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63A - 청소용 밀대 - Google Patents

청소용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63A
KR20150144063A KR1020140072704A KR20140072704A KR20150144063A KR 20150144063 A KR20150144063 A KR 20150144063A KR 1020140072704 A KR1020140072704 A KR 1020140072704A KR 20140072704 A KR20140072704 A KR 20140072704A KR 20150144063 A KR20150144063 A KR 2015014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leaning
bottom member
sp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400B1 (ko
Inventor
신만철
Original Assignee
신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만철 filed Critical 신만철
Priority to KR102014007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40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청소용 밀대(1)에 관한 것으로서, 이 청소용 밀대(1)는 사용시 지면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지고, 걸레포(40)가 착탈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공간(50)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바닥 부재(10)와, 결합 부재(30)에 의해 상기 바닥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신장형 봉(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50)은 상기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체가 상기 공간(5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밀대{MOP HOLDER FOR CLEANING}
본 개시는 걸레포가 착탈될 수 있는 청소용 밀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 및 다양한 장소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 걸레포가 착탈될 수 있는 청소용 밀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용 밀대는 단순히 걸레포로 바닥을 닦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허리를 무리하게 굽히지 않은 상태로도 바닥에 있는 먼지 및 오염물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용 밀대는 진공 청소기에 비해 직접적으로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게 하면서 진공 청소기에 비해 구입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진공 청소기와 함께, 또는 별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 있어서, 청소용 밀대에는 걸레포 세척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일회용 걸레포가 부착되어 사용되었으며, 청소용 밀대 사용 과정에서 일회용 걸레포가 더러워지면 이 일회용 걸레포를 청소용 밀대로부터 제거한 후 새로운 일회용 걸레포를 청소용 밀대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회용 걸레포를 이용하는 경우 걸레포의 구매 비용이 크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원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일회용 걸레포의 교환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오염된 걸레포를 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러한 교환 작업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용 밀대가 제공된다. 이 청소용 밀대는 사용시 지면(地面)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지고, 걸레포가 착탈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바닥 부재와, 결합 부재에 의해 바닥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신장형 봉을 포함하고, 공간은 바닥 부재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체가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막대는 서로 이격된 제1 막대 및 제2 막대와, 제1 막대 및 제2 막대를 서로 연결하는 제3 막대를 포함하고, 봉은 결합 부재에 의해 제3 막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막대의 양 단부는 제1 막대의 일 단부와 제2 막대의 일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막대에는 제3 막대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는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홈에 결합될 수 있다. 홈을 따른 결합 부재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가 결합 부재와 제3 막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막대의 양 단부는 제1 막대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과 제2 막대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막대의 양 단부 각각은 제1 막대 및 제2 막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막대의 길이방향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가 제1 막대와 제3 막대 사이에, 그리고 제2 막대와 제3 막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막대 및 제2 막대 사이에는 사용시 걸레포를 지면에 대해 압박할 수 있는 압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압박 부재는 가요성이고,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막대, 제2 막대 및 제3 막대 중 하나 이상에는 걸레포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착탈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착탈 요소는 바닥 부재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1 막대의 상면과, 바닥 부재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2 막대의 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막대 및 제2 막대 중 하나 이상은 제3 막대에 대한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가 제공된다. 이 걸레포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개시의 사상으로부터 선택된 사항을 간략화된 형태로 제시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며, 아래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또한, 이들 기재 내용은 본 개시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주요 구성 또는 필수적 구성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 아니며, 또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닥 부재(10)의 상면도.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60)의 일 실시예가 마련된 바닥 부재(10)의 저면도.
도 4a는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60)의 다른 실시예가 마련된 바닥 부재(10)의 횡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바닥 부재(10)의 상면도.
도 4c는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6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마련된 바닥 부재(10)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바닥 부재(10)의 다른 실시예의 상면도.
도 6는 본 개시에 따른 바닥 부재(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면도.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걸레포(4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는 걸레포(40)가 착탈될 수 있는 바닥 부재(10)와, 이 바닥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신장형 봉(20)을 포함한다.
