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054A -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054A
KR20150143054A KR1020140072012A KR20140072012A KR20150143054A KR 20150143054 A KR20150143054 A KR 20150143054A KR 1020140072012 A KR1020140072012 A KR 1020140072012A KR 20140072012 A KR20140072012 A KR 20140072012A KR 20150143054 A KR20150143054 A KR 2015014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gear
lubricating oil
electric motor
pip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3054A/ko
Publication of KR2015014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63H21/386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for handling lubrication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차단시 감속기어로의 안정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감속기어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는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동작되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전기모터 연동펌프와,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에 동작되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감속기어 연동펌프 및 상기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중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emergency lubricating oil supplying device for reduction gear}
본 발명은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차단시 감속기어로의 안정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감속기어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추진방식은 동력원에 따라 증기터빈, 디젤엔진, LNG 엔진, 가스터빈 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배출가스 규제 등으로 인해 모터가 적용된 하이브리드(hybrid) 추진장치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한국등록특허 제1363514호 참조).
모터에 의해 추진되는 선박 추진방식의 일 예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어(reduction gear)(120)의 일측에 프로펠러(130)가 구비되고, 감속기어(120)는 전기모터(110)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디젤엔진(10) 및 디젤엔진(10)의 구동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20)가 구비되며, 발전기(2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전기모터(110)에 공급되는 방식이다.
감속기어(120)는 메인 휠(main wheel)(1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인 휠(121)의 양측부에는 피니언 구동축(pinion shaft)(122)이 구비되며, 피니언 구동축(122)의 일단에는 상술한 전기모터(110)가 구비된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구조 하에, 전기모터(110)에 의해 피니언 구동축(122)이 회전되고, 피니언 구동축(122)의 회전에 따라 감속기어(120)의 메인 휠(121)이 동작하게 된다.
한편,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122)이 맞물려 동작됨에 따라, 감속기어(120)의 동작시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122)의 마찰 부위에는 일정량의 윤활유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윤활유는 감속기어 연동펌프(121) 및 전기모터 연동펌프(111)에 의해 공급된다. 감속기어 연동펌프(121)는 감속기어(120)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펌프이며,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일정 수준(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진행된다.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도 감속기어 연동펌프(121)가 동작되기는 하나 충분한 양의 윤활유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낮은 상태에서는 전기모터 연동펌프(111)에 의해 윤활유가 공급되고,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값 이상에 도달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121)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감속기어 연동펌프(121)와 전기모터 연동펌프(111)에 의해 윤활유가 공급되는 방식에 있어서, 발전기(20)의 동작 정지 등으로 인해 감속기어(120)의 전기모터(110) 및 전기모터 연동펌프(111)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윤활유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속기어 연동펌프(121)는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고,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전기모터 연동펌프(111)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되는데, 감속기어(120)의 전기모터(110)로의 전력 차단에 의해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서서히 감소하여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모터 연동펌프(111)가 동작해야 되나 전력 차단에 의해 전기모터 연동펌프(111)가 동작하지 않음에 따라 기준값 이하의 회전수에서는 윤활유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다. 이에, 감속기어(120)의 손상이 유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3635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력 차단시 감속기어로의 안정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감속기어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는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동작되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전기모터 연동펌프와,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에 동작되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감속기어 연동펌프 및 상기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중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회전수는 감속기어 연동펌프의 윤활유 공급압력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으로의 윤활유 공급이 가능한 기준압력을 이루는 시점에서의 감속기어 회전수이다. 또한, 상기 중력탱크 내의 윤활유는 자연낙하의 형태로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중력탱크로부터 낙하하는 윤활유의 압력이 기준압력과 같거나 높도록, 상기 중력탱크가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으로부터 수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와 함께, 감속기어 연동펌프의 윤활유는 제 1 배관을 통해 공급되고,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윤활유는 제 2 배관을 통해 공급되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은 일 지점에서 공통배관과 합류되며, 공통배관을 통해 감속기어 연동펌프의 윤활유 또는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윤활유가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상기 공통배관의 일 지점에서 제 3 배관이 분기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 3 배관의 일단에는 중력탱크가 구비되며, 중력탱크 내의 윤활유는 제 3 배관을 거쳐 공통배관을 통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공통배관의 윤활유는 제 3 배관을 통해 중력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력 차단에 의해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동작이 정지되더라도 감속기어에 정상적인 유압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어, 윤활유 공급 차단으로 인해 감속기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감속기어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에서의 윤활유 공급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감속기어의 회전수와 윤활유 공급압력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감속기어 연동펌프(gear driven pump)와 전기모터 연동펌프(motor driven pump)를 통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함에 있어서, 전력 차단(black out)으로 인해 전기모터 연동펌프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중력탱크를 통해 안정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전력 차단이라 함은 정전 등으로 인해 감속기어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 및 전기모터의 구동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동작 정지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는 감속기어 연동펌프(310), 전기모터 연동펌프(320) 및 중력탱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기어 연동펌프(310) 및 전기모터 연동펌프(320)는 모두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속기어 연동펌프(310)는 감속기어(120)의 구동에 연동되어 동작되며, 상기 전기모터 연동펌프(320)는 전기모터의 구동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즉, 감속기어 연동펌프(310)는 감속기어(120) 구동시 함께 동작되며, 전기모터 연동펌프(320)는 전기모터 구동시 함께 동작된다.
