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252A -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252A
KR20150139252A KR1020140067577A KR20140067577A KR20150139252A KR 20150139252 A KR20150139252 A KR 20150139252A KR 1020140067577 A KR1020140067577 A KR 1020140067577A KR 20140067577 A KR20140067577 A KR 20140067577A KR 20150139252 A KR20150139252 A KR 2015013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power
controller
switch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224B1 (ko
Inventor
박찬구
Original Assignee
위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2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수상기 전단에 구비되어 방송부로부터 보내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APPARATUS FOR STANDBY POWER CUT-OFF USING COAXIAL CABLE NETWORK}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수상기 전단에 구비되어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전력(standby power)은 전기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준비상태)에 소비되는 전력을 말하며, 전기 플러그를 꽂아 놓으면 실제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소모되는 전력을 말한다.
각종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플러그를 뽑아두거나, 멀티탭(multitap)을 사용하는 경우, 멀티탭의 스위치를 끄면 대기전력 소모를 막을 수 있다.
TV나 비디오와 같은 리모콘으로 동작시키는 제품의 경우를 예로 들면, 현재는 제품들이 꺼져있지만 리모콘을 누르면 켜질 준비하고 있는 리모콘 수신상태가 소비전력에 해당한다. 실생활에서 이렇게 낭비되는 전력은 보통 전기요금의 10% 가량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리모컨으로 작동되고, 작동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전자제품의 증가와 함께 대기전력 소비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복사기나 비디오 레코더는 전체 사용전력의 80%가 대기전력으로 추정된다. 컴퓨터ㅇ모니터ㅇ프린터ㅇ팩시밀리ㅇ세탁기ㅇ에어컨ㅇ텔레비전ㅇDVD플레이어ㅇ전자레인지ㅇ휴대전화충전기 등이 대기전력 소비가 많다.
국제에너지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경우 가구당 전력소비량의 10%인 60와트(W)가 대기전력일 것으로 추정한다. 미국은 5%로 적은 편이지만 액수는 매년 약 13억 달러에 달한다. 이처럼 심각한 대기전력 문제해결을 위해 국제에너지기구는 2010년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1와트 이하로 줄이도록 세계 각국에 권고하였다.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되며, 중앙(방송부)에서 관리가 필요한 중앙방송제어시스템(사내방송 시스템, 교내방송 시스템 구내방송 시스템 등)의 경우, 방송부에서 방송을 송출하면 TV 수상기에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TV 수상기의 전원을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로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대기전력 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방송 대기중인 상태에서 대기전력 소비를 줄일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53992]에서는 대기전력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53992](공개일: 2013.05.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수상기 전단에 구비되어, 방송부로부터 보내진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연결되는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사이에 구비되어, 교류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300);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 상기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와 연결되는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상기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와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사이에 구비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출력단자(200)로 보내는 커플러(600); 상기 커플러(600)와 연결되어, 상기 커플러(6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 및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AC-DC 컨버터(800);를 포함하며, 수상기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700)로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8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스위치(300)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는 배터리(900); 상기 AC-DC 컨버터(800)와 배터리(9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900)에 충전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하는 충전회로(850); 및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충전회로(85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스위치(8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회로(8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스위치(810)에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는 배터리(900); 상기 AC-DC 컨버터(800)와 배터리(9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900)에 충전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하는 충전회로(850); 및 상기 AC-DC 컨버터(800)와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스위치(81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회로(8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스위치(810)에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의하면,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각각의 수상기 전단에 각각 구비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방송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700)로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압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제1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와 무관하게 수상기 전원을 켜야 할 경우, 제3스위치를 조작하여 수상기의 전원을 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배터리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AC-DC 컨버터와 충전회로 사이 또는 AC-DC 컨버터(800)와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사이에 제2스위치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제2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더욱 뛰어나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개념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개념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은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며, 방송부에서 송출되는 방송을 수상기에서 시청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제1스위치(300),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커플러(600), 제어부(700) 및 AC-DC 컨버터(800)를 포함하며, 수상기 전단에 구비된다.
교류전원 입력단자(100)는 교류전원과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입력받는다. 일반적으로 둘 또는 세 개의 단자로 구성되며, 두 개의 단자로 구성될 경우 교류전원에 두 개의 단자가 연결되고, 세 개의 단자로 구성될 경우 교류전원에 두 개의 단자가 연결되고 남은 하나의 단자에는 접지가 연결될 수 있다.
교류전원 출력단자(200)는 일측이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수상기와 연결되어 수상기 측으로 교류전원을 보낸다.
