 노즐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 결합부는 상기 사출기 노즐의 외주연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고 있고, 또한 그 고온의 열을 다른 부위에 전달시키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 고온에서 탄화되지 않으며 강한 충격성을 가지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는 상기 한쌍의 센서 장착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센서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위치조절부는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고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센서 장착부는 레이저파, 광파, 또는 기타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한쪽 방향으로 투사시키는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에서 투사된 레이저파, 광파, 또는 기타 전자파를 받아서 응답하는 수광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센서 장착부는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수광기와; 상기 투광기 및 상기 수광기를 내부에 장착시키고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와; 상기 보호부재를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의 끝단에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를 사용할 경우, 사출기 노즐에서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작업자 또는 엔지니어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또는 엔지니어가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를 사용할 경우, 비교적 초기에 사출기 노즐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이 누출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누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을 비교적 쉽게 찾아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를 사용할 경우, 누출된 플라스틱 용융물이 소량이어서 비교적 가볍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성형작업을 단시간 내에 재개함으로써, 성형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며,
도 3은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5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를 사출기 노즐(10)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며,
도 3은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5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를 사출기 노즐(10)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원인으로 주입노즐의 팁에서 흘러나오게 되는 플라스틱 용융물을 조기에 감지하여 외부에 알려줄 수 있는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며, 도 3은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는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고, 전체 기구를 안정되어지게 고정하는 노즐 결합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본 발명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방식은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원형의 링 형상 또는 내부에 원형을 가진 사각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형상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좀더 원만하고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형상으로 분리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b에서는 2개의 반원형 링(112)(114)을 결합시켜 하나의 원형 브라켓으로 완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4a 및 도 4b에서는 내부에 반원형 링을 가진 사각형 브라켓을 결합시켜 하나의 노즐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해주고 있다.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에 대하여 저항력을 가지고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출기 노즐(10)은 그 내부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을 용이하게 유동시켜야 하므로, 외부에서 계속적으로 가열해주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다수의 히터(도시되지 않음)가 그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기 노즐(10)의 표면은 고온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온의 열을 장시간 견뎌낼 수 있는 재질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출기 노즐(10)은 사출기 노즐(1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다른 부위로 전달시키지 않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이 점에서 고온에서 탄화되지 않으며 강한 충격성을 가지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벡크라이트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는 상기 노즐 결합부(110)의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상기 노즐 결합부(110)의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길이는 각각의 성형장치에 따라 사출기 노즐(10)의 형상과 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그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22)을 미리 형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구멍(122)은 상기 고정막대부(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그 일단이 상기 노즐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위(124)를 형성하고, 그 타단은 한쌍의 센서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부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위(124)는 상기 노즐 결합부(110)에 결합되어 고정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노즐 결합부(110)의 양쪽에서 상부, 중앙, 하부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좋다.(도 4a 및 도 4b 참조). 상기 고정결합부위(124)는 용접식으로 완전 고정될 수도 있고, 나사리벳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위(124)는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일단과 그 타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곡선상으로 형성되거나(도 2 참조), 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가 일직선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결합부위(124)의 수평면상의 위치와 상기 타단의 위치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상기 타단에는 한쌍의 센서장착부(130)가 결합되어지게 되므로, 상기 고정결합부위(124)와 상기 센서장착부(130)의 위치가 서로 달라지게 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는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센서장착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는 레이저파, 광파, 또는 기타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한쪽 방향으로 투사시키는 투광기(132)와; 상기 투광기(132)에서 투사된 레이저파, 광파, 또는 기타 전자파를 받아서 응답하는 수광기(13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는 상기 투광기(132) 및 상기 수광기(134) 이외에, 상기 투광기(132) 및 상기 수광기(134)를 내부에 장착시키고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136)와; 상기 보호부재(136)를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끝단에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8)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136)의 내부에 상기 투광기(132) 및 상기 수광기(134)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성형작업 도중에 고온의 플라스틱 용융물이 흘러들어갈 염려가 없게 된다.
상기 투광기(132)에서 발생된 레이저파, 광파, 또는 기타 전자파를 상기 수광기(134)에서 인식하게 되면, 사출성형기는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반면에, 상기 투광기(132)에서 발생된 레이저파, 광파, 또는 기타 전자파가 장애물(예컨대, 사출성형기의 작업 도중에 발생된 플라스틱 용융물)에 가로막혀서 상기 수광기(134)에서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 사출성형기는 비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전면 노즐 팁(12)의 하단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광기(132)와 상기 수광기(134)는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적인 센서에 불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출기 노즐(1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를 사출기 노즐(10)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상기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의 사용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투광기(132)와 상기 수광기(134)를 각각의 보호부재(136)의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타단에 상기 보호부재(136)를 각각 결합시킨다.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타단에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가 결합되어지면,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일단을 2개의 반원형 링(112)(114)에 각각 결합시킨다.
상기 2개의 반원형 링(112)(114)을 사출기 노즐(10)의 원주에 밀착시키고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사출기 노즐(10)에 본 발명을 완전히 결합시킨다.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하단에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제반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가 사출기 노즐(10)에 장착되어 결합되어지면, 상기 투광기(132)와 상기 수광기(134)에 연결된 전선(20)을 별도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키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성형작업을 진행한다.
