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375B1 -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375B1
KR102162375B1 KR1020180115027A KR20180115027A KR102162375B1 KR 102162375 B1 KR102162375 B1 KR 102162375B1 KR 1020180115027 A KR1020180115027 A KR 1020180115027A KR 20180115027 A KR20180115027 A KR 20180115027A KR 102162375 B1 KR102162375 B1 KR 10216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wer generation
thermoelectric power
waste hea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662A (ko
Inventor
한승우
조한기
김다혜
김덕종
박현성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1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3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H01L35/0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에 구비되어 폐열의 열에너지를 통한 열전소자의 작동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Thermoelectric Generator Using Waste Hea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에 구비되어 폐열의 열에너지를 통한 열전소자의 작동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전발전 장치는 열전소자의 제베크 효과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자동차의 배기관, 보일러의 튜브, 발전소 내부 등의 폐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관 또는 벽면에 설치된다.
즉, 배관을 유동하는 폐열로부터 열에너지가 열전소자의 고온부 측으로 전달되고, 냉각부재에 의해 열전소자의 저온부가 냉각되면서, 열전소자의 고온부와 저온부 간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술된 종래의 열전발전 장치는 배관의 외측에 둘러 설치되는 열전달부재, 열전달부재 외면에 고온부가 설치되는 열전소자 및 열전소자의 저온부에 설치되는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열전발전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종래의 열전발전모듈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배관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설치된 배관에 열전발전모듈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배관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치된 후에도 유지보수가 수월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0600호(2018.05.16.)에는 분리가 용이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열전발전 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술된 구성은 열전달부재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됨과 함께, 이에 대응하여 냉각부재 또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된다.
이는 열전달부재와 냉각부재 간의 거리가 가까워, 서로 간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열전달부재와 냉각부재 간의 온도 차이가 감소함으로써, 열전소자로 하여금 높은 발전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0600호(2018.05.1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에 구비되어 폐열의 열에너지를 통한 열전소자의 작동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 장치에 있어서, 폐열을 열전소자로 전달하는 열전달블록과, 열전소자 및 열전소자를 냉각하는 냉각블록을 서로 간 어느 한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열전달블록과 냉각블록간의 측면 방향으로의 열 교환을 방지하여, 열전소자로 하여금 온도차를 극대화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열전달블록, 열전소자 및 냉각블록을 내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접촉면에서의 열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의 외면에 선택되는 일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열원블록과, 상기 열원블록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블록으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고온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냉각하는 냉각블록 및,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열전발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의 외면에 선택되는 일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열원블록과, 상기 열원블록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블록으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고온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냉각하는 냉각블록 및,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열전발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열원블록은 배관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배관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면이 완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결합수단이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관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블록을 결합시킴으로써, 배관의 선택되는 위치에서 결합 및 분리가 수월하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블록은 유입되는 열교환매체를 통한 수랭방식을 통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블록은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상기 열전발전블록이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블록은 공기를 통한 공랭방식을 통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몸체와, 상기 결합블록몸체 외면에 공기와 열 교환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상기 열전발전블록이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발전블록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상기 결합블록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발전블록은 상기 결합블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폐열을 열전소자로 전달하는 열전달블록과, 열전소자 및 열전소자를 냉각하는 냉각블록을 서로 간 어느 한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열전달블록과 냉각블록간의 측면 방향으로의 열 교환을 방지하여, 열전소자로 하여금 온도차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배관, 열전달블록, 열전소자 및 냉각블록을 내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접촉면에서의 열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개념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개념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에>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개념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의 외면에 조립되어 구비되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배관을 유동하는 폐열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 장치이다.
이때, 폐열을 유동하는 배관은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가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이라면 발전소 등 다양한 배관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열전소자의 온도 차이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블록(100)을 포함한다.
열전발전블록(100)은 크게 열원블록(110), 열전소자(120), 냉각블록(130) 및 결합블록(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열전블록(110)은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1)의 외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폐열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되며, 이를 통해 배관(1)을 유동하는 폐열의 열에너지를 열전소자(120)로 전달한다.
열전소자(120)는 열원블록(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접촉됨으로써, 열원블록(110)을 통해 폐열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으며, 열원블록(110)에 비해 온도가 낮은 냉각블록(130)은 열전소자(120)의 외면에 구비되어 접촉됨으로써, 열전소자(120)의 선택되는 부분을 냉각하게 된다.
즉, 열전소자(120)는 고온부와 저온부를 포함하며, 열원블록(110)을 통해 폐열의 열에너지는 열전소자(120)의 고온부 측으로 전달되고, 열전소자(120)의 저온부 측은 냉각블록(130)에 의해 인위적으로 냉각됨으로써, 열전소자(120)를 이루는 고온부와 저온부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열원블록(110)은 배관(1)의 외면에 구비되되, 배관(1)의 직경 방향으로의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대칭되어 구비되며, 열원블록(110)의 외면에 구비되는 열전소자(120) 및 냉각블록(130) 또한 서로 대칭되어 구비된다.
