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277A - 터치키패드 - Google Patents
터치키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44277A KR20150144277A KR1020150079209A KR20150079209A KR20150144277A KR 20150144277 A KR20150144277 A KR 20150144277A KR 1020150079209 A KR1020150079209 A KR 1020150079209A KR 20150079209 A KR20150079209 A KR 20150079209A KR 20150144277 A KR20150144277 A KR 201501442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upper plate
- plate
- keypad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및 마우스 기능을 동시에 가짐과 동시에, 입력오류문제를 감소시킨 터치키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형상의 상판; 상기 상판 상측에 형성되는 터치센서; 상기 상판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상판이 승하강되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연결부재; 상기 상판의 하강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치에 따라 키패드 모드 또는 마우스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키패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1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상판의 상하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키패드 모드 또는 마우스 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상판이 균일하게 승하강하여 장치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1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상판의 상하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키패드 모드 또는 마우스 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상판이 균일하게 승하강하여 장치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름강도에 따라 마우스 또는 키패드모드가 전환되어 마우스 및 키패드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터치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5-0047329호를 참조하면, 현재, 컴퓨팅 장치의 기술은 데스크 탑 PC에서부터 노트북, 휴대용 컴퓨팅 장치 그리고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에 이르기 까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들은 사용자가 움직임에 제한을 받지 않아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기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의 편의성과 휴대성 및 효율성 등을 갖춘 새로운 입력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재까지 제안된 입력수단은 기존의 키보드와 마우스 입력장치를 기본으로 하여 좀더 발전된 형태로는 컴퓨팅 장치와 함께 장착된 키보드 또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널 유형이 있다.
최근 PDA 등의 개인정보단말기의 활용증대로 펜 입력, 가상키보드, 터치스크린, 찰탁형 키보드 등이 많이 사용되며, 좀더 나아가서는 글로브 입력, 가상 손가락 키보드, 헤드 마우스, 안구 마우스, 뇌파 마우스 등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입력수단들은 각각 특정요소에서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차세대 컴퓨팅 장치를 위한 효율적인 입력수단으로써 키보드와 마우스 기능을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5-0047329호의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정보 입력장치는, 키보드와 마우스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나, 손가락 끝의 임의의 접촉면에서의 이동에 기초하여 키보드와 마우스 모드로 선택하여 변환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모드로 판단되어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입력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컴퓨터 입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키패드 및 마우스 기능을 동시에 가짐과 동시에 입력오류문제를 감소시킨 터치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모드 전환 동작 없이 단순히 사용자의 누름강도를 인식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키패드모드와 마우스 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터치키패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상의 상판; 상기 상판 상측에 형성되는 터치센서; 상기 상판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상판이 승하강되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연결부재; 상기 상판의 하강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치에 따라 키패드 모드 또는 마우스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키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제1,2상부 링크와, 상기 하판의 상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제1,2하부 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상기 제1하부링크와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부와, 양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 및 상기 제2하부링크와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링크부는, 양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의 일단 및 상기 제1하부링크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1-1연결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1하부링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1-2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링크부는, 양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의 일단 및 상기 제2하부링크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2-1연결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하부링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2-2연결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하부링크에 형성되며, 상기 1-1연결링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1연결링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일단은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상기 제1하부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상부링크 및 상기 제2하부링크에 연결되는 좌우연결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키패드는, 상기 상판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판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하판 상측면에 직립하여 장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상판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하판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장착되는 제2자석과, 상기 제2자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하판 상측면에 직립하여 장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상판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이 하측으로 이동하였다고 상기 위치센서가 판단하였을 때 키패드모드로 인식하고, 터치 좌표를 기초로 하여 입력문자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키패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1개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키패드 