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72A -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72A
KR20150144072A KR1020140072718A KR20140072718A KR20150144072A KR 20150144072 A KR20150144072 A KR 20150144072A KR 1020140072718 A KR1020140072718 A KR 1020140072718A KR 20140072718 A KR20140072718 A KR 20140072718A KR 20150144072 A KR20150144072 A KR 2015014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base
pictogram
guide groove
bra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801B1 (ko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김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우 filed Critical 김동우
Priority to KR102014007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801B1/ko
Priority to PCT/KR2015/005973 priority patent/WO2015194802A1/ko
Publication of KR2015014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촉지도용 촉지판의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촉지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촉지도란 시각 장애인이 손으로 촉지하여 읽을 수 있게 구성한 돌출된 형태의 점자와 픽토그램을 인쇄한 지도이다.
이러한 촉지도는 종래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함에 있어 장애인이 일기에 용이한 높이로 돌출하기 어려워 다양한 인쇄방식, 부식방식 등이 있으나 부식방식은 끝단이 첨예하여 손가락을 다치기 쉬우며, 합성수지판에 인쇄한 구성들은 노후가 심하여 촉지도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방식을 개선하고자,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으로 촉지도용 촉지판을 제작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식을 제작한 촉지도용 촉지판의 점자와 픽토그램에 인쇄층(50)을 적층하면서, 상기 인쇄층과 촉지도용 촉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점자와 픽토그램의 내부에 발색 및 발광의 충진제를 충진하여 야광기능을 발휘하면서 다양한 색감을 주어 디자인으로서의 기능도 높이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Touching map production method for the blind and its touching map}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촉지도(囑地圖)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촉지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시각 장애인외에도 시력이 약한 노약자들도 용이하게 식별가능한 발광기능을 부여한 촉지도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은 시각을 대신하여 손끝을 볼록하게 튀어나온 점자 혹은 픽토그램을 촉지하여 보행로, 시설의 확인이 가능하게 한 것이 촉지도(囑地圖 = Tactile maps)이다.
이러한 촉지도는 제작방법에 따라, 금속재질의 자재를 화학약품으로 부식하여 점자를 형성한 금속부식형 촉지도, 합성수지재질의 자재를 합성수지를 용해하는 화학약품으로 부식하여 점자를 형성한 수지부식형 촉지도 그리고 열로 용해된 수지를 판상의 자재에 떨어뜨려 인쇄하는 방식으로 점자나 픽토그램을 형성하는 인쇄형식의 촉지도 등으로 구분한다.
부식방법에 의한 촉지도 제작은 펼쳐진 실크천에 유재막을 형성해 원하는 글과 도형을 각인하는 각인단계, 각인된 실크천을 이용하여 촉지도 자재를 에칭잉크로 인쇄하는 인쇄단계, 인쇄된 촉지도 자재를 부식하여 점자를 형성하는 부식단계, 부식된 촉지도 자재 표면에 잔류하는 인쇄막을 가성소다로 탈막하는 탈막단계, 촉지도 자재의 표면에 페인팅하는 페인팅단계, 페인팅된 촉지도 자재의 건조 및 점자 표면의 페인팅을 제거하고 센드 페이퍼로 헤어라인작업 후 다시 2차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마지막으로 촉지도 자재 표면을 투명 코팅하는 코팅단계의 공정으로 제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부식방식은 점자의 형상이 장애인이 가장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반구형이 아닌 각진 원뿔절단형으로 시각장애인으로 점자를 인식하면서 끝단이 첨예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일반인의 눈에 해당하는 촉지할 손을 베어버리는 단점을 갖고 있다.
수지를 용융하여 인쇄하는 인쇄형식 점자촉지도는 반구형이고 손을 다치지 않는 다는 잇점이 있으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수지판재와 합성수지 인쇄가 노화로 인하여 분리되어 사실상 점자나 픽토그램을 상실하게 되어버리면서,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재도 가장 원시적이지만 가장 안전한 도 1a 와 1b에 도시한 합성수지나 금속의 판재를 문자를 돌출시켜준 구조의 수작업에 의한 촉지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촉지도에 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인하여 혼란을 발생함에 따라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 연합회에서는 2014년 4월 4일짜로 시각장애인용 촉지도에 대한 단체표준안을 제정하였다.
상기 표준안에서는 촉지도(tactile maps)는 시각장애인에게 주요 편의시설 및 사무실, 방의 배치, 이동 공간 위치정보를 돌출된 선과 양각면, 점자, 촉지기호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여 만져서 알 수 있는 안내도로 정의하고 있다.
상기 표준안에서 촉지도의 구체적 형식으로 제시한 것은
내부시설물로 출입구, 복도, 계단과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종합안내소 등.
위생시설로는 장애인 화장실, 일반 화장실(대변기, 소변기, 세면기), 욕실, 샤워실과 탈의실 등.
안내시설로는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 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 등.
