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985A -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985A
KR20210149985A KR1020200066797A KR20200066797A KR20210149985A KR 20210149985 A KR20210149985 A KR 20210149985A KR 1020200066797 A KR1020200066797 A KR 1020200066797A KR 20200066797 A KR20200066797 A KR 20200066797A KR 20210149985 A KR20210149985 A KR 2021014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guide device
portable compu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영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985A/ko
Publication of KR2021014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는,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휴대용 컴퓨터 또는 가이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을 상기 가이드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로 전달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상부 및 하부가 개폐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키보드 장치;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입출력장치는 감지된 입력 신호를 상기 본체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TOUCHPAD AND LAPTOP COMPUTER COMPRISING THE SAME}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하고,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입력 수단을 제공하거나 휴대용 컴퓨터의 출력 수단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컴퓨터와 가이드 장치 사이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장치에 따라 연동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여, 가이드 장치의 입력을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하거나 컴퓨터의 영상, 소리 등을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입력 장치로써 문자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커서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인 마우스를 사용하고, 주 출력 장치인 모니터와 보조 출력 장치인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는 형태에 따라 크게 데스크톱(Desktop)과 노트북(Notebook)으로 나눌 수 있다. 전술한 입력 및 출력 장치가 모두 분리되어 있는 형태인 데스크톱과 달리, 휴대용으로 만들어진 노트북은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가 모두 탑재되어 있으며, 포인팅 장치로써 마련된 터치 패드 또한 본체와 일체형으로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노트북의 터치 패드는 사용자에 가깝게 고정되어 있고, 키보드는 사용자로부터 멀리 고정되어 있어서, 터치 패드 및 키보드의 사용이 위치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이에 따른 불편이 발생한다.
또한, 노트북을 이용한 대부분의 작업의 경우에는 일체형으로 마련된 모니터, 키보드 및 터치 패드 등으로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특정 작업의 경우, 이러한 입출력 이외에 추가적인 입력장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 목적에 맞는 입력장치(디지타이저, 펜, 게임 컨트롤러 등)를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음악을 작곡하는 경우, 작업자는 건반 또는 기타와 같은 특정 악기의 형태를 갖는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에 보다 용이할 것이다. 또한, 영상 편집의 경우, 작업자는 영상 편집을 위한 조그셔틀 등이 포함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일반 사용자의 경우에도, 게임 등을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게임 컨트롤러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며, 최근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고글 형태의 출력 장치도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추가 입력장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노트북의 활용 또한 제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277호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한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확장된 입력 기능을 제공하거나,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입력을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하며, 필요한 경우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여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확장된 출력 기능을 제공하여 연결된 가이드 장치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2D뿐만 아니라 3D 입체 영상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다수의 가이드 장치에 장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 컴퓨터와 각 가이드 장치 간의 입출력이 가능한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또는 연결된 가이드 장치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보조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 또는 가이드 장치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추가 장치들의 하드웨어에 탑재된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입출력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상부 및 하부가 개폐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키보드 장치;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입출력장치는 감지된 입력 신호를 상기 본체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하부에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본체에 대한 입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는,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휴대용 컴퓨터 또는 가이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을 상기 가이드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로 전달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장치에 연동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의해 상기 가이드 장치의 정보에 따라 출력할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이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변환 또는 가공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서로 다른 가이드 장치와 연결 호환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에 따라 출력할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결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결정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와 상기 제어부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게 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가이드 장치에 연동되어 출력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제어 대상이 달라지며, 상기 버튼은 물리적 입력 신호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이드 장치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거나 상기 감지부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시계 또는 디지털 액자를 출력시키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 가능하여 키보드 및 터치패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확장된 입력 기능을 제공하거나, 가이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입력을 컴퓨터로 전달하며, 필요한 경우 특별한 기능을 부여하여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확장된 출력 기능을 제공하여 연결된 가이드 장치 및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2D뿐만 아니라 3D 입체 영상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다수의 가이드 장치에 장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와 각 가이드 장치 간의 입출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컴퓨터의 사용 목적에 