및 마우스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상판의 상하이동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키패드 모드 또는 마우스 모드로 사용하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입력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연결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상판이 균일하게 승하강하여 장치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상하부링크 및 1-2연결링크의 결합을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원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상하부링크 및 1-2연결링크의 결합을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복원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패드(100)는 상판(110)과, 하판(120)과, 연결부재(130)와, 위치센서(140)와, 제어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10)은 상면이 평편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는 터치센서(111)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센서(111)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로서, 투명 전극인 ITO 전극 또는 불투명 전극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111)의 상면에는 키보드 자판배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판(110)의 하측에는 하판(120)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하판(120)은 상기 상판(1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110)과 상기 하판(120)은 연결부재(1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상판(110)이 승하강되도록 상기 상판(110)을 지지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제1,2상부링크(131)(136), 제1,2하부링크(132)(137), 제1연결링크(133), 제2연결링크(138) 및 좌우연결링크(1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상부링크(131)(136)는 상기 상판(110)의 하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1,2상부링크(131)(136)는 사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상기 상판(110)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1,2하부링크(132)(137)는 상기 하판(120)의 상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며, 사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하부링크(132)(137)는 상기 제1,2상부링크(131)(136)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133)는 상기 제1상부링크(131) 및 상기 제1하부링크(132)를 연결하는 것으로, 1-1연결링크(133a) 및 1-2연결링크(133b)를 포함한다. 상기 1-1연결링크(133a)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131)의 일단 및 상기 제1하부링크(132)의 일단과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링크(133b) 역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131)의 타단 및 상기 제1하부링크(132)의 타단과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링크(138)는 상기 제2상부링크 및 상기 제2하부링크를 연결하는 것으로, 2-1연결링크(138a) 및 2-2연결링크(138b)를 포함한다. 상기 2-1연결링크(138a)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136)의 일단 및 상기 제2하부링크(137)의 일단과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2연결링크(138b) 역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136)의 타단 및 상기 제2하부링크(137)의 타단과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2상하부링크(131)(132)(136)(137) 및 상기 제1,2연결링크(133)(138)은 상호 링크결합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2상부링크(131)(136)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판(110)이 상기 제1,2하부링크(132)(137)의 하부면에 결합된 하판(12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하부링크(132)에는 스토퍼(132a)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32a)는, 상기 제1상부링크(13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판이 하강하여 제1-2연결링크(133b)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상부링크(131)의 타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1-2연결링크(133b)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퍼(132a)는 상기 제2하부링크(137)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연결링크(133b)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정지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정지부(135)는 상기 상판(110)이 상승하여 상기 제1-2연결링크(133b)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하부링크(132)의 타단과 접촉하여 상기 제1-2연결링크(133b)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하부링크(131)(132)와 상기 제2상하부링크(136)(137)의 사이에는 좌우연결링크(139)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연결링크(139)는 일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131) 및 상기 제1하부링크(13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136) 및 상기 제2하부링크(137)와 연결되어 상기 제1,2상하부링크(131)(136)가 좌우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판(110)이 뒤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상판(110)의 어느 부분을 가압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2상하부링크(131)(132)(136)(137)는 서로 뒤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110)의 하측에는 상기 상판(110)이 하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상판(110)을 상측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160)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원부재(160)는, 수직프레임(161), 수평프레임(162), 제1자석(163), 제2자석(164), 제3자석(165)를 포함하고, 웨이트부재(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61)은 상기 하판(120)의 상측면에 직립하여 위치하며, 상부에 힌지축(161a)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62)은 상기 힌지축(161a)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61)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는 한 쌍의 롤러(162a)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162a)는 상기 상판(110)의 하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62))의 일단에는 제1자석(163)이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는 제2자석(164)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하판(120)의 상측에는 상기 제2자석(164)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자석(165)이 배치된다. 