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087B1 -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87B1
KR100951087B1 KR1020090100604A KR20090100604A KR100951087B1 KR 100951087 B1 KR100951087 B1 KR 100951087B1 KR 1020090100604 A KR1020090100604 A KR 1020090100604A KR 20090100604 A KR20090100604 A KR 20090100604A KR 100951087 B1 KR100951087 B1 KR 10095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broadcasting
control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티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에 설치된 전원관리부에서 강의실, 교육준비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장비의 전원상태를 감시하고, 전원장비의 ON/OFF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방송실에 설치되고,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내부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중앙방송부; 강의실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방송부에서 송출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TV 및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는 다수의 강의실방송부; 관리실에 설치되고, 상기 방송실과 강의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장비들(예; 형광등, TV, 선풍기)의 전원상태(입력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전원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 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전원장비들의 전원 ON/OFF를 원격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내부통신망에 연결된 제4송수신기와, 상기 제4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원장비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상태감지기로부터 전원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관리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버튼과, 상기 제4송수신기, 표시부 및 입력버튼이 연결되고, 상기 제4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원장비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ON/OFF구동부에 ON/OFF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장비들의 전원 ON/OFF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전원제어 부에 무정전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내, 전원, 감시, 관리, 제어, 오디오믹서, 우선순위제어부, 매트릭스제어부

Description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Automation system for watching and managing power in school}
본 발명은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에 설치된 전원관리부에서 강의실, 교육준비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장비의 전원상태를 감시하고, 전원장비의 ON/OFF를 원격 제어할 수 있고,
각 강의실에 방송될 방송을 방송실에 설치된 중앙방송부뿐만 아니라 각 교육준비실에 설치된 교육준비실방송부와 각 강의실에 설치된 강의실방송부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고,
전원관리부에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용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이상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한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에는 학급실, 교무실, 실습실, 음악실, 방송실 등 많은 교실이 있고, 각 교실에는 조명(형광등), 선풍기, TV, 방송장비, 컴퓨터, 실험장비 등과 같은 다양 한 종류의 전원장비들이 구비되어 있고, 각 교실의 전원장비는 각 교실에서 사용자(학생 또는 선생님)가 직접 ON/OFF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체육시간과 같이 교실을 이탈하여 수업을 하는 경우나 하교할 때에 교실의 전원장비를 OFF시키지 아니하고 이탈을 하거나 하교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리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많고, 당직근무자가 일일이 교실을 돌아다니면서 전원장비가 OFF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각 교실의 전원장비의 ON/OFF를 확인하여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사용되는 방송 시스템은 각 교실(복도, 강당, 운동장 등을 포함할 수 있음)에 설치된 스피커와 TV, 그리고 이들 각 교실 통제하는 하나의 방송실의 중앙방송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방송부는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교실들로 개별 또는 그룹으로 송출하여 각 교실의 스피커나 TV가 출력하는 방송데이터를 직접 또는 예약 방송을 한다.
이와 같이 교내에서 운용되는 방송 시스템은 음원, 영상 등의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교 교육활동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학생 및 교직원들에게 수업시간, 공지사항, 화재발생과 같은 긴급정보, 교육 컨텐츠 등을 전달하는 방송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전의 교내 방송 시스템은 단순히 방송실(중앙방송부)의 제어에 의해 각 교실(로컬방송부)에 수업종을 울리거나 교육비디오를 방송하거나 마이크로 공지사항을 알리는 것이 다였으나,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444543호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널 학교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등록특허 제589455호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과 교내통신망을 이용한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의 수행과 교육콘텐츠의 방송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역시 예전의 교내 방송 시스템과 같이 방송실에서의 각 교실의 방송을 통제하는 중앙통제식이다. 그래서 공지사항을 전달하거나 비디오를 방영하는 등의 교내 방송을 위해서는 예전과 같이 직접 방송실에 가서 방송장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선로이상이나 방송실의 방송장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 교실의 방송에 지장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792763호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IP기반의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방송실에서뿐만 아니라 각 교실에서도 자체방송과 다른 교실에 방송될 방송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를 개량한 것으로서, 교내의 전원장비 들의 전원상태를 감시 및 관리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예방하고, 관리실에서 원격으로 각 교실의 전원장비를 ON/OFF시킬 수 있어 각 교실을 돌아다니면서 전원장비를 OFF시켜야하는 불편을 없애고,
아울러 방송 시스템의 효율성과 방송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각 교육준비실(통상 교무실)에 교육준비실방송부를 설치한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방송실에 설치되고,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내부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중앙방송부;
강의실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방송부에서 송출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TV 및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는 다수의 강의실방송부;
