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905A -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 Google Patents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905A
KR20150141905A KR1020150081372A KR20150081372A KR20150141905A KR 20150141905 A KR20150141905 A KR 20150141905A KR 1020150081372 A KR1020150081372 A KR 1020150081372A KR 20150081372 A KR20150081372 A KR 20150081372A KR 20150141905 A KR20150141905 A KR 2015014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generator
fluid
thermoelectric
control device
flow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시모닌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미셸 시모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미셸 시모닌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5014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10/00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6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영역(A, B)에서 냉원과 열원 사이에 온도 구배를 생성할 수 있는 열전 발전기(10)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 본체(32) 및 게이트(34)를 구비하는 밸브(30)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34)는 밸브 본체(32)에 대해 힌지 결합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점유할 수 있고, 상기 밸브(30)는 상기 열전 발전기(10)를 통해 순환하는 제 1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영역(A, B) 사이에서 상기 열전 발전기(10)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FLOW CONTROL DEVICE INTENDED TO BE USED IN A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COMPRISING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열전 발전기(thermoelectric generator)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flow control device)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제벡 효과(Seebeck effect)로 알려진 현상에 따라 대향하는 두 면 사이에 온도 구배가 존재할 때 전류가 생성될 수 있는, 소위 열전 요소(thermoelectric element)라고 불리는 요소들을 사용하는 열전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왔다. 이들 장치는 열전 발전기라고도 불린다.
이들 열전 발전기는 자동차의 배기 라인에 배치되거나, 심지어는 열기관의 배기와 흡기 사이에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를 구비한 자동차의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 내에 배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목적은 자동차의 배기 가스의 열을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에 있다.
엔진의 적절한 작동을 촉진하고 상기 열전 발전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배기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영역에서 냉원(cold source)과 열원(heat source) 사이에 온도 구배를 생성할 수 있는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 본체 및 게이트(gate)를 구비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밸브 본체에 대해 힌지(hinge) 결합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점유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상기 열전 발전기를 통해 순환하는 제 1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영역 사이에서 상기 열전 발전기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제어 장치로 인해, 본 발명은 열전 발전기를 통한 배기 가스의 유동 및 관련 부하 손실을 조절하는 것이 허용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그 설치가 단순화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가 열전 발전기 내에 통합되기 때문에, 더 이상 열전 발전기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제 1 유체가 상기 열전 발전기의 열원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 상기 밸브 본체는 그 주변부에 제 1 개구를 포함하며;
- 상기 본체는, 게이트가 폐쇄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제 1 유체는 고온 가스이며;
- 상기 밸브 본체는 그 주변부에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개구와 별개이며;
- 상기 본체는, 밸브가 개방 위치를 점유하든지 또는 폐쇄 위치를 점유하든지, 냉원을 형성하는 제 2 유체가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순환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제 2 유체는 냉각제이며;
- 상기 밸브 본체는 중심 구멍을 포함하고, 이 중심 구멍은 게이트의 위치에 따라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 상기 게이트는 플랩과, 상기 플랩을 위한 구동축을 포함하며;
-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축을 위한 힌지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열전 발전기는 각각 냉원과 열원 사이에 온도 구배를 생성할 수 있는 2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2개의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는 열전 모듈의 번들을 포함하고, 상기 번들은 관형이어서, 상기 게이트의 개방 위치 시에 상기 밸브 본체를 관통하는 상기 제 1 유체를 위한 유동 파이프를 내부에 한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열전 발전기를 통해 순환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상기 번들을 통과하는 것은 방지하며;
- 상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환형 열전 요소를 포함하고, 이 환형 열전 요소는 외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하나의 면(제 1 면이라고 함)과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다른 하나의 면(제 2 면이라고 함)의 2개의 면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온도 구배의 영향 하에서 전류를 생성할 수 있으며;