기타시설로는 관람석, 열람석, 매표소, 자동판매기, 음료대, 작업대, 개찰구 등을 제시하면서
촉지도의 테두리, 건물외형선, 현 위치, 픽토그램(Pictogram = Picto 와 telegram의 힙성어), 촉지기호를 반드시 돌출형태로 표기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한국 특허 등록제 10-0598815호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하듯이 "촉지도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고정수단이 일측에 마련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된 촉지도에 점자를 타공할 수 있도록 타공홀이 마련되는 타공바와;
상기 타공바의 타공홀에 가이드되어 촉지도를 가압함으로써 타공하는 타공핀과;
상기 타공바 단부에 결합되어 타공바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 및 고정바와 타공바를 지지하거나 이송을 가이드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촉지도 타공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고정바(110)에 촉지도(C)를 고정하고, 타공핀(130)이 가압하여 촉지도에 점자가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타공은 손잡이(132)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으로는 박판구조의 금속판에 점자를 아무리 돌출시킨다하여도 0.2 내지 0.5 mm정도로 그 이상으로 돌출할 경우 박판의 금속판 자체가 수많은 점과 선의 눌림으로 평면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변형이 되고 만다.
금속재가 아닌 합성수지 판재의 경우에도 적어도 0.6mm이상의 높이로 픽토그램이나 점자를 위한 돌출높이를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즉, 박판의 합성수지 판재에 긴 선을 압박하여 돌출시키면 그 선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솟아오르며, 이러한 선이 다시 반대방향, 크로스 방향 등으로 수없이 형성하면 박판의 판재는 요철이 심하게 형성되어 도저히 촉지도로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의 상부에 별도의 돌출된 선이나 문자를 적층하는 방식이 있으나, 외부 노출되어 불과 몇개월 지나지 않아 인쇄물이 분리되어 버려 기능이 상실되고 있다.
본 발명은 부식의 과정이 없이 직접 점자와 픽토그램을 적어도 0.6 mm이상으로 타공처리하는 촉지도용 촉지판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점자만이 아니라 표준안에서 제시한 픽토그램들을 적어도 0.6mm이상의 높이로 표현하는 동시에 높이의 고저 조절로 입체감을 함께 표현할 수 있는 촉지도용 촉지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저의 조절로 입체감을 부여한 픽토그램의 내부에 별도의 발광물질을 충진하여 저시력을 갖는 노약자도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발광기능을 갖는 촉지도를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타공단계에서 타공구에 의한 압입시 타공구의 안내를 위한 홈들이 일면에 형성된 베이스판제작단계, 장애인이 접하여 안내를 받을 안내판에 형성되어질 점자와 선형을 형성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과 선을 관통성형하는 타공 몰드 제작단계, 상기한 베이스판재에 타공몰드를 적층하여 타공장치의 타공구가 출입가능하도록 배치하는 합성수지판재 적층단계, 합성수지판재의 적층상태에서 타공구를 설정된 점자와 선형을 따라 타공구를 베이스판재의 홈까지 전진하여 상기한 합성수지판재에 점자와 선형을 형성하는 타공단계로 구성한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베이스판 제작방법에 의하여 촉지도 제작을 위한 촉지판을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서 타공몰드는 장애인 안내 촉지도에서 문자를 표시할 부분은 해당 점자문에 해당하는 관통공들을 형성하며, 문자표시를 제외한 그래픽부분은 선형 절단부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타공단계에서 타공구에 의한 압입시 타공구의 안내를 위한 홈들이 일면에 형성된 베이스판제작단계; 장애인이 접하여 안내를 받을 안내판에 형성되어질 점자와 선형을 형성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과 선을 관통성형하는 타공 몰드 제작단계; 상기한 베이스판재에 타공몰드를 적층하여 타공장치의 타공구가 출입가능하도록 배치하는 합성수지판재 적층단계; 합성수지판재의 적층상태에서 타공구를 설정된 점자와 선형을 따라 타공구를 베이스판재의 홈까지 전진하여 상기한 합성수지판재에 점자와 선형을 형성하는 타공단계에 의하여 제작한 촉지판을 중심으로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해당 촉지도의 안내를 위한 지도와 문자를 표시한 인쇄층을 적층하며,
상기한 인쇄층의 하부에는 발광층을 적층한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타공단계에서 타공구에 의한 압입시 타공구의 안내를 위한 홈들이 일면에 형성된 베이스판제작단계; 장애인이 접하여 안내를 받을 안내판에 형성되어질 점자와 선형을 형성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공과 선을 관통성형하는 타공 몰드 제작단계; 상기한 베이스판재에 타공몰드를 적층하여 타공장치의 타공구가 출입가능하도록 배치하는 합성수지판재 적층단계; 합성수지판재의 적층상태에서 타공구를 설정된 점자와 선형을 따라 타공구를 베이스판재의 홈까지 전진하여 상기한 합성수지판재에 점자와 선형을 형성하는 타공단계에 의하여 제작한 촉지판을 중심으로
베이스판의 점자를 형성한 타공홈에 투명의 충진재를 충진한 다음 해당 촉지도의 안내를 위한 지도와 문자를 표시한 인쇄층을 적층하며,