바닥 부재(10)는 청소용 밀대(1)의 사용시 지면(地面)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지고, 이 바닥면 아래에 걸레포(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바닥 부재(10)는 그 바닥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걸레포(40)는 지퍼, 단추 또는 벨크로(velcro)와 같은 착탈 요소를 통해 바닥 부재(10)에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바닥 부재(10)는 상호 간에 공간(50; 도 2 참조)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한다. 복수의 막대 사이에 형성된 공간(50)은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가 공간(5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바닥 부재(10)는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신장형 봉(20)은 결합 부재(30)에 의해 바닥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서, 신장형 봉(20)의 일 단부가 결합 부재(30)를 통해 바닥 부재(10)에 결합되며, 타 단부에는 사용자가 봉(20)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1)가 마련된다. 봉(20)의 전체 길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 유닛(22)이 봉(20)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30)는 봉(20)이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평면에 있는 소정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이 소정 축선에 수직하면서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평면에 있는 다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봉(20)은 결합 부재(30)에 결합된 봉(20)의 단부를 지나면서 제1 막대(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제1 축선(A)을 중심으로 결합 부재(30)에 결합된 단부를 고정점으로 하여 앞뒤로 피벗하도록, 그리고 결합 부재(30)에 결합된 봉(20)의 단부를 지나면서 제1 축선(A)에 수직한 제2 축선(B)을 중심으로 결합 부재(30)에 결합된 단부를 고정점으로 하여 좌우로 피벗하도록 결합 부재(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축선(A)을 중심으로 봉(20)을 회전시켜 제2 축선(B) 방향으로 바닥 부재(10)를 진행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바닥 부재(10)의 진행 방향에 대한 바닥 부재(10)의 횡방향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어, 넓은 면적의 바닥을 청소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축선(B)을 중심으로 봉(20)을 회전시켜 제1 축선(A) 방향으로 바닥 부재(10)를 진행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바닥 부재(10)의 진행 방향에 대한 바닥 부재(10)의 횡방향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 좁은 공간의 바닥을 청소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레포(40)는 적어도 일부가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걸레포(40)의 적어도 일부가 바닥 부재(10)의 바닥면 및 측면 중 하나 이상에도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닥 부재(10)의 상면도이다. 바닥 부재(10)는 제1 막대(11)와, 이 제1 막대(11)로부터 이격된 제2 막대(12)와, 제1 막대(11)와 제2 막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제3 막대(13)를 포함한다. 신장형 봉(20)은 결합 부재(30)에 의해 제3 막대(13)에 결합된다.
제1 막대(11), 제2 막대(12) 및 제3 막대(13) 중 하나 이상은 가요성이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3 막대(13)는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막대(13)에 결합된 봉(20)을 통해 제3 막대(13)에 지면을 향한 힘을 가하는 경우 제3 막대(13)는 지면에 평행하게 평평해질 수 있다.
제1 막대(11), 제2 막대(12) 및 제3 막대(13) 중 하나 이상에는 걸레포(40)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지퍼, 단추 또는 벨크로와 같은 착탈 요소가 마련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1 막대(11)의 상면과,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2 막대(12)의 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탈 요소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착탈 요소를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의 상면에 마련하여 걸레포(40)를 부착하는 경우, 사용자가 밀대(1)를 상하로 움직여도 걸레포(40)가 바닥 부재(10)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제1 막대(11)와 제2 막대(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막대(13)의 양 단부는 제1 막대(11)의 일 단부와 제2 막대(12)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바닥 부재(10)가 전체적으로 'N'자 형상을 가진다. 제1 막대(11)는 제3 막대(13)에 대한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3 막대(13)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막대(11)는 도 2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3 막대(13)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막대(11)는 회전하여 제3 막대(13) 위 또는 아래에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막대(12) 역시 제1 막대(11)와 같이, 제3 막대(13)에 대한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3 막대(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킴으로써, 바닥 부재(10) 전체 체적을 줄여 보관시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밀대(1) 사용시 필요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막대(11)와 제3 막대(13) 사이에, 그리고 제2 막대(12)와 제3 막대(13) 사이에는 공간(50)이 형성된다. 