대응되는 또는 연결된 가이드 장치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터치 입력을 통해 컴퓨터 또는 가이드 장치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추가 장치들의 하드웨어에 탑재된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에 의하면, 컴퓨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입출력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가 분리된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가이드 장치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제2 가이드 장치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제3 가이드 장치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제4 가이드 장치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제5 가이드 장치에 장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가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0)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가 분리된 휴대용 컴퓨터(10)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0)는 본체(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키보드 장치(300) 및 입출력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개폐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는 연산, 제어, 기억 및 정보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회로 및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체(100)는 다양한 주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수용부(110) 및 케이블(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0)는 본체(100)의 하부 케이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키보드 장치(300)가 배치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20)은 일단이 수용부(110)에 일측에 결합되어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20)의 타단은 입출력장치(400)의 연결부(44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120)은 본체(100) 및 입출력장치(4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100)의 상부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자료 등을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키보드 장치(300)는 본체(100)의 하부 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 장치(300) 또한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숫자 및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는 본체(100)의 하부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400)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장치(400)는 본체(100)와 일체형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장치(400)는 수용부(110)에 결합 또는 분리된 모든 상태에서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는 본체(100)에 의해 입출력장치(400) 상에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는 터치 입력에 의해 감지된 입력 신호를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컴퓨터(10) 상기 입출력장치(400)가 본체(100)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컴퓨터(10)의 사용 시에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를 자유로운 위치에 배치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입출력장치(400)와 연결된 장치 또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그에 알맞은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입출력장치(400) 상에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출력장치(400)의 자체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특정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입출력장치(400)를 터치함으로써 본체(100)에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특정 영상을 출력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샵으로 이미지를 생성 및 편집하는 경우, 입출력장치(400)의 표시부(420) 상에 포토샵에서 자주 사용하는 펜, 필터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20) 상에 직접 스케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출력장치(400)를 사용하여 스케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미지 편집에 필요한 기능을 빠르고 쉽게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영상 편집 작업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편집하고자 하는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영상 편집에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은 타임라인, 조그셔틀, 문자 삽입, 그래픽 효과 기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을 보면서 직접 영상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는 본체(100)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서, 휴대용 컴퓨터(10)를 사용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 편집 시에도 사용자가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는 본체(100)와 연결된 동시에 가이드 장치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장치는 특수한 목적,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 또는 작업의 형태에 맞추어 고안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장치는 게임 컨트롤러, VR 기기의 헤드기어, 전자 건반 등의 형상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장치는 입출력장치(400)가 장착됨으로써,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고, 게임 컨트롤러, VR(Virtual Reality) 기기, 전자 건반 등으로써 확장된 입출력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장치(400)는 컴퓨터 및 가이드 장치 사이의 매개체로 기능하여 연결된 장치들에 대한 입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에 연결되는 가이드 장치에 따라 컴퓨터로 정보를 입력하기에 최적화된 다양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의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는 하우징(410), 표시부(420), 감지부(430), 연결부(440), 제어부(미 도시), 통신부(미 도시), 버튼(450) 및 전원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410)은 휴대용 컴퓨터(10)의 본체(10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410)은 내부에 표시부(420), 감지부(430), 연결부(440), 제어부, 통신부, 버튼(450) 및 전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420)는 하우징(4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는 본체(100)의 명령 또는 입출력장치(400)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영상은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420)는 시계 또는 디지털 액자 등의 화면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부(430)는 표시부(420)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430)는 예를 들어 표시부(420) 상에서 수행되는 터치 입력을 탐지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연결부(440)는 하우징(4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40)는 하우징(410) 상에 복수 개로 마련되어 입출력장치(400)가 휴대용 컴퓨터(10) 및 가이드 장치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40)에는 입출력장치(400)와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케이블(L)이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와 휴대용 컴퓨터(10)가 연결 케이블(L)로 유선 연결되는 경우, 이때의 연결 케이블(L)은 전술한 케이블(12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4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터(10)의 본체(100)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다양한 가이드 장치와 연결 호환이 가능하다.
