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9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91A
KR20150141391A KR1020140070044A KR20140070044A KR20150141391A KR 20150141391 A KR20150141391 A KR 20150141391A KR 1020140070044 A KR1020140070044 A KR 1020140070044A KR 20140070044 A KR20140070044 A KR 20140070044A KR 20150141391 A KR20150141391 A KR 20150141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ody part
camera module
imag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073B1 (ko
Inventor
윤수민
정원묵
박상돈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73B1/ko
Priority to PCT/KR2015/001160 priority patent/WO2015190668A1/ko
Priority to US15/312,599 priority patent/US10574877B2/en
Publication of KR2015014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부가 배치되는 제 1 바디부와, 제 1 바디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이동하는 제 2 바디부와, 제 2 바디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바디부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 2 바디부가 제 1 바디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 미만일 때,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중지시키며,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상이 되도록, 제 2 바디부를 복귀시킬 때,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가 장착되어, 사진이나 동영상을 언제든지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셀프 사진을 찍을 경우,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의 가장자리 영역에 고정되어 배치되므로, 미러면을 응시하는 사용자의 시선과 카메라 렌즈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 얼굴이 정면으로 촬영되지 않고, 사용자 얼굴의 상단부가 촬영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셀프 사진이 촬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카메라 렌즈가 사용자의 얼굴 정면을 향하도록,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할 경우, 사용자가 미러면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볼 수 없으므로, 정확한 셀프 사진의 촬영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가장자리 영역에 카메라가 고정 배치되므로, 셀프 사진 촬영시, 미러면에 투영되는대로,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되지 않아서, 이동 단말기를 여러 방향 및 각도로 이동시켜 셀프 사진을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회전축에 연결된 제 2 바디부가 회전 이동할 때,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배치하여, 이동 단말기의 특정 조작 없이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셀프 사진을 적합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부가 배치되는 제 1 바디부와, 제 1 바디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이동하는 제 2 바디부와, 제 2 바디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바디부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 2 바디부가 제 1 바디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 미만일 때,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중지시키며,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상이 되도록, 제 2 바디부를 복귀시킬 때,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회전축에 연결된 제 2 바디부가 회전 이동할 때,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배치하여, 이동 단말기의 특정 조작 없이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셀프 사진을 적합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제 2 바디부 사이의 각도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회전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촬영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 산출을 위한 수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경사각의 적용 유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 내지 13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이 고정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는 무선 통신부(10), 입력부(20), 센싱부(40), 출력부(50), 인터페이스부(70), 메모리(60), 제어부(80) 및 전원 공급부(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0)는, 이동 단말기(1)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와 다른 이동 단말기(1)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0)는, 이동 단말기(1)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0)는, 방송 수신 모듈(11), 이동통신 모듈(12), 무선 인터넷 모듈(13), 근거리 통신 모듈(14), 위치정보 모듈(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30),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40)는 근접센서(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51), 음향 출력 모듈(52), 알림부(53), 햅팁 모듈(54),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30)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0)는 이동 단말기(1)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에서는, 인터페이스부(7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는 이동 단말기(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60)는 이동 단말기(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6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90)는 제어부(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로서, 도 2a는 오픈된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닫힌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c는 카메라 모듈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 2b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제 1 바디부(101), 제 2 바디부(102), 사용자 입력부(30), 디스플레이부(200), 카메라 모듈(300),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부(101)는, 사용자 입력부(30)가 배치되고, 제 2 바디부(102)는, 제 1 바디부(10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바디부(10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배치되고, 제 2 바디부(102)의 후면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투영하는 미러 필름(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바디부(101, 102)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바디부(101, 102)의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 등이 내장될 수 있고, 회로 기판 형태로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인 배터리가 제 1 바디부(101)의 후면으로부터 착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바디부(101, 102)의 내부 공간에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제 2 바디부(10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배치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200)는, 일 예로,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0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00)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와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가,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제 2 바디부(102)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카메라 모듈(300) 배치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 필름과 동일한 제 2 바디부(102) 표면 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300)은, 