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33B1 -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33B1
KR100877533B1 KR1020070091439A KR20070091439A KR100877533B1 KR 100877533 B1 KR100877533 B1 KR 100877533B1 KR 1020070091439 A KR1020070091439 A KR 1020070091439A KR 20070091439 A KR20070091439 A KR 20070091439A KR 100877533 B1 KR100877533 B1 KR 100877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usion
refrigerator door
fusion block
se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김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춘 filed Critical 김영춘
Priority to KR102007009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29C65/24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the heat transfer being achieved contactless, e.g. by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6Sealing devices, e.g. packaging for pistons or pipe joints
    • B29L2031/265Packings, G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가스켓 융착금형은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104)을 구성하는 각각의 시일바아(10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부(20)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 융착블록(10)과,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 사이에 진입 및 후퇴되도록 설치된 히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작업 공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가스켓의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아울러, 작업 인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일바아, 경사단부, 히터, 간접열, 융착, 융착블록, 버어, 가스켓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Gasket connection mold for refrigerator door and refrigerator door gaske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공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가스켓의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아울러, 작업 인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도어의 안쪽면에는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이 부착되어, 도어를 닫았을 때 가스켓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켓은 사각형 냉장고 도어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복수개의 고무재질의 시일용 바아의 양단부를 열을 가하여 융착시킴으로써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을 제작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열융착 설비에 의해 직접 각각의 시일바아의 단부를 용융시켜 접합시키는 방식(즉, 직접열 방식)을 채용하여 각 시일바아를 융착시키기 때문에, 각각의 시일바아의 열융착 접합된 부분(즉, 사각형 가스켓의 코너 부분)의 양면에 비교적 많은 량의 버어가 잔류하며, 이로 인해, 가스켓의 접합부분 주위 전체를 공구를 이용하여 사상 가공하여 버어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늘어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즉, 열융착 공정 이외에 다시 한번 사상 가공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 공정수가 늘어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열융착 설비에 의해 직접 시일바아의 단부를 용융시켜 융착 접합하는 관계로 작업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가스켓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가스켓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공수를 줄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가스켓의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아울러, 작업 인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을 구성하는 각각의 시일바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 융착블록과, 상기 좌우 융착블록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 사이에 진입 및 후퇴되도록 설치된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이 제공된다.
상기 좌우 융착블록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형과, 상기 상형과 맞닿도록 된 하형을 포함하며, 상기 상형과 하형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시일바아 삽입용 상부오목홈과 하부오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형과 하향의 상부오목홈과 하부오목홈이 만나서 상기 삽입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시일바아를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하여 제작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에 있어서,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 융착블록의 상기 삽입공간부에 각각 시일바아를 삽입하고, 상기 융착블록의 경사면 사이에 히터를 배치시키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을 1차 전진시켜 상기 시일바아의 경사단부를 상기 히터의 양면에 인접시켜 용융시키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을 2차 전진시켜 상기 히터에 의해 용융된 상기 시일바아의 경사단부를 접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이 제공된다.