상기한 인쇄층의 하부에는 발광층을 적층한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베이스판 제작방법은 종래 부식방식처럼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강한 산, 알카리에 의하여 표면을 부식처리함에 따라 제작작업중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사용이 없어 제작작업이 간단하고 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점자는 물론이고 각종 그래픽을 함께 구현하여 작업성이 좋아 생산성이 높아지게 되어 생산원가를 크게 낮추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생산된 제품이 부식이 아니므로 다양한 재질을 채택할 수 있어 표현할 수 있는 문자와 그래픽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성을 갖게 하여 하부 혹은 좌우측면에서 필요한 양의 광을 발광처리할 수 있어 저시력으로 문자나 그림인식이 어려운 노약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 수작업에 의한 점자 형성을 위한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공정의 베이스판 제작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공정에 의하여 베이스판이 제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공정의 베이스판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공정의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를 제작하는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공정에 의한 점자와 픽토그램을 제작하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공정에서 입체적인 픽토그램을 제작하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점자와 픽토그램에 충진제를 충진하는 공정을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의 촉지도용 촉지판에 인쇄층을 설치하고 그 하부에 발광층을 다시 적재한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촉지도용 촉지판을 설치한 조립식 촉지도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촉지도용 촉지판을 설치한 조립식 촉지도의 분해 사시도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점베이스(10)와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에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촉지원판에 절삭수단(S)으로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을 따라 돌출수단(E)으로 점자(30) 와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조공정에 대한 공정별로 설명한다.
제 1 공정(베이스판 제조공정)
본 발명은 금속판, 합성수지판 혹은 목재를 도 2에 도시하듯이 미도시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X, Y, Z의 3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삭가공을 하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장치의 베드에 적재한다.
적재시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이나 목재의 이동과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베이스판이 고정이 되면 화살표 도시하듯이 스핀들모터(M)에 체결된 절삭비트와 같은 장비를 구비한 절삭수단(S)이 X, Y 그리고 Z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각종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한다.
홈의 형성은 제작할 촉지판에 형성할 돌출부 높이에 따라 최저 1 mm에서부터 10 mm 까지 형성한다.
제 2 공정 (촉지원판 적재)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으로 베이스 홈들과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한다.
베이스판에 형성한 베이스홈구조에 맞추어 정확한 촉지용 돌출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촉지도용 촉지원판과 베이스판의 사이에는 전후좌우 사이드에서 고정구로 고정하고, 또한 양자의 사이에는 양면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병기하여 위치변동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은 점자의 크기가 불과 Φ1.5mm이고 돌출하는 높이가 지금 현행 기준으로 0.6 에서 0.7mm에 불과하고, 점자간 거리도 2.5 mm정도이므로 1 내지 1 mm정도의 위치변동이 발생시 전혀 다른 문자와 선과 도형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제 3 공정 (가이드홈 생성)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에 대하여,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한다.
상기한 점베이스가이드홈과 픽토그램가이드홈은 촉지도용 촉지원판의 두께에 따라 절삭깊이가 촉지도용촉지원판의 전체 두께의 30 내지 60%범위로 절삭처리하여 준다.
가이드홈의 형성은 다음 제4공정에서 점가이드홈과 픽토그램가이드홈을 따라 점자, 선, 원등을 형성시에 촉지도용 촉지원판이 휘어지면서 평탄면을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촉지도용 촉지원판은 두께가 0.1에서부터 3 mm정도의 박판으로 구성한다. 그 이유는 현장에 설치시의 중량의 감소는 물론이고 점자와 선, 원 등을 돌출시킬 때에 두께가 두꺼워 질 수 록 돌출에 어려움이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한 얇은 구조물을 이용한다.
제 4 공정 (돌출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하여 최종적인 촉지도용 촉지판(T)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촉지도용촉지판은 합성수지 혹은 비철금속판재로서, 연질이면서 햇빛이나 열, 저온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접촉에 따른 마모가 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재질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PVC, ABS,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사용가능하며 상기한 가이드 형성과 돌출에 적합한 것은 모두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하듯이 최종적인 픽토그램(35)을 돌출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실제 지형지물과 유사한 입체감을 부여하여 입체픽토그램(Pictogram)(25a)을 형성하는 것이다.
입체 픽토그램은 계단의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다단으로 입체감을 주며, 승강기의 경우에는 사단법인 시각인장애인 협의회에서 표준으로 제시한 아래 표1 과 같이 평면으로 표시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을 보다 실감있게 입체화 하였다.
픽토그램 명칭 픽토그램
계단
Figure pat00001