이 공간(50)은 유체가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간(50)을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봉(20)을 잡고 청소용 밀대(1)를 위아래로 흔들 때, 바닥 부재(10)의 공간(50)을 통해 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걸레포(40)를 청소용 밀대(1)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걸레포(40)를 세척할 때, 사용자는 걸레포(40)를 청소용 밀대(1)에 부착한 상태로 봉(10)을 파지하여밀대(1)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흔들어 유체가 걸레포(40) 및 공간(50)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걸레포(40)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걸레포(40)가 부착되어 있는 청소용 밀대(1)를 공중에서 흔들어 공간(50)을 통해 공기가 이동하게 하여, 걸레포(40)에 붙어있는 먼지 또는 기타 오염물을 용이하게 걸레포(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걸레포(40)가 바닥 부재(10)에 부착된 상태에서, 걸레포(40)를 물, 예컨대, 버켓에 담겨있는 물에 담근 후, 봉(10)을 상하 이동시키거나 흔들면 공간(50)을 통해서 물이 이동함으로써, 걸레포(40)에 붙어있는 먼지 또는 기타 오염물이 용이하게 걸레포(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용 밀대(1)를 이용하는 경우, 걸레포(40)를 세척할 때 걸레포(40)를 바닥 부재(10)로부터 별도로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회용 걸레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걸레포(40)를 세척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청소의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원 및 비용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막대(13)에는 제3 막대(13)의 길이방향으로 홈(14)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부재(30)는 홈(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홈(14)에 결합된다. 홈(14)은 제3 막대(13)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제3 막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막대(11)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아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홈(14)에 결합된 결합 부재(30)는 제3 막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잠금 부재(60)에 의해 제1 막대(11)에 근접한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막대(11)에 근접하게 결합 부재(30)가 위치하는 경우, 결합 부재(30)가 제1 막대(11)와 제2 막대(12)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을 때보다, 제2 막대(12)와 결합 부재(30) 사이의 거리가 늘어난다. 이와 같이, 제1 막대(11) 또는 제2 막대(12) 쪽으로 결합 부재(30)가 편향되게 배치되는 경우, 청소용 밀대(1)를 이용하여 청소할 때 결합 부재(30)나 이에 결합된 봉(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가구와 같은 물건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바닥 부재(10)를 삽입할 수 있는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따라서, 물건과 지면 사이의 틈새에 있는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60)의 일 실시예가 마련된 바닥 부재(10)의 저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잠금 부재(60)는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를 포함하고, 이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는 엇갈리게 결합되어 잠금 부재(60)는 집게 형태로 구성된다.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가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는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 사이에 스프링이 배치되어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1 잠금 요소(61) 및/또는 제2 잠금 요소(62)에 가할 수 있다.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 각각의 일 단부는 바닥 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 각각의 타단부는 후크 형태의 모양을 가진다. 바닥 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의 단부를 바닥 부재(10)의 내측을 향해 압박하면,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의 후크형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가 회전한다. 상기 후크형 단부는 잠금 부재(6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 부재(60)를 향한 결합 부재(30)의 이동을 허용하되, 잠금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결합 부재(30)의 이동을 저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형 단부의 외표면은 곡선형일 수 있고, 후크형 단부의 내표면은 홈(14)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후크형 단부의 외표면 및 내표면은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 서로를 향해 돌출한 부분을 형성한다.