관리실에 설치되고, 상기 방송실과 강의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장비들(예; 형광등, TV, 선풍기)의 전원상태(입력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전원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 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전원장비들의 전원 ON/OFF를 원격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내부통신망에 연결된 제4송수신기와,
상기 제4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원장비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상태감지기로부터 전원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관리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버튼과,
상기 제4송수신기, 표시부 및 입력버튼이 연결되고, 상기 제4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원장비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ON/OFF구동부에 ON/OFF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장비들의 전원 ON/OFF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관리부가 제어, 관리하는 상기 전원장비로서 형광등은
다수의 칩 엘이디(LED)가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열프레임;
상기 방열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커버;
상기 사이드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방열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
상기 방열프레임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칩 엘이디가 발산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키는 렌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프레임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에는 마그넷(Magnet)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부에는 볼트의 헤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볼트홀과, 상기 칩 엘이디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안착홈에는 상기 PCB가 삽입되는 PCB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재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부재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렌즈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일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양단에는 나사를 통해 상기 브라켓의 수직부가 결합되는 브라켓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커버 내면에는 방열프레임의 돌기홀에 삽입결합되는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과 함께 방열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되는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관리부는
배터리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평상시에는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원을 공급하고, 정전시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전원제어부에 무정전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충전부는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가공처리하여 충전전류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고, 충전전류가 일정하게 유지(즉, 정전류)되도록 하는 제3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전류인가부와,
상기 충전전류인가부의 충전전류를 배터리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 저항(R37,R40)을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컨버터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제1제어부(U3)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구동전원공급부와,
상기 충전전류인가부의 출력 충전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1제어부에 전송하는 저항(R16,R25)과,
상기 제3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버터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BAT)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5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1제어부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LD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관리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관리부를 통해 교내 각 교실에 구비되어 Dt는 전원장비들의 전원상태를 상시 감시하고 원격에서 각 교실의 전원장비들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각 교실을 돌아다니면서 전원장비들의 ON/OFF를 확인한 후에 OFF시켜야하는 불편이 없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내부통신망에 접속하여 전원관리부를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도 있다.
그리고 강의실방송부를 통해 각 강의실에서 자체방송이 가능하고, 방송실의 중앙방송부뿐만 아니라 각 교육준비실의 교육준비실방송부와 각 강의실의 강의실방송부를 통해 교내의 방송을 통제가 가능하여 방송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수요자 중시의 방송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모든 교실에서 능동적인 방송이 가능하여 기존 방송 시스템의 제한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교실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장비로서 형광등은 조도가 높으면서 전력소모는 적고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형광등의 구성요소들이 간편하게 상호 조립결합되고, 설치가 용이하고,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전원관리부에는 무정전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상용전원이 차단되어도 일정시간 이상 각 강의실의 전원상태를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2는 (중앙, 교육준비실, 강의실)방송부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3은 강의실제어부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4는 전원관리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실에 설치되는 중앙방송부(100)와, 각 교육준비실(통상 교무실 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교육준비실방송부(200)와, 각 강의실(통상 각 학년의 교실 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강의실방송부(300)와, 관리실에 설치되는 전원관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은 내부통신망(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중앙방송부(100)는 교육준비실과 강의실을 제외한 곳(운동장, 복도, 강당, 음악실이나 미술실과 같은 특별실)에 설치된 스피커(20)를 직접 제어하고, 교육준비실방송부(200)와 강의실방송부(300)는 내부통신망(10)을 통해 중앙방송부(100)를 거쳐 간접적으로 이를 제어한다.
상기 중앙방송부(100), 교육준비실방송부(200), 그리고 강의실방송부(300)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송수신기(111,211,311), 방송데이터수신수단(113,213,313), 제어부(120,220,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방송부(100,200,300)의 송수신기(111,211,311), 방송데이터수신수단(113,213,313)을 구별하기 위해 제1,제2,제3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제어부(120,220,320)는 중앙, 교육준비실, 강의실이라는 수식어를 붙였으나, 이들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수식어를 생략하고 설명을 한다.
