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926B1 -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 Google Patents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926B1
KR101629926B1 KR1020160000923A KR20160000923A KR101629926B1 KR 101629926 B1 KR101629926 B1 KR 101629926B1 KR 1020160000923 A KR1020160000923 A KR 1020160000923A KR 20160000923 A KR20160000923 A KR 20160000923A KR 101629926 B1 KR101629926 B1 KR 10162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rod
movable element
cleaning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648A (ko
Inventor
신만철
Original Assignee
신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만철 filed Critical 신만철
Priority to KR102016000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9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걸레포는 상기 제3 바닥판(130)에 착탈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좌우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DETACHABLE FABRIC FOR MOP HOLDER}
본 개시는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 및 다양한 장소의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 걸레포가 착탈될 수 있는 청소용 밀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청소용 밀대는 단순히 걸레포로 바닥을 닦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허리를 무리하게 굽히지 않은 상태로도 바닥에 있는 먼지 및 오염물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용 밀대는 진공 청소기에 비해 직접적으로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게 하면서 진공 청소기에 비해 구입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진공 청소기와 함께, 또는 별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청소용 밀대에 고정되는 걸레포는 넓은 면적을 용이하게 청소하기 위해 그 면적이 클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걸레포의 면적이 큰 경우, 걸레포를 세척하기 어려우며, 청소용 밀대에 고정시켜 조작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걸레포의 면적이 넓으면 걸레포 전체에 고르게 힘을 분산시키기 어려워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가 제공된다. 사용시 지면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지고, 제1 바닥판(110)과, 제1 바닥판(110)으로부터 이격된 제2 바닥판(120)과,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걸레포(20)가 착탈될 수 있는 제3 바닥판(130)을 포함한 바닥 부재(100); 상기 제3 바닥판(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신장형 봉(10); 제1 바닥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막대(210)와, 제2 바닥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막대(220)와,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를 봉(10)에 결합시키는 가동 요소(230)를 포함하는 조절 부재(200)를 포함하는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로서, 상기 제1 막대(210) 및 상기 제2 막대(220)는 가동 요소(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동 요소(230)는 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한 위치(A)와 상한 위치(B)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조절 부재(200)는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을 포함하고, 제1 연결(211)의 양 단부는 각각 제1 막대(210)와 걸레포(20)에 연결되며, 제2 연결선(221)의 양 단부는 각각 제2 막대(220)와 걸레포(20)에 연결되며, 상기 걸레포는 상기 제3 바닥판(130)에 착탈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좌우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레포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부재(1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3 바닥판(130)의 상면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가 사용을 위해 지면에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청소용 밀대(1)에 있어서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에 있을 때 청소용 밀대(1)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가 사용을 위해 지면에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청소용 밀대(1)에 있어서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에 있을 때 청소용 밀대(1)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는 상방으로 볼록한 가요성의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을 구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정면도.
도 5b는 하방으로 볼록한 가요성의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을 구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정면도.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걸레포(2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가 사용을 위해 지면에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청소용 밀대(1)는 제1 바닥판(110), 제2 바닥판(120) 및 제3 바닥판(130)을 포함하는 바닥 부재(100)와, 신장형 봉(10)과, 조절 부재(200)를 포함한다.
바닥 부재(100)는 사용시 지면(地面)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진다.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2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3 바닥판(130)은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20)은 서로 대칭인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은 힌지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제3 바닥판(13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3 바닥판(130)에는 지퍼, 단추 또는 벨크로(velcro)와 같은 착탈 요소에 의해 걸레포(20)가 착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부재(1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3 바닥판(13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고, 걸레포(20)의 대응하는 착탈 요소가 제3 바닥판(130)의 착탈 요소와 결합한다. 걸레포(20)의 적어도 일부가 제3 바닥판(130)의 상면과 결합하는 경우, 봉(10)을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에 걸레포(20)가 제3 바닥판(130)으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서, 걸레포(20)는 제3 바닥판(130)에 부착되는 부착부(21)를 포함하고, 이 부착부(21)로부터 복수의 섬유사들이 좌우로 연장된다. 복수의 섬유사들은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 아래에 배치된다.