- 상기 번들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제 1 유체를 번들을 통해 상기 파이프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유체를 상기 번들과 상기 하우징의 벽체 사이에서 상기 밸브 본체를 통해, 특히 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유체를 상기 파이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밸브의 하류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며;
- 상기 열전 발전기는 상기 제어 장치의 본체의 상기 제 2 개구를 통과하는 제 2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튜브를 포함하며;
- 상기 제 2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상기 튜브는 상기 열전 발전기를 관통하고, 그들의 내주면과 열교환 관계에 있도록 구성되며;
-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는 제 1 유체와의 제 1 이차 교환면(secondary exchange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차 교환면은 열전 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핀(fin)이며;
- 상기 핀은 제 1 유체의 유독 성분을 촉매 전환(catalytic conversion)하기 위한 촉매 코팅을 포함하며;
-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는, 자동차의 배기 라인에서 순환하는 배기 가스가 상기 제 1 유체를 규정하도록 자동차의 배기 라인 내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자동차의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에서 순환하는 재순환 배기 가스가 상기 제 1 유체를 규정하도록 자동차의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적절한 작동을 촉진하고 열전 발전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배기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개략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가 열기관(도시 생략)과 촉매 시스템 사이에 직렬로 장착되어 있고, 열기관은 시동(start-up) 중인 상태에 있으며, 본 발명의 밸브는 개방되어 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의 개략 종단면도,
도 3은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의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4는 밸브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상태의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5는 열기관이 시동 상태에 이어서 운전 상태에 있을 때의 도 2와 동일한 구성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의 열전 모듈의 번들에 대한 개략 입면도.
단지 설명과 비제한적인 예시를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세부사항, 특징 및 장점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10)가 열기관(도시 생략)과 촉매 시스템(20) 사이에 직렬로 장착되어 있을 때의 열전 발전기(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시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열전 발전기(10)는 자동차의 배기 라인 및/또는 자동차의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로써 도시된 촉매 시스템(20)은 자동차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방출을 제어하는데, 본 발명은 촉매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것은 아니므로, 그에 대해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열전 발전기(10)는 열전 모듈을 포함하는데, 이 열전 모듈은 이들의 면 중 한 면이 냉원과 접촉할 때, 그리고 이들의 면 중 제 2 면이 열원과 접촉할 때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상기 자동차의 배기 가스는 냉원과의 온도 구배를 생성하기 위해 열전 발전기(10)에 의해 열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의 목적은 상기 열전 발전기(10)를 통과하는 상기 배기 가스 또는 열원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30)(도 1에 상세하게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30)는 밸브 본체(32) 및 게이트(34)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32)는 게이트(34)의 위치에 따라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되지 않을 수도 있는 중심 구멍(35)을 포함한다. 사실, 상기 게이트(34)는 플랩(36)과, 상기 플랩을 위한 구동축(X)을 포함한다. 즉, 게이트(34)는 밸브 본체(32)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면부호(X)로 표기된 구동축은 힌지 지지체(38)를 거쳐서 밸브 본체(32)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밸브(30)는 개방 위치(도 2 및 도 5 참조), 폐쇄 위치(도 3 참조) 또는 중간 위치(도 4 참조)를 점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예컨대 열전 발전기 내에 일체화되어 있는 플랩 작동용 수단(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수단은 상기 플랩이 임의의 각도 위치를 점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2개의 영역(A, B) 사이에서 상기 열전 발전기(10) 내에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본 제어 장치가 열전 발전기(10) 내부에 고도로 일체화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스의 경로는 도 2 내지 도 5에 직선 화살표 및/또는 곡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직선 화살표는 주축이라고 하며 도면에 도면부호(Y)로 표기된 열전 발전기(10) 및 촉매 시스템(20)의 축에 따른 가스 유동을 나타낸다. 곡선 화살표는, 특히 후술하는 번들(50)의 영역에서의 축(Y)과 동일 직선 상의 축을 중심으로 한 유동[반경류(radial flow)라고 함]을 나타낸다. 개략적으로, 대량의 유동은 두꺼운 화살표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 발전기(10)는 열전 모듈의 번들(5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은 본 예에서는 링 형상인 적어도 하나의 열전 요소(51)를 포함한다. 이들 열전 요소(51)가 동축적으로(coaxially) 조립되는 경우 열전 막대(thermoelectric rod)(51)를 형성한다. 상기 열전 요소(51) 및 그에 따른 상기 열전 막대(51)는 온도 구배의 영향 하에서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열전 막대(51)의 중심에는 냉원으로서 작용하는 냉각제 유체가 관통 순환하는 튜브(54)가 포함된다.
