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121A -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전자설비,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전자설비,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121A
KR20150141121A KR1020147035868A KR20147035868A KR20150141121A KR 20150141121 A KR20150141121 A KR 20150141121A KR 1020147035868 A KR1020147035868 A KR 1020147035868A KR 20147035868 A KR20147035868 A KR 20147035868A KR 20150141121 A KR20150141121 A KR 20150141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nic equipment
function item
controll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안 왕
추앙퀴 리
파 왕
후이 왕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4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및 전자설비에 관한 것이며, 장치 제어분야에 속한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패드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터치 패드는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며, 컨트롤러에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신호를 송신하고, 컨트롤러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조작을 해석하여,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를 통하여,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완성할 수 있으며,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게 되어, 관련기술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을 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Description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및 전자설비{TOUCH CONTROL ASSEMBLY,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LER AND ELECTRONIC EQUIPMENT}
본원은 출원 번호가 CN201410200756.0이며, 출원일이 2014년 5월 13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장치 제어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및 전자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부단한 발전에 따라, 지능적인 전자설비가 점점 보급되어 가고 있다. 사람들이 전자설비를 사용할 시, 가장 좋은 체험효과를 얻기 위하여, 전자설비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할 필요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볼륨에 대하여 조절하는 것이다.
부피가 비교적 큰 전자설비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리모컨 또는 전자설비에 설치된 물리적 버튼을 통하여 제어를 진행한다. 전자설비가 텔레비전인 것을 예로 들면, 관련기술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텔레비전은 하나의 리모컨이 배치되며, 텔레비전의 거의 모든 조작은 리모컨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텔레비전의 리모컨을 잃어버리거나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텔레비전에 설치된 몇개의 물리적 버튼을 통하여 텔레비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는 통상적으로 6개의 물리적 버튼이 배치되며, 각각 전원버튼, 메뉴버튼, 볼륨 플러스(+) 버튼, 볼륨 마이너스(-) 버튼, 채널 플러스(+) 버튼 및 채널 마이너스(-) 버튼이 배치되어 있으며, 리모컨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사용자는 상기 6개의 물리적 버튼을 통하여 텔레비전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관련기술에 적어도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면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전자설비에 여러개의 물리적 버튼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각 물리적 버튼의 기능이 서로 다르고, 사용자는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오조작하기 쉽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텔레비전의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여 볼륨을 조절할 시, 채널버튼을 눌러 버릴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조작의 불편을 초래하고,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 높지 않다.
관련기술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여 사용자의 조작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및 전자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제1 양태에 의하면, 터치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전자설비에 사용한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패드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여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GUI) 표시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며,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된다.
제2 양태에 의하면, 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제1 양태의 상기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한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 표시상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의하면, 컨트롤러를 제공하여 상기 제1 양태의 상기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한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터치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는 해석모듈과,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는 제1 상태 획득모듈과,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유닛과,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자설비가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하는 토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GUI표시상태를 획득하는 제2 상태 획득모듈과,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는 리스트 확정모듈과,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자설비가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수행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의하면, 전자설비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설비는
적어도 상기 제1 양태의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컨트롤러를 통하여,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완성할 수 있으며,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게 되어, 관련기술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을 하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해석에 불과할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 표시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도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2는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3은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의 설정 모식도이다.
도4는 또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5는 또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부팅하는 모식도이다.
도6은 또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셧다운하는 모식도이다.
도7은 또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8은 또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능항목 토글 모식도이다.
도9는 또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메뉴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1은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13은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1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설비의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시를 도면에 표시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는것은 아니다. 반대로, 그들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일례에 불과하다.
도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어 전자설비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패드(12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드(120)는 상기 터치 패드(120)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120)에 상기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터치 패드는 전자설비의 스크린의 외부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전자설비의 베이스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터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여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는,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2는 다른 하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어 전자설비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패드(220) 및 컨트롤러(24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드(220)는 상기 터치 패드(220)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240)에 상기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몇개의 터치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의 터치 포인트를 터치할 시, 정전유도가 발생되어 유도전류 신호를 생성하며, 터치 패드는 생성된 유도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상기 터치신호에는 사용자의 현재 터치위치의 터치 포인트의 마크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포인트의 마크 는 터치 포인트의 좌표 또는 터치 포인트의 번호일 수 있다.