승강기
Figure pat00002


에스컬레이터
Figure pat00003


종합안내소
Figure pat00004

개찰구
Figure pat00005


경사로
Figure pat00006

구체적으로는 계단의 경우에는 계단으로 단을 여러 개 돌출시키며, 건물의 경우 일반 아파트형건물과 주택을 구분하도록 지붕형태를 달리하여 장애인이 촉지하는 순간 지형지물을 그대로 숙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입체적 표현은 시각 장애인 뿐 아니라 일반인이라도 손쉽게 주변의 필요 시설물에 대하여 신속한 이해를 돕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촉지판에 인쇄된 지도층(50)을 적재하는 제4공정후에 다시 상기 점자와 픽토그램의 공간부내에 색상을 발현하는 충진제(40)을 충전하는 충진공정(제 5 공정),
그리고 상기 충진공정 완료후에 지도층(50)을 부착하는 지도층 부착공정(제 6 공정)을 더 추가하여 계단, 승강기, 안내소, 등을 다양한 색상으로 육안식별이 좋게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상기 충진제(40)는 색상과 함께 축광물질을 함께 함유시켜 야간에도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 하부에 별도로 발광층을 적재하여 하부에서 광을 투사하여 노약자혹은 약시 등으로 인하여 식별이 어려운 사람도 손쉽게 지도를 읽을 수 있어, 비록 맹인의 수준은 아니지만 시력이 약한 노인, 저시력자 또한 야간에도 누구나 손쉽게 안내도를 볼수 있어 장애인을 포함하여 일반인까지도 이용성을 높이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 에 도시하듯이 상기한 인쇄층의 하부에는 발광층(L)을 연속으로 적층한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도를 제공하여, 발광층에 의한 빛과 인쇄층 이 투명충진층을 투과하면서 일반저시력자, 노약자들도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게 하였다.
발광층(BLU = Bakc Light Unit)이란 도광판 하부에 난반사용 잉크를 인쇄하여 난반사를 주는 형식, 도광판 후면에 V자형의 홈을 가공하여 난반사를 유도하는 방식, 도광판 후면에 요철을 금형에 의하여 가공한 방식들로 제작한 구조이다. 도광판외에도 종래의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은 조명들을 설치한 구성이 일부 있으나 이는 소모 전력이 너무 큰 것은 물론 수명과 설치에 많은 제약이 있어 이들 구성은 거의 채택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도 10에 도시하듯이 상기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촉지도용 촉지판,
상기 촉지도용 촉지판(T)의 하부에 적층하는 점자(25)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픽토그램(25)에 일치토록 지도와 안내문자를 인쇄한 인쇄층(50)을 적층하며,
상기 인쇄층과 촉지도용 촉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점자와 픽토그램의 내부에 발색 및 발광의 충진제(40)를 충진하며,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는 발광층(L)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지도용 촉지판(T),
상기 촉지판을 적층고정하는 경사진 촉지판설치면(70), 상기 촉지판설치면의 하측으로 음성발생기와 컨트롤유니트를 내장하는 기둥(75) 그리고 상기 기둥을 지면과 고정하는 하부베이스(80)로 이루어진 조립식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실내외에 설치하는 조립식 촉지도이다.
상기 촉지판 설치면, 기둥 그리고 하부베이스는 도 11에 도시하듯이 서로 분리상태로 이송하여, 설치현장에서 볼트너트에 의하여 조립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설치현장에 다량으로 설치하여도 이송부피를 크게 감소시켜 편리성을 높인다. 또한 설치후에도 내장된 컨트롤유니트에 대한 디버깅과 다운로드에 있어 회로베이스(77)을 독립분리할 수 있어 제품의 업그레이드와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촉지판 설치면의 일측에 태양광 발전부(78)를 설치하여 전원공급이 원할치 않은 지역에도 설치하여 주야간 구별없이 촉지도의 인지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S: 절삭수단 10:점베이스, 15:픽토그램베이스, C: 촉지원판, 20:점가이드홈, 25:픽토그램가이드홈, 30: 점자, 35:픽토그램, 50:인쇄층