상기 융착블록의 선단부 경사면에 상기 삽입공간부의 외곽부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된 스톱핑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 융착블록을 1차 전진시켜 상기 경사면 사이에 배치된 히터에 의해 서로 이웃한 시일바아 선단부의 경사단부를 용융시킨 다음,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을 맞닿는 방향으로 2차 전진시켜 상기 좌우 융착블록의 경사면 사이에 공간부를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시일바아의 용융된 경사단부를 접합시켜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을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시일바아의 경사진 경사단부가 히터에 밀착 용융된 다음에 서로 접합되는 간접열 가열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므로, 종래에 비하여 80% 이상 버어가 제거되며 잔류한 부분은 작업자가 손으로 간단하게 제거하면 되므로, 종래의 직접열 방식에 의해 시일부재가 접합된 제품(즉, 종래의 가스켓)에 비하여 품질이 양호한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각 시일바아의 융착 접합 부분에 버어가 80% 이상 제거되어, 작업자가 추후 공정에서 별도의 사상장치를 이용하여 버어를 사상 가공으로 제거하지 않고, 간단하게 손으로 나머지 잔류 부분만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고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각 시일바아의 융착 접합 부분에 형성된 비교적 다량의 버어를 제거하기 위해 각 사상장치에 모두 작업자가 배치되어야 하는 종래와 달리, 각각의 사상장치에 작업자가 배치될 필요가 없이 복수개의 사상장치에 한 사람의 작업자만 배치하면 되므로, 작업 인력의 낭비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직접열로 각 시일바아를 녹여서 접합시키지 않고, 히터의 간접열에 의해 융착시키는 간접열 방식을 채용하므로, 가스켓의 융착 부위에서의 불량률이 줄어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70~80% 정도 불량륭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는 좌우 융착블록의 서로 마주하는 경사면에 복수개의 스톱핑돌부를 구비하고, 이 스톱핑돌부는 좌우 융착블록을 맞닿는 방향으로 전진시킬때, 좌우 융착블록의 경사면 전체가 부딪치지 않고 공간부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좌우 융착블록의 경사면 전체가 부딪힘으로 인하여 좌우 융착블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종래와 달리 좌우 융착블록을 스테인레스(SUS)로 제작하여 상대적으로 강도를 높임으로써, 가스켓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융착금형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융착블록의 상형을 하형에서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융착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히터를 개념 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켓 융착금형에 의해 가스켓을 융착시켜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시일바아를 접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은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104)을 구성하는 각각의 시일바아(10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부(20)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 융착블록(10) 및 히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형(12)과, 이 상형(12)과 맞닿도록 상형(12)의 하측에 배치된 하형(1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형(12)은 연결판(13p)(도 1에 도시됨)을 매개로 연결된 실린더(13c)와 같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하형(16)은 작업대에 지지되어 상형(12)의 하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형(12)과 하형(16)은 작업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다이(미도시)에 장착되고, 이동다이(미도시)는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와 같은 전후진 수단에 연결되어, 이 전후진 수단이 전후진 작동됨에 따라 좌우 융착블록(10)의 상형(12)과 하형(16)이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형(12)과 하형(16)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시일바아(102)가 삽입되기 위한 상부오목홈(14)과 하부오목홈(18)이 각각 형성되어, 상형(12)과 하향의 상부오목홈(14)과 하부오목홈(18)이 만나서 시일바아(10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부(2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좌우 융착블록(10) 선단부의 경사면(22)은 융착블록(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45°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경사면(22)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스톱핑돌부(28)가 돌출 형성된다. 이 스톱핑돌부(28)는 경사면(22)에서 전방(즉, 마주하는 방향)으로 1.5mm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진시킬 때,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 형성된 스톱핑돌부(28)가 서로 맞닿아서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전체가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는 삽입공간부(20)의 외곽 둘레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어컷팅부(60)가 돌출 형성되어, 좌우 융착블록(10)을 2차 전진시켜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를 융착시킬 때, 좌우 융착블록(10)의 버어컷팅부(60)가 서로 맞닿아 시일바아(102)의 접합 부위에서 버어(b)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시일바아(102)의 융착 접합시 버어(b)가 제거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삽입공간부(20)에는 외부의 진공압 공급장치에 연통되는 진공흡입홀(24)이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융착블록(10)의 각각의 하형(16)의 하측오목홈의 전방 상면 위치에 복수개의 진공흡입홀(24)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공흡입홀(24)은 도시되지 않은 진공공급장치에 호스를 통해 연 통된다.