열전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인 핀(도시 생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핀은 고온 가스와의 2차 교환면으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핀은 열전 모듈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이들 핀은 고온 가스의 유독 성분을 촉매 전환하기 위한 촉매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열전 모듈은 본 예에서는 복수의 환형 열전 요소(51)인 적어도 하나의 열전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 열전 요소는 원통형 외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하나의 면(제 1 면이라고 함)과 원통형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다른 하나의 면(제 2 면이라고 함)의 2개의 면 사이에 가해지는 온도 구배의 영향 하에서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 및 제 2 면은, 예컨대 제 1 면에 대한 타원형 단면 및/또는 제 2 면에 대한 원형 단면의 면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둥근 단면 및/또는 임의의 다각형 단면도 가능하다.
그러한 열전 요소(51)는, 온도 구배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2개의 면 사이에 접속된 전하의 상태로 전류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벡 효과에 따라 작동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서, 그러한 열전 요소(51)는, 예컨대 비스무트 및 텔루륨(Bi2Te3)로 이루어진다.
열전 요소(51)의 제 1 부분은 P 요소라고 하는 제 1 유형의 요소일 수 있는데, 이러한 제 1 부분은 소정의 온도 구배를 받을 때에 전위차가 정방향이라고 하는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되게 하며, 다른 부분은 N 요소라고 하는 제 2 유형의 요소일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온도 구배를 받을 때에 전위차가 부방향이라고 하는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게 한다.
열전 요소(51)는 단일 링으로 형성된다. 그렇지만, 열전 요소(51)는 각각 링의 환상 부분을 형성하는 복수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면은, 예컨대 제 2 면의 반경의 1.5배 내지 4배의 반경을 갖는다. 제 1 면은 제 2 면의 반경의 대략 2배와 동일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전 요소(51)는, 예컨대 2개의 대향하는 평행 평탄면을 갖는다. 환언하면, 열전 요소(51)를 형성하는 링이 직사각형의 환형 단면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들(50)은 관형이다. 따라서, 번들(50)은 상기 가스를 위한 유동 파이프(55)를 형성한다. 이 유동 파이프(55)는 그 중에서도 상기 영역(A, B)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밸브(30)가 개방될 때, 가스는 상기 영역(A)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부분, 상기 밸브(30), 및 상기 영역(B)에 대응하는 파이프의 부분을 통해 순환하며, 상기 가스 중 아주 소량만이 번들(50)을 통과한다.
밸브 본체(32)와 유동 파이프(55)는 동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면부호(D1)로 표기된 밸브 본체(32)의 중심 구멍(35)의 직경은 번들(50) 중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2개의 열전 막대(51) 사이의 간격(D2)(도 6 참조)보다 작다.
도 2는 밸브(30)가 개방되어 있고 가스 중 아주 소량만이 번들(50)을 통과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는 특히 열기관(도시 생략)의 시동 중에 발생한다. 그리고, 예컨대 100℃ 미만의 온도를 갖는 냉각제에 대해, 가스의 온도는 예컨대 400℃ 미만이다. 번들을 통과하는 가스의 일부는 엔진의 시동 상태 동안에 고온 가스의 냉각 유체로의 열전달을 촉진하며, 이는 정상 온도까지의 워밍업(warming-up)을 가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도 2와 유사한 구성을 나타낸다. 열기관이 시동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에, 가스의 유량은 정량화될 수 있으며, 이 유량은 예컨대 70g/s보다 높다. 가스의 온도는 예컨대 750℃보다 높다. 이러한 수치는 고온 가스가 번들(50)을 통과하는 것을 여전히 방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밸브(3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도 3 참조), 가스는 번들(50) 쪽으로 안내되어, 반경방향으로 번들(50)을 통과한다. 그 후, 상기 가스는 상기 밸브 본체(32)의 주변부에 형성된 리세스(31)를 통해, 특히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9)이 상기 번들 및 상기 밸브 본체(32)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번들(50)과 하우징(39)의 벽체 사이에서 제 1 개구(31)를 통하도록 상기 가스를 안내한다. 밸브(30)의 상류측인 영역(A)에서, 가스는 번들(50)을 통해 파이프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순환한다. 밸브(30)의 하류측인 영역(B)에서, 가스는 하우징(39)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안내되어 파이프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보다 낮은 배기 가스 유량에 대해 적합하다. 상기 유량은, 예컨대 750℃ 미만의 가스 온도에 대해 예컨대 30g/s 미만일 것이다.