Claims (7)

  1.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정에서 적재하는 연질의 박판은 투명재질을 포함한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3.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픽토그램(35)을 형성하여 최종적인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공정으로서,
    상기 제 4 공정에서 픽토그램(35)을 입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공정.
  4.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촉지도용 촉지판(T),
    상기 촉지도용 촉지판(T)의 하부에 적층하는 점자(25)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픽토그램(25)에 일치토록 지도와 안내문자를 인쇄한 인쇄층(50)을 적층하며,
    상기 인쇄층과 촉지도용 촉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점자와 픽토그램의 내부에 발색 및 발광의 충진제(40)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지도용 촉지판.
  5.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촉지도용 촉지판,
    상기 촉지도용 촉지판(T)의 하부에 적층하는 점자(25)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픽토그램(25)에 일치토록 지도와 안내문자를 인쇄한 인쇄층(50)을 적층하며,
    상기 인쇄층과 촉지도용 촉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점자와 픽토그램의 내부에 발색 및 발광의 충진제(40)를 충진하며,
    상기 인쇄층의 하부에는 발광층(L)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지도용 촉지판.
  6. 점자를 구성하기 위한 점베이스(10) 그리고 지도상의 지형지물에 대한 표시를 위한 선, 원을 포함한 픽토그램베이스(15)로 이루어진 베이스홈들을 형성하는 베이스판(B)을 제작하는 제1공정,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된 베이스판의 상측의 홈구조와 일치하도록 촉지도용 촉지원판(C)을 적재하는 제2공정,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적재된 촉지도용 촉지원판을 상기 제1공정에서 제작한 베이스판재에 절삭처리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와 동일한 위치에 절삭수단(S)에 의하여 점가이드홈(20), 픽토그램가이드홈(25)을 형성하는 제3공정,
    상기 제3공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촉지도용 촉지원판(C)에 형성된 점가이드홈(20)와 픽토그램가이드홈(25)를 따라 돌출수단(E)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한 점베이스와 픽토그램베이스의 저면까지 압박돌출하여 점자(30) 그리고 선, 원, 다각형을 포함한 형태의 픽토그램(35)을 형성한 촉지도용 촉지판(T)을 제작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으로 제작한 촉지도용 촉지판으로서,
    상기 촉지판을 적층고정하는 경사진 촉지판설치면(70), 상기 촉지판설치면의 하측으로 음성발생기와 컨트롤유니트를 내장하는 기둥(75) 그리고 상기 기둥을 지면과 고정하는 하부베이스(80)로 이루어진 조립식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촉지도.
  7. 제 6 항에 있어서,
    촉지판 설치면의 일측에 태양광 발전부(78)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촉지도.



