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133A - 액체도포구 - Google Patents

액체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133A
KR20150141133A KR1020150071565A KR20150071565A KR20150141133A KR 20150141133 A KR20150141133 A KR 20150141133A KR 1020150071565 A KR1020150071565 A KR 1020150071565A KR 20150071565 A KR20150071565 A KR 20150071565A KR 20150141133 A KR20150141133 A KR 2015014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iquid
rear end
edge
liquid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724B1 (ko
Inventor
신지 미사키
츠요시 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리누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리누,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리누
Publication of KR2015014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눈꺼풀에 얼룩 없이 껍질용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액체도포구를 제공한다.
액체도포구인 액체도포구(20)는, 도포액이 저유되는 탱크부(41)를 가진 도포액 용기(40)와, 도포액 용기(4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스패출러(spatula; 1)를 갖추고 있다. 스패출러(1)는 통모양의 본체부(4)와, 본체부(4)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연장설치된 연장설치부(7)와, 본체부(4)의 후단으로부터 연장설치부(7)에 걸쳐서 관통하고 도포액이 유통되는 관통구멍(3)을 갖추고 있다. 연장설치부(7)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관통구멍(3)으로 향해 잘라 낸 절결홈 형상부(10)가 형성되어, 관통구멍(3)의 전단 개구(31)가 정의된다. 그리고, 절결홈 형상부(10)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 선단편(70)이 형성된다. 절결홈 형상부(10)는, 하연(11)의 후단부(11a)가 상연(12)의 후단부(12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체도포구 {Liquid Applicator}
본 발명은 스패출러(spatula)를 갖춘 액체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눈꺼풀에 수용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쌍꺼풀을 형성하는 도포구로서, 쇄모(刷毛, 솔)와 두 갈래 형상의 선단부를 가진 푸시 바아(push bar)를 이용하는 것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도포구로 쌍꺼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먼저 위 눈꺼풀에 껍질(피부)용 접착제를 쇄모로 도포하고, 그 후 위 눈꺼풀을 푸시 바아로 밀어 넣어 이중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위 눈꺼풀의 이중으로 된 껍질이 껍질용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쌍꺼풀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도포구에서는, 위 눈꺼풀에 껍질용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쇄모에 더하여, 위 눈꺼풀을 밀어 넣는 푸시 바아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번잡하다. 더욱이, 푸시 바아로 위 눈꺼풀을 이중으로 형성할 때, 필요 이상으로 위 눈꺼풀을 밀어 넣어 버려 부자연스러운 쌍꺼풀로 되는 일이 있었다.
한편, 내부에 도포액을 저유(貯油)하는 본체와,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도포체와, 본체 내부의 도포액을 가압하여 도포체로 공급하는 액체 가압기구를 구비한 액체도포구가 알려져 있다. 이 액체도포구의 도포체는, 선단부가 편평하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부의 상면 테이퍼부에 개구한 토출구로부터 도포액이 토출된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액체도포구에 껍질용 접착제를 저유하여 쌍꺼풀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포액의 토출구로부터 껍질용 접착제를 토출시켜 상면 테이퍼부에 껍질용 접착제의 액적(液滴, 물방울)을 형성한다. 그리고, 위 눈꺼풀의 눈자위 부근에 도포체의 선단부를 안으로 들여 보내고, 눈꼬리로 향해 위 눈꺼풀에 따라 도포체를 가로로 이동시킴으로써, 위 눈꺼풀을 이중으로 형성하면서 껍질용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어, 쌍꺼풀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일본 특개 2007-23652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도포구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도포구보다도 자연스러운 쌍꺼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도포구에서는, 도포체의 선단부를 눈자위 부근의 위 눈꺼풀에 안으로 들여 보내는 경우에, 도포체의 상면 테이퍼부에 유지된 껍질용 접착제의 액적이 위 눈꺼풀에 필요 이상으로 부착하는 것으로 되고, 또 도포체를 위 눈꺼풀에 따라 눈꼬리 부근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충분한 껍질용 접착제가 위 눈꺼풀에 도포되지 않는 일이 있어, 도포얼룩이 발생하고 있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위 눈꺼풀에 얼룩 없이 껍질용 접착제를 도포하여 자연스러운 쌍꺼풀을 형성할 수 있는 액체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제1 발명에 의하면,
도포액이 저유되는 탱크부를 가진 도포액 용기와,
상기 도포액 용기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스패출러(spatula)를 갖추되,
상기 스패출러는,
