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95A - 폐기물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95A
KR20150141395A KR1020140070068A KR20140070068A KR20150141395A KR 20150141395 A KR20150141395 A KR 20150141395A KR 1020140070068 A KR1020140070068 A KR 1020140070068A KR 20140070068 A KR20140070068 A KR 20140070068A KR 20150141395 A KR20150141395 A KR 2015014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te
drum
dewater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명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코
이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코, 이종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코
Priority to KR102014007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395A/ko
Publication of KR2015014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폐기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수용공간으로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용공간의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탈수드럼과, 탈수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탈수유닛과, 탈수유닛으로부터 탈수된 폐기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압착유닛과, 탈수유닛 및 압착유닛에 의해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탈수액을 응집시키는 것으로서, 복수의 이송롤러에 지지되어 수집부를 통해 공급된 탈수액을 이송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이송벨트가 마련된 이송컨베이어와,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탈수액을 압착할 수 있도록 탈수액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가압부가 마련되 응집유닛과,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가 포함된 세척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폐기물 탈수장치{Apparatus for dehydration of waste}
본 발명은 폐기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를 세척수 및 고압의 에어로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마련된 폐기물처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폐기물을 해양투기가 가능한 수분과, 비료 등으로 재 사용할 수 있는 슬러지로 분리 추출할 수 있게 하는 폐기물 고액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105호에는 폐기물 고액분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폐기물 고액분리기는 반원통형 형상으로 되어 중앙위치에 액체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저면 후미에는 드럼스크린을 통해 1차 탈수된 슬러지가 스크류프레스로 공급되도록 호퍼형 공급부를 가진 하부동체와, 반원통형으로 되어 상기 하부동체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상부동체, 그리고 상기 상하부동체로 된 동체 내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중앙선단부에 폐기물 유입구와 폐기물 배출구를 가진 드럼회전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미세한 타공구멍이 전체적으로 밀집 형성된 드럼스크린과, 상기 호퍼형 공급부 하측에 공지의 스크류프레스를 장착 구성하여서 된 폐기물 고액분리기에 있어서, 원통형의 드럼스크린 내경 벽면에,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호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연날개를 일정한 간격과 거리를 유지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 장착시키되 이들이 전체적으로는 나선형으로 배열 설치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폐기물 고액분리기는 드럼스크린을 세척하기 위해 드럼스크린의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데, 상기 세척수의 분사로는 드럼스크린에 고착된 폐기물을 모두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세척수 및 고압의 에어를 함께 분사하는 세척유닛이 마련된 폐기물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폐기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탈수유닛과, 상기 탈수유닛으로부터 탈수된 상기 폐기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압착유닛과, 상기 탈수유닛 및 압착유닛에 의해 상기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탈수액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탈수액을 응집시키는 것으로서, 복수의 이송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수집부를 통해 공급된 탈수액을 이송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이송벨트가 마련된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탈수액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탈수액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가압부가 마련되 응집유닛과, 상기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상기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가 포함된 세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세척노즐이 마련된 제1세정부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귀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면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세척노즐이 마련된 제2세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세정부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에어노즐이 마련된 제1에어부재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구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에어노즐이 마련된 제2에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세척노즐이 마련된 제1세정부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귀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부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세척노즐이 마련된 제2세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세정부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에어노즐이 마련된 제1에어부재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구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에어노즐이 마련된 제2에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세척노즐들과 상기 제1에어노즐들은 상기 탈수드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세척노즐들과 상기 제2에어노즐들은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는 상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탈수액 중 일부를 상기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집된 상기 탈수액을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 공급하는 탈수액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장치.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는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세척수 및 고압의 에어를 함께 분사하는 세척유닛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의 세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는 탈수드럼과 압착유닛을 통해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을 이송컨베이어와 가압벨트를 통해 압착하므로 탈수액에 포함된 폐기물의 압착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의 세척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폐기물 탈수장치(100)는 프레임(101)과, 폐기물을 탈수할 수 있도록 탈수드럼(210)이 마련된 탈수유닛(200)과, 상기 탈수유닛(200)에 의해 탈수된 폐기물을 압착하는 압착유닛(300)과, 상기 탈수유닛(200) 및 압착유닛(300)을 통해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을 수집하는 수집부(400)와, 상기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탈수액을 응집하는 응집유닛(500)과, 상기 탈수드럼(210) 및 상기 응집유닛(500)을 세척하는 세척유닛(600)을 구비한다.
탈수유닛(200)은 지지체에 의해 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수드럼(210)과, 상기 탈수드럼(210)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220)를 구비한다.