도 4는 가스가 완전히 번들(50)을 통해 순화하도록 압박하지 않으면서 가스의 축방향 순환을 조절하는 밸브(30) 위치를 갖는 중간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750℃ 미만의 온도에 대해, 예컨대 30g/s 초과의 가스 유량에 적합하다.
밸브(30)가 개방 위치에 있는지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제 2 개구(33)에 의해 냉각제가 밸브 본체(32)를 통해 순환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들 개구는 또한 게이트(34)를 지지하는 밸브 본체(32)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브(들)(54)와 접촉하게 하며, 이들 튜브(54)를 통해 냉각제가 순환한다. 이는 특히 힌지 지지체(38)의 영역에서 게이트(34)를 냉각하며, 그에 따라, 상기 게이트(34)를 배기 가스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즉, 이러한 상태는 상기 게이트(34)를 지지하는 힌지 지지체(38)의 과열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변형예가 가능함을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추가의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냉각제 튜브와 핀 사이에 삽입되는 열전 모듈을 무시하는 반면에, 그러한 밸브(30)가 열교환기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 열전 발전기 20 : 촉매 시스템
30 : 밸브 31 : 리세스
32 : 밸브 본체 33 : 제 2 개구
34 : 게이트 35 : 중심 구멍
36 : 플랩 38 : 힌지 지지체
50 : 번들 51 : 열전 요소(열전 막대)
54 : 튜브 55 : 유동 파이프

Claims (15)

  1. 적어도 2개의 영역(A, B)에서 냉원(cold source)과 열원(heat source) 사이에 온도 구배를 생성할 수 있는 열전 발전기(thermoelectric generator)(10)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 본체(32) 및 게이트(gate)(34)를 구비하는 밸브(30)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34)는 상기 밸브 본체(32)에 대해 힌지(hinge) 결합되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점유할 수 있고,
    상기 밸브(30)는 상기 열전 발전기(10)를 통해 순환하는 제 1 유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2개의 영역(A, B) 사이에서 상기 열전 발전기(10)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열전 발전기(10)의 열원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32)는 그 주변부에 제 1 개구(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32)는, 상기 게이트(34)가 폐쇄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제 1 개구(31)를 통해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32)는 그 주변부에 제 2 개구(3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개구(33)는 상기 제 1 개구(31)와 별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32)는, 상기 밸브(30)가 개방 위치를 점유하든지 또는 폐쇄 위치를 점유하든지, 상기 냉원을 형성하는 제 2 유체가 상기 제 2 개구(33)를 통해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
  7. 열전 발전기(10)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열전 모듈(thermoelectric module)의 번들(50)을 포함하고, 상기 번들(50)은 관형이어서, 상기 게이트(34)의 개방 위치 시에 상기 밸브 본체(32)를 통과하는 상기 제 1 유체를 위한 유동 파이프(55)를 내부에 한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유체가 상기 열전 발전기(10)를 통해 순환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상기 번들(50)을 통과하는 것은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환형 열전 요소(51)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열전 요소(51)는 외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하나의 면(제 1 면이라고 함)과 내주면에 의해 한정되는 다른 하나의 면(제 2 면이라고 함)의 2개의 면 사이에 인가되는 상기 온도 구배의 영향 하에서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50)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고, 상기 밸브(30)는 상기 제 1 유체를 상기 번들(50)을 통해 상기 파이프(55)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39)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9)은 상기 제 1 유체를 상기 번들(50)과 상기 하우징(39)의 벽체 사이에서 상기 밸브 본체(32)를 통해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9)은 상기 파이프(55)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밸브(30)의 하류측으로 상기 제 1 유체를 반경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와의 제 1 이차 교환면(secondary exchange surfac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차 교환면은 열전 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핀(f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 1 유체의 유독 성분을 촉매 전환(catalytic conversion)하기 위한 촉매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발전기는, 자동차의 배기 라인에서 순환하는 배기 가스가 상기 제 1 유체를 규정하도록 자동차의 배기 라인 내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자동차의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에서 순환하는 재순환 배기 가스가 상기 제 1 유체를 규정하도록 자동차의 재순환 배기 가스 회로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발전기.