텔레비전을 예로 들어, 도3에 나타낸 터치 패드의 설정 모식도와 같이, 텔레비전의 디자인과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상기 터치 패드는 텔레비전의 베이스 부분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터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여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컨트롤러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및 수신하는 터치신호에 포함된 터치 포인트의 마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은 클릭조작, 롱 프레스(long press) 조작 또는 슬라이딩 조작 등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에 대하여 온, 대기(Standby), 메뉴선택 및 제어명령의 수행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조작은 롱 프레스 조작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을 예로 들면, 텔레비전에 전기가 통하여 대기할 경우,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롱 프레스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조작은 롱 프레스 조작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 켜진 경우,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롱 프레스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대기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상기 제3 조작은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아이콘은 하나의 기능항목에 각각 대응되며, 이러한 기능항목은 리모컨 검색 기능항목,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입력원토글 기능항목 및 3D모드조절 기능항목과 광도조절 기능항목 등을 포함한다. 텔레비전에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슬라이딩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현재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토글한다. 예를 들어, 채널선택 조작 기능항목으로부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으로 토글한다.
제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하나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며, 선택된 기능항목과 선택되지 않은 기능항목은 표시효과를 통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기능항목의 사이즈를 제일 크게 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항목을 채색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기능항목을 흑백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고휘도로 표시하는 등이다.
컨트롤러가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할 경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각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예설된 순서에 따라 배열하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바로 전의 기능항목의 아이콘으로 토글하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그 다음의 기능항목의 아이콘으로 토글한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선후 슬라이딩하여 경유하는 터치 포인트에 의해 확정된다. 예를 들어, 사전에 터치 패드중의 각 터치 포인트에 대하여 번호을 붙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하나의 터치 포인트를 슬라이딩 할 때마다 터치 패드가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터치신호에는 상기 터치 포인트의 번호가 휴대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선후 수신된 터치신호 중의 터치 포인트의 번호에 따라 슬라이딩 방향을 확정한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선택된 기능항목이 대응하는 보조메뉴를 구비할 경우, 상기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은 전자설비가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의 보조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이며, 선택된 기능항목이 대응되는 보조메뉴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기능에 따라 전자설비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명령이다.
상기 제4 조작은 클릭조작일 수 있다. 텔레비전에 제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이 클릭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된 기능아이콘이 리모컨을 검색하는 기능항목의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항목이 대응하는 보조메뉴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이 리모컨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리모컨은 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음을 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리모컨의 위치를 제시한다. 또는 현재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이 입력원 토글 기능항목이고 상기 기능항목이 입력원 선택메뉴를 가질 경우,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에서 입력원 선택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원 선택메뉴 중에는 복수의 입력원의 옵션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패드에 대하여 좌우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하여, 대응되는 옵션을 선택하고, 클릭을 통하여 어느 한 옵션에 대응되는 입력원을 선택하여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는,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4는 다른 하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어 전자설비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패드(320) 및 컨트롤러(34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드(320)는 상기 터치 패드(320)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340)에 상기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몇개의 터치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의 터치 포인트를 터치할 시, 정전유도가 발생되어, 유도전류 신호를 생성하며, 터치 패드는 생성된 유도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상기 터치신호에는 사용자의 현재 터치위치의 터치 포인트의 마크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포인트의 마크 는 터치 포인트의 좌표 또는 터치 포인트의 번호일 수 있다.