통모양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연장설치된 연장설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연장설치부에 걸쳐 관통하고, 상기 도포액이 유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상기 연장설치부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으로 향해 잘라 낸 절결홈 형상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가 정의됨과 더불어, 상기 절결홈 형상부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의 위치에 선단편(先端片)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홈 형상부는, 하연(下緣, 하측의 가장자리)의 후단부가 상연(上緣, 상측의 가장자리)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 중 제2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선단편의 전단부의 내연(內緣, 내측의 가장자리)이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 중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선단편에서의 적어도 상기 절결홈 형상부의 하연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그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외연(外緣, 외측의 가장자리)을 만곡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 중 제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발명의 어느 것인가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절결홈 형상부에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상연의 간극이 그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 중 제5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4 발명의 어느 것인가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절결홈 형상부에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하연의 간극이 그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 중 제6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발명의 어느 것인가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관통구멍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 그 상하방향의 간격이 점차 협소화되는 협소 구멍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 중 제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6 발명의 어느 것인가 하나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도포액 용기에 후단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일부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된 노크(knock) 부재와,
상기 도포액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크 부재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탱크부 내의 도포액을 상기 스패출러로 송출하는 송출기구를 더 갖추되,
상기 후단 개구는, 후단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최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노크 부재의 스트로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측 가장자리부를 갖추고,
상기 연장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로부터 적어도 상기 절결홈 형상부의 하연의 후단부에 걸쳐서 넓어지는 부위를 도포액 유지부로 하며,
상기 도포액 유지부가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을 때, 상기 최후단 가장자리부가 하측에 위치하고 전단측 가장자리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거둔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도포구의 스패출러는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을 2개의 선단편 사이에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선단편을 눈자위 부근의 위 눈꺼풀에 안으로 들여 보내고, 스패출러를 눈꼬리로 향해 위 눈꺼풀에 따라 이동시킬 때, 선단편이 위 눈꺼풀에 쌍꺼풀의 간극을 형성하면서, 선단편의 사이에 유지하는 껍질용 접착제를 위 눈꺼풀의 그 쌍꺼풀의 간극에 도포해 간다. 이에 따라, 위 눈꺼풀에 얼룩없이 도포액을 도포하여 자연스러운 쌍꺼풀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도포액을 유지한 선단편의 사이에 붙인 속눈썹의 근원을 통과시킴으로써, 붙인 속눈썹에 도포액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 중 제2 또는 제3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거둔다. 즉, 제2 또는 제3 발명에 의하면, 선단편을 눈자위 부근의 위 눈꺼풀에 안으로 들여 보내고, 스패출러를 눈꼬리로 향해 위 눈꺼풀에 따라 가로로 이동시킬 때, 선단편의 전단부의 내연이나 외연이 위 눈꺼풀에 끌어 당겨지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 중 제4 또는 제5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거둔다. 즉, 제4 또는 제5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선단편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 간극에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도포액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 중 제6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거둔다. 즉, 제6 발명에 의하면, 협소 구멍부에 있어서 도포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방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에 따라, 협소 구멍부 내에 잔류하는 도포액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 중 제7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거둔다. 