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420A -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 Google Patents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420A
KR20150142420A KR1020140071236A KR20140071236A KR20150142420A KR 20150142420 A KR20150142420 A KR 20150142420A KR 1020140071236 A KR1020140071236 A KR 1020140071236A KR 20140071236 A KR20140071236 A KR 20140071236A KR 20150142420 A KR20150142420 A KR 2015014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ir
synthetic resin
manufactur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준
Original Assignee
전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준 filed Critical 전영준
Priority to KR102014007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420A/ko
Publication of KR2015014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논스립층이 형성된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Method for manufacturing the non-slip fabric with an air-cushion function and the fabric made thereby}
본 발명은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논스립층이 형성된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생활용품이나 의료용품 등의 산업용품에서 완충이나 간극 또는 높이의 보정이나 보상을 하기 위한 부재로서 천연고무나 우레탄 또는 올레핀 계열의 고분자 발포 성형물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발포 성형물은 완충재나 방음재 또는 다양한 건축자재로도 사용되는 것이고, 일반 생활 가정에서의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근자에 들어서는 충격흡수성과 내마모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쿠션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얻어진 성형물은 신발의 인솔(Insole)의 뒤꿈치부에 위치하는 완충 및 쿠션재로 사용되거나, 욕창 방지매트의 경우 환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완충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뛰어난 통기성과 우수한 복원력을 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에 의해 만들어진 다양한 크기와 두께 및 형태로 된 쿠션부재의 경우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이 피부에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직물을 상기의 발포 성형물에 부착하거나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은 액상의 폴리올(Polyol) 성분 및 액상의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적인 형태의 접착제와 결합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직물을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은 그 접착제가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현상으로 인해 쿠션부재의 사용 도중 직물이 벗겨지거나 탈락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로 적용되는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즉,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직물을 부착하는 방식은 쿠션부재의 생산과정이나 취급과정 및 다양한 용도로 제품화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형태일 것이나 전기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은 접착제와의 결합력이 극히 떨어지는 취약점을 갖고 있어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직물을 직접 접착 형성하지 못하므로 부득이 포켓 형태 또는 커버 형태로 만들어진 직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쿠션부재를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포켓이나 커버 형태로 된 직물을 이용하여 쿠션부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생산비가 매우 과다하게 소모되면서도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므로 대부분 별도의 직물 표면재가 없는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쿠션부재는 직물이 갖는 고유의 질감이나 다양한 색감 및 부드러운 촉감을 연출할 수 없는 것이고,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대하여 다양한 인쇄부 또는 라벨지 등을 부착하거나 재봉 형성할 수 없어 쿠션부재에 대한 상품성을 현저히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직물은 흡습성이 뛰어나 욕창 방지매트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방수필름을 함께 사용하는 폐단이 있고, 신발의 내측에 부착 사용되는 경우에는 발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이들 다양한 쿠션부재에 대한 발수 및 방수 작용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직물은 다양한 염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실을 직조하여 만들어지거나 직물 전체를 염색하여 만들어지는 것인데 상기의 염료는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 탈색 및 변색이 발생하므로 직물 고유의 색감을 쉽게 잃어 그 사용수명이 극히 짧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6538호 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465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 완충이나 간극 또는 높이의 보정이나 보상을 하기 위한 부재로서 주로 사용되는 천연고무나 우레탄 또는 올레핀 계열의 고분자 발포 성형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직물 자체적으로 쿠션기능, 완충기능을 확보하고, 논슬립성을 확보한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쿠션 기능성을 가지는 에어볼을 형성하도록 금형 성형하여 완성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은 신축성 고무직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원단의 일면에 합성고무시트를 덧데어 열압착시켜 합지한 다음, 상기 합성고무시트 일면에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을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하고, 그 상면에 합성수지 시트를 가착시킨 후, 그 상면으로 일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적층시켜 된 직물을 준비하고, 상기 직물을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반구형 홈이 다수개의 형성된 금형틀의 상명에 위치시켜 진공상태에서 가열가압성형 하여 직물의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의 도포두께는 0.1~0.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성형 후, 형성된 에어볼이 형성된 직물에 실리콘 고무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고무직 원단과, 상기 원단의 일면에 합지된 합성고무시트층과, 상기 합성고무시트층의 상면에 접착되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층과,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층의 상면에 가착되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층과,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층의 상면에 접착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층으로 구성되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을 진공상태에서 가열가압성형하여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직물의 에어볼이 형성된 면에 실리콘고무층을 더 형성된 논슬립성을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은 그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쿠션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직물 자체적으로 쿠션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형성되는 에어볼은 금형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크기를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직물은 그 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볼이 규칙적으로 배열됨으로써 에어볼과 에어볼간에 형성된 골에 통풍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직물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의 일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일예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직물의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논스립층이 형성된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시축성 고무직 원단을 준비한 다음, 상기 준비된 고무직 원단의 일면에 합성고무시트를 합지한다. 이때, 상기 합성고무시트는 실리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합지방법은 핫프레스로 열압착시켜 가류시켜 경화시킨다.
상기 합성고무시트를 합지한 다음, 그 상면에 접착제를 코팅한다.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합성수지 고무액을 사용하며, 코팅방법은 스크린 인쇄방법을 적용하여 코팅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의 코팅두께는 바람직하게 0.1~0.2㎜의 두께를 가지도록 코팅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접착제를 코팅한 다음, 합성수지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접착제에 준비된 합성수지 시트를 가착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합성수지 시트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합성수지 시트를 가착시킨 다음, 그 시트의 상면에 일면에 핫멜트 접착제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를 시트를 적층시켜 직물형태로 준비한 다음, 상기 직물을 금형성형기에 투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금형의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고, 그 홈의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금형을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금형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상기 금형은 제품의 사용용도, 목적, 제조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물의 신축성 고무직 원단쪽이 상기 금형에 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면서 진공성형을 한다. 이때, 가용온도는 150~180℃의 온도범위 내에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상태에서 성형시, 상기 금형의 반구형 홈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상기 신축성 고부직 원단이 잡아당겨 지도록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하여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무직 원단은 신축성이 있어, 상기 금형의 반구형 홈의 형상에 맞게 상기 고부직 원단이 잡아당겨져 에어볼상태의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제조단계 중, 열경화성 합성수지고무액이 경화된 상태가 아닌 점성을 유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가착부분은 금형의 홈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이 되게 되고, 높은 온도에 의해 성형과 동시에 내부에 코팅층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금형성형을 완성하고, 상온에서 냉각시킴으로서 본 발명이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에어쿠션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논슬립성을 확보한 직물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가공되게 된다.
도 3 은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된 면을 도시한 사진이고, 도 4 는 상기 에어볼이 형성된 면의 타측면을 도시한 사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은 그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쿠션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직물 자체적으로 쿠션효과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형성되는 에어볼은 금형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크기를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직물은 그 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볼이 규칙적으로 배열됨으로써 에어볼과 에어볼간에 형성된 골에 통풍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직물은 의복의 내부충진재, 쿠션기능을 가지는 매트, 신발깔창, 가방의 어깨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5)