경사각 θ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경사각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300)이 위치하는 제 2 바디부(102)의 표면 위에 미러 필름(500)도 제 2 바디부(102)의 동일한 표면 위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300)은, 카메라와, 카메라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 힌지와, 틸트 힌지에 연결되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의 기울기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다음, 카메라 모듈(30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데,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바디부(101)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 미만일 때,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상이 되도록, 제 2 바디부(102)를 복귀시킬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 제 2 바디부(102)가 회전 이동하면, 카메라 모듈(300)의 동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 제 2 바디부(102)가 회전 이동을 일정시간 정지하면, 카메라 모듈(300)의 정지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의 정지영상 촬영 제어시, 정지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설정 시간 이하이면,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취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영상 촬영 시작 명령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연속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바디부(102)의 회전 이동 각도인 제 1 각도와 제 2 각도는, 최초에 미리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변경 및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300)은, 일예로, 제 2 바디부(102)의 회전축에 평행한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302)와, 제 2 바디부(102)의 회전축에 수직한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30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제 1 카메라(302)와 상기 제 2 카메라(301)의 영상 촬영을 모두 동작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바디부(102)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자이로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제 1, 제 2 카메라(302, 301)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인물의 얼굴 위치 및 방향이 변화되거나 또는 새로운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제 1, 제 2 카메라(302, 301)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와,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때, 동영상의 타임 라인에 정지영상이 촬영된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다수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들 중, 사용자 편집에 따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제 1, 제 2 바디부 사이의 각도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회전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은, 카메라(303)와, 카메라(303)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 힌지(353)와, 틸트 힌지(353)에 연결되어, 카메라(303)를 회전시키는 회전 팬(3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303)는, 틸트 힌지(353)에 의해, 제 2 바디부(102)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이동할 수도 있고, 회전 팬(354)에 의해, 회전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카메라(303)의 기울기는, 이동 단말기의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데,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바디부(101)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가 점차적으로 작아질 때, 카메라 모듈(300)과 제 2 바디부(102) 사이의 각도 θ12가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300)은, 힌지(353)에 의해, 회전 이동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제 2 바디부(102)가 제 1 바디부(101)에 닫힐 때, 카메라 모듈(300)은, 각도를 조절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바디부(101)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가 점차적으로 작아질 때, 카메라 모듈(300)과 제 2 바디부(102) 사이의 각도 θ12도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제 2 바디부(102)가 제 1 바디부(101)에 닫힐 때, 카메라 모듈(300)은, 각도를 조절하여 여러 방향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제 2 바디부(102)의 카메라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 2 바디부(102)는, 제 1 바디부(10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바디부(102)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고, 제 2 바디부(102)의 후면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투영하는 미러 필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 2 바디부(102)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카메라 모듈(300) 배치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 카메라 모듈(30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데, 제어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바디부(102)가 제 1 바디부(101)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1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 제 2 바디부(102)가 회전 이동하면, 카메라 모듈(300)의 동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 제 2 바디부(102)가 회전 이동을 일정시간 정지하면, 카메라 모듈(300)의 정지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의 정지영상 촬영 제어시, 정지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설정 시간 이하이면,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취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로 회전 이동시,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영상 촬영 시작 명령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가 제 1 각도 이하에서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연속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바디부(102)의 회전 이동 각도인 제 1 각도와 제 2 각도는, 최초에 미리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변경 및 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2가 제 2 각도 미만일 때, 카메라 모듈(300)의 영상 촬영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카메라 모듈(300)이, 제 2 바디부(102)의 회전축에 평행한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와, 제 2 바디부(102)의 회전축에 수직한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할 경우,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2가 제 2 각도일 때, 제 1 카메라와 제 2 카메라의 영상 촬영을 모두 동작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바디부(102)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2가 제 2 각도일 때, 자이로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제 1, 제 2 카메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2가 제 2 각도일 때, 인물의 얼굴 위치 및 방향이 변화되거나 또는 새로운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제 1, 제 2 카메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3가 제 1 각도 이상이 되도록, 제 2 바디부(102)를 복귀시킬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1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와,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2가 제 2 각도일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때, 