신장형 봉(10)은 제3 바닥판(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서, 봉(10)은 제3 바닥판(130)의 중앙 영역에 마련된 결합 부재(30)에 의해 제3 바닥판(130)에 결합되고, 결합 부재(30)는 제1 바닥판(110), 제2 바닥판(120) 및 제3 바닥판(130) 모두를 가로지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봉(10)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조절 부재(200)는 제1 바닥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막대(210)와, 제2 바닥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막대(220)와,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를 봉(10)에 결합시키는 가동 요소(2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제1 막대(210)의 양 단부는 볼 조인트, 유니버셜 조인트, 힌지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각각 제1 바닥판(110)과 가동 요소(230)에 결합되고, 제2 막대(220)의 양 단부도 볼 조인트, 유니버셜 조인트, 힌지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각각 제2 바닥판(120)과 가동 요소(230)에 결합된다. 제1 막대(210)는 제1 바닥판(110)에 결합된 단부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고, 제2 막대(220)는 제2 바닥판(120)에 결합된 단부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다. 제1 막대(210)의 일단부는 제1 바닥판(110)의 중심부에, 그리고 제2 막대(220)의 일단부는 제2 바닥판(120)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동 요소(230)는 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한 위치(A)와 상한 위치(B)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서, 가동 요소(230)는 하한 위치(A)에 있으며, 돌출 부재(11)와 고정 요소(1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돌출 부재(11)는 봉(10)에 설치되어 봉(10)의 안팎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 부재(11)는 스프링에 의해 봉(10)에 고정되어, 봉(10)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힘을 돌출 부재(11)에 가하면 돌출 부재(11)가 봉(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고, 상기 힘을 제거하면 돌출 부재(11)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돌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돌출 부재(11)는 봉(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봉(10)에 수직한 수직 부분과 이 수직 부분의 단부로부터 봉(10)의 상방 및 봉(10)의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면서 연장된 곡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 도 2 참조)에서 하한 위치(A)로 이동할 때, 가동 요소(230)는 돌출 부재(11)의 곡률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후 가동 요소(230)는 돌출 부재(11)의 곡률 부분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돌출 부재(11)는 봉(1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가동 요소(230)가 돌출 부재(11)의 수직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돌출 부재(11)는 봉(10)으로부터 돌출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에 있을 때, 가동 요소(230)의 상방 이동은 돌출 부재(11)에 의해 방지된다. 가동 요소(230)를 상한 위치(B)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돌출 부재(11)를 압박하여 봉(10)에 삽입한 다음, 가동 요소(230)를 상한 위치(B)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봉(10)은 봉(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봉(10)의 외면에 부착된 고정 요소(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 요소(12)는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에 있을 때, 가동 요소(230)의 하방 이동을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청소용 밀대(1)의 사용시, 사용자는 봉(10)을 파지한 상태로 봉(10)을 지면에 대해 힘을 가하고, 이 힘은 봉(10)에 결합된 제3 바닥판(130) 뿐만 아니라,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를 통해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120)에도 분산되어,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 아래에 있는 걸레포(20)에도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바닥판(110), 제2 바닥판(120) 및 제3 바닥판(130)의 바닥면들에 고르게 힘을 분산시켜 걸레포(2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청소용 밀대(1)를 이용함으로써, 넓은 면적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청소용 밀대(1)에 있어서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에 있을 때 청소용 밀대(1)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로부터 상한 위치(B)로 이동하면, 중력에 의해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는 봉(10)을 향해 회전하여 그 간격이 좁혀진다. 청소용 밀대(1)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걸레포(20)에 있어서 제3 바닥판(130)에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 예컨대 도 2에서 부착부(21)의 좌우로 연장된 섬유사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사용자는 도 1에 도시한 상태로 청소용 밀대(1)를 이용하여 청소를 한 후, 가동 요소(230)를 상한 위치(B)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봉(10)의 반경방향에 있어 바닥 부재(100) 및 조절 부재(200)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청소용 밀대(1)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면, 봉(10)의 반경방향에 있어 걸레포(20)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봉(10)의 반경방향에 있어 청소용 밀대(1)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보관시 청소용 밀대(1)의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걸레포(20) 세척시, 물과 같은 세척액과 걸레포(20)의 접촉이 용이해지고, 청소용 밀대(1)의 조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가 사용을 위해 지면에 놓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의 청소용 밀대(1)와 유사하게, 도 3의 청소용 밀대(1)는 제1 바닥판(110), 제2 바닥판(120) 및 제3 바닥판(130)을 포함하는 바닥 부재(100)와, 신장형 봉(10)과, 조절 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3의 청소용 밀대(1)는 추가 조절 부재(300)를 포함한다. 