  1. 신축성 고무직 원단을 준비하고, 상기 원단의 일면에 합성고무시트를 덧데어 열압착시켜 합지한 다음, 상기 합성고무시트 일면에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을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도포하고, 그 상면에 합성수지 시트를 가착시킨 후, 그 상면으로 일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적층시켜 된 직물을 준비하고, 상기 직물을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반구형 홈이 다수개의 형성된 금형틀의 상명에 위치시켜 진공상태에서 가열가압성형 하여 직물의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의 도포두께는 0.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성형 후, 형성된 에어볼이 형성된 직물에 실리콘 고무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신축성 고무직 원단과, 상기 원단의 일면에 합지된 합성고무시트층과, 상기 합성고무시트층의 상면에 접착되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층과,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액층의 상면에 가착되는 열경화성 합성수지층과, 상기 열경화성 합성수지층의 상면에 접착되는 폴리에스테르 시트층으로 구성되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을 진공상태에서 가열가압성형하여 일면에 다수개의 에어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에어볼이 형성된 면에 실리콘고무층을 더 형성된 논슬립성을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KR1020140071236A 2014-06-12 2014-06-12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KR20150142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36A KR20150142420A (ko) 2014-06-12 2014-06-12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236A KR20150142420A (ko) 2014-06-12 2014-06-12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20A true KR20150142420A (ko) 2015-12-22

Family

ID=5508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236A KR20150142420A (ko) 2014-06-12 2014-06-12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4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38B1 (ko) 2010-02-25 2012-05-25 조덕용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직물을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KR101146537B1 (ko) 2010-02-25 2012-05-25 조덕용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직물을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38B1 (ko) 2010-02-25 2012-05-25 조덕용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직물을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KR101146537B1 (ko) 2010-02-25 2012-05-25 조덕용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물과 직물을 이용한 다용도 쿠션부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8089A1 (en) 3d printed cage structures for apparel
CA1305033C (en) Method for making laminated foam articles
US20070204482A1 (en) Sock-Like Footwear With A Padded So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259038B2 (en) Bra cu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1022828B1 (ko) 건식 합성피혁원단의 제조방법, 제조시스템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식 합성피혁원단
US10857831B2 (en) Decals with dimensional offsets
US20140096324A1 (en) Composite material,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by
CN107107549A (zh) 三维(3d)制品的隔膜层压
CN102029764A (zh) 一种新型tpu薄膜
WO2006047421A2 (en) Reusable breast shield
TW542788B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inner space lining
KR101537170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통기성 직물 구조 및 그 조립체
US10124606B2 (en) Under-glass digital printing method of multilayer synthetic leather
KR20150142420A (ko) 에어쿠션 기능을 갖는 논슬립성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KR101719159B1 (ko) 신발 안창의 제조방법
CN101505954A (zh) 柔性基体或层合体及其形成和使用方法
JP5720036B2 (ja) 畳の製造方法及び畳
CN112888558A (zh) 服装制品及其制造方法
TWM573593U (zh) 防水透濕鞋面
JP2010051573A (ja) 背負い式バックの背当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M501362U (zh) 複合材改良結構
TWI480162B (zh) Finished label manufacturing method and a stereoscopic
CN203221679U (zh) 热熔网膜复合结构
TWM448768U (zh) 立體標籤
KR100651575B1 (ko) 브래지어 몰드컵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