성형작업은 사출기 노즐(10)을 이동시켜서 사출기 노즐(10)의 노즐 팁(12)이 금형(30)의 주입구멍(32)에 정확하게 맞추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내부에 있는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기 주입구멍(32)을 통하여 금형의 캐비티(34)로 강제로 주입시키는 것으로 진행되어진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노즐 팁(12) 부위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이 흘러나오게 되면, 상기 투광기(132)에서 발산된 레이저파 등을 가로막게 되고, 상기 센서장착부(130)에서 이상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기(도시되지 않음)는 성형작업을 중단시키고, 경고신호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작업 도중에, 상기 경고신호 또는 경고음이 발생되어지면, 작업자는 성형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관련된 사출성형기를 수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100) 및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110 : 노즐 결합부, 112, 114 : 반원형 링,
120 : 한쌍의 고정막대부, 122 : 결합구멍,
124 : 고정결합부위, 126 : 센서위치조절부,
130 : 한쌍의 센서 장착부, 132 : 투광기,
134 : 수광기, 136 : 보호부재,
138 : 결합부재
110 : 노즐 결합부, 112, 114 : 반원형 링,
120 : 한쌍의 고정막대부, 122 : 결합구멍,
124 : 고정결합부위, 126 : 센서위치조절부,
130 : 한쌍의 센서 장착부, 132 : 투광기,
134 : 수광기, 136 : 보호부재,
138 : 결합부재
Claims (8)
-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고, 전체 기구를 안정되어지게 고정하는 노즐 결합부(110)와;
상기 노즐 결합부(110)의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와;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전방에 있는 노즐 팁(12)의 외주연에 흘러나온 플라스틱 용융물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투광기(132)와 수광기(134)로 구성된 한쌍의 센서장착부(1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2개의 반원형 링(112)(114)을 결합시켜 완성되어지는 원형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형 링 형상을 포함하고 있고,
내부에 반원형 링을 가진 사각형 브라켓을 결합시켜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결합부(110)는 상기 사출기 노즐(10)의 외주연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에 대하여 견뎌낼 수 있는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사출기 노즐(1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다른 부위로 전달시키지 않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결합구멍(12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그 일단이 상기 노즐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위(124)를 형성하고, 그 타단은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가 결합되어 있는 센서위치조절부(126)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그 일단과 그 타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그 일단과 그 타단이 서로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센서장착부(130)는, 상기 투광기(132) 및 상기 수광기(134)를 내부에 장착시키고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136)와; 상기 보호부재(136)를 상기 한쌍의 고정막대부(120)의 끝단에 고정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8)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4802A KR20150145759A (ko) | 2014-06-19 | 2014-06-19 |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4802A KR20150145759A (ko) | 2014-06-19 | 2014-06-19 |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5759A true KR20150145759A (ko) | 2015-12-31 |
Family
ID=5512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4802A KR20150145759A (ko) | 2014-06-19 | 2014-06-19 |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4575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156A (ko) * | 2017-04-12 | 2018-10-22 | 주식회사 썸타지 | 사출성형기의 밀폐형 단열커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0750B1 (ko) | 1990-01-24 | 1999-03-30 | 가다따 데쯔야 | 사출성형기의 충전량 검출방법 |
KR101160536B1 (ko) | 2007-08-22 | 2012-06-27 | 도요 기카이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 사출 성형기 |
KR101205659B1 (ko) | 2008-03-27 | 2012-11-27 | 도시미치 니시자와 | 사출 성형기 및 그것을 사용한 사출 성형 방법 |
KR20140051064A (ko) | 2012-10-22 | 2014-04-30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사출성형기 |
-
2014
- 2014-06-19 KR KR1020140074802A patent/KR201501457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0750B1 (ko) | 1990-01-24 | 1999-03-30 | 가다따 데쯔야 | 사출성형기의 충전량 검출방법 |
KR101160536B1 (ko) | 2007-08-22 | 2012-06-27 | 도요 기카이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 사출 성형기 |
KR101205659B1 (ko) | 2008-03-27 | 2012-11-27 | 도시미치 니시자와 | 사출 성형기 및 그것을 사용한 사출 성형 방법 |
KR20140051064A (ko) | 2012-10-22 | 2014-04-30 |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사출성형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156A (ko) * | 2017-04-12 | 2018-10-22 | 주식회사 썸타지 | 사출성형기의 밀폐형 단열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92198B2 (ja) | モールドの洗浄システム | |
CN114102928A (zh) | 模具的清洗系统 | |
KR20170121075A (ko) | 금형 감시 장치 | |
KR20150145759A (ko) | 사출성형기용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 장치 | |
KR20130023343A (ko) |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파이프들을 맞대기 용접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00068080A (ko) | 레이저 클래딩 헤드 | |
US5975882A (en) | Molded optical component with gate stubs removed from peripheral rim portions | |
KR20150145760A (ko) | 사출성형기의 누출 용융수지의 감지시스템 | |
CN102529071B (zh) | 快速更换系统和用于容器处理机器的操作方法 | |
JP6341955B2 (ja) | 接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接合成形品の製造装置 | |
CN104797403A (zh) | 模具构造、转印成型装置以及转印成型方法 | |
KR100877533B1 (ko) |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 |
EP3520984B1 (en) |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mold unit | |
KR101432060B1 (ko) | 레이저 옵틱헤드용 보호 글라스 유닛 | |
KR101346431B1 (ko) | 조관기에 있어서 강관 내에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한 슬러지 방지장치 | |
US12109750B2 (en) |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movable element for a machine for manufacturing plastic receptacles | |
JP2008238687A (ja) | 金型装置と射出成形方法、及び光学素子 | |
JP7506928B2 (ja) | 金型洗浄方法と金型洗浄装置 | |
JP2019171421A (ja) | 鋳造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鋳造方法 | |
WO2022162806A1 (ja) | 異常監視装置、異常監視方法、及び、異常監視プログラム | |
KR20050096397A (ko) | 게이트 커팅 머신 | |
JP6437830B2 (ja) | 射出成形用金型 | |
KR100862079B1 (ko) | 대형 오링의 성형장치 | |
JP7191365B2 (ja) | 樹脂成形品の接合方法 | |
JP2007062085A (ja) | 射出成形ホットランナ金型の色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