감속기어(120)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감속기어(120)의 일측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동작시키는데, 정확히는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피니언 구동축이 감속기어(120)의 메인 휠(main wheel)을 구동시켜 프로펠러가 동작되는 방식이며, 감속기어(120)의 메인 휠과 피니언 구동축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것으로 표현하기로 하며, 상기 감속기어 연동펌프(310) 및 전기모터 연동펌프(320)는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한편, 상기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와 전기모터 연동펌프(320)는 감속기어(120)의 회전수(rpm, round per minute)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감속기어 연동펌프(310)가 동작되기는 하나 윤활유 공급압력이 낮아 요구되는 윤활유의 양을 공급할 수 없다. 즉,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에 충분한 윤활유 공급압력을 통해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감속기어 연동펌프(310)가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에만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하인 상태에서는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된다. 따라서,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되고,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를 넘어서게 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된다.
감속기어(120)의 회전수와 윤활유 공급압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도 5 참조),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에 도달할 시점까지는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해 윤활유가 공급되며(도 4a 참조),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의 윤활유 공급압력은 감속기어(120)의 회전수 상승에 따라 완만한 상승곡선을 이룬다.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에 도달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이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한 상태의 압력('기준압력'이라 함)을 이루게 되어,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후인 경우에는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은 정지되고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된다(도 4b 참조). 감속기어(120)의 회전수가 기준회전수를 초과하게 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은 감속기어(120) 회전수 상승에 따라 함께 증가되며,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최대회전수에 이르게 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기준회전수라 함은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이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한 상태의 압력 즉, 기준압력을 이루는 시점에서의 감속기어(120) 회전수를 의미한다.
도 5의 감속기어(120) 회전수와 윤활유 공급압력의 상관관계는 감속기어(120) 회전수 증가시뿐만 아니라 감속기어(120) 회전수 감소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최대회전수를 이루고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감소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 또한 서서히 감소되며,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기준회전수까지 감소할 때까지 이와 같은 경향이 유지된다.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공급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게 되어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불가능함에 따라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된다.
한편, 감속기어(120) 회전수의 감소시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으로 떨어져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한 윤활유 공급이 진행되어야 할 시점에, 전기모터 연동펌프(320)가 동작하지 않게 되면 감속기어(120)가 정지될 때까지 윤활유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모터 연동펌프(320)는 감속기어(120)를 구동하는 전기모터에 연동되어 동작되고, 전기모터는 발전기(디젤엔진의 동력에 의해 전력을 생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데, 정전 등으로 인해 발전기 및 전기모터의 동작이 정지되면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의 동작 역시 정지된다.
전력 차단에 의해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윤활유 공급을 위해 상기 중력탱크(330)가 구비된다. 상기 중력탱크(330)는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감속기어(120)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으로 떨어지면 상기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도 4c 참조).
감속기어 연동펌프(310), 전기모터 연동펌프(320) 및 중력탱크(330)의 유압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감속기어 연동펌프(310) 및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에 의해 토출되는 윤활유는 공통의 유압배관을 통해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된다. 정확히는,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는 제 1 배관(311)을 통해 공급되고,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의 윤활유는 제 2 배관(321)을 통해 공급되며, 제 1 배관(311) 및 제 2 배관(321)은 일 지점에서 공통배관(340)과 합류되며, 공통배관(340)을 통해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윤활유 또는 전기모터 연동펌프(320)의 윤활유가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된다.