텔레비전을 예로 들어, 도3에 나타낸 터치 패드의 설정 모식도와 같이, 텔레비전의 디자인과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상기 터치 패드는 텔레비전의 베이스 부분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상기 터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여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컨트롤러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및 수신하는 터치신호에 포함된 터치 포인트의 마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은 클릭조작, 롱 프레스 조작 또는 슬라이딩 조작 등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에 대하여 온, 대기(Standby), 메뉴선택 및 제어명령의 수행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전자설비가 스마트 텔레비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컨트롤러는 스마트 텔레비전의 중앙처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조작은 롱 프레스 조작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을 예로 들면, 텔레비전에 전기가 통하여 대기할 경우,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롱 프레스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5에 표시된 사용자가 부팅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이 대기상태일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가 3s이상 유지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조작은 롱 프레스 조작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 켜진 경우,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롱 프레스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대기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6에 표시된 사용자가 셧다운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이 켜진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가 3s이상 유지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대기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상기 제3 조작은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아이콘은 하나의 기능항목에 각각 대응되며, 이러한 기능항목은 리모컨 검색 기능항목,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입력원토글 기능항목 및 3D모드조절 기능항목과 광도조절 기능항목 등을 포함한다. 텔레비전에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슬라이딩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현재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토글한다. 예를 들어, 채널선택 조작 기능항목으로부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으로 토글한다.
제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하나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며, 선택된 기능항목과 선택되지 않은 기능항목은 표시효과를 통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기능항목의 사이즈를 제일 크게 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항목을 채색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기능항목을 흑백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고휘도로 표시하는 등이다.
컨트롤러가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할 경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각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예설된 순서에 따라 배열하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바로 전의 기능항목의 아이콘으로 토글하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그 다음의 기능항목의 아이콘으로 토글한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선후 슬라이딩하여 경유하는 터치 포인트에 의해 확정된다. 예를 들어, 사전에 터치 패드 중의 각 터치 포인트에 대하여 번호을 붙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하나의 터치 포인트를 슬라이딩 할 때마다, 터치 패드가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터치신호에는 상기 터치 포인트의 번호가 휴대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선후 수신된 터치신호 중의 터치 포인트의 번호에 따라 슬라이딩 방향을 확정한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표시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며,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이다.
전자설비가 텔레비전인 것을 예로 들어, 텔레비전은 부동한 GUI 표시상태를 가질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표시상태, 신청인터페이스 표시상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표시상태 또는 게임인터페이스 표시상태 등을 가질수 있으며, 부동한 표시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기능항목도 부동할 수 있다. 텔레비전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켜졌지만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텔레비전의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클릭조작을 해석하였을 경우, 우선 텔레비전의 현재 표시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표시된 상태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며, 상기 기능항목의 리스트에 근거하여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텔레비전의 표시화면에 대한 영향을 최대 한도로 감소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관찰과 조작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를 텔레비전의 배경화면 위에 투명하게 표시하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 중의 일부분 아이콘을 집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7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이 켜지고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표시상태이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클릭조작을 해석하였을 경우,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표시상태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6개의 기능항목을 검색한다. 6개의 기능항목은 바로 리모컨 검색 기능항목,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입력원토글 기능항목, 3D모드조절 기능항목 및 광도조절 기능항목이다. 컨트롤러는 상기 6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표시하며, 동일 시간내에 그중의 3개의 기능항목의 아이콘만 표시하고, 도7에서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이 제어 인터페이스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각각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및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중간위치에 있는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은 기 선택된 기능항목으로 디폴트 하며, 아이콘의 사이즈가 가장 크다.
도7에 표시된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하여 좌우 슬라이딩 조작을 진행할 경우, 선택된 기능항목을 토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 표시된 기능항목 토글 모식도를 참조하면,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 위를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표시된 각 기능항목의 아이콘의 위치를 조절하고, 즉 볼륨조절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은폐하고, 채널선택 조작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일 좌측으로 이동하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을 선택된 기능항목으로 토글하여 당해 아이콘을 가장 중간인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며, 동시에 제일 우측에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의 그 다음의 기능항목의 아이콘 즉 3D모드조절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선택된 기능항목이 보조메뉴를 가질 경우, 상기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은 전자설비가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의 보조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이며, 선택된 기능항목이 대응하는 보조메뉴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전자설비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명령이다.