상기 제1자석(163)은 스틸재질인 하판(120)과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2자석(164) 및 상기 제3자석(165)은 서로 극성이 동일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미는 척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복원부재(160)는 상기 수직프레임(161), 수평프레임(162), 제1자석(163), 제2자석(164) 및 제3자석(165) 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자석(163)이 하부에 장착되는 상기 수평프레임(162)의 일단 상부에는 웨이트부재(16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62)의 타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웨이트부재(166)가 장착되는 상기 수평프레임(162)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161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웨이트부재(166)는 자중으로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62)의 타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16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상판(110)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상기 웨이트부재(166)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상판의 하중을 일부 상쇄시켜 복원력이 증가된다. 상기 웨이브부재(166)의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상판(110)은 원상태로 빠르게 복귀하고, 상기 웨이트부재(166)의 하중이 감소하면 상기 웨이트부재(166)의 하중이 감소한 만큼 느리게 복귀되게 되므로 상기 웨이브부재의 하중을 조절하여 복원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상기 복원부재(160)가 수직프레임(161), 수평프레임(162), 제1자석(163), 제2자석(164), 제3자석(165) 및 웨이트부재(16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웨이트부재(166)를 제외한 수직프레임(161), 수평프레임(162), 제1자석(163), 제2자석(164), 제3자석(165)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자석(163), 제2자석(164), 제3자석(165)를 대신하여 수직프레임(161), 수평프레임(162), 웨이트부재(166)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원부재(160)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판(120)의 상측면에는 상기 상판(110)의 하강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140)가 장착된다. 상기 위치센서(140)는 리미트센서, 광센서 및 정전용량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위치센서(140)는 접촉센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10)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상판(110)을 손가락으로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면 상기 상판(110)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위치센서(140)와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위치센서(140)로서 접촉센서를 이용하였으나, 상판(110)의 하강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다른 종류의 어떤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위치센서(140)는 상기 상판(110)의 하강신호를 제어부(150)로 송신하고,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센서(140)의 하강신호에 따라 키패드모드로 인식하고, 이 모드에 따라 상기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위치에 따른 문자입력값을 결정하여 컴퓨터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센서에 터치하였으나, 가압력이 소정압력 이하여서 상판(110)이 하강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센서(140)는 상판(110)의 하강이동이 없음을 검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마우스 모드로 인식하고, 상기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단순 위치값을 컴퓨터로 송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키패드(100)의 작동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키패드(100)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로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상판(110)에 형성된 터치센서(111) 상에 손가락을 접촉한 후 가압하여 누른다. 가압력에 따라 상기 상판(110)은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위치센서(140)는 상기 상판(110)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고, 하강신호를 제어부(15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하강신호에 기초하여 키패드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신호를 결정한 후 컴퓨터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터치키패드를 마우스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상판(110)에 형성된 터치센서(111) 상에 손가락을 가볍게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하여 작업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상판(110)은 하측으로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기 위치센서(140)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마우스 모드로 인식하고, 상기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단순 위치값을 컴퓨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터치키패드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연결부재
140 : 위치센서 150 : 제어부
160 : 복원부재
120 : 하판 130 : 연결부재
140 : 위치센서 150 : 제어부
160 : 복원부재
Claims (9)
- 평판형상의 상판;
상기 상판 상측에 형성되는 터치센서;
상기 상판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시키며, 상기 상판이 승하강되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연결부재;
상기 상판의 하강여부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치에 따라 키패드 모드 또는 마우스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제1,2상부 링크와,
상기 하판의 상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제1,2하부 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상기 제1하부링크와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부와,
양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 및 상기 제2하부링크와 각각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링크부는, 양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의 일단 및 상기 제1하부링크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1-1연결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1하부링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1-2연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링크부는, 양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의 일단 및 상기 제2하부링크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2-1연결링크와 양단이 상기 제2상부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하부링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2-2연결링크를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링크에 형성되며, 상기 1-1연결링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1연결링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2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상기 제1하부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상부링크 및 상기 제2하부링크에 연결되는 좌우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판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하판 상측면에 직립하여 장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상판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하판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석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장착되는 제2자석과,