홈(14)을 따른 결합 부재(30)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63)가 결합 부재(30)와 제3 막대(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잠금 부재(60)를 향해 결합 부재(30)가 이동할 때 결합 부재(30)를 반대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요소(63)가 제3 막대(13) 또는 잠금 부재(6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요소(63)는 결합 부재(30)가 홈(14)의 일단부(예컨대, 제3 막대의 중간 지점에 있는 단부)에 있을 때에는 결합 부재(30)에 힘을 가하지 않으나, 결합 부재(30)가 홈(14)의 타단부(예컨대, 제1 막대 또는 제2 막대에 근접한 단부)를 향해 이동할 때 반대방향으로 결합 부재(3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요소(63)는 결합 부재(30)가 제1 막대(11) 또는 제2 막대(12) 쪽으로 편향되어있는 위치에서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따른 결합 부재(30)를 구비한 청소용 밀대(1)를 이용할 때, 사용자는 봉(20) 또는 결합 부재(30)에 힘을 가해 제3 막대(13)의 길이방향으로 홈(14)을 따라 결합 부재(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30)가 홈(14)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1 잠금 요소(61) 및 제2 잠금 요소(62)의 후크형 단부의 외표면에 접촉하면, 후크형 단부들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결합 부재(30)가 후크형 단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합 부재(30)가 후크형 단부의 돌출 부분을 지나면,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는 그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통해 가해지는 복원력에 의해 서로를 향해 회전하여, 결합 부재(30)가 후크 형상의 단부의 내표면과 접촉하고, 잠금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예컨대 도 3에서 오른쪽 방향으로의 결합 부재(30) 이동이 방지된다. 이후 사용자는 제3 막대(13) 외측으로 돌출한 제1 잠금 요소(61) 및 제2 잠금 요소(62)의 단부를 제3 막대(13) 내측으로 압박하여 제1 잠금 요소(61)와 제2 잠금 요소(62)의 후크형 단부를 벌어지게 함으로써, 결합 부재(30)는 탄성 요소(63)의 탄성력에 의해 홈(14)을 따라 원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60)의 다른 실시예가 마련된 바닥 부재(10)의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바닥 부재(10)의 상면도이다.
도 4a의 잠금 부재(60)는 도 4a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부재(30)에 결합되는 회전 요소(64)와 이 회전 요소(6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요소(65)를 포함한다. 회전 요소(64)는 돌출 요소(65)를 제3 막대(13)에 대해 압박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요소(65)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4)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제1 리세스(15)와 제2 리세스(16)에 삽입될 수 있다. 홈(14)의 너버(W1)는 제1 및 제2 리세스(15, 16)의 너비(W2)보다 작다. 따라서, 돌출 요소(65)가 제1 리세스(15) 또는 제2 리세스(16)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결합 요소(30)는 홈(14)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잠금 부재(60) 및 바닥 부재(10)를 구비한 청소용 밀대(1) 사용시, 사용자는 돌출 요소(65)를 제1 리세스(15)에 삽입하여 결합 부재(30) 및 이에 결합된 봉(20)을 제3 막대(13)의 중간 지점에 고정시킨 상태로 청소용 밀대(1)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결합 부재(30)를 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결합 부재(30)를 향해 회전 요소(64)에 힘을 가하여 회전 요소(64)를 회전(도 4a에서 시계방향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돌출 부재(65)는 제1 리세스(15)로부터 빠져나오고, 결합 부재(30)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는 결합 부재(30)를 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돌출 요소(65)를 제2 리세스(16)에 결합시켜 결합 부재(30)를 고정시킨다.
도 4c는 본 개시에 따른 잠금 부재(6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마련된 바닥 부재(10)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c에 도시한 잠금 부재(60)는 봉(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한 슬라이드 바(66)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바(66)는 사용자가 발 또는 손과 같은 신체로 슬라이드 바(66)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66)는 봉(20)에 마련된 길이방향 홈에 결합되어 홈을 따라 도 4c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바(66)는, 봉(20)에 마련되어 슬라이드 바(66)에 지면을 향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c의 슬라이드 바(66)의 일단부는 도 4b에 도시한 바닥 부재의 리세스들과 맞물린다. 또한, 슬라이드 바(66)의 선단부 형상은 도 4b에 도시한 제1 리세스(15) 및 제2 리세스(16)와 대응한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한 바닥 부재(10) 및 잠금 부재(60)를 구비한 청소용 밀대(1) 사용시, 사용자는 슬라이드 바(66)의 선단부를 제1 리세스(15)에 삽입하여 결합 부재(30) 및 이에 결합된 봉(20)을 제3 막대(13)의 중간 지점에 고정시킨 상태로 청소용 밀대(1)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결합 부재(30)를 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슬라이드 바(66)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바(66)의 선단부와 제1 리세스(15) 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이후, 사용자는 결합 부재(30)를 홈(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슬라이드 바(66)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바(66)의 선단부를 제2 리세스(16)에 결합시켜 결합 부재(30)를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바닥 부재(10)의 다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5의 바닥 부재(10)는 도 2에 도시한 바닥 부재(1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그 형상을 달리하는 제1 막대(11), 제2 막대(12) 및 제3 막대(13)를 포함한다. 도 5의 바닥 부재(10)는 전체적으로 'Z'자 형상을 가지도록, 제1 막대(11)와 제2 막대(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 막대(13)의 양 단부는 제1 막대(11)의 일 단부와 제2 막대(12)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막대(12)의 길이가 제1 막대(11)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막대(11)의 길이가 제2 막대(12)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의 상호간에 길이 차이가 있는 경우, 사용시 청소용 밀대(1)의 진행 방향(도 4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바닥 부재(1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원활한 바닥 부재(10)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바닥 부재(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면도이다. 도 6의 바닥 부재(10)는 제1 막대(11)와, 이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 막대(12)와, 제1 막대(11)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2 막대(12)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 타단부가 연결된 제3 막대(13)를 포함한다.