제어부는 본체(100)에 대한 입출력을 제어하거나 본체(100) 및 가이드 장치 사이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42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연결부(440)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토대로 본체(100) 및 가이드 장치에 적합한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출력 영상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인터페이스는 제어부에 의해 표시부(420) 상에 출력될 수 있고, 결정된 영상 설정 값에 따라 적절한 영상이 표시부(42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즉, 표시부(420) 상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은 가이드 장치에 연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연결부(440)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100)는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토대로 가이드 장치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체(1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제어부는 표시부(420) 상에 결정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따라 원하는 기능이 위치하는 표시부(420) 상의 위치를 터치하면, 상기 감지부(43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430)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은 전술한 제어부를 통해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전술한 제어부를 통해 본체(100)로 전달되고, 이에 대한 본체(100)의 명령을 전달받은 제어부는 표시부(420) 상에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게 할 수 있으며, 제어부를 통해 가이드 장치 자체에서 영상 또는 음향이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가이드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변환 또는 가공하여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
일정 시간 동안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거나 감지부(430)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부(420) 상에 시간, 날짜 등의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가 슬립 모드일 경우, 입출력장치(400)는 디지털 시계로 사용되거나, 디지털 액자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는 하우징(4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부는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가 연결부(44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무선으로 터치 입력에 의해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블루투스 또는 Wifi 등의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420)를 터치함으로써 무선으로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에 저장된 전력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유선에 의한 데이터 통신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중 원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버튼(450)은 하우징(4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입력 버튼일 수 있다. 또한, 버튼(450)은 하우징(410)의 측면 또는 후면 이외에도 사용자가 입출력장치(400)를 잡았을 때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어디든지 형성될 수 있다. 버튼(450)은 가이드 장치에 연동되어 출력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각 버튼(45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의 제어 변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버튼(450)을 눌러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통해 표시부(420)나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버튼(450) 중 하나는 입출력장치(400)의 전원을 끄거나 표시부(420)를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버튼(450) 중 다른 하나는 표시부(420) 상에 출력되는 영상의 음량을 높이거나 낮추는 볼륨 버튼일 수 있다.
또한, 버튼(450)들은 컨트롤러의 물리적 버튼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400) 자체를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할 경우,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구비될 필요 없이 입출력장치(400)에 마련된 버튼(450)들을 조작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가 전자 기타형과 같은 특정 가이드 장치와 연결된 경우, 입출력장치(400)의 버튼(450)은 출력되는 음색을 바꾸는, 예를 들어 기타 이펙터의 기능을 하는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가 전자 건반형 가이드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는, 버튼(450)이 악기 변경과 같은 특정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가 스티어링 휠 형 게임용 가이드 장치와 연결된 경우에는, 버튼(450)은 가속, 브레이크, 기어 업/다운 등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가 건 타입의 게임용 가이드 장치와 연결된 경우, 버튼(450)은 시점변경, 무기변경, 재장전 등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전원부는 하우징(410) 내부에 배치되고 연결부(4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는 연결부(440)를 통하여 연결부(440)에 연결된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는 공급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어서, 입출력장치(400)를 무선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는 연결부(440) 또는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연결된 휴대용 컴퓨터(10) 또는 가이드 장치로부터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할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된 인터페이스는 표시부(42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의 제어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인터페이스 상에서 그에 대응하는 항목이 표기된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즉, 표시부(420) 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은 감지부(430)를 통해 감지되며, 제어부를 통해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본체(100) 또는 가이드 장치의 입출력 신호를 적절하게 변환 또는 가공하여 전달함으로써 본체(100) 및 가이드 장치 사이의 입출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장치를 마련해야 할 필요없이 입출력장치(400)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본체(100)와의 입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출력장치(400)는 무선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 및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전원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입출력장치(400)와 연결된 가이드 장치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장점을 갖는 입출력장치(400)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10)는 본체(100)에 입출력장치(400)가 탈부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다. 즉, 휴대용 컴퓨터(10)의 이용 시에 사용자는 상기 입출력장치(400)를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점은 휴대용 컴퓨터(10)와 가이드 장치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할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가이드 장치에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에 대해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1 가이드 장치(D1)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입출력장치(400)는 제1 가이드 장치(D1)에 장착되어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장치(D1)는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연결부(440)에는 제1 가이드 장치(D1)의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장치(400)는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본체(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전원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1 가이드 장치(D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1 가이드 장치(D1)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1 가이드 장치(D1)로부터 게임 컨트롤러로써 기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컨트롤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이드 장치(D1)의 정보를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100)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은 예를 들어 버튼 기능, 조이스틱 조작, LED 온/오프, 진동발생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20) 상에 선택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동시에 표시부(420) 상에는 플레이하는 게임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42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출력장치(400)는 제1 가이드 장치(D1)에 마련된 버튼(B1)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가이드 장치(D1)의 조작 버튼(B1)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장치(400)의 표시부(420) 상에는 제1 가이드 장치(D1)의 버튼(B1) 조작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버튼(B1)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를 본체(100)로 전달하여 이에 대한 본체(100)로부터의 