상기 제4 조작은 클릭조작일 수 있다. 텔레비전에 제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이 클릭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된 기능아이콘이 리모컨을 검색하는 기능항목의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항목이 대응하는 보조메뉴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이 리모컨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리모컨은 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음을 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리모컨의 위치를 제시한다. 또는 현재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이 입력원 토글 기능항목이고 상기 기능항목이 입력원 선택메뉴를 가질 경우,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에서 입력원 선택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원 선택메뉴 중에는 복수의 입력원의 옵션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패드에 대하여 좌우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하여, 대응되는 옵션을 선택하고, 클릭을 통하여 어느 한 옵션에 대응되는 입력원을 선택하여 확정할 수 있다.
도9에 표시된 보조메뉴를 표시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현재 제어 인터페이스 중에서, 선택된 기능항목은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이고,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클릭조작을 해석하였을 경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의 보조메뉴에 진입하고, 상기 보조메뉴에는 5개의 입력원 아이콘이 포함되고, 현재 선택된 입력원 아이콘 사이즈는 선택되지 않은 입력원 아이콘보다 크고 고휘도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좌우 슬라이딩하는 조작을 통하여 선택된 입력원 아이콘을 토글하며, 도8과 다른 것은, 보조메뉴중의 아이콘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선택된 입력원 아이콘의 사이즈와 표시효과만 변경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어셈블리는,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10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장치 제어방법은 도1, 도2 또는 도4에 표시된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되어,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장치 제어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2에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한다.
단계404에서,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한다.
단계406에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한다.
단계408에서,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방법은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11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장치 제어방법은 도1, 도2 또는 도4에 표시된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되어,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장치 제어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2에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몇개의 터치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의 터치 포인트를 터치할 시, 정전유도가 발생되어, 유도전류 신호를 생성하며, 터치 패드는 생성된 유도전류 신호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에 송신한다. 상기 터치신호에는 사용자의 현재 터치위치의 터치 포인트의 마크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상기 터치 포인트의 마크는 터치 포인트의 좌표 또는 터치 포인트의 번호일 수 있다.
단계504에서,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한다.
컨트롤러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및 수신하는 터치신호에 포함된 터치 포인트의 마크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은 클릭조작, 롱 프레스조작 또는 슬라이딩 조작 등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에 대하여 온, 대기, 메뉴선택 및 제어명령의 수행 등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506에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한다.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는 온, 대기 및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등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08에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조작은 롱 프레스 조작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을 예로 들면, 텔레비전에 전기가 통하여 대기할 경우,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롱 프레스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5에 표시된 사용자가 부팅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이 대기상태일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가 3s이상 유지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켜지도록 제어한다.
단계510에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조작은 롱 프레스 조작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 켜진 경우, 컨트롤러에서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롱 프레스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대기 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6에 표시된 사용자가 셧다운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이 켜진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가 3s이상 유지 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텔레비전이 대기상태로 진입되도록 제어한다.
단계512에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상기 제3 조작은 슬라이딩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아이콘은 하나의 기능항목에 각각 대응되며, 이러한 기능항목은 리모컨 검색 기능항목,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입력원토글 기능항목 및 3D모드조절 기능항목과 광도조절 기능항목 등을 포함한다. 텔레비전에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슬라이딩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현재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토글한다. 예를 들어, 채널선택 조작 기능항목으로부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으로 토글한다.
제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하나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며, 선택된 기능항목과 선택되지 않은 기능항목은 표시효과를 통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된 기능항목의 사이즈를 제일 크게 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항목을 채색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선택되지 않은 기능항목을 흑백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고휘도로 표시하는 등이다.
컨트롤러가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할 경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각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예설된 순서에 따라 배열하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바로 전의 기능항목의 아이콘으로 토글하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조작이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그 다음의 기능항목의 아이콘으로 토글한다.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슬라이딩 조작이 선후 슬라이딩하여 경유하는 터치 포인트에 의해 확정된다. 예를 들어, 사전에 터치 패드 중의 각 터치 포인트에 대하여 번호을 붙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하나의 터치 포인트를 슬라이딩 할 때마다, 터치 패드가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터치신호에는 상기 터치 포인트의 번호가 휴대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선후 수신된 터치신호 중의 터치 포인트의 번호에 따라 슬라이딩 방향을 확정한다.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GUI표시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고,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이다.