상기 제2자석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자석을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하판 상측면에 직립하여 장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상판의 하면에 접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며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하는 터치키패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판이 하측으로 이동하였다고 상기 위치센서가 판단하였을 때 키패드모드로 인식하고, 터치 좌표를 기초로 하여 입력문자데이터를 결정하는 터치키패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5/005642 WO2015190756A2 (ko) | 2014-06-13 | 2015-06-05 | 터치키패드 |
US15/317,979 US10241596B2 (en) | 2014-06-13 | 2015-06-05 | Touch keypad |
EP15807074.8A EP3156877A4 (en) | 2014-06-13 | 2015-06-05 | Touch keyp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243 | 2014-06-13 | ||
KR20140072243 | 2014-06-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4277A true KR20150144277A (ko) | 2015-12-24 |
KR101584505B1 KR101584505B1 (ko) | 2016-01-25 |
Family
ID=5508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9209A KR101584505B1 (ko) | 2014-06-13 | 2015-06-04 | 터치키패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241596B2 (ko) |
EP (1) | EP3156877A4 (ko) |
KR (1) | KR1015845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878B1 (ko) | 2020-04-21 | 2021-09-16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외장형 입출력장치 |
KR20210149985A (ko) | 2020-06-03 | 2021-12-10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20752662U (zh) * | 2023-09-04 | 2024-04-09 | 深圳市新增彩创意电子有限公司 | 一种键盘结构及带键盘结构的可视可编程智能控制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1697A (ko) * | 2003-03-12 | 2004-09-22 | 박경희 | 마우스식 터치패드 |
KR20080010266A (ko) * | 2006-07-26 | 2008-01-30 | 오의진 | 문자입력장치 |
JP2009286237A (ja) * | 2008-05-29 | 2009-12-10 | Shiroki Corp | 座席シートのリフタストッパ機構 |
KR20130062238A (ko) * | 2011-12-02 | 2013-06-12 | 이터보터치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 터치 키패드 모듈 및 그 입력 처리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7329A (ko) | 2003-11-17 | 2005-05-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정보 입력장치 및 방법 |
KR20060010579A (ko) | 2004-07-28 | 2006-02-02 | 안준성 | 마우스 터치패드 |
MX2009000791A (es) | 2006-07-26 | 2009-04-27 | Eui-Jin Oh | Dispositivo de introduccion de caracteres y su metodo. |
US8866744B2 (en) * | 2010-03-30 | 2014-10-21 | Howay Corp. | Keyboard having touch input device |
US8878794B2 (en) * | 2011-09-27 | 2014-11-04 | Z124 | State of screen info: easel |
KR20120120097A (ko) * | 2011-11-15 | 2012-11-01 | 조은형 |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TW201327273A (zh) * | 2011-12-23 | 2013-07-01 | Wistron Corp | 觸控按鍵模組及其模式切換方法 |
-
2015
- 2015-06-04 KR KR1020150079209A patent/KR1015845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05 US US15/317,979 patent/US1024159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6-05 EP EP15807074.8A patent/EP3156877A4/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1697A (ko) * | 2003-03-12 | 2004-09-22 | 박경희 | 마우스식 터치패드 |
KR20080010266A (ko) * | 2006-07-26 | 2008-01-30 | 오의진 | 문자입력장치 |
JP2009286237A (ja) * | 2008-05-29 | 2009-12-10 | Shiroki Corp | 座席シートのリフタストッパ機構 |
KR20130062238A (ko) * | 2011-12-02 | 2013-06-12 | 이터보터치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 터치 키패드 모듈 및 그 입력 처리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878B1 (ko) | 2020-04-21 | 2021-09-16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외장형 입출력장치 |
KR20210149985A (ko) | 2020-06-03 | 2021-12-10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241596B2 (en) | 2019-03-26 |
US20170139493A1 (en) | 2017-05-18 |
KR101584505B1 (ko) | 2016-01-25 |
EP3156877A2 (en) | 2017-04-19 |
EP3156877A4 (en) | 2018-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169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
US10061510B2 (en) |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 |
KR101182076B1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동 장치 및 방법 | |
CN207115337U (zh) | 具有触摸式面板的键盘、以及电子设备 | |
CN108170205A (zh) |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 |
WO2011123099A1 (en) | An image of a keyboard | |
CN103066982B (zh) | 键盘 | |
CN103097988A (zh) | 用于可触摸显示屏的触觉键盘 | |
KR101584505B1 (ko) | 터치키패드 | |
JP2004227420A (ja) | 情報処理装置 | |
CN101124532A (zh) | 计算机输入设备 | |
WO2012024337A1 (en) | Enhanced tablet computer | |
KR20150117120A (ko) |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
CN104898852B (zh) | 具有触控功能的键盘装置 | |
CN104375655A (zh) | 一种键盘 | |
JP2005326905A (ja) |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を具備するコンピュータ用キーボード | |
JP5660611B2 (ja) |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080103261A (ko) |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 |
WO2015190756A2 (ko) | 터치키패드 | |
KR20170048637A (ko) | 터치키패드 | |
US20220283641A1 (en) | Keyboards with haptic outputs | |
JP3144189U (ja) |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 |
KR101062905B1 (ko) | 입력영역별 기준압력 조절 가능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 |
WO2019042061A1 (zh) | 可升降弹性结构及包含该弹性结构的按键及键盘 | |
KR20200023183A (ko) | 입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