상기 공통배관(340)의 일 지점에서 제 3 배관(331)이 분기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 3 배관(331)의 일단에는 중력탱크(330)가 구비된다. 즉, 중력탱크(330) 내의 윤활유는 제 3 배관(331)을 거쳐 공통배관(340)을 통해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될 수 있으며, 반대로 공통배관(340)의 윤활유는 제 3 배관(331)을 통해 중력탱크(3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중력탱크(330) 내의 윤활유는 자연낙하의 형태로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이에 따라 일정 수준의 윤활유 공급압력 확보를 위해 중력탱크(330)는 감속기어(120)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인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중력탱크(330)로부터 낙하하는 윤활유의 압력이 기준압력에 상응하도록 중력탱크(330)의 위치가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기준압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윤활유 공급이 가능한 감속기어 연동펌프(310)의 최소 윤활유 공급압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 1 배관(311), 제 2 배관(321), 제 3 배관(331) 각각에는 감속기어 연동펌프(310), 전기모터 연동펌프(320), 중력탱크(330)로부터 배출되는 윤활유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된다.
120 : 감속기어 310 : 감속기어 연동펌프
311 : 제 1 배관 320 : 전기모터 연동펌프
321 : 제 2 배관 330 : 중력탱크
331 : 제 3 배관 340 : 공통배관

Claims (4)

  1.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동작되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전기모터 연동펌프;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이상인 경우에 동작되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감속기어 연동펌프; 및
    상기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감속기어 회전수가 기준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중력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회전수는 감속기어 연동펌프의 윤활유 공급압력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으로의 윤활유 공급이 가능한 기준압력을 이루는 시점에서의 감속기어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탱크 내의 윤활유는 자연낙하의 형태로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중력탱크로부터 낙하하는 윤활유의 압력이 기준압력과 같거나 높도록, 상기 중력탱크가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으로부터 수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감속기어 연동펌프의 윤활유는 제 1 배관을 통해 공급되고,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윤활유는 제 2 배관을 통해 공급되며, 제 1 배관 및 제 2 배관은 일 지점에서 공통배관과 합류되며, 공통배관을 통해 감속기어 연동펌프의 윤활유 또는 전기모터 연동펌프의 윤활유가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상기 공통배관의 일 지점에서 제 3 배관이 분기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 3 배관의 일단에는 중력탱크가 구비되며, 중력탱크 내의 윤활유는 제 3 배관을 거쳐 공통배관을 통해 감속기어와 피니언 구동축의 계면에 공급되며, 공통배관의 윤활유는 제 3 배관을 통해 중력탱크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KR1020140072012A 2014-06-13 2014-06-13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KR20150143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012A KR20150143054A (ko) 2014-06-13 2014-06-13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012A KR20150143054A (ko) 2014-06-13 2014-06-13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054A true KR20150143054A (ko) 2015-12-23

Family

ID=5508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012A KR20150143054A (ko) 2014-06-13 2014-06-13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3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8561A (zh) * 2018-12-14 2019-04-05 合肥倍豪海洋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大功率对转式全回转推进器喷油润滑冷却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14B1 (ko) 2011-03-31 2014-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14B1 (ko) 2011-03-31 2014-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8561A (zh) * 2018-12-14 2019-04-05 合肥倍豪海洋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大功率对转式全回转推进器喷油润滑冷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409B2 (en) Method for assisting a turboshaft engine in standby of a multiple-engine helicopter, and architecture of a propulsion system of a helicopter comprising at least one turboshaft engine that can be in standby
US20190383168A1 (en) Lubrication of journal bearing during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EP2396526B1 (fr) Moteur aeronautique avec refroidissement d'un dispositif electrique de demarrage
RU26346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двигатель судна
US20140032085A1 (en) System and method of augmenting low oil press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530909A1 (en) Fuel pump systems for turbomachines
NO334830B1 (no) Anordning og fremgangsmåte for drift av et undersjøisk kompresjonssystem i en brønnstrøm
US9506476B2 (en) Oil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oil for a turboprop engine
KR20150143054A (ko) 감속기어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KR101873616B1 (ko) 감속기어 및 추진모터 베어링에 대한 윤활유공급장치
JP5475607B2 (ja) ポンプ設備、及びポンプ設備の運転制御装置
JP2011161952A (ja) Lng船の燃料ガス供給システム
JP2015052315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燃料供給システム
JP2015161257A (ja) ターニング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25308A (ko) 비상 발전기용 윤활 시스템
CN102501211A (zh) 一种液压扳手
JP2007247821A (ja) 油圧式動力伝達装置
KR101872558B1 (ko) 선박 엔진에 대한 비상 윤활유공급장치
CN110332088B (zh) 新型给水泵系统及其运行方法
FR3000989A1 (fr) Systeme de surveillance du demarrage d'un aeronef a voilure tournante, aeronef et procede mettant en oeuvre ce systeme
KR101490914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오일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211779A (ja) 流体供給装置及び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油供給装置
JP6832655B2 (ja) 浚渫ポンプの軸系装置
CN205738031U (zh) 一种舷外机的喷射泵装置
KR20110030206A (ko) 선박용 동력 인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