KR1020140072718A 2014-06-16 2014-06-16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KR10159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18A KR101598801B1 (ko) 2014-06-16 2014-06-16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PCT/KR2015/005973 WO2015194802A1 (ko) 2014-06-16 2015-06-12 촉지판, 촉지판 제작방법 및 촉지판을 구비한 촉지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18A KR101598801B1 (ko) 2014-06-16 2014-06-16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72A true KR20150144072A (ko) 2015-12-24
KR101598801B1 KR101598801B1 (ko) 2016-03-02

Family

ID=5508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18A KR101598801B1 (ko) 2014-06-16 2014-06-16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8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3960A1 (fr) * 1996-07-22 1998-01-29 Hisakazu Tsukuda Panneau d'affichage
JPH1029366A (ja) * 1996-07-13 1998-02-03 Puroka Corp:Kk 板材またはシート材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2006053247A (ja) * 2004-08-10 2006-02-23 Sakai Silk Screen:Kk 点字付き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3522B1 (ko) * 2005-07-21 2006-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66A (ja) * 1996-07-13 1998-02-03 Puroka Corp:Kk 板材またはシート材加工方法および装置
WO1998003960A1 (fr) * 1996-07-22 1998-01-29 Hisakazu Tsukuda Panneau d'affichage
JP2006053247A (ja) * 2004-08-10 2006-02-23 Sakai Silk Screen:Kk 点字付き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3522B1 (ko) * 2005-07-21 2006-11-10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801B1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2153A2 (de) Rufeingabevorrichtung einer aufzugsanlage
CN100461314C (zh) 操作按钮装置
US6785992B2 (en) Emergency exit sign
KR200390720Y1 (ko) 발광기능을 구비한 논슬립
KR100643522B1 (ko) 점자 일체형 금속판 및 점자 표시 방법
US5449240A (en) Apparatus for embossing Braille labels
KR101598801B1 (ko) 시각 장애인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FI125158B (fi) Kutsupaneeli ja kutsupaneelin valmistusmenetelmä
CN102097227A (zh) 具有显示屏幕的按钮开关结构
KR101598804B1 (ko) 음성 안내가능한 휴대용 촉지도의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한 음성안내 가능한 휴대용 촉지도
US20080282961A1 (en) Tactile Fire Escape System
AU2010291876A1 (en) A system for assisting a sight impaired individual
JP4123222B2 (ja) エレベーター用操作盤
KR20050079948A (ko) 발광기능을 구비한 논슬립
KR101434104B1 (ko)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JPH0660879U (ja) イメージ板
KR101437270B1 (ko) 시각 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
KR101833437B1 (ko) 실내조명 및 장식 기능을 갖는 조명스탠드
KR19990004441U (ko) 시각장애자용 안내표지판
JP2003186408A (ja) 凸文字を備えた文字表示板及びその操作盤
KR102522560B1 (ko) 맞춤형 점자 스티커 조립 세트
KR20160130542A (ko)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휴대용 촉지도의 제작방법, 휴대형 스마트 촉지도, 및 휴대형 스마트 촉지도 운영 시스템
JP3078508U (ja) 点字タイル
JP2001075484A (ja) 視覚障害者と晴眼者向け兼用表示触知板、避難誘導板
TWM511957U (zh) 鎮尺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