명령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는 제1 가이드 장치(D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10)와 제1 가이드 장치(D1)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장치(D1)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휴대용 컴퓨터(10)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제2 가이드 장치(D2)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입출력장치(400)는 제2 가이드 장치(D2)에 장착되어 VR 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 장치(D2)는 VR 기기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연결부(440)에는 제2 가이드 장치(D2) 내부에 형성된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장치(400)는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본체(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전원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2 가이드 장치(D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2 가이드 장치(D2)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2 가이드 장치(D2)로부터 VR 기기로써 기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VR 기기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2 가이드 장치(D2)의 정보를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100)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은 예를 들어 버튼 기능, 조이스틱 조작, LED 온/오프, 가속도 센싱, 진동 발생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20) 상에 선택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동시에 표시부(420) 상에는 제2 가이드 장치(D2)를 사용하는 콘텐츠의 3D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컴퓨터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표시부(420) 상에 출력할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42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 및 3D 영상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출력장치(400)는 제2 가이드 장치(D2)에 마련된 버튼(B2)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2 가이드 장치(D2)의 조작 버튼(B2)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장치(400)의 표시부(420) 상에는 제2 가이드 장치(D2)의 버튼(B2) 조작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버튼(B2)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를 본체(100)로 전달하여 이에 대한 본체(100)로부터의 명령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는 제2 가이드 장치(D2)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10)와 제2 가이드 장치(D2)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 장치(D2)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휴대용 컴퓨터(10)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제3 가이드 장치(D3)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입출력장치(400)는 제3 가이드 장치(D3)에 장착되어 전자 건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3 가이드 장치(D3)는 전자 건반으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연결부(440)에는 제3 가이드 장치(D3)의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장치(400)는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본체(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전원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3 가이드 장치(D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3 가이드 장치(D3)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3 가이드 장치(D3)로부터 전자 건반으로써 기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건반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3 가이드 장치(D3)의 정보를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100)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은 예를 들어 버튼 기능, 조그셔틀, 볼륨 조절, 레벨링, 음원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20) 상에 선택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42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 및 영상을 통해 제3 가이드 장치(D3)의 음원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출력장치(400)는 제3 가이드 장치(D3)에 마련된 버튼(B3)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3 가이드 장치(D3)의 건반(B3)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음원 입력 신호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음원 입력 신호를 본체(1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본체(10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음원을 출력하거나, 제3 가이드 장치(D3)로 명령을 전달하여 제3 가이드 장치(D3)가 음원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3 가이드 장치(D3)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변환하거나 가공하여 제3 가이드 장치(D3)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본체(100)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변환하거나 가공하여 본체(100)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에 의해 제3 가이드 장치(D3)와 본체(100) 사이의 입출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는 음향 출력도 가능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스피커 없이 입출력장치(400)만으로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는 제3 가이드 장치(D3)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체(100)와 제3 가이드 장치(D3)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장치 없이 입출력장치(400)를 제3 가이드 장치(D3)에 장착함으로써 조그셔틀, 레벨링 장치, 음원 장치, 신디사이저 등의 다양한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출력장치(400)는 제3 가이드 장치(D3)에 의해 생성되는 음원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제4 가이드 장치(D4)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여, 입출력장치(400)는 제4 가이드 장치(D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 장치(D2)는 핸들형 컨트롤러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연결부(440)에는 제4 가이드 장치(D4)의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장치(400)는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본체(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전원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4 가이드 장치(D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4 가이드 장치(D4)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4 가이드 장치(D4)로부터 핸들형 컨트롤러로써 기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핸들형 컨트롤러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4 가이드 장치(D4)의 정보를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100)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은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입력, 가속도 센싱, 각도 센싱, 브레이크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20) 상에 선택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42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가속도 또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브레이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4 가이드 장치(D4)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가속도 및 각도는 별도로 마련된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동시에 표시부(420) 상에는 제4 가이드 장치(D4)를 사용하여 조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2D 또는 3D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컴퓨터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표시부(420) 상에 출력할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출력장치(400)는 제4 가이드 장치(D4)에 형성된 물리적 버튼(B4)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4 가이드 장치(D4)의 조작 버튼(B4)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장치(400)의 표시부(420) 상에는 제4 가이드 장치(D4)의 버튼(B4) 조작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버튼(B4)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를 본체(100)로 전달하여 이에 대한 명령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는 제4 가이드 장치(D4)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10)와 제4 가이드 장치(D4)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가이드 장치(D4)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휴대용 컴퓨터(10)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제5 가이드 