도 6에 있어서, 제3 막대(13)의 양 단부 각각은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에는 홈들(미도시)이 마련되어, 이 홈들을 따라 제3 막대(13)가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홈을 따른 제3 막대(13)의 이동을 잠금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잠금 부재(60)가 제1 막대 및 제2 막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거나, 도 4a에 도시한 잠금 부재(60)가 제3 막대(13)의 양 단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막대(13)의 길이방향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미도시)가 제1 막대(11)와 제3 막대(13) 사이에, 그리고 제2 막대(12)와 제3 막대(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요소는 제3 막대(13)가 도 6에 도시한 중간 지점에 있을 때에는 결합 부재(30) 또는 제3 막대(13)에 힘을 가하지 아니하나, 제3 막대(13)가 어느 한 쪽(도 6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결합 부재(30) 또는 제3 막대(13)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6의 제1 막대(11)와 제2 막대(12) 사이에는 사용시 걸레포(40)를 지면에 대해 압박할 수 있는 압박 부재(70)가 삽입된다. 압박 부재(70)는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중 하나 이상과 제3 막대(13)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압박 부재(70)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압박 부재(70)는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박 부재(70)는 사각형 단면을 가진 하나 이상의 막대 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곡률을 형성하는 가요성 압박 부재(70)가 그 볼록한 부분이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이 향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막대(11)는 제2 막대(12)를 향하는 측면에 횡방향 홈을 가질 수 있고, 제2 막대(12)는 제1 막대(11)를 향하는 측면에 횡방향 홈을 가질 수 있으며, 압박 부재(70)의 단부들이 제1 막대(11)의 횡방향 홈 및 제2 막대(12)의 횡방향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압박 부재(70)는 청소용 밀대(1) 사용시 걸레포(40)를 바닥에 밀착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압박 부재(70)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바닥 부재에도 마련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걸레포(4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걸레포(40)는 청소용 밀대(1)의 바닥 부재(10)에 착탈될 수 있다. 걸레포(4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걸레포(40)의 적어도 일부가 청소용 밀대(1)의 바닥 부재의 바닥면 또는 이에 대향하는 상면에 부착된다. 걸레포(40)의 양단에 지퍼, 단추 또는 벨크로와 같은 착탈 요소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착탈 요소에 의해 바닥 부재(10)에 부착될 수 있다.