즉, 제7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패출러의 도포액 유지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노크 부재를 노크 조작한 경우에, 노크 조작의 도중에서 손가락의 안쪽이 도포액 용기의 후단 개구 최후단 가장자리부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여 송출기구를 작동시킬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잘못해서 스패출러의 도포액 유지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노크 부재를 노크 조작해도, 전단 개구로부터 도포액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도포액이 도포액 유지부에 유지되지 않고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를 위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의 선단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의 후단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의 도 2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의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도포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를 위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도포구(20)의 종단면도이다. 이 액체도포구(20)는, 도포액이 저유되는 탱크부(41)를 가진 도포액 용기(40)와, 도포액 용기(4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스패출러(spatula; 1)를 갖추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액으로서 쌍꺼풀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성의 껍질용 접착제가 탱크부(41)에 저유되어 있다. 한편, 액체도포구(20)에 있어서, 스패출러(1)가 위치하는 측을 앞 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뒤 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2는 스패출러(1)를 위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나타낸 것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아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포액 용기(40)는, 앞 측에 머리부(43)를 가진 통모양의 축통(42)과, 축통(42)의 후단부에 고착된 통모양의 꼬리 왕관(44)을 갖추고 있다. 도포액 용기(40)의 후단, 즉 꼬리 왕관(44)의 후단에는, 축방향에 수직한 후단 개구 가장자리(45)가 형성되어 있다. 도포액 용기(40)의 내부에는, 그 후단 측에 위치하는 꼬리 왕관(44) 내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된 노크 부재(58)와, 이 노크 부재(58)의 노크 조작에 의해 탱크부(41) 내의 껍질용 접착제를 스패출러(1)로 송출하는 송출기구(51)가 설치되어 있다. 노크 부재(58)는, 그 일부는 꼬리 왕관(44)의 후단 개구 가장자리(45)로부터 바깥쪽(뒤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송출기구(51)는, 회전 멈춤 부재(52), 피스톤 로드(piston rod; 53), 피스톤(54), 피스톤 로드 가이드(55), 회전캠(56) 및 용수철(spring; 57)을 갖추고 있다. 노크 부재(58)는, 용수철(57)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 붙여지는 회전캠(56)과 캠 계합(係合)하고 있다. 회전캠(56)은 피스톤 로드 가이드(55)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회전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 가이드(55)는 피스톤 로드(53)와 나사결합으로 접속하고, 피스톤 로드(53)는 회전 멈춤 부재(5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회전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53)의 전단에는 피스톤(54)이 고정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노크 부재(58)가 노크 조작되면, 이에 따라 송출기구(51)가 작동하고, 피스톤(54)이 탱크부(41) 내를 소정거리 전진하여 탱크부(41) 내의 껍질용 접착제를 스패출러(1)로 송출한다.
한편, 축통(42)의 전단부에는, 스패출러(1)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패출러(1)의 후단부가 재치된 홀더(60)를 축통(42)의 머리부(43) 내에 끼워맞춤과 더불어, 선구(先口; 61)에 스패출러(1)를 삽입통과시켜 선구(61)를 머리부(43)의 외주에 끼워맞춤으로써, 축통(42)의 머리부(43)에 스패출러(1)가 장착된다. 스패출러(1)의 관통구멍(3)에는, 튜브 부재(62)가 삽입됨으로써, 스패출러(1)와 홀더(60)의 접합부분에서의 액체 누설이 방지되고 있다. 그리고, 선구(61)에는, 스패출러(1)를 보호하는 캡(cap; 63)이 착탈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에 기초해서, 스패출러(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스패출러(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스패출러(1)를 선단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고, 도 4는 스패출러(1)를 후단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패출러(1)는 통모양의 본체부(4)와, 본체부(4)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연장설치된 연장설치부(7)를 갖추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본체부(4)는, 그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와, 플랜지부(2)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연속하도록 형성된 기반부(5)와, 기반부(5)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연속하도록 형성된 중간부(6)와, 중간부(6)의 전단으로부터 연장설치부(7)의 후단으로 향해 연속하도록 형성된 접속부(8)로 이루어져 있다. 