아울러,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삽입공간부(20)에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에 연통되는 에어분사홀(26)이 더 형성된다. 이 에어분사홀(26)도 하형(16)의 하측오목홈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분사홀(26)은 하향의 전방을 기준으로 진공흡입홀(24)의 후방 상면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 사이에는 히터(30)가 진입하거나 후퇴되도록 설치된다. 이 히터(30)는 전기로 가열되는 카트리지 봉구조 히터(30)를 채용하는데, 이러한 카트리지 봉구조의 히터(30)는 히터(30)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히터(30)지지대는 미도시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10)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 사이에는 삽입공간부(20)에 삽입되는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 부분의 돌출 길이를 제한하는 기준블록(40)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기준블록(40)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좌우 융착블록(10)이 설치된 작업대의 하측에서 회동중심점(미도시)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기준블록(40)이 상향 회동하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고, 기준블록(40)이 하향 회동하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서 후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히터(30)와 기준블록(4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기화되어 작동된다. 즉, 제어부에는 히터(30)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와 기준블록(40)을 회동 작동시키는 회동기기구가 연결되어, 히터(30)가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위치되면 기준블록(40)은 하향으로 회동되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서 후퇴되고, 반대로, 히터(30)가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서 빠지면 기준블록(40)은 상향으로 회동되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서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 융착블록(10)은 실린더에 의해 1차 전진 및 2차 전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좌우 융착블록(10)이 1차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할 때에는 기준블록(40)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배치되고, 히터(30)에 의해 가스켓(104)의 각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가 용용된 다음에 히터(30)가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서 빠진 다음, 실린더에 의해 좌우 융착블록(10)이 2차로 전진하여 좌우 융착블록(10)의 삽입공간부(20)에 삽입되어 있는 각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가 접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좌우 융착블록(10)을 종래와 달리 스테인레스(SUS)로 제작하여 상대적으로 강도를 더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융착금형을 이용하여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104)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우 지지금형의 경사면(22) 사이에 기준블록(40)이 배치된다. 이어서, 작업자가 좌우 지지금형의 기단부에서 한 쌍의 시일바아(102)를 좌우 지지금형 내부의 삽입공간부(20)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각 시일바아(10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단부가 기준블록(40)의 양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각 시일바아(102)가 전진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시일바아(102)는 압출금형과 싸이싱에 의해 길게 압출 성형되고, 이렇게 압출 성형된 사일바아는 양단부에 대칭되는 경사단부가 형성되도록 컷팅장치에 의해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다.
즉, 압출금형에 의해 고무재질의 시일바아(102)가 길게 압출 성형되고, 압출금형의 다음단에 배치된 싸이싱 내부로 압출된 시일바아(102)가 싸이싱을 통과하면서 침수되어 냉각된다. 그리고, 이렇게 압출되어 냉각된 시일바아(102)는 컷팅금형을 구비한 정치수 절단설비를 통과하면서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며, 아울러, 사일바아의 양단부에 대칭되는 경사단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출금형과 싸이싱 및 정치수 절단설비는 공지의 것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좌우 융착블록(10)의 내부 삽입공간부(20)에 좌우 시일바아(102)를 삽입하여 중간의 기준블록(40)에 의해 위치를 잡은 다음, 기준블록(40)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서 빠짐과 동시에 히터(30)가 실린더에 의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배치된다.
히터(30)가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배치된 다음에는 좌우 융착블록(10)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1차 전진하여 좌우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가 히터(30)의 양면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히터(30)의 간접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히터(30)가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서 빠짐과 동시에 좌우 융착블록(10)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2차로 전진하여 좌우 시일바아(102) 의 경사단부를 접합시키게 된다. 그러면, 기역자 형태로 두 개의 좌우 시일바아(102)가 접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는 삽입공간부(20)의 외곽 둘레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어컷팅부(60)가 돌출 형성되어, 좌우 융착블록(10)을 2차 전진시켜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를 융착시킬 때, 좌우 융착블록(10)의 버어컷팅부(60)가 서로 맞닿아 시일바아(102)의 접합 부위에서 버어(b)가 제거될 수 있다. 즉, 각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를 융착 접합시키면서 동시에 서로 맞닿은 버어컷팅부(60)가 시일바아(102)의 융착 접합부에 생기는 버어(b)를 절단하기 때문에, 시일바아(102)의 융착 접합부에 버어(b)가 거의 잔류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 비하여 버어(b)가 80% 이상 제거될 수 있다.