장치(D5)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400)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여, 입출력장치(400)는 제5 가이드 장치(D5)에 장착되어 건 슈팅용 컨트롤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5 가이드 장치(D5)는 건 슈팅용 컨트롤러로 사용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연결부(440)에는 제5 가이드 장치(D5)의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장치(400)는 수용부(110)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본체(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입출력장치(400)의 전원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5 가이드 장치(D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5 가이드 장치(D5)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5 가이드 장치(D5)로부터 건 슈팅용 컨트롤러로써 기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이 정보에 기초하여 건 슈팅용 컨트롤러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5 가이드 장치(D5)의 정보를 본체(1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체(100)는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은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입력, 가속도 센싱, 각도 센싱, 카메라 영상 입출력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420) 상에 선택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42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부(420)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가속도 또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고, 컨트롤러에 설치된 카메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5 가이드 장치(D5)를 조작함으로써 각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동시에 표시부(420) 상에는 제5 가이드 장치(D5)를 사용하여 플레이하는 콘텐츠의 2D 또는 3D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장치(4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10)와 무선으로 연동되어, 본체(100)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던 영상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420) 상에는 제5 가이드 장치(D5)의 카메라를 통해 비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20)는 슈팅 게임의 조준경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입출력장치(400)는 제5 가이드 장치(D5)에 마련된 버튼(B5)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5 가이드 장치(D5)의 조작 버튼(B5)을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연결부(440)를 통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장치(400)의 표시부(420) 상에는 제5 가이드 장치(D5)의 버튼(B5) 조작에 따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버튼(B5)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를 본체(100)로 전달하여 이에 대한 본체(100)로부터의 명령을 표시부(420) 상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장치(400)는 제5 가이드 장치(D5)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10)와 제5 가이드 장치(D5)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가이드 장치(D5)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휴대용 컴퓨터(10)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 슈팅을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휴대용 컴퓨터
100: 본체
110: 수용부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키보드 장치
400: 입출력장치
410: 하우징
420: 표시부
430: 감지부
440: 연결부
450: 버튼

Claims (12)

  1. 상부 및 하부가 개폐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키보드 장치;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부착식으로 장착되는 입출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입출력장치는 감지된 입력 신호를 상기 본체에 전달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본체에 대한 입출력을 제공하는, 휴대용 컴퓨터.
  4. 휴대용 컴퓨터에 탈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어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휴대용 컴퓨터 또는 가이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을 상기 가이드 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에 대한 입력 신호로 전달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의 명령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출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장치에 연동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시키는, 입출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의해 상기 가이드 장치의 정보에 따라 출력할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이 결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상기 표시부 상에 출력시키는, 입출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변환 또는 가공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 전달하는, 입출력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서로 다른 가이드 장치와 연결 호환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가이드 장치에 따라 출력할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결정하여, 상기 표시부에 결정된 인터페이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입출력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와 상기 제어부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게 하는, 입출력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가이드 장치에 연동되어 출력된 인터페이스에 따라 제어 대상이 달라지며,
    상기 버튼은 물리적 입력 신호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어하거나, 상기 가이드 장치로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입출력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입출력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컴퓨터 또는 상기 가이드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전달되지 않거나 상기 감지부로부터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슬립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시계 또는 디지털 액자를 출력시키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입출력장치.
KR1020200066797A 2020-06-03 2020-06-03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KR20210149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797A KR20210149985A (ko) 2020-06-03 2020-06-03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797A KR20210149985A (ko) 2020-06-03 2020-06-03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985A true KR20210149985A (ko) 2021-12-10

Family

ID=7886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797A KR20210149985A (ko) 2020-06-03 2020-06-03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99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77A (ko) 2014-06-13 2015-12-24 (주)우리엔지니어링 터치키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77A (ko) 2014-06-13 2015-12-24 (주)우리엔지니어링 터치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447B2 (en) Multi-surface controller
US8217893B2 (en) Inertial sensor-based pointing device with removable transceiver
US10444849B2 (en) Multi-surface controller
JP5358152B2 (ja) 手持ち型情報処理装置
US9155960B2 (en) Video-game console for allied touchscreen devices
KR101660790B1 (ko) 무선 전자펜
EP2538309A2 (en) Remote control with motion sensitive devices
CN114206452B (zh) 具有可定制预置的控制器附加装置
WO2007135686A2 (en) Dongle joystick
US20040193764A1 (en) PC card with standalone functionality
US11103774B2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button mapping pre-sets
CN112835456A (zh) 触控笔及控制方法
US20170255285A1 (en) Detachable back mounted touchpad for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KR102302878B1 (ko) 외장형 입출력장치
KR20210149985A (ko) 입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TW202114765A (zh) 可定製控制器附加系統
KR101988835B1 (ko) 움직임 가능한 큐브형 마우스
KR101504999B1 (ko) 랩탑 컴퓨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이저 포인터 겸용 터치패드형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US11112878B2 (en) Keyboards with configurable displays
CN110347239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TWM312719U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mouse functions
KR20120080943A (ko) 노래반주기의 프론트 패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