일반적으로 수상기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가 있고,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수상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플러그와 콘센트를 그대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를 콘센트에 연결하고, 수상기의 플러그를 교류전원 출력단자(2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는 플러그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교류전원 출력단자(200)는 콘센트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는, 수상기와 플러그가 연결된 전선을 중간에 절단하여 플러그쪽 전선을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에 연결하고, 수상기쪽 전선을 교류전원 출력단자(2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및 교류전원 출력단자(200)는 나사 또는 스프링 등으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제1스위치(300)는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사이에 구비되어, 교류전원을 스위칭한다. 이때,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교류전원 출력단자(200)는 두 가닥 또는 세 가닥의 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교류전원과 연결되는 두 가닥의 선 중 어느 한 가닥의 선에 제1스위치(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스위치(300)로는 릴레이(Re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을 줄이기 위해 래치릴레이(Latch Relay)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래치릴레이는 보자력이 큰 철심을 사용하여 접점의 동작이 여자 전류를 끊은 후에도 자력이 유지되도록 한 릴레이로서 역방향 여자 전류로 접점이 복귀하며 펄스로 제어하기에 적합한 릴레이를 말한다.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는 방송부 측 동축케이블과 연결되어 방송부 측으로부터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축케이블(Coaxial Cable)은 통신용 케이블의 일종으로 금속외관의 중심에 절연된 내부도체를 가진 도선을 말하며, 손실이 적기 때문에 TV 영상 등 주파수가 높은 신호를 보내는 데 사용된다.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는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와 연결되며, 타측이 수상기와 연결되어 수상기 측으로 방송신호를 보낸다.
커플러(600)는 상기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와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사이에 구비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출력단자(200)로 보낸다.
다시 말해, 커플러(600)는 방송부 측 동축케이블을 통해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방송신호는 수상기 측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하고, 제어신호는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제어부(700)는 상기 커플러(600)와 연결되어, 상기 커플러(6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0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700)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이 있는 TV의 경우 동축선을 사용하여 채널 변경, On/Off와 같이 TV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대의 TV가 각기 다른 채널로 되어 있더라도 중앙 방송 장치(방송부)에서 방송을 할 때 방송부와 연결된 TV들의 채널을 자동으로 바꿀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방송을 시작한다는 별도의 안내 없이도 여러 대의 TV에 방송 신호를 보내어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DC 컨버터(800)는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제어부(700)가 직류 전원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교류 입력단자를 통해 들어온 교류전원을 직류로 바꿔줘야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동축케이블 망이 포설된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각각의 수상기 전단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방송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700)로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8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귤레이터(Regulator)는 어떠한 전압이 들어오더라도 미리 점퍼나 스위칭 등에 의해 정해진 전압만을 출력한다. 이는, 제어부(700)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상기 제1스위치(300)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제1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와 무관하게 수상기 전원을 켜야 할 경우, 제3스위치를 조작하여 수상기의 전원을 켤 수 있다. 여기서, 제3스위치(310)는 일반적인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텀블러 스위치, 푸시 버튼 스위치, 로우터리 스위치(섹렉터 스위치), 풀 스위치, 코오드 스위치, 팬던트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배터리(900), 충전회로(850) 및 제2스위치(8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회로(8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스위치(810)에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배터리(900)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된다. 제어부(700)로의 전원 공급은 상시 이루어 져야 하나, 교류전원을 상시 연결해 두게 되면 이에 대한 대기전력 소모가 따르기 때문에 배터리(900)를 이용하여 제어부(700)에 전원공급을 하는 것이다.
충전회로(850)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배터리(9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900)에 충전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제2스위치(810)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충전회로(850) 사이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700)는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전압, 전류, 온도 등)를 기반으로, 배터리(900)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스위치(810)를 제어한다. 이는, 수상기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상시 연결해 두게 되면, 이에 대한 대기전력 소모가 따르기 때문에, 이것마저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터리(900)와 제어부(700) 사이에 레귤레이터(8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는 배터리(900), 충전회로(850) 및 제2스위치(8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회로(8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스위치(810)에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배터리(900)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된다.