동영상의 타임 라인에 정지영상이 촬영된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다수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들 중, 사용자 편집에 따라,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에 연결된 제 2 바디부가 회전 이동할 때, 제 2 바디부와 제 1 바디부 사이의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촬영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은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이고, 도 7은 두 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보여주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 θ11-3가 제 1 각도 이상이 되도록, 제 2 바디부(102)를 복귀시킬 때,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영상(201)과 정지영상(202)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6은,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영상(201)과 정지영상(202)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때, 동영상의 타임 라인(203)에 정지영상이 촬영된 시점(205)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다수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들 중, 사용자 편집에 따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은,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와,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카메라 모듈(300)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제 1 카메라가 촬영한 제 1 동영상(201a)과 제 1 정지영상(202a)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하고,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제 2 동영상(201b)과 제 2 정지영상(202b)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2 카메라가 촬영한 제 2 동영상(201b)과 제 2 정지영상(202b)은,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제어부가, 인물의 얼굴 위치 및 방향이 변화되거나 또는 새로운 인물의 얼굴이 인식될 경우, 그 시점부터, 제 1 카메라 대신에 제 2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촬영한 영상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제 2 바디부(102)와 제 1 바디부(101)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인물의 얼굴 위치 및 방향이 변화되거나 또는 새로운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제 1, 제 2 카메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할 때, 동영상의 타임 라인(203)에 정지영상이 촬영된 시점(205)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다수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들 중, 사용자 편집에 따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고 있고, 도 8b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는, 바디부(100), 디스플레이부(200), 커버부(400) 및 카메라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200) 및 커버부(4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투영하는 미러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러 필름과 동일한 바디부(100) 표면 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300)은, 경사각 θ만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경사각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300)이 위치하는 바디부(100)의 표면 위에 미러 필름도 바디부(100)의 동일한 표면 위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어, 바디부(100)는, 이동 단말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 부품 등이 내장될 수 있고, 회로 기판 형태로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인 배터리가 바디부(100)의 후면으로부터 착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에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바디부(100)의 전면(110)에는, 디스플레이부(120), 플래쉬(310), 카메라 모듈(3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는, 바디부(100)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는데, 일 예로,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여기서, 투명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0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00)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와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가,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바디부(100)의 후면(120)에는, 카메라 모듈(300), 플래쉬(310), 사용자 입력부(32) 및 전원공급부(9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 입력부(32)는, 이동 단말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32)인 조작 유닛은,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90)인 배터리는, 이동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1)의 바디부(100)에 내장되거나, 이동 단말기(1)의 바디부(100)에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커버부(400)는, 바디부(100)의 후면(120)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동 단말기(1)의 바디부(10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 모듈(300)은, 바디부(100)의 전면(110) 및 후면(120)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300)은, 바디부(10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 θ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경사각 θ는, tan-1 b/a로 구할 수 있다.
이때, a는 바디부(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의 중심점을 지나고 바디부(100)의 표면에 수직한 제 1 라인으로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중심점을 지나고 제 1 라인에 평행한 제 2 라인까지의 거리이고, b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위치와 바디부(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 사이의 거리이다.
도 9는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 산출을 위한 수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경사각의 적용 유무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 10a는 경사각이 적용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b는 경사각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은, 바디부(10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 θ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각 θ은, 하기 수식 1로 구할 수 있다.
수식 1
경사각 θ = tan-1 b/a (여기서, a는 바디부(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의 중심점 P1을 지나고 바디부(100)의 표면에 수직한 제 1 라인 L1으로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중심점 P2을 지나고 제 1 라인 L1에 평행한 제 2 라인 L2까지의 거리이고, b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500)의 위치와 바디부(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 사이의 거리이다.)
이때, 카메라 모듈(300)은, 바디부(100)를 마주하는 하부면(310)을 포함하는데,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310) 중, 일측은, 바디부(100)에 접촉되고, 타측은, 바디부(100)로부터 제 1 거리 d1를 갖도록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거리 d1는,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310)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00)의 표면과, 바디부(100)를 마주하는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310) 사이의 각도는, 경사각 θ일 수 있다.
경사각 θ를 구하는 수식 1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500)의 위치와 바디부(100)의 전면(110) 또는 후면(120) 사이의 거리 b는, 셀프 사진 촬영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손으로 잡고서 촬영할 경우, 사용자의 팔 길이일 수 있다.