상기 송수신기(111,211,311)는 다른 방송부(100,200,300)와 방송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물론, 방송데이터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방송조건(시간, 횟수, 볼륨)등에 관한 신호도 같이 송수신되며, 신호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신호의 송수신도 수행된다.
상기 방송데이터수신수단(113,213,313)은 중앙방송부(200)를 통하지 않고 자체방송이 가능하도록 각종 방송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것이다.
즉, 방송데이터수신수단(113,213,313)은 노트북, DVD, CD, VTR 등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기기나, 위성방송이나 케이블티브이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수신하는 유/무선방송수신기나, 공지사항의 안내방송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방송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상기 방송데이터수신수단(113,213,313)은 외부기기인 여러 비디오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방송데이터를 믹싱하는 비디오믹서(142,242,342)와,
여러 오디오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믹싱하는 오디오믹서(143,243,343)와,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증폭시키는 오디오증폭부(144,244,344)와, 각 방송부 이외에 설치된 스피커(TV를 포함할 수도 있음)를 제어하는 스피커제어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믹서(143,243,343)(특히, 중앙방송부의 오디오믹서)에는 우선순위제어부(146)와 매트릭스제어부(147)가 내장된다.
상기 우선순위제어부(146)는 오디오믹서(143)에 입력되는 여러 방송데이터 중 어느 방송데이터를 출력할 것인지 선택 제어하고, 상기 매트릭스제어부(147)는 우선순위제어부(146)를 통해 선택된 방송데이터를 어느 방송부로 송출할 것인지 선택 제어한다.
오디오믹서(143)는 입력되는 여러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믹싱하고, 우선순위제어부(146)는 믹서에 입력되는 여러 음원의 방송데이터 중 어느 것을 출력시키고 어느 것을 차단할 것인지를 제어하고, 매트릭스제어부(147)는 출력이 선택된 방송 데이터를 어디로 출력시킬 것인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교육방송이 오디오믹서(143)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상 황에서 수업종료를 알리는 음원이 오디오믹서에 입력되는 경우에 우선순위제어부(146)는 교육방송을 차단하고 수업종료를 알리는 음원을 출력시킬 것인지, 아니면 교육방송을 그대로 출력시키면서 수업종료를 알리는 음원을 출력시킬 것인지를 선택하고,
일반적인 교육방송이 오디오믹서(143)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지사항을 알리는 안내방송의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에 우선순위제어부(146)는 교육방송을 차단하고 안내방송의 음원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일반적인 교육방송이나 안내방송이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을 알리는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에 우선순위제어부(146)는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차단하고, 긴급상황을 알리는 방송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매트릭스제어부(147)는 우선순위제어부(146)에 의해 선택된 방송을 어디로 출력시킬 것인지, 예를 들어 수업 시작이나 종료를 알리는 방송은 전체에, 안내방송은 관련 있는 학년이나 층에, 화재발생시에는 전체 또는 화재발생층, 그 아래층 및 그 위 2층으로 방송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중앙 또는 교육준비실 또는 강의실)제어부(120,220,320)는 해당 방송부(100,200,3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방송데이터수신수단(113,213,313)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데이터를 해당 방송부에 설치되어 있는 TV 및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거나, 다른 방송부(100,200,300)로 전송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상기 (중앙 또는 교육준비실 또는 강의실)제어부(120,220,3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도3에서 도면부호는 교육실방송부(300)를 기준으로 하였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320)는 마이컴(321), IP인터페이스부(323), 리모콘인터페이스부(325), 디스플레이부(326), USB포트(327), 키보드(328), 메모리(322), 디코더(329), 인코더(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IP인터페이스부(323)는 인터넷서버와 접속되어 인터넷통신을 위한 것이고, IP스위치허브(32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IP스위치허브(324)에는 컴퓨터, IP 전화기, IP TV 등이 연결된다. 사용자(예; 선생님)는 상기 IP인터페이스부(323)를 통해 인증을 거친 후 제어부(320)에 접속하여 자신의 집에서 원격 제어하여 별도의 영상수업을 진행하거나 메시지의 전달이 가능하다. 