탈수드럼(210)은 내부에 폐기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11)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탈수드럼(210)은 일측면에 상기 수용공간(211)으로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12)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13)가 형성된 메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는 탈수드럼(210)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탈수드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이 각각 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회전축(215)과, 일단은 드럼회전축(215)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탈수드럼(210)의 내주면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부재(216)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216)는 탈수드럼(2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드럼회전축(2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구동부(220)는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21)와, 상기 구동모터(221)의 구동축에 체결된 구동스프로켓(222)과, 드럼회전축(215)의 일단에 체결된 피동스프로켓(223)과, 상기 구동스프로켓(222) 및 피동스프로켓(223)에 연결된 연결체인(224)을 구비한다.
폐기물 공급관을 통해 탈수드럼(210)의 투입구(212)를 통해 수용공간(211)에 수용된 폐기물은 탈수드럼(210)에 의해 회전하고, 탈수드럼(2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폐기물에 포함된 탈수액이 분리되어 관통공을 통해 탈수드럼(210) 외부로 배출된다.
압착유닛(300)은 탈수드럼(210)으로부터 탈수되어 배출된 폐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압착공간이 마련된 압착하우징(310)과, 상기 압착하우징(310) 내에 설치되어 압착공간에 유입된 폐기물을 이송하며 압착하는 스크류부(320)를 구비한다.
압착하우징(310)은 상기 압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 상측 외주면에 탈수드럼(210)으로부터 배출된 폐기물이 상기 압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 하측 외주면에는 압착공간으로 통과한 폐기물이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압착하우징(310)은 탈수드럼(210)으로부터 배출된 폐기물이 용이하게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게 유입호퍼(311)가 설치되어 있다. 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폐기물은 폐기물 처리시설로 이송된다.
스크류부(320)는 상기 압착하우징(310) 내에 설치된 압착회전축(321)과, 상기 압착회전축(3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선된 나선블레이드(322)와, 상기 압착회전축(321)을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부(323)를 구비한다.
상기 압착회전축(321)은 압착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압착하우징(310)의 중심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선블레이드(322)는 압착회전축(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압착하우징(310) 내에 유입된 폐기물을 압착할 수 있도록 유입구에서 유출구측으로 갈수록 피치가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구동부(323)는 압착회전축(321)의 일단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기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호퍼(311)를 통해 탈수드럼(210)을 통과한 폐기물은 상기 압착하우징(310) 내로 유입되고, 압착하우징(310) 내에 유입된 폐기물은 스크류부(320)에 의해 유출구 측으로 이송되면서 압착되어 재탈수된다. 탈수된 폐기물은 유출구를 통해 압착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시설로 이송된다.
수집부(400)는 탈수드럼(210)의 하측 프레임(101)에 설치된 제1수집호퍼(401)와, 압착하우징(310)의 하측 외주면에 상기 압착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2수집호퍼(402)와, 제1 및 제2연결관(403,404)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수집호퍼(401,402)에 연결되며, 내부에 탈수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11)이 마련된 저장조(405)를 구비한다.
상기 제1수집호퍼(401)는 탈수드럼(210)으로부터 배출되는 탈수액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탈수드럼(210)의 면적에 대응되는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집호퍼(402)는 스크류부(320)에 의해 압착되어 배출된 탈수액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압착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수조는 내부에 수용된 탈수액을 응집유닛(50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응집유닛(500)은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탈수액을 응집시키는 것으로 탈수액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510)와, 이송벨트(512)에 의해 이송되는 탈수액을 압착할 수 있도록 탈수액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가압부(520)를 구비한다.
이송컨베이어(510)는 상호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01)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이송롤러(511)와, 상기 이송롤러(511)에 지지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벨트(512)와, 상기 이송롤러(511)를 구동시키는 롤러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때, 이송벨트(512)는 이송롤러(511)들 사이에 폐회로를 이루며, 상부에는 폐기물이 이송되는 이송부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폐기물의 이송을 마치고 회귀하는 회귀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송벨트(512)는 가압부(520)에 의한 탈수액의 압착시 액체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마련된 메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와, 전기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이송롤러(511)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가압부(520)는 상기 이송벨트(512)의 이송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01)에 설치되어 이송벨트(512)를 통해 이송되는 탈수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벨트(512)의 이송면에 일측이 가압접촉되는 무한궤도상의 가압벨트(521)와, 상기 가압벨트(521)를 구동시키는 가압구동부(523)를 구비한다.
가압벨트(521)는 다수의 지지롤러(522)에 의해 지지되는 데, 상기 지지롤러(522)는 롤러지지체(524)에 의해 프레임(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송벨트(512)에 인접된 위치의 롤러지지체(524)는 지지롤러(522)의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구가 마련되되, 상기 삽입구가 이송벨트(51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브라켓(525)과, 상기 지지롤러(52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지지롤러(522)가 이송벨트(512)에 인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26)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부재(52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롤러(522)가 이송벨트(512)에 밀착되어 가압효율을 향상시킨다.