기반부(5)는 외형이 단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6)의 외형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을 장축으로 한 단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패출러(1)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사출상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4)의 내부에는, 껍질용 접착제가 유통하는 관통구멍(3)이 본체부(4)의 후단으로부터 연장설치부(7)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설치부(7)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관통구멍(3)으로 향해 잘라 낸 절결홈 형상부(10)가 형성됨과 더불어, 관통구멍(3)의 전단 개구(31; 도 3 참조)가 정의되어 있다. 또, 연장설치부(7)에서의 절결홈 형상부(10)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의 위치에는 각각 선단편(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3)에는, 플랜지부(2)이 후단으로부터 축방향에서의 접속부(8)보다도 후방의 위치에 걸쳐서 단면 대략 원형상의 원형 구멍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구멍부(34)의 전단으로부터 전단 개구(31)에 걸쳐서, 원형 구멍부(34)보다도 협소한 협소 구멍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구멍부(34)에서의 축방향의 도중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계단모양으로 직경이 확대된 확대 직경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확대 직경부(32)에는, 전후방향을 장수(長手)방향으로 한 4개의 리브(33)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협소 구멍부(35)는, 선단으로 감에 따라 그 상하방향의 간격이 점차 협소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협소 구멍부(3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홈 형상부(10)의 상연(上椽; 12)으로부터 연속하는 평탄한 상측 내주면(36)이 형성됨과 더불어, 절결홈 형상부(10)의 하연(下椽; 11)으로부터 연속하는 평탄한 하측 내주면(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내주면(36)와 하측 내주면(37)의 간격이 협소 구멍부(35)의 후단으로부터 전단개구(31)로 향해 점차 협소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형 구멍부(34)로부터 협소 구멍부(35) 내로 도달한 껍질용 접착제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협소 구멍부(35) 내를 전단개구(31)로 향해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협소 구멍부(35) 내에 잔류하는 껍질용 접착제를 줄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설치부(7)의 전단부는 평면으로부터 본 때에 있어서 전체로서 대략 원호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설치부(7)의 전단 가장자리는 둥그스름한 모양을 가진 볼록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장설치부(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두께가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걸쳐서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유연하게 가요(可撓)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설치부(7)를 형성함으로써, 껍질에 연장설치부(7)를 맞닿은 상태로 접하게 한 때에, 껍질에 우수한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홈 형상부(10)는, 하연(11)의 후단부(11a)가 상연(12)의 후단부(12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설치부(7)에는 상술한 협소 구멍부(35)의 하측 내주부(37)로부터 연속해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축방향에서의 상연(12)의 후단부(12a)와 선단편(70)의 전단과의 대략 중간의 위치까지 확장된 도포액 유지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포액 유지부(74)에는, 전단개구(31)로부터 토출된 껍질용 접착제가 유지된다. 또, 도포액 유지부(74)의 전방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선단편(70)의 사이에 형성된 전단 간극(73)에도, 껍질용 접착제가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홈 형상부(10)에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상연(12)의 간극은,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홈 형상부(10)의 상연(12)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홈 형상부(10)에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하연(11)의 간극도,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홈 형상부(10)의 하연(11)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선단편(70)의 사이에 형성된 전단 간극(73)이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전단 간극(73)에 표면장력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껍질용 접착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선단편(70)은 절결홈 형상부(10)의 하연(11)의 후단부(11a)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평면으로부터 본 때에 있어서 선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선단편(70)의 전단부의 내연은, 볼록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내연 만곡부(71)로 되어 있다. 