전자설비가 텔레비전인 것을 예로 들어, 텔레비전은 부동한 GUI 표시상태를 가질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표시상태, 신청인터페이스 표시상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표시상태 또는 게임인터페이스 표시상태 등을 가질수 있으며, 부동한 표시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기능항목도 부동할 수 있다. 텔레비전에서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켜졌지만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텔레비전의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클릭조작을 해석하였을 경우, 우선 텔레비전의 현재 표시상태를 확정하고, 상기 표시된 상태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며, 상기 기능항목의 리스트에 근거하여 제어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경우 텔레비전의 표시화면에 대한 영향을 최대 한도로 감소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관찰과 조작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를 텔레비전의 배경화면 위에 투명하게 표시하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 중의 일부분 아이콘을 집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7에 표시된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텔레비전이 켜지고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표시상태이며,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클릭조작을 해석하였을 경우,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표시상태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6개의 기능항목을 검색한다. 6개의 기능항목은 바로 리모컨 검색 기능항목,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입력원토글 기능항목, 3D모드조절 기능항목 및 광도조절 기능항목이다. 컨트롤러는 상기 6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상기 순서에 따라 배열하여 표시하며, 동일 시간내에 그중의 3개의 기능항목의 아이콘만 표시하고, 도7에서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이 제어 인터페이스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각각 볼륨조절 기능항목,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 및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중간위치에 있는 채널선택조작 기능항목은 기 선택된 기능항목으로 디폴트 하며, 아이콘의 사이즈가 가장 크다.
도7에 표시된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하여 좌우 슬라이딩 조작을 진행할 경우, 선택된 기능항목을 토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 표시된 기능항목 토글 모식도를 참조하면,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 위를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였다고 해석될 경우, 표시된 각 기능항목의 아이콘의 위치를 조절하고, 즉 볼륨조절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은폐하고, 채널선택 조작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제일 좌측으로 이동하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을 선택된 기능항목으로 토글하여 당해 아이콘을 가장 중간인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며, 동시에 제일 우측에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의 그 다음의 기능항목의 아이콘 즉 3D모드조절 기능항목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단계514에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선택된 기능항목이 보조메뉴를 가질 경우, 상기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은 전자설비가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의 보조메뉴를 표시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명령이며, 선택된 기능항목이 대응하는 보조메뉴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전자설비에 대하여 제어를 진행하는 명령이다.
상기 제4 조작은 클릭조작일 수 있다. 텔레비전에 제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컨트롤러에서 사용자가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이 클릭조작이라고 해석될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선택된 기능아이콘이 리모컨을 검색하는 기능항목의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항목이 대응하는 보조메뉴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이 리모컨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리모컨은 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음을 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리모컨의 위치를 제시한다. 또는 현재 선택된 기능항목의 아이콘이 입력원 토글 기능항목이고 상기 기능항목이 입력원 선택메뉴를 가질 경우, 컨트롤러는 텔레비전에서 입력원 선택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입력원 선택메뉴 중에는 복수의 입력원의 옵션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패드에 대하여 좌우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하여, 대응되는 옵션을 선택하고, 클릭을 통하여 어느 한 옵션에 대응되는 입력원을 선택하여 확정할 수 있다.
도9에 표시된 보조메뉴를 표시하는 모식도를 참조하면, 현재 제어 인터페이스 중에서 선택된 기능항목은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이고,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의 터치 패드에 대한 클릭조작을 해석하였을 경우, 입력원토글 기능항목의 보조메뉴에 진입하고, 상기 보조메뉴에는 5개의 입력원 아이콘이 포함되고, 현재 선택된 입력원 아이콘 사이즈는 선택되지 않은 입력원 아이콘보다 크고 고휘도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좌우 슬라이딩하는 조작을 통하여 선택된 입력원 아이콘을 토글하며, 도8과 다른 것은, 보조메뉴중의 아이콘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선택된 입력원 아이콘의 사이즈와 표시효과만 변경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방법은,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1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도1, 도2 또는 도4에 표시된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되어,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터치신호 수신모듈(601), 해석모듈(602), 제1 상태 획득모듈(603) 및 제어모듈(604)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신호 수신모듈(601)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해석모듈(602)은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한다.