걸레포(40)를 청소용 밀대(1)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걸레포(40)를 세척할 때, 사용자는 걸레포(40)를 청소용 밀대(1)로부터 떼어낼 필요없이 걸레포(40)를 청소용 밀대(1)에 부착한 상태로 걸레포(40)를 물에 담그어 흔들어 걸레포(4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걸레포(4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세척시 물이 걸레포(40) 및 바닥 부재(10)의 공간(50)을 통해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물과의 마찰을 통해 걸레포(40)는 더욱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또한, 걸레포(40)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여 공기 중에서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크므로, 쉽고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사항들로부터 본 개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고,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리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개시의 개시사항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지정된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균등의 의미와 범위 내의 모든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10: 바닥 부재 20: 봉
30: 결합 부재 40: 걸레포
50: 공간 60: 잠금 부재
70: 압박 부재

Claims (15)

  1. 청소용 밀대(1)로서,
    사용시 지면(地面)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지고, 걸레포(40)가 착탈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공간(50)을 형성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막대를 포함하는 바닥 부재(10);
    결합 부재(30)에 의해 상기 바닥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신장형 봉(20)
    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50)은 상기 바닥 부재(10)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체가 상기 공간(5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청소용 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대는 서로 이격된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와,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를 서로 연결하는 제3 막대(13)를 포함하고, 상기 봉(20)은 상기 결합 부재(30)에 의해 상기 제3 막대(13)에 결합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막대(13)의 양 단부는 제1 막대(11)의 일 단부와 제2 막대(12)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막대(13)에는 제3 막대(13)의 길이방향으로 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홈(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홈(14)에 결합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홈(14)을 따른 상기 결합 부재(30)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63)가 결합 부재(30)와 제3 막대(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막대(13)의 양 단부는 제1 막대(11)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과 제2 막대(12)의 길이방향 중간 지점에 연결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막대(13)의 양 단부 각각은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청소용 밀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막대(13)의 길이방향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가 제1 막대(11)와 제3 막대(13) 사이에, 그리고 제2 막대(12)와 제3 막대(1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9.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사이에는 사용시 걸레포(40)를 지면에 대해 압박할 수 있는 압박 부재(70)가 삽입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70)는 가요성이며, 곡률을 가지는 것인 청소용 밀대.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막대(11), 제2 막대(12) 및 제3 막대(13) 중 하나 이상에는 걸레포(40)를 착탈할 수 있게 하는 착탈 요소가 마련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착탈 요소는 상기 바닥 부재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1 막대(11)의 상면과, 상기 바닥 부재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2 막대(12)의 상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련되는 것인 청소용 밀대.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막대(11) 및 제2 막대(12) 중 하나 이상은 제3 막대(13)에 대한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인 청소용 밀대.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청소용 밀대의 바닥 부재에 착탈되는 걸레포.
  1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걸레포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망 형상을 가지는 것인 걸레포.
KR1020140072704A 2014-06-16 2014-06-16 청소용 밀대 KR10162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04A KR101625400B1 (ko) 2014-06-16 2014-06-16 청소용 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704A KR101625400B1 (ko) 2014-06-16 2014-06-16 청소용 밀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22A Division KR101629924B1 (ko) 2016-01-05 2016-01-05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63A true KR20150144063A (ko) 2015-12-24
KR101625400B1 KR101625400B1 (ko) 2016-05-30

Family

ID=5508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04A KR101625400B1 (ko) 2014-06-16 2014-06-16 청소용 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4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633Y1 (ko) * 2000-10-27 2001-05-15 홍경작 청정실 청소용 자루걸레 홀더
KR200426096Y1 (ko) * 2006-06-14 2006-09-14 주식회사 영일비젼 청소용 걸레 밀대
CN202932873U (zh) 2012-11-14 2013-05-15 陈泽 一种便利拖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400B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924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JP5709947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JP5811367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JP5709948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JP5913226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JP5811368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US20120195674A1 (en) Cleaning implement
CA2493334C (en) Cleaning implement
JP5913225B2 (ja) 真空掃除機用床ツール
EP2774525A2 (en) Mop
KR101625398B1 (ko) 청소용 밀대
KR101625400B1 (ko) 청소용 밀대
KR101257620B1 (ko)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101521181B1 (ko) 청소 헤드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JP2016043190A (ja) 処理材保持ヘッド及び処理具
JP2019013387A (ja) 清掃具
US20070240270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US8850651B1 (en) Mop head and handle
KR101629926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KR200428061Y1 (ko) 빗자루 겸용 물걸레 청소구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KR200209751Y1 (ko)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KR101805707B1 (ko) 봉 걸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