즉, 열전발전블록(100)은 배관(1)을 중심으로 열원블록(110), 열전소자(120) 및 냉각블록(130)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서로 간의 열 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열전발전 장치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이는 고온영역(본 발명의 열원블록(110))과 저온영역(본 발명의 냉각블록(130))간의 거리가 짧아 서로 간섭될 우려가 있으며, 이는 고온영역과 저온영역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져 열전소자로 하여금 발전 효율성이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의 열전발전블록(100)은 열원블록(110), 열전소자(120) 및 냉각블록(130)이 한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어 형성됨으로써, 측면 방향으로의 열원블록(110)과 냉각블록(130) 간의 열 교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열원블록(110)과 냉각블록(130)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열전소자(120)로 하여금 높은 발전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결합블록(140)은 냉각블록(130)의 외면에 구비되며, 결합수단(141)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결합블록(140)은 대칭으로 구비되는 냉각블록(130)의 외면에 구비되어 결합수단(141)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측(배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어, 배관(1), 열원블록(110), 열전소자(120), 냉각블록(130)간 밀착력을 증대시켜 빈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발전블록(100)은 결합블록(140)이 결합수단(141)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빈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빈 공간의 공기에 의해 열전도를 방해하는 열저항을 감소시켜, 열전소자(120)로 하여금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열전발전블록(100)이 배관(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열전발전블록(100)은 다양한 배관(1)에 적용 가능하도록 선택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되는 길이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발생 감소는 배관(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선택되는 길이와 다수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차량의 배관(1) 뿐만 아니라,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배관에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4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의 열전발전블록(100)을 구성하는 냉각블록(130)은 수랭 방식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열전소자(120)로 하여금 효율적인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냉각블록(13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열교환매체와 열 교환되어 냉각되며, 냉각된 냉각블록(130)은 접촉된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더욱 더 냉각시킴으로써, 열전소자(120)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열교환매체는 차량에 적용된 열전발전 장치일 경우, 차량의 엔진 등의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수를 형성하는 냉각장치 등에서 열교환매체유로(2)를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그 외 냉각블록(130)과의 열 교환을 통해 냉각블록(130)을 냉각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물질 또는 구성 실시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의 열전발전블록(100)을 구성하는 결합블록(140)은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각블록(130)은 유입되어 열 교환되는 열교환매체에 의해 냉각되며, 저온의 에너지를 열전소자(120)의 저온부로 최대한 공급하는 것이 발전 효율 증대에 유리하므로, 외부로 저온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냉각블록(130)의 외면에 접촉되어 구비되는 결합블록(140)은 단열재로 형성하여 저온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의 열전발전블록(100)이 배관(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구비될 경우, 열교환매체유로(2)가 열전발전블록(1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열 교환 효율 향상을 위해 하나의 열교환매체 유로(2)에서 분리되어 각각의 냉각블록(130)으로 열교환매체를 유입시켜 열 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를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의 열전발전블록(100)을 구성하는 냉각블록(130)은 공랭 방식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열전소자(120)로 하여금 효율적인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블록(130)의 외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140)은 공기와 열 교환되어 냉각됨으로써, 냉각블록(130)을 냉각할 수 있는 히트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블록(140)은 서로 결합되되, 히트싱크로 형성되어 방열 할 수 있어, 냉각블록(130)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결합블록(140)은 냉각블록(130)과 접촉되되, 결합수단(141)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몸체(140a)와, 결합블록몸체(140a)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와 열 교환되기 위한 방열부(1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결합블록(140)을 통해 서로 체결되어 열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블록(140)을 통해 냉각블록(130)의 냉각을 공랭식으로 수행할 수 있어 열교환매체를 냉각블록(130) 내부로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 등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결합블록(140)은 차량에 적용될 경우, 주행풍에 의해 방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전발전블록(100)이 배관(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배치될 경우, 전단의 열전발전블록(100)에 의해 후단의 열전발전블록(100)에는 많은 양의 주행풍이 도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단에서 열 교환되어 후단에서의 열전발전블록(10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되어 냉각블록(130)의 효율적인 냉각이 수행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의 열전발전블록(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로 이루어져 방열하기 위한 결합블록(140)이 유입되는 주행풍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방사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서로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히트싱크로 이루어지는 결합블록(140)으로 많은 유량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팬(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방열이 가능한 결합블록(140)으로 많은 유량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팬(150)을 더 포함함으로서, 팬(150)으로 하여금 결합블록(140)의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적용된 경우, 차량이 주행할 경우에는 주행풍이 유입되어 결합블록(140)을 통한 냉각블록(130)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지만, 차량이 멈춘 상태에서는 주행풍이 유입되지 않아, 결합블록(140)을 통한 냉각블록(130)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1000)는 열전발전블록(100)으로, 더욱 더 자세하게는 결합블록(14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팬(150)을 더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히트싱크의 방열과 더불어, 냉각블록(130)의 추가 냉각을 수행할 수 있어, 열전소자(120)로 하여금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100 : 열전발전블록