또, 각 선단편(70)의 전단부의 외연은, 볼록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외연 만곡부(72)로 되어 있다. 외연 만곡부(72)의 곡률반경은 내연 만곡부(71)의 곡률반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편(70)의 눈자위 부근의 위 눈꺼풀에 안으로 들여 보내고, 스패출러(1)를 눈꼬리로 향해 위 눈꺼풀에 따라 가로로 이동시킬 때에, 선단편(70)의 내연 만곡부(71)나 외연 만곡부(72)가 위 눈꺼풀에 끌어 당겨지지 않고 원활하게 가로로 이동시켜질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액체도포구(20)를 이용하여 쌍꺼풀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스패출러(1)의 도포액 유지부(74)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노크 부재(58)를 노크 조작한다. 이 노크 부재(58)의 노크 조작에 의해, 송출기구(51)가 탱크부(41) 내의 껍질용 접착제를 스패출러(1)의 관통구멍(3) 내로 송출하여 전단개구(31)로부터 바깥쪽으로 토출시키고, 좌우 한 쌍의 선단편(70)의 사이에 형성된 도포액 유지부(74) 및 전단 간극(73)에 껍질용 접착제가 유지된다. 다음에, 이 선단편(70)을 포함하는 연장설치부(7)의 전단부를 눈자위 부근의 위 눈꺼풀에 안으로 들여 보내고, 연장설치부(7)를 눈꼬리로 향해 위 눈꺼풀에 따라 가로로 이동시킴으로써, 위 눈꺼풀에 쌍꺼풀을 형성하면서 껍질용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쌍꺼풀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선단편(70)이 위 눈꺼풀에 쌍꺼풀의 간극을 형성하면서, 이 선단편(7)의 사이에 형성된 도포액 유지부(74) 및 전단 간극(73)에 유지된 껍질용 접착제를 위 눈꺼풀의 그 쌍꺼풀의 간극에 도포하기 때문에, 얼룩없이 도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체도포구(20)는, 껍질용 접착제의 붙인 속눈썹으로의 도포에도 이용할 수 있다. 붙인 속눈썹에 껍질용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쌍꺼풀을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단편(70)의 전단 간극(73)에 껍질용 접착제를 유지해 두고, 이 전단 간극(73)에 붙인 속눈썹의 근원을 통과시킴으로써, 붙인 속눈썹에 껍질용 접착제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액체도포구(20)는, 도포액 용기(40)의 후단부에 설치된 노크 부재(58)를 노크 조작함으로써, 송출기구(51)가 탱크부(41) 내의 도포액을 스패출러(1)로 송출하도록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포액 용기의 후단부에 회전부재를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회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송출기구가 탱크부(41) 내의 도포액을 스패출러(1)로 송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예컨대, 도포액 용기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사이드 노크 부재를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사이드 노크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송출기구가 탱크부(41) 내의 도포액을 스패출러(1)로 송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예컨대, 도포액 용기의 내부에 송출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도포액 용기를 열가소성 수지 등의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하고, 이 도포액 용기를 꽉 누름으로써 탱크부(41) 내의 도포액을 스패출러(1)로 송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 7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도포구(20α)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도포액 용기(40)의 후단개구 가장자리의 형상, 즉 꼬리 왕관(44)의 후단개구 가장자리(45)의 형상을 변경한 이외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도포구(2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꼬리 왕관(84)의 후단은 측면으로부터 본 때 볼록한 만곡형상의 후단개구 가장자리(85)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개구 가장자리(85)에는, 후단개구 가장자리(85)에 있어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최후단 가장자리부(86)와, 노크 부재(58)의 스트로크 후의 작동위치(N)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측 가장자리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58은, 정상 상태 위치의 노크 부재(58)를 나타내고, 2점 쇄선으로 나타낸 N은 송출기구(51)를 작동시키는 노크 부재(58)의 스트로크 범위에서 밀어 넣도록 조작된 위치인 작동위치(N)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액체도포구(20α)를 이용하여 쌍꺼풀을 형성하는 경우, 스패출러(1)의 도포액 유지부(74)를 위쪽으로 향하게 해서 도포액 용기(80)를 파지한다. 이 때, 꼬리 왕관(84)의 후단개구 가장자리(85)는 전단측 가장자리부(87)가 아래쪽에 위치하여 최후단 가장자리부(86)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스패출러(1)의 도포액 유지부(74)가 위쪽으로 향하는 상태, 즉 후단개구 가장자리(85)의 전단측 가장자리부(87)가 하측이고 최후단 가장자리부(86)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포액 용기(80)를 파지하고, 정상 상태 위치의 노크 부재(58)를 엄지 손가락이나 집게 손가락으로 작동위치(N)로 밀어 넣으면, 송출기구(51)가 작동하여 피스톤(54)이 탱크부(41) 내를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해서, 피스톤(54)이 탱크부(41) 내의 껍질용 접착제를 스패출러(1)의 관통구멍(3) 내로 송출한다. 