가압구동부(52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와, 전기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지지롤러(522)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응집유닛(500)은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탈수액을 이송컨베이어(510)와 가압벨트(521)를 통해 압착하므로 탈수액에 포함된 폐기물의 압착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세척유닛(600)은 탈수드럼(210) 및 이송벨트(512)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탈수드럼(210) 및 이송벨트(512)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610)와, 상기 탈수드럼(210) 및 이송벨트(512)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를 포함한다.
세척수 분사부(610)는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정부(611)와, 상기 이송벨트(512)의 회귀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세정부(612)와, 상기 제1 및 제2세정부(611,612)에 세척수를 공급화는 세척수 공급부(613)를 구비한다.
제1세정부(611)는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01)에 설치된 제1분사관(614)과, 상기 제1분사관(614)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세척노즐(615)을 구비한다.
상기 제1분사관(614)은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탈수드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상기 탈수드럼(210)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프레임(101)에 설치된다.
상기 제1세척노즐(615)은 다수개가 제1분사관(6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분사관(614)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으로 분사한다. 제1세척노즐(615)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탈수드럼(210)의 관통공에 고착된 폐기물이 일차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고착된 폐기물이 탈수드럼(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더라도 세척수에 의해 폐기물은 불려진 상태가 된다.
제2세정부(612)는 이송벨트(512)의 이송부 및 회귀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제2분사관과, 상기 제2분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512)의 회귀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세척노즐을 구비한다.
상기 제2분사관은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이송벨트(51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세척노즐은 다수개가 상기 제2분사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2분사관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이송벨트(512)의 회귀부에 분사한다. 제2세척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이송벨트(512)의 통공에 고착된 폐기물이 일차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고착된 폐기물이 이송벨트(512)로부터 분리되지 않더라도 세척수에 의해 폐기물은 불려진 상태가 된다.
세척수 공급부(613)는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된 수용공간(211)이 마련된 세척수탱크(618)와, 제1 및 제2분사관과 세척수탱크(618)에 연통된 제1연통관(619)과, 상기 제1연통관(619)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탱크(618) 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제1 및 제2분사관으로 공급하는 펌프(650)를 구비한다.
에어분사부(620)는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1에어부재(621)와, 상기 이송벨트(512)의 회귀부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부재(622)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부재(621,622)에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623)를 구비한다.
제1에어부재(621)는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레임(101)에 설치된 제1에어관(624)과, 상기 제1에어관(624)에 설치되어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에어노즐을 구비한다.
상기 제1에어관(624)은 내부에 에어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탈수드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에어관(624)은 탈수드럼(21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1분사관(614)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에어노즐은 다수개가 제1에어관(6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1에어관(624)을 통해 공급된 에어를 탈수드럼(210)의 외주면으로 분사한다. 제1에어노즐을 통해 분사된 고압의 에어는 세척수에 의해 불려진 폐기물을 탈수드럼(2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제2에어부재(622)는 이송벨트(512)의 이송부 및 회귀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프레임(101)에 설치된 제2에어관(626)과, 상기 제2에어관(626)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512)의 회귀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에어노즐(627)을 구비한다.
상기 제2에어관(626)은 내부에 에어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이송벨트(512)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2에어관(626)은 이송벨트(51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2분사관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에어노즐(627)은 다수개가 상기 제2에어관(6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2에어관(626)을 통해 공급된 에어를 이송벨트(512)의 회귀부에 분사한다. 제2에어노즐(627)을 통해 분사된 고압의 에어는 세척수에 의해 불려진 폐기물을 이송벨트(512)로부터 분리시킨다.
에어공급부(623)는 제1 및 제2에어관(624,626)에 연통된 제2연통관(628)과, 상기 제2연통관(628)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에어관(624,626)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629)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탈수장치(100)는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드럼(210) 및 이송벨트(512)에 세척수 및 고압의 에어를 함께 분사하는 세척유닛(60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탈수드럼(210) 및 이송벨트(512)의 세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척유닛은 다수의 제1 및 제2세정부(611,612)와, 다수의 제1 및 제2에어부재(621,622)를 구비한다. 제1세정부(611)들 및 제1에어부재(621)들은 탈수드럼(2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의 프레임(101)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1세정부(611)들 및 제1에어부재(621)들은 탈수드럼(2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호 교호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상호 교호적으로 제1세정부(611) 및 제1에어부재(621)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탈수드럼(210) 외주면으로 세척수의 분사와 에어 분사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탈수드럼(210)의 세척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세정부(612)들 및 제2에어부재(622)들도 이송벨트(512)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의 프레임(101)에 설치되는데, 이때, 제2세정부(612)들 및 제1에어부재(621)들도 이송벨트(51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교호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상호 교호적으로 제2세정부(612) 및 제2에어부재(622)가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송벨트(512) 회귀부로 세척수의 분사와 에어 분사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이송벨트(512)의 세척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유닛(7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유닛(700)은 상기 수집부(400)를 통해 수집된 상기 탈수액 중 일부를 상기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집된 상기 탈수액을 상기 세척수 공급부(613)에 공급하는 탈수액 공급부(710)를 더 구비한다.