상기 제1 상태 획득모듈(603)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모듈(604)은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는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13은 다른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도1, 도2 또는 도4에 표시된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되어, 상기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 또는 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터치신호 수신모듈(701), 해석모듈(702), 제1 상태 획득모듈(703) 및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신호 수신모듈(701)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해석모듈(702)은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한다.
상기 제1 상태 획득모듈(703)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모듈(704)은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704)은 제1 제어유닛(704a) 및 제2 제어유닛(704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유닛(704a)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제어유닛(704b)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704)은 토글 유닛(704c)을 포함한다.
상기 토글 유닛(704c)은 상기 전자설비가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한다.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제2 상태 획득모듈(705), 리스트 확정모듈(706) 및 표시모듈(7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상태 획득모듈(705)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GUI 표시상태를 획득한다.
상기 리스트 확정모듈(706)은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한다.
상기 표시모듈(707)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이다.
상기 제어모듈(704)은 수행유닛(704d)을 포함한다.
상기 수행유닛(704d)은 상기 전자설비가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는,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였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도1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설비의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설비는 텔레비전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도1, 도2 또는 도4중의 어느 하나에 표시된 터치 어셈블리(800)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설비는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해석하고,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설비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부동한 물리적 버튼을 찾거나 누를 필요가 없이 터치 패드에 대한 부동한 조작을 통하여, 전자설비에 대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어, 관련기술 중의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시, 쉽게 오조작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효과를 이룬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참조하고 또한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행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명세서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와 취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되고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6)

  1. 전자설비에 사용되는 터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패드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여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며, 상기 터치조작 및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GUI) 표시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며,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의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하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 표시상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어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의 터치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는 전자설비에 사용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터치 패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조작에 대응되는 터치신호를 수신하는 터치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조작을 해석하는 해석모듈과,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를 획득하는 제1 상태 획득모듈과,
    터치조작 및 전자설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대기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1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온 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유닛과,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2 조작일 경우, 상기 전자설비가 대기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자설비가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3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토글하는 토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설비의 동작상태가 온 상태이고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전자설비의 GUI표시상태를 획득하는 제2 상태 획득모듈과,
    상기 GUI 표시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기능항목 리스트를 확정하는 리스트 확정모듈과,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항목은 상기 기능항목 리스트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분 기능항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자설비가 제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터치조작이 제4 조작일 경우,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중의 선택된 기능항목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수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16. 적어도 하나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터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설비.
KR1020147035868A 2014-05-13 2014-10-23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전자설비,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50141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00756.0 2014-05-13
CN201410200756.0A CN104020875A (zh) 2014-05-13 2014-05-13 触控组件、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PCT/CN2014/089277 WO2015172520A1 (zh) 2014-05-13 2014-10-23 触控组件、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21A true KR20150141121A (ko) 2015-12-17

Family

ID=5143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868A KR20150141121A (ko) 2014-05-13 2014-10-23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전자설비,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331510A1 (ko)
EP (1) EP2945049A1 (ko)