노크 부재(58)가 작동위치(N)로 이동한 경우에, 노크 부재(58)의 후단이 꼬리 왕관(84)의 최후단 가장자리부(86)보다도 전방이고 꼬리 왕관(84)의 전단측 가장자리부(87)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스패출러(1)의 도포액 유지부(74)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해서 도포액 용기(80)를 파지한 경우, 후단개구 가장자리(85)의 최후단 가장자리부(86)가 하측에, 전단측 가장자리부(87)가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포액 유지부(74)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상태에서 도포액 용기(80)를 파지하고, 상태 위치의 노크 부재(58)를 엄지 손가락이나 집게 손가락으로 작동위치(N)로 향해 밀어 넣어 가면, 손가락의 안쪽이 최후단 가장자리부(86)에 맞닿은 상태로 접하여 노크 부재(58)를 작동위치(N)까지 밀어 넣을 수 없고, 송출기구(51)를 작동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잘못해서 스패출러(1)의 도포액 유지부(74)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노크 부재(58)를 노크 조작해도, 전단개구(31)로부터 도포액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도포액이 도포액 유지부(74)에 유지되지 않고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을 가해 실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홈 형상부(10)의 상연(12)을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V자 모양으로 형성했지만, 도 8에 나타낸 스패출러(1')와 같이 절결홈 형상부(90)의 상연(92)을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절결홈 형상부(90)의 상연(92)의 후단부(92a)에 소정의 폭을 갖게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액으로서 껍질용 접착제를 탱크부(41)에 저유했지만, 예컨대 마스카라(mascara), 립 글로스(lip gloss) 등의 액체 화장품이나, 페이스 페인팅(face painting )·바디 페인팅(body painting)용의 화장용 잉크 등, 다른 도포액을 탱크부(41)에 저유해도 좋다.
1, 1' 스패출러 2 플랜지부
3 관통구멍 4 본체부
5 기반부 6 중간부
7 연장설치부 8 접속부
10 절결홈 형상부
11 하연 11a 후단부
12 상연 12a 후단부
20, 20α 액체도포구
31 전단개구 32 확대 직경부
33 리브 34 원형 구멍부
35 협소 구멍부 36 상측 내주부
37 하측 내주부
40 도포액 용기 41 탱크부
42 축통 43 머리부
44 꼬리 왕관 45 후단개구 가장자리
51 송출기구 52 회전 멈춤 부재
53 피스톤 로드 54 피스톤
55 피스톤 로드 가이드 56 회전캠
57 용수철 58 노크 부재
60 홀더 61 선구
62 튜브 부재 63 캡
70 선단편(先端片)
71 내연 만곡부 72 외연 만곡부
73 전단 간극 74 도포액 유지부
80 도포액 용기
84 꼬리 왕관 85 후단개구 가장자리
86 최후단 가장자리부 87 전단측 가장자리부
90 절결홈 형상부
92 상연 92a 후단부

Claims (7)

  1. 도포액이 저유되는 탱크부를 가진 도포액 용기와,
    상기 도포액 용기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스패출러를 갖추되,
    상기 스패출러는,
    통모양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연장설치된 연장설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연장설치부에 걸쳐 관통하고, 상기 도포액이 유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상기 연장설치부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으로 향해 잘라 낸 절결홈 형상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가 정의됨과 더불어, 상기 절결홈 형상부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의 위치에 선단편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홈 형상부는, 하연의 후단부가 상연의 후단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편의 전단부의 내연이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편에서의 적어도 상기 절결홈 형상부의 하연의 후단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부위는, 그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외연을 만곡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 형상부에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상연의 간극이 그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 형상부에서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하연의 간극이 그 전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 그 상하방향의 간격이 점차 협소화되는 협소 구멍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 용기에 후단 개구로부터 바깥쪽으로 일부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된 노크 부재와,
    상기 도포액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노크 부재의 노크 조작에 의해 상기 탱크부 내의 도포액을 상기 스패출러로 송출하는 송출기구를 더 갖추되,
    상기 후단 개구는, 후단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 최후방에 위치하는 최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노크 부재의 스트로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단측 가장자리부를 갖추고,
    상기 연장설치부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로부터 적어도 상기 절결홈 형상부의 하연의 후단부에 걸쳐서 넓어지는 부위를 도포액 유지부로 하며,
    상기 도포액 유지부가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을 때, 상기 최후단 가장자리부가 하측에 위치하고 전단측 가장자리부가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도포구.