KR1020150081372A 2014-06-10 2015-06-09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KR20150141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5215 2014-06-10
FR1455215A FR3022078B1 (fr) 2014-06-10 2014-06-10 Generateur thermoelectriqu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controle de deb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905A true KR20150141905A (ko) 2015-12-21

Family

ID=5122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372A KR20150141905A (ko) 2014-06-10 2015-06-09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58059B2 (ko)
EP (1) EP2955350B1 (ko)
KR (1) KR20150141905A (ko)
FR (1) FR3022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5735B1 (en) * 2015-11-06 2018-05-23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 unit for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EP3591199A1 (en) * 2016-11-08 2020-01-08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 unit for conversion of thermal energ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190B1 (en) * 2001-07-02 2004-03-09 Arvin Technologies, Inc. Heat transfer system for a vehicle
JP2008274790A (ja) * 2007-04-26 2008-11-13 Toyota Motor Corp 排熱回収装置
BR112012001520A2 (pt) * 2009-07-24 2019-09-24 Bsst Llc sistema de geração de energia, conversor catalístico e métodos para fabricar sistema de geração de energia de base termoelétrica e pára gerar energia elétrica.
EP2381083A1 (en) * 2010-04-22 2011-10-26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Unit for recovering and converting the thermal energy of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DE102011016808A1 (de) * 2011-04-13 2012-10-1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mit einem Wärmetauscher für einen thermoelektrischen Generator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57544A1 (en) 2015-12-10
FR3022078B1 (fr) 2018-03-16
EP2955350B1 (fr) 2018-08-08
EP2955350A1 (fr) 2015-12-16
FR3022078A1 (fr) 2015-12-11
US10158059B2 (en)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049B2 (en) Exhaust gas heat recovery device
US8327634B2 (en)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JP6113143B2 (ja) 自動車両の熱電式発電機用の熱交換器を有する装置
US20040163861A1 (en) Cool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US9145811B2 (en) Thermoelectric generator of vehicle
JP2013122366A (ja) 熱交換器
KR102415658B1 (ko) 전기차량의 냉각수 가열장치
JP4285438B2 (ja) 熱発電装置
JP4444319B2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
KR20150141905A (ko) 열전 발전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 발전기
JP2008524543A (ja) 熱交換装置
EP2936035B1 (en) Heat exchanger
KR20190035865A (ko) 배기 가스 시스템의 부품 및 배기 가스 후처리 방법
KR20130012998A (ko) Atf 웜업 기능을 갖는 분기형 배기열 회수장치
JP2019065859A (ja) 熱回収システム
KR101815770B1 (ko) 요소수 인젝터 모듈
JP2017166403A (ja) 排気熱回収装置
KR102162375B1 (ko)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US11262143B2 (en) Compact heat exchanger
JP2006207888A (ja) 二重管型熱交換器
CN109072760A (zh) 发动机冷却装置以及发动机系统
JP2010144613A (ja) サーモスタット装置
JP6171699B2 (ja) 排気熱回収器
KR101712942B1 (ko) 다공성 실린더모듈을 이용한 배기열회수 및 열전발전 통합 장치
JP2008175461A (ja) 熱交換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