그러므로, 경사각 θ는, 사용자의 팔 길이와 이동 단말기의 크기 및 카메라 모듈의 위치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을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하는 이유는, 카메라가 이동 단말기의 중앙에 배치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므로, 이동 단말기의 중앙을 응시하는 사용자의 시선과 카메라 렌즈와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 얼굴이 정면으로 촬영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중심과 카메라와의 높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중심과 카메라와의 높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특정 조작을 하지 않고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적합한 각도로 셀프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3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이 고정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300)을 경사지게 배치할 때, 카메라 모듈(300)을 직접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300)은, 일측이 바디부(100)에 힌지(351)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300)을 경사지게 배치할 때,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과 바디부(100)의 표면 사이가 경사각 θ를 갖도록, 카메라 모듈(300)을 힌지(351)에 의해,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표면과,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 타측 사이에는, 카메라 모듈(300)을 지지하는 서포터(36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포터(360)는, 바디부(100)의 표면과,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360)는, 일측이 바디부(100)에 힌지(352)로 연결되어 회전 이동되고, 카메라 모듈(300)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카메라 모듈(300)의 하부면을 지지 및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3a와 같이, 서포터(360)는, 카메라 모듈(300)에 경사각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디부(100)의 장착 홈(150) 내에 배치되지만, 도 13b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에 경사각을 적용하여, 카메라 모듈(300)을 경사지게 배치할 때, 서포터(360)의 힌지(352)에 의한 회전 이동으로, 바디부(100)의 장착 홈(150)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카메라 모듈(300)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을 고정해야 하므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연령층의 평균 팔 길이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4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을 기계적으로 조절하는 실시예이고, 도 15 및 도 16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실시예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300)에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300)의 경사각 θ을 조절하는 경사각 조절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 조절부(380)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위치와 바디부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의 거리 b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 θ을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4a과 같이, 경사각 조절부는, 피니언 부재(382) 및 래크 부재(384) 등의 기계적 기어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기어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4b와 같이, 피니언 부재(382)는, 바디부(100) 내에 배치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하고, 래크 부재(384)는, 카메라 모듈(300)을 지지하고, 피니언 부재(382)의 회전에 따라, 바디부(10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바디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하여, 카메라 모듈(300)의 경사각 θ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경사각 조절부는, 카메라 모듈(300)의 경사각을 전기 회로적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데, 경사각 조절부는, 거리 센서(385), 메모리(386), 산출부(387), 이송부(389), 그리고 제어부(38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 센서(385)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위치와 바디부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의 거리 b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어, 메모리(386)는, 바디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점을 지나고 바디부(100)의 표면에 수직한 제 1 라인으로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중심점을 지나고 제 1 라인에 평행한 제 2 라인까지의 거리 a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산출부(387)는, 제어부(388)의 제어신호에 따라, 거리 센서(385)로부터 센싱된 거리 b값과, 메모리(386)에 미리 저장된 거리 a값을 토대로, 경사각 θ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389)는, 산출부(387)에서, 산출된 경사각 θ에 따라, 카메라 모듈(300)을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제어부(388)는, 이송부(389)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389)는, 카메라 모듈(300)을 수직 회전시키는 수직 회전부(392)와, 제어부(388)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직 회전부(39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16과 같이, 경사각 조절부는, 카메라 모듈(300)의 경사각을 전기 회로적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데, 경사각 조절부는, 자이로 센서(394), 거리 센서(385), 메모리(386), 산출부(387), 이송부(389), 그리고 제어부(38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이로 센서(394)는, 바디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기울기 및 상기 기울기 방향을 센싱하고, 거리 센서(385)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위치와 바디부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의 거리 b값을 센싱할 수 있다.
이어, 메모리(386)는, 바디부(10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중심점을 지나고 바디부(100)의 표면에 수직한 제 1 라인으로부터 카메라 모듈(300)의 중심점을 지나고 제 1 라인에 평행한 제 2 라인까지의 거리 a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산출부(387)는, 제어부(388)의 제어신호에 따라, 거리 센서(385)로부터 센싱된 거리 b값과, 메모리(386)에 미리 저장된 거리 a값을 토대로, 경사각 θ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389)는, 산출부(387)에서, 산출된 경사각 θ와, 자이로 센서(394)로부터 센싱된 바디부(100)의 기울기 및 기울기 방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300)을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제어부(388)는, 이송부(389)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389)는, 카메라 모듈(300)을 수평 회전시키는 수평 회전부(393)와, 카메라 모듈(300)을 수직 회전시키는 수직 회전부(392)와, 제어부(388)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회전부(393)와, 수직 회전부(39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모듈의 경사각을 자동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모든 연령층의 다양한 신체적인 조건 및 다양한 구조의 이동 단말기들에 모두 반영할 수 있으므로, 적용 범위가 넓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도록 배치하여, 이동 단말기의 특정 조작 없이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셀프 사진을 적합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이동 단말기 100: 바디부
101: 제 1 바디부 102: 제 2 바디부
200: 디스플레이부 300: 카메라 모듈
400: 커버부 500: 미러 필름

Claims (20)