충전회로(850)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배터리(9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900)에 충전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제2스위치(810)는 상기 AC-DC 컨버터(800)와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사이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700)는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전압, 전류, 온도 등)를 기반으로, 배터리(900)의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스위치(810)를 제어한다. 이는, 수상기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상시 연결해 두게 되면, 이에 대한 대기전력 소모가 따르기 때문에, 이것마저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터리(900)와 제어부(700) 사이에 레귤레이터(8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제1스위치(300),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커플러(600), 제어부(700) 및 AC-DC 컨버터(800), 레귤레이터(890), 제3스위치(310), 배터리(900), 충전회로(850) 및 제2스위치(810)를 모두 구비한 은 실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교류전원 입력단자 200: 교류전원 출력단자
300: 제1스위치 310: 제3스위치
400: 동축케이블 입력단자 500: 동축케이블 출력단자
600: 커플러 700: 제어부
800: AC-DC 컨버터 810: 제2스위치
850: 충전회로 890: 레귤레이터
900: 배터리

Claims (5)

  1. 영상 및 음향을 송출하는 방송부와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상기로 구성되는 중앙방송제어시스템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있어서,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연결되는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교류전원 출력단자(200) 사이에 구비되어, 교류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스위치(300);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
    상기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와 연결되는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상기 동축케이블 입력단자(400)와 동축케이블 출력단자(500) 사이에 구비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 및 제어신호를 분배하여, 상기 동축케이블 출력단자(200)로 보내는 커플러(600);
    상기 커플러(600)와 연결되어, 상기 커플러(6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3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 및
    상기 교류전원 입력단자(1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AC-DC 컨버터(800);
    를 포함하며,
    수상기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700)로 입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890);
    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300)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310);
    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는 배터리(900);
    상기 AC-DC 컨버터(800)와 배터리(9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900)에 충전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하는 충전회로(850); 및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충전회로(85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스위치(81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회로(8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스위치(810)에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DC 컨버터(800)와 제어부(700) 사이에 구비되는 배터리(900);
    상기 AC-DC 컨버터(800)와 배터리(9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900)에 충전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제공하는 충전회로(850); 및
    상기 AC-DC 컨버터(800)와 교류전원 입력단자(1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스위치(81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충전회로(8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배터리(900)의 충전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스위치(810)에 온/오프(ON/OFF)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20140067577A 2014-06-03 2014-06-03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170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77A KR101707224B1 (ko) 2014-06-03 2014-06-03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77A KR101707224B1 (ko) 2014-06-03 2014-06-03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52A true KR20150139252A (ko) 2015-12-11
KR101707224B1 KR101707224B1 (ko) 2017-02-27

Family

ID=5502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577A KR101707224B1 (ko) 2014-06-03 2014-06-03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2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017A (ja) * 2005-11-11 2007-05-31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951087B1 (ko) * 2009-05-19 2010-04-05 주식회사 로보티어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JP2011229137A (ja) * 2010-03-30 2011-11-10 Maspro Denkoh Corp テレビ放送信号伝送機器の電源装置及びテレビ放送信号伝送システム
KR20130053992A (ko) 2011-11-16 2013-05-24 김철우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40055505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 오프상태에서 루프 스루 동작하는 셋톱박스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017A (ja) * 2005-11-11 2007-05-31 Sharp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951087B1 (ko) * 2009-05-19 2010-04-05 주식회사 로보티어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JP2011229137A (ja) * 2010-03-30 2011-11-10 Maspro Denkoh Corp テレビ放送信号伝送機器の電源装置及びテレビ放送信号伝送システム
KR20130053992A (ko) 2011-11-16 2013-05-24 김철우 대기전력 차단장치
KR20140055505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 오프상태에서 루프 스루 동작하는 셋톱박스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224B1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8B1 (ko) 콘센트 대기 전력 감소장치
KR100975642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299567A (zh) 电子装置及其无线供电系统、无线供电方法
RU2736542C1 (ru) Пункт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до 1 кВ, совмещенный с пунктом учет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контроля количества и времени отключ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RU2731874C1 (ru) Пункт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до 1 кВ, совмещенный с пунктом учет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контроля количества и времени отключ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WO2009066921A3 (en) Standby power cut-off switch
CN110138404B (zh) 用于向保护和控制设备提供无线连接的收发器设备
US20130201593A1 (en) Remote control power isolation switch
US20190222025A1 (en) Control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Within a Structure
KR200464008Y1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707224B1 (ko)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US10056747B2 (en) Household distribution box for forcible power interruption and forcible power interruption system
EP2811606A2 (en) Control unit for circuit break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064927A9 (ko)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및 방법
KR101138985B1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JP2009153301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KR20170128802A (ko) 개별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46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상태에 연동한 소스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21509568A (ja) 充電回路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375713Y1 (ko) 주택 전원 관리 장치
KR101516943B1 (ko) 직병렬 접속 스위치 구조를 갖는 멀티탭
JPH11289616A (ja) 配電装置
KR102289731B1 (ko) 전기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장치
US1175002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KR20180092703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