탈수액 공급부(710)는 상기 저장조(405)에 일단이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세척수 탱크에 연통된 보충관(711)과, 상기 보충관(711)에 설치되어 저장조(405)의 탈수액을 펌핑하여 상기 세척수 탱크에 공급하는 보충펌프(712)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탈수액 공급부(710)를 통해 저장조(405)에 저수된 탈수액 중 일부를 세척수로 사용하므로 세척수를 보충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세척작업이 가능하여 폐기물 탈수장치(100)를 유지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폐기물 탈수장치
101: 프레임
200: 탈수유닛
210: 탈수드럼
220: 드럼구동부
300: 압착유닛
310: 압착하우징
320: 스크류부
400: 수집부
500: 응집유닛
600: 세척유닛
610: 세척수 분사부
611: 제1세정부
612: 제2세정부
613: 세척수 공급부
620: 에어분사부
621: 제1에어부재
622: 제2에어부재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폐기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탈수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폐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을 구동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탈수유닛과;
    상기 탈수유닛으로부터 탈수된 상기 폐기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압착유닛과;
    상기 탈수유닛 및 압착유닛에 의해 상기 폐기물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탈수액을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탈수액을 응집시키는 것으로서, 복수의 이송롤러에 지지되어 상기 수집부를 통해 공급된 탈수액을 이송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이송벨트가 마련된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탈수액을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탈수액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가압부가 마련된 응집유닛과;
    상기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와, 상기 탈수드럼 및 이송벨트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가 포함된 세척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세척노즐이 마련된 제1세정부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귀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부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세척노즐이 마련된 제2세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세정부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에어노즐이 마련된 제1에어부재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구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부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에어노즐이 마련된 제2에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세척노즐이 마련된 제1세정부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귀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부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세척노즐이 마련된 제2세정부와, 상기 제1 및 제2세정부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탈수드럼의 외주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1에어노즐이 마련된 제1에어부재와, 상기 탈수액을 이송하고 회귀하는 상기 이송벨트의 회구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회귀면으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제2에어노즐이 마련된 제2에어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에어부재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세척노즐들과 상기 제1에어노즐들은 상기 탈수드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세척노즐들과 상기 제2에어노즐들은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교호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탈수액 중 일부를 상기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집된 상기 탈수액을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 공급하는 탈수액 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탈수장치.




KR1020140070068A 2014-06-10 2014-06-10 폐기물 탈수장치 KR20150141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68A KR20150141395A (ko) 2014-06-10 2014-06-10 폐기물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68A KR20150141395A (ko) 2014-06-10 2014-06-10 폐기물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95A true KR20150141395A (ko) 2015-12-18

Family

ID=5508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68A KR20150141395A (ko) 2014-06-10 2014-06-10 폐기물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296B1 (ko) * 2016-07-25 2017-02-01 롯데건설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296B1 (ko) * 2016-07-25 2017-02-01 롯데건설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168B1 (ko) 스크류탈수기
KR102288764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06316067U (zh) 一种茶叶清洗机
KR101335511B1 (ko) 복합형 슬러지 탈수장치
CN109622578A (zh) 一种餐厨垃圾压榨脱水机
CN110640940A (zh) Abs塑料回收清洗再生产生产线
US10207209B1 (en) Mobile wet waste separator
CN107160731B (zh) 一种螺旋压榨机
CN106423509B (zh) 浮水物料清洗线
KR100618948B1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1182786B1 (ko) 슬러지용 고효율 스크루 프레스
KR20150141395A (ko) 폐기물 탈수장치
CN207973662U (zh) 一种压滤机进泥均匀分布装置
KR100625211B1 (ko) 탈수차량 시스템
CN111069159A (zh) 橘红清洗滚筒
JP3800406B2 (ja) 濃縮機及び濃縮機を用いた連続加圧脱水機並びに移動脱水車
KR101443819B1 (ko)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CN209791619U (zh) 一种基于石油焦煅烧前处理设备
CN110772854A (zh) 一种带有冲洗机构的食品生产用过滤机
KR100712265B1 (ko)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KR20170085794A (ko) 분뇨처리시스템용 고액분리장치
JP2017205691A (ja) 汚泥脱水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0566423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17651091U (zh) 一种土木工程用泥浆处理装置
KR200230382Y1 (ko) 산업용 슬러지의 연속 흡입식 탈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