요컨데, 좌우 융착블록(10)의 버어컷팅부(60)는 끝이 비교적 날카로운 칼날 형태를 이루어, 각 시일바아(102)를 융착시킬 때 생기는 버어(b)를 제거하는 컷터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도 8에는 좌우 시일바아(102)를 기역자 형태로 연결한 것을 보여주며, 도 8에서와 같이 기역자 형태로 좌우 시일바아(102)를 융착시켜 연결한 다음에는 좌우 융착블록(10)의 상형(12)에 연결된 실린더에 의해 상형(12)이 하형(16)으로부터 들려지므로, 작업자가 기역자 형상으로 융착된 시일바아(102)를 취출해 낼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시일바아(102)의 경사진 경사단부 접합 과정을 세 번 더 반복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틀 형상의 냉장고 도어의 가스 켓(104)을 제작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융착금형은 제품 단면, 즉, 사각 형상의 가스켓(104)을 구성하기 위한 각각의 시일바아(102)의 단부가 히터(30)에 밀착 용융된 다음에 서로 접합되는 간접열 접합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므로, 종래에 비하여 80% 이상 버어가 제거되며 잔류한 부분은 작업자가 손으로 간단하게 제거하면 되므로, 종래의 직접열 방식에 의해 시일부재가 접합된 제품(즉, 종래의 가스켓)에 비하여 품질이 양호한 가스켓(104)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에 비하여 가스켓(104)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시일바아(102)의 융착 접합 부분에 버어가 80% 이상 제거되어, 작업자가 추후 공정에서 별도의 사상장치를 이용하여 버어를 사상 가공으로 제거하지 않고, 간단하게 손으로 나머지 잔류 부분만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고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종래에 비하여 작업 인력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각 시일바아(102)의 융착 접합 부분에 형성된 비교적 다량의 버어를 제거하기 위해 각 사상장치에 모두 작업자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작업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은 각각의 사상장치에 작업자가 배치될 필요가 없이 복수개의 사상장치에 한 사람의 작업자만 배치하면 되므로, 작업 인력의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세 대의 사상장치에 세 명의 작업자가 배치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세 대의 사상장치에 한 명의 작업자만 배치하면 되므로, 종래 에 비하여 작업 인력이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가스켓(104) 제조 설비 세 대에 각각 사상장치를 한 대씩 설치하여, 총 6명의 작업자가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은 융착금형을 이용하는 가스켓(104) 제조 설비 세 대당 한 대의 사상장치를 설치하여 총 4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작업인력의 많이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열로 각 시일바아(102)를 녹여서 접합시키지 않고, 히터(30)의 간접열에 의해 융착시키는 간접열 접합 방식을 채용하므로, 가스켓(104)의 융착 부위에서의 불량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70~80% 정도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자원 절약 측면 등의 여러 가지 면에서도 유리함을 의미한다 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융착블록(10)의 서로 마주하는 경사면(22)에는 각각 복수개의 스톱핑돌부(28)가 형성되고, 이 스톱핑돌부(28)는 좌우 융착블록(10)을 맞닿는 방향으로 전진시킬때,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전체가 부딪치지 않고 공간부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전체가 부딪힘으로 인하여 좌우 융착블록(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좌우 융착블록(10)은 정밀한 제품으로서, 반복적인 가스켓(104) 융착 작업에 의해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전체가 자주 부딪히면 무뎌져서 정밀도가 저하되며, 이로 인해, 제품(즉, 가스켓(104))의 품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좌우 융착블록(10)의 서로 마주하는 경사면(22)에 복수개의 스톱핑돌부(28)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좌우 융착블록(10)을 종래와 달리 스테인레스(SUS)로 제작하여 상대적으로 강도를 높임으로써, 가스켓(104)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융착금형을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융착블록의 상형을 하형에서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융착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히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켓 융착금형에 의해 가스켓을 융착시켜 제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시일바아를 접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을 보여주는 사시도

Claims (5)

  1. 삭제
  2.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사각틀 형상의 가스켓(104)을 구성하는 각각의 시일바아(10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간부(20)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 융착블록(10)과,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2) 사이에 진입 및 후퇴되도록 설치된 히터(30)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는 상기 삽입공간부(20)의 외곽 둘레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어컷팅부(6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상형(12)과, 상기 상형(12)과 맞닿도록 된 하형(16)을 포함하며, 상기 상형(12)과 하형(16)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시일바아(102) 삽입용 상부오목홈(14)과 하부오목홈(18)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형(12)과 하향의 상부오목홈(14)과 하부오목홈(18)이 만나서 상기 삽입공간부(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좌우 융착블록(10) 선단부의 경사면(22)은 상기 융착블록(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45°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2)에는 서로 맞닿는 스톱핑돌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진시킬 때, 상기 스톱핑돌부(28)가 서로 맞닿아서 상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삽입공간부(20)에는 외부의 진공압 공급장치에 연통되는 진공흡입홀(24)이 더 형성되며,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삽입공간부(20)에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에 연통되는 에어분사홀(2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4. 삭제
  5. 복수개의 시일바아(102)를 사각틀 형상으로 접합하여 제작된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104)에 있어서, 선단부에 경사면(2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삽입공간부(20)가 형성된 한 쌍의 좌우 융착블록(10)의 상기 삽입공간부(20)에 각각 시일바아(102)를 삽입하고, 상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 사이에 히터(30)를 배치시키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을 1차 전진시켜 상기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를 상기 히터(30)의 양면에 인접시켜 간접열로 용융시키고,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을 2차 전진시켜 상기 히터(30)에 의해 용융된 상기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를 접합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경사면(22)에는 상기 삽입공간부(20)의 외곽 둘레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어컷팅부(60)가 돌출 형성하여,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을 2차 전진시켜 상기 시일바아(102)의 경사단부를 융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우 융착블록(10)의 버어컷팅부(60)가 서로 맞닿아 상기 시일바아(102)의 접합 부위에 버어가 제거되도록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104).