110 : 열원블록
120 : 열전소자
130 : 냉각블록
140 : 결합블록
140a : 결합블록몸체
140b : 방열부
141 : 결합수단
150 : 팬
1 : 배관
2 : 열교환매체유로

Claims (10)

  1.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의 외면에 선택되는 일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열원블록과,
    상기 열원블록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블록으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고온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냉각하는 냉각블록 및,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열전발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냉각블록은 공기를 통한 공랭방식을 통해 냉각되며,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몸체와,
    상기 결합블록몸체 외면에 공기와 열 교환되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발전블록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결합블록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2.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의 외면에 선택되는 일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열원블록과,
    상기 열원블록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원블록으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고온부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냉각하는 냉각블록 및,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열전발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열원블록은 배관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배관의 외면에 대응하여 내면이 완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결합수단이 폐열이 유동하는 배관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관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블록을 결합시킴으로써, 배관의 선택되는 위치에서 결합 및 분리가 수월하게 가능하고,
    상기 열전발전블록은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되,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상기 결합블록이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블록은
    유입되는 열교환매체를 통한 수랭방식을 통해 냉각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단열재로 형성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는
    상기 열전발전블록이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블록은
    공기를 통한 공랭방식을 통해 냉각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냉각블록의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결합블록몸체와,
    상기 결합블록몸체 외면에 공기와 열 교환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발전블록은
    상기 결합블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더 포함하는,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KR1020180115027A 2018-09-27 2018-09-27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KR10216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027A KR102162375B1 (ko) 2018-09-27 2018-09-27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027A KR102162375B1 (ko) 2018-09-27 2018-09-27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62A KR20200035662A (ko) 2020-04-06
KR102162375B1 true KR102162375B1 (ko) 2020-10-06

Family

ID=7028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027A KR102162375B1 (ko) 2018-09-27 2018-09-27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931A (ko) * 2021-08-20 2023-02-28 한국자동차연구원 열전 발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102B1 (ko) * 2020-04-27 2021-04-28 주식회사 블루시스 열전발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699A (ja) * 1999-04-16 2000-10-2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排熱発電装置
JP4486785B2 (ja) * 2003-03-03 2010-06-23 岡野電線株式会社 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194A (ja) * 1997-02-20 1998-09-02 Calsonic Corp 排熱発電装置
KR20130107389A (ko) * 2012-03-22 2013-10-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열전발전장치
KR101860600B1 (ko) 2014-11-05 2018-05-23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소자를 이용한 폐열 회수형 열전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699A (ja) * 1999-04-16 2000-10-24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排熱発電装置
JP4486785B2 (ja) * 2003-03-03 2010-06-23 岡野電線株式会社 冷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931A (ko) * 2021-08-20 2023-02-28 한국자동차연구원 열전 발전 장치
KR102632551B1 (ko) 2021-08-20 2024-02-02 한국자동차연구원 열전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62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35B1 (ko) 차량용 열전 발전기
KR102162375B1 (ko)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CN101728899A (zh) 用于冷却电机的装置
JP2011074918A (ja) ガスタービンから熱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60053653A1 (en) Waste heat exchanger
KR20140073703A (ko) 폐 에너지 회수 발전장치
US8816547B2 (en) Electric machine with cooling arrangement
KR20160077619A (ko)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KR101265145B1 (ko) 차량용 열전 발전기
KR20160008858A (ko) 복층 구조의 폐열 회수형 열전발전장치
US9184363B2 (en) Power generator
KR102464181B1 (ko) 열교환장치 및 열전발전장치의 통합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N102468696B (zh) 用于定子外壳部段的焊接歧管
KR101753152B1 (ko) 액체금속 열교환부를 포함한 열전 발전장치
KR100987571B1 (ko) 풍력 터빈 발전기의 냉각 시스템
CN206149693U (zh) 一种散热机构及具有热源的设备
KR101791898B1 (ko) 중앙 냉각채널 형 열전발전 시스템
CN110601394B (zh) 定子冷却结构、定子组件以及具有其的电机
KR101712354B1 (ko) 고효율 열전발전 시스템
JP2019198165A (ja) 熱電発電システム
US20190086157A1 (en) Cooling system, cooler, and cooling method
KR20160077624A (ko) 폐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장치
KR101031255B1 (ko) 선박용 디젤 오일 쿨러
KR100425987B1 (ko) 냉각모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통신 시스템
CN215872400U (zh) 一种螺旋式航天起发电机控制器水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