추가 조절 부재(300)는 제1 바닥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3 막대(310)와, 제2 바닥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4 막대(320)와, 제3 막대(310) 및 제4 막대(320)를 봉(10)에 결합시키는 추가 가동 요소(33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막대(310)와 제4 막대(320)는 각각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에서 제3 바닥판(130)에 인접한 부분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 가동 요소(330)는 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추가 가동 요소(330)는 가동 요소(230)에 종속하여 가동 요소(23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가동 요소(230)의 이동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가동 요소(330)가 하한 위치에 있을 때, 추가 가동 요소(330)의 상방 이동을 저지하는 추가 돌출 부재(11)와, 추가 가동 요소(330)의 하방 이동을 저지하는 추가 고정 요소(14)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 조절 부재(200)는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을 포함한다. 제1 연결선(211)의 양 단부는 각각 제1 막대(210)와 걸레포(20)에 연결되며, 제2 연결선(221)의 양 단부는 각각 제2 막대(220)와 걸레포(20)에 연결된다. 도 3에서, 제1 연결선(211)은 걸레포(20)의 부착부(21)로부터 왼쪽으로 연장된 복수의 섬유사들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있는 섬유사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묶은 연결부(22)에 연결된다. 제2 연결선(221)은 걸레포(20)의 부착부(21)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된 복수의 섬유사들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있는 섬유사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묶은 연결부(23)에 연결된다.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에 있을 때, 제1 연결선(211)은 제3 바닥판(130)으로부터 제1 바닥판(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선(221)은 제3 바닥판(130)으로부터 제2 바닥판(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걸레포(20)에 힘을 가하도록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이 구성된다. 따라서,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에 있을 때,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3)에 의해 묶인 복수의 섬유사는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에 의해 좌우로 펼쳐지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청소용 밀대(1)에 있어서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에 있을 때 청소용 밀대(1)가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로부터 상한 위치(B)로 이동하면, 중력에 의해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는 봉(10)을 향해 회전하여 그 간격이 좁혀진다. 제3 막대(310) 및 제4 막대(320) 역시 봉(10)을 향해 회전하여 그 간격이 좁혀진다. 청소용 밀대(1)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걸레포(20)에 있어서 제3 바닥판(130)에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에 있을 때,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은 걸레포(20)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은 가동 요소(230)가 하한 위치(A)에 있을 때에는 걸레포(20)가 좌우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걸레포(20)에 힘을 가하나, 가동 요소(230)가 상한 위치(B)에 있을 때에는 걸레포(20)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힘의 작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의 형상 및 위치, 그리고/또는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3)의 형상 및 위치가 조절된다. 걸레포(20)의 부착부(21)와 제1 연결부(22) 사이의 거리가 제1 연결선(211)의 제1 막대(210) 연결 지점과 제1 연결부(22)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고, 걸레포(20)의 부착부(21)와 제2 연결부(23) 사이의 거리가 제2 연결선(221)의 제2 막대(220) 연결 지점과 제2 연결부(23)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청소용 밀대(1)를 이용하는 경우, 가동 요소(230)를 상한 위치(B)로 이동시키면,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이 걸레포(20)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으므로, 봉(10)의 반경방향에 있어 걸레포(20)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바닥 부재(100) 및 조절 부재(200)가 차지하는 면적도 감소하게 된다. 가동 요소(230)를 하한 위치(B)로 이동시키면, 제1 연결선(211)은 제3 바닥판(130)으로부터 제1 바닥판(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선(221)은 제3 바닥판(130)으로부터 제2 바닥판(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걸레포(20)에 힘을 가하여 걸레포(20)가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걸레포(20)를 바닥 부재(100) 아래에 펼칠 수 있다.
도 5a는 상방으로 볼록한 가요성의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을 구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정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은 상방으로 볼록하도록 구성되고,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는 각각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은 생략되었다. 도 5a에 있는 청소용 밀대(1) 이용시, 사용자가 지면을 향해 봉(10)에 힘을 가하면,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를 통해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에 힘이 가해져 지면에 대해 압박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가요성 제1 바닥판(110) 및 가요성 제2 바닥판(120)은 지면에 대체로 평행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에 가해지는 힘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도 5b는 하방으로 볼록한 가요성의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을 구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밀대(1)의 정면도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은 하방으로 볼록하도록 구성된다. 제1 막대(210) 및 제3 막대(310)는 제1 바닥판(110)의 양 가장자리에, 그리고, 제2 막대(220) 및 제4 막대(320)는 제2 바닥판(120)의 양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a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은 생략되었다. 도 5b에 있는 청소용 밀대(1) 이용시, 사용자가 지면을 향해 봉(10)에 힘을 가하면, 막대들(210, 220, 310, 320)을 통해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에 힘이 가해져 지면에 대해 압박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가요성 제1 바닥판(110) 및 가요성 제2 바닥판(120)은 지면에 대체로 평행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변형된 제1 및 제2 바닥판(110, 120)의 부분들은 지면을 향하는 복원력을 가지고, 이 복원력은 더욱 효과적으로 제1 및 제2 바닥판(110, 120) 아래에 있는 걸레포를 압박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걸레포(2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걸레포(20)는 바닥 부재(100)의 제3 바닥판(130)에 착탈되는 부착부(21)와, 이 부착부(21)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사를 포함한다. 