JP (1) JP2016520947A (ko)
KR (1) KR20150141121A (ko)
CN (1) CN104020875A (ko)
BR (1) BR112015000555A2 (ko)
MX (1) MX356462B (ko)
RU (1) RU2609101C2 (ko)
WO (1) WO20151725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96A1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알티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8314S1 (en) * 2014-05-13 2017-02-07 Xiaomi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020875A (zh) * 2014-05-13 2014-09-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控组件、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CN105677208A (zh) * 2014-11-19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输入方法及设备
CN104661099A (zh) * 2015-02-06 2015-05-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991732A (zh) * 2015-06-24 2015-10-21 广州创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按键第二功能的方法及一体机系统
CN105430458A (zh) * 2015-11-16 2016-03-23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及系统
CN105898516A (zh) * 2015-12-15 2016-08-24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电视焦点呈现方法及设备
CN105872674A (zh) * 2015-12-18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用于显示遥控器的操作轨迹的方法、遥控器和显示终端
WO2018124809A1 (ko) * 2016-12-29 2018-07-05 주식회사 인바디 착용형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TWI649678B (zh) * 2017-11-08 2019-02-01 波利達電子股份有限公司 Touch device, touch device op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9991935B (zh) * 2019-04-08 2021-11-05 沈机(上海)智能系统研发设计有限公司 数控系统及其控制方法、控制设备及存储介质、终端
CN113176925B (zh) * 2021-05-24 2022-05-17 浙江热刺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加工设备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007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명령이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US20090303097A1 (en) * 2008-06-09 2009-12-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onal mode of a remote control
CN101820510B (zh) * 2009-02-27 2014-08-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触摸控制电视机及其实现方法
CN101923424A (zh) * 2009-06-16 2010-12-22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JP2011059820A (ja) * 2009-09-07 2011-03-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49607B2 (ja) * 2009-09-30 2013-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30283305A1 (en) * 2011-04-06 2013-10-24 Media Dire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television and set-top box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platform
CN102830752B (zh) * 2011-06-16 2015-01-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工作方法
US8893184B2 (en) * 2011-07-15 2014-11-18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facilitating multiple multimedia viewing planes in media display systems
KR20130058300A (ko) * 2011-11-25 2013-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EP2613227B1 (en) * 2012-01-06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880339B (zh) * 2012-07-27 2016-01-27 中国华录集团有限公司 无线触摸遥控装置及其操作识别方法
CN103067784B (zh) * 2012-12-21 2018-05-0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电视机的虚拟按键方法及电视机
CN103279221A (zh) * 2013-05-21 2013-09-04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徽标组件、控制方法、控制器和电子设备
CN203422719U (zh) * 2013-05-27 2014-02-05 赛龙通信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装置
CN104020875A (zh) * 2014-05-13 2014-09-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控组件、设备控制方法、控制器及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96A1 (ko) * 2020-07-06 2022-01-13 주식회사 알티올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2520A1 (zh) 2015-11-19
RU2609101C2 (ru) 2017-01-30
US20150331510A1 (en) 2015-11-19
CN104020875A (zh) 2014-09-03
MX2014015639A (es) 2016-06-28
MX356462B (es) 2018-05-30
JP2016520947A (ja) 2016-07-14
BR112015000555A2 (pt) 2017-06-27
EP2945049A1 (en) 2015-11-18
RU2014153983A (ru)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121A (ko) 터치 어셈블리, 장치 제어방법, 컨트롤러, 전자설비,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089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ireless remote control terminal by third-party terminal
KR102072582B1 (ko) 듀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5431321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生成装置
JP6105822B1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6437170B1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作動モード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1412448B1 (ko)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는 저전력 모드에서의 터치입력을 통한 디바이스 구동시스템
CN105335048A (zh) 具有隐藏应用图标的电子设备及隐藏应用图标的方法
CN106663365B (zh) 基于用户输入获得控制系统的手势区域定义数据的方法
KR201700713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613546A2 (en) Display apparatus,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N106249981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3412712A (zh) 一种功能菜单的选择方法和装置
CN106095274A (zh) 设置界面显示方法和装置
US9746999B2 (en) Mobile device remotely controlled by other mobile device through a network
EP2899621B1 (e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785765A (zh) 智能家居设备的信息处理及遥控方法、装置与系统
TW201514832A (zh) 調整畫面顯示的系統及方法
CN105487764B (zh) 一种基于快捷菜单的人机交互方法及装置
KR101491056B1 (ko)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 마우스 ui 지원을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 장치 및 마우스 ui 지원 방법
CN106775237B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201705425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09377A (ko)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 동적 표시되는 마우스 ui 지원을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 장치 및 마우스 ui 지원 방법
CN203966094U (zh) 一种触摸板装置
JP709894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