KR1020150071565A 2014-06-09 2015-05-22 액체도포구 KR102141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8287 2014-06-09
JP2014118287A JP6424019B2 (ja) 2014-06-09 2014-06-09 液体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33A true KR20150141133A (ko) 2015-12-17
KR102141724B1 KR102141724B1 (ko) 2020-08-05

Family

ID=5488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565A KR102141724B1 (ko) 2014-06-09 2015-05-22 액체도포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24019B2 (ko)
KR (1) KR102141724B1 (ko)
CN (1) CN1053102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216174A1 (ja) 2017-05-25 2020-03-26 株式会社壽 流体塗布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100A (ko) * 2004-10-21 2006-05-18 로레알 속눈썹 또는 눈썹에 물질, 특히 마스카라를 도포하고패키징하는 장치
JP2007236529A (ja) 2006-03-07 2007-09-20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KR20090017689A (ko) * 2006-06-07 2009-02-1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가열 소자를 포함하는 미용제 분배 디바이스
JP2013022202A (ja) * 2011-07-20 2013-02-04 Tokiwa Corp 塗布材押出容器
KR20170046162A (ko) * 2014-09-25 2017-04-28 로레알 2 개의 조립된 부분을 포함하는 도포기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7252U (ko) * 1987-05-06 1988-11-16
JP3828732B2 (ja) * 2000-09-05 2006-10-04 株式会社壽 ノック式液体容器
FR2886114B1 (fr) * 2005-05-25 2007-08-17 Oreal Applicateur et dispositif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JP2007236960A (ja) * 2007-04-02 2007-09-20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JP5164485B2 (ja) * 2007-09-10 2013-03-21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化粧料塗布具
JP5875308B2 (ja) * 2011-09-29 2016-03-02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化粧料塗布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100A (ko) * 2004-10-21 2006-05-18 로레알 속눈썹 또는 눈썹에 물질, 특히 마스카라를 도포하고패키징하는 장치
JP2007236529A (ja) 2006-03-07 2007-09-20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KR20090017689A (ko) * 2006-06-07 2009-02-18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가열 소자를 포함하는 미용제 분배 디바이스
JP2013022202A (ja) * 2011-07-20 2013-02-04 Tokiwa Corp 塗布材押出容器
KR20170046162A (ko) * 2014-09-25 2017-04-28 로레알 2 개의 조립된 부분을 포함하는 도포기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10251A (zh) 2016-02-10
JP6424019B2 (ja) 2018-11-14
JP2015229094A (ja) 2015-12-21
CN105310251B (zh) 2020-08-11
KR102141724B1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8394B2 (ja) アイライナ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JP2017529956A (ja) 化粧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塗布具
US10349722B2 (en) Rod-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KR20150141133A (ko) 액체도포구
US20200260837A1 (en) Coating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11363874B2 (en) Cosmetic applicator
JP6699025B2 (ja) 毛筆状塗布具
KR102187398B1 (ko)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US10492587B2 (en) Rod-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EP2308343B1 (en) Double profile mascara brush
JP7113534B2 (ja) 塗布材繰出容器
JP7113506B2 (ja) 塗布材
JP2009261850A (ja) 塗布用固形材料供給容器
JP6061184B2 (ja) 液状化粧料塗布体
KR102212392B1 (ko)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CN217722896U (zh) 一种眉笔的笔头结构
JP2008259669A (ja) 繰出し装置
KR102135046B1 (ko)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JPH08228828A (ja) 筆ペン型塗布具の塗布液誘導構造
KR20190133924A (ko)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JP2005186457A (ja) 塗布具
JP2019030976A (ja) 塗布製品
JP2007190239A (ja) アイブロウペン
JP2017177672A (ja) 芯繰出具
JP2010162753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