KR1020070091439A 2007-09-10 2007-09-10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KR10087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439A KR100877533B1 (ko) 2007-09-10 2007-09-10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439A KR100877533B1 (ko) 2007-09-10 2007-09-10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533B1 true KR100877533B1 (ko) 2009-01-07

Family

ID=4048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439A KR100877533B1 (ko) 2007-09-10 2007-09-10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36B1 (ko) * 2012-02-15 2012-06-19 전욱재 합성수지부재 접합장치
KR101698934B1 (ko) * 2015-07-15 2017-02-01 (주)코엠피 밀폐용기 패킹 접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854A (ja) * 1993-02-03 1994-08-16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管の融着方法
KR960021473A (ko) * 1994-12-05 1996-07-18 나가마사 야마다 열용착 가능한 수지제 관상 부품의 자동용착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파이프용 클램프장치 및 히터장치
KR970033757A (ko) * 1995-12-08 1997-07-22 와지 다카시 튜브연결장치
KR20020023768A (ko) * 2001-12-17 2002-03-29 이병노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854A (ja) * 1993-02-03 1994-08-16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管の融着方法
KR960021473A (ko) * 1994-12-05 1996-07-18 나가마사 야마다 열용착 가능한 수지제 관상 부품의 자동용착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파이프용 클램프장치 및 히터장치
KR970033757A (ko) * 1995-12-08 1997-07-22 와지 다카시 튜브연결장치
KR20020023768A (ko) * 2001-12-17 2002-03-29 이병노 폴리에틸렌 파이프의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36B1 (ko) * 2012-02-15 2012-06-19 전욱재 합성수지부재 접합장치
KR101698934B1 (ko) * 2015-07-15 2017-02-01 (주)코엠피 밀폐용기 패킹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3895B (zh) 用于焊接塑料材料、特别是pvc的型材构件的方法
US7824173B2 (en) Apparatus for molding a hollow molded article
KR102148916B1 (ko) 샤시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CN110773799B (zh) 一种镀锌钢管加工自动化坡口切割机械
CN107848217B (zh) 塑料异型件密封机
KR100877533B1 (ko)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KR101943614B1 (ko) 접착제로 결합된 3차원 냉각 사출금형 및 그 제작방법
KR102176173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CN113798767B (zh) 一种直缝激光焊接定位夹具及直缝焊接设备
KR101576645B1 (ko) 핫스템핑 금형의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핫스템핑 금형
CN210082439U (zh) 一种具有定位结构的门封胶套焊接设备
KR20080112112A (ko) 수지 밀봉 장치, 이동 부재 및 수지 밀봉 방법
CN114953345A (zh) 一种手术辅助器材注塑成型系统
KR100589863B1 (ko)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사상제거장치
KR20050096397A (ko) 게이트 커팅 머신
KR102330068B1 (ko) 하이샤시 용접장치의 버 제거장치
KR101791815B1 (ko) 주물금형용 간격유지구 조립지그
US11173641B2 (e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KR200367877Y1 (ko)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사상제거장치
CN116985316A (zh) 异形浇口加工方法及注塑模具
KR102191932B1 (ko) 곡면 면취 가공 장치
CN217859266U (zh) 电热开水器加热腔单元的焊接装置
CN215356272U (zh) 一种导电嘴修复设备
JP2005081604A (ja) 樹脂容器成形装置および樹脂容器成形方法
CN109476093B (zh) 用于密封塑料成型元件的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