걸레포(20)는 지면에 놓여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부착부(21)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부재(1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3 바닥판(130)의 상면에 착탈될 수 있다. 걸레포(20)의 착탈은 지퍼, 단추 또는 벨크로와 같은 착탈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레포(20)를 청소용 밀대(1)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청소시에는 걸레포(20)를 펼쳐 넓은 면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걸레포(20)의 세척시에는 사용자는 걸레포(20)를 청소용 밀대(1)로부터 떼어낼 필요없이 걸레포(20)를 청소용 밀대(1)에 부착한 상태로 청소용 밀대(1)를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면 걸레포(20)는 부착부(21)로부터 늘어져 봉(10)의 반경방향에 있어 점유 면적이 작아지게 되므로, 용이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항들로부터 본 개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고,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리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개시의 개시사항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지정된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균등의 의미와 범위 내의 모든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10: 봉 20: 걸레포
30: 결합 부재 100: 바닥 부재
200: 조절 부재 300: 추가 조절 부재

Claims (2)

  1. 사용시 지면을 향하는 바닥면을 가지고, 제1 바닥판(110)과, 제1 바닥판(110)으로부터 이격된 제2 바닥판(120)과, 제1 바닥판(110) 및 제2 바닥판(120) 사이에 배치되어 걸레포(20)가 착탈될 수 있는 제3 바닥판(130)을 포함한 바닥 부재(100);
    상기 제3 바닥판(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신장형 봉(10);
    제1 바닥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막대(210)와, 제2 바닥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막대(220)와, 제1 막대(210) 및 제2 막대(220)를 봉(10)에 결합시키는 가동 요소(230)를 포함하는 조절 부재(200)를 포함하는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로서,
    상기 제1 막대(210) 및 상기 제2 막대(220)는 가동 요소(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동 요소(230)는 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한 위치(A)와 상한 위치(B)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조절 부재(200)는 제1 연결선(211) 및 제2 연결선(221)을 포함하고, 제1 연결(211)의 양 단부는 각각 제1 막대(210)와 걸레포(20)에 연결되며, 제2 연결선(221)의 양 단부는 각각 제2 막대(220)와 걸레포(20)에 연결되며,
    상기 걸레포는 상기 제3 바닥판(130)에 착탈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의 좌우로 연장되는 복수의 섬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 부재(100)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제3 바닥판(130)의 상면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포.
KR1020160000923A 2016-01-05 2016-01-05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KR10162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23A KR101629926B1 (ko) 2016-01-05 2016-01-05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23A KR101629926B1 (ko) 2016-01-05 2016-01-05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703A Division KR101625398B1 (ko) 2014-06-16 2014-06-16 청소용 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648A KR20160008648A (ko) 2016-01-22
KR101629926B1 true KR101629926B1 (ko) 2016-06-13

Family

ID=5530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23A KR101629926B1 (ko) 2016-01-05 2016-01-05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9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443Y1 (ko) 1999-12-23 2000-06-01 주식회사효성 다용도 청소 용구
KR200223633Y1 (ko) 2000-10-27 2001-05-15 홍경작 청정실 청소용 자루걸레 홀더
JP2001299659A (ja) 2000-04-19 2001-10-30 Kao Corp 清掃具
CN201822806U (zh) 2010-10-22 2011-05-11 韦建中 一种折叠式平板拖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443Y1 (ko) 1999-12-23 2000-06-01 주식회사효성 다용도 청소 용구
JP2001299659A (ja) 2000-04-19 2001-10-30 Kao Corp 清掃具
KR200223633Y1 (ko) 2000-10-27 2001-05-15 홍경작 청정실 청소용 자루걸레 홀더
CN201822806U (zh) 2010-10-22 2011-05-11 韦建中 一种折叠式平板拖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648A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597B2 (en) Flat mop with abrasive pad
CN101035457A (zh) 具有擦洗区的拖把
KR101625398B1 (ko) 청소용 밀대
KR101629924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US1897726A (en) Mop
KR20130114662A (ko) 세척 장치
JP2014212837A (ja) 床又は他の平坦な面を清掃するための洗浄用アセンブリ
US10034593B2 (en) Broom stick and mop adapter apparatus
US20120060313A1 (en) Cleaning cloth holding structure for mopping apparatus
US20140250618A1 (en) Mop
KR101629926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KR101147814B1 (ko) 접이식 대걸레
CA2827597A1 (en) Mopping device
JP3203756U (ja) 清掃具
KR101753852B1 (ko) 청소 도구
US20200275820A1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KR100804219B1 (ko) 청소용 도구
EP2941164A1 (en) Method for cleaning a surface and cleaning implement
KR101625400B1 (ko) 청소용 밀대
US8850651B1 (en) Mop head and handle
KR101808098B1 (ko) 오염 세정수의 흐름 방지구조를 갖는 양면 유리창 닦이
US2093052A (en) Mop
JP3179983U (ja) モップ用副清掃材及びモップ
EP3694386A1 (en) Head for a cleaning device
KR200482526Y1 (ko) 밀대형 청소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