  1. 사용자 입력부가 배치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이동하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2 바디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2 바디부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배치되어,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기 제 1 바디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 미만일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중지시키며,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 1 각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 2 바디부를 복귀시킬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 상기 제 2 바디부가 회전 이동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영상 촬영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각도와 제 2 각도 사이에서, 상기 제 2 바디부가 회전 이동을 일정시간 정지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정지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정지영상 촬영 제어시, 상기 정지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기 제 1 각도 이상에서 상기 제 2 각도 이하로 회전 이동시, 설정 시간 이하이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기 제 1 각도 이하에서 상기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기 제 1 각도 이하에서 상기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상기 영상 촬영 시작 명령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기 제 1 각도 이하에서 상기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기 제 1 각도 이하에서 상기 제 2 각도 이상으로 회전 이동시, 연속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부의 회전 이동 각도인 제 1 각도와 제 2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및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회전축에 평행한 X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회전축에 수직한 Y축 방향에 배치되는 제 2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일 때, 상기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카메라의 영상 촬영을 모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일 때, 상기 자이로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카메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상기 제 2 각도일 때, 인물의 얼굴 위치 및 방향이 변화되거나 또는 새로운 인물의 얼굴이 인식되는 시점부터, 상기 제 1, 제 2 카메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상 촬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1 각도 이하이고 제 2 각도 이상일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와,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제 2 각도일 때,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 촬영 리스트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때, 상기 동영상의 타임 라인에 정지영상이 촬영된 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다수의 정지영상 및 동영상들 중, 사용자 편집에 따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 힌지; 그리고,
    상기 틸트 힌지에 연결되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기울기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 사이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투영하는 미러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70044A 2014-06-10 2014-06-10 이동 단말기 KR10224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44A KR102241073B1 (ko) 2014-06-10 2014-06-10 이동 단말기
PCT/KR2015/001160 WO2015190668A1 (ko) 2014-06-10 2015-02-04 이동 단말기
US15/312,599 US10574877B2 (en) 2014-06-10 2015-02-04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44A KR102241073B1 (ko) 2014-06-10 2014-06-10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91A true KR20150141391A (ko) 2015-12-18
KR102241073B1 KR102241073B1 (ko) 2021-04-16

Family

ID=5483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44A KR102241073B1 (ko) 2014-06-10 2014-06-10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74877B2 (ko)
KR (1) KR102241073B1 (ko)
WO (1) WO20151906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4575A (zh) * 2019-11-29 2020-02-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拍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0131B (zh) * 2015-12-23 2018-11-0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的角度可调式摄像头组件及手机
CN105718887A (zh) * 2016-01-21 2016-06-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摄像头实现动态捕捉人脸摄像的方法及系统
US10473957B2 (en) * 2016-11-23 2019-11-12 E Ink Holdings Inc. Reflective display apparatus
CN108632539A (zh) * 2018-08-01 2018-10-09 北京中嘉空间展示设计有限公司 一体式派样试妆拍照屋
CN110602372B (zh) * 2019-10-14 2021-04-13 成都拓普森科技有限公司 一种镜面拍照摄影设备
KR20210118616A (ko) 2020-03-23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03A (ko) * 2005-06-07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US20070054636A1 (en) * 2005-09-02 2007-03-08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pening mechanism
KR20090070050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US20120105579A1 (en) * 2010-11-01 2012-05-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5915B2 (ja) * 1997-09-24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830502B1 (ko) 2004-11-19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방향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JP2011076267A (ja) * 2009-09-29 2011-04-14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資料撮影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007352B2 (en) * 2009-12-10 2015-04-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having a tilt camera assembly
KR20130091196A (ko) * 2012-02-07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0315B1 (ko) 2012-11-05 2014-10-02 (주)와이에스테크 보조모니터를 구비한 노트북 및 그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988279B1 (ko) * 2013-01-07 2019-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얼굴 인식 기반 사용자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914269B (zh) * 2013-01-09 2019-04-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03A (ko) * 2005-06-07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모드 전환방법
US20070054636A1 (en) * 2005-09-02 2007-03-08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pening mechanism
KR20090070050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US20120105579A1 (en) * 2010-11-01 2012-05-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hotographing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4575A (zh) * 2019-11-29 2020-02-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拍摄方法
CN110784575B (zh) * 2019-11-29 2021-04-20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拍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668A1 (ko) 2015-12-17
KR102241073B1 (ko) 2021-04-16
US20170111570A1 (en) 2017-04-20
US10574877B2 (en)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391A (ko) 이동 단말기
US1067405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d using camera devices
KR20170105236A (ko) 손떨림 보정 장치
EP3049856B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45495B1 (ko)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102439257B1 (ko) 모바일 장치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19280A (ko) 이동 단말기
US9743067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CN109922253B (zh) 镜头防抖方法及装置、移动设备
US1109935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eployable and retractable camera assembly
JPWO2015122107A1 (ja) 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2446264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570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36231A (ko) 이동 단말기
KR20200034528A (ko) 이동 단말기
US10848671B2 (en) Camera assembly and terminal
KR20210071253A (ko)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043183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A2827594C (en) Methods and devices for generating a stereoscopic image
KR2018002586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981116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384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114193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able
KR1022017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