그리고 학생은 IP스위치허브(324)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해 인테넷통신과 메모리(22)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영상데이터를 재생시켜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인터페이스부(325)는 방송부(300)를 리모트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생님은 교실 어디서든 리모트컨트롤하여 TV(319) 및 스피커(318)를 통한 방송의 출력은 온/오프 제어하고, 영상의 페이저 넘기기 등이 가능하여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USB포트(327)는 제어부(320)의 운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방송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328)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키보드(328)를 이용하여 각종 방송조건을 마이컴(321)을 통해 메모리(322)에 저장시킴으로서 방송할 방송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예약방송이 가능하고, 방송데이터를 전송할 다른 방송부(300)(교육준비실방송부(200)을 포함할 수 있음)를 선택하여 개별 그룹별 방송이 가능하고, 방송할 방송데이터가 다수개가 겹치는 경우에 어떠한 방송을 우선하여 방송할 것인지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우선순위방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방송시간, 방송반복횟수, 볼륨 등의 설정도 함께 수행된다. 그리고 다른 방송부(100,200,300)에서 전송되어지는 방송데이터를 차단시킬 것인지 아니면 수신하여 방송할 것인지의 설정도 가능하고, TV(319)로 방송되는 영상에 문자 자막을 중첩시켜 표기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26)는 제어부(320)의 작동상태, 즉, 키보드(328)를 통한 방송조건의 설정이나 다른 방송부(100,200,300)를 통해 방송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 방송데이터수신수단(313)의 작동여부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상기 메모리(322)에는 제어부(320)의 운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각종 방송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322)에 저장되는 방송데이터는 MPEG4 파일형태로 저 장되는 것이 좋다.
상기 디코더(329)는 상기 방송데이터수신수단(313) 또는 다른 방송부(100,200,300) 또는 IP인터페이스부(323)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데이터와 메모리(322)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스피커(318) 및 TV(319)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코더(329)에는 영상을 디코딩하는 비디오디코더, 음원을 디코딩하는 오디오디코더, 메모리(322)에 저장되어 있는 수업을 알리는 벨소리나 안내방송의 음원을 디코딩하는 MP3디코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329)의 출력측에는 디코더가 출력하는 방송데이터를 스피커(318) 및 TV(319)로 전송하는 것을 차단 또는 패스시킬 것인지 통제하는 오디오/비디오 출력제어부(316)가 연결되고, 스피커(318)의 입력측에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오디오앰프(317)가 연결된다.
상기 인코더(330)는 마이컴(3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방송데이터수신수단(313)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데이터 또는 메모리(322)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송수신기(311)를 통해 다른 방송부(100,200,300)로 송출한다.
상기 마이컴(321)은 제어부(32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즉, 메모리(322)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프로그램과 키보드(328)를 통해 설정된 각종 방송조건과 송수신기(311)를 통해 입력되는 다른 방송부(100,200,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데이터를 TV(319) 및 스피커(318)를 통해 방송하고 다른 방송부(100,200,300)로 송출하고, 수신되는 방송데이터 중 필요한 것을 메모리(322)에 저장시킨다.
상기 마이컴(321)은 상기 메모리(32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상기 키보드(328)를 통해 입력되는 교사의 조작에 의해 방송데이터를 다른 방송부에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실시간 전송하거나, 스케줄링된 시간에 맞춰 예약 전송한다.
상기 전원관리부(400)는 제4송수신기(411), 표시부(413), 입력버튼(415), 전원제어부(420), 그리고 전원공급수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리자가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전원제어부(420)에 접속하여 각 교실의 전원장비들의 전원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P인터페이스부와, 리모트컨트롤을 위한 리모콘인터페이스부와, 전원제어부(420)의 운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위한 USB포트와,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가 상기 전원제어부(420)에 연결될 수 있고, 전원관리부(400)는 내부통신망을 통해 각 방송부(100,200,300)에 접속되어 이들을 컨트롤할 수도 있다.
상기 제4송수신기(411)는 내부통신망(10)을 통해 각 교실(예; 방송실, 교육 준비실, 강의실, 음악실, 미술실,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원장비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상태감지기와 ON/OFF구동부에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제4송수신기(411)는 전원장비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상태감지기로부터 외부 입력전원이 전원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와, 전원장비가 현태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에 대한 신호를 수신 받고, 전원제어부(420)가 발하는 전원장비의 ON 또는 OFF 신호를 ON/OFF구동부에 송신하여 전원장비를 ON 또는 OFF 시킨다.
상기 표시부(413)는 교내 각 교실 전원장비의 전원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커튼(415)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전원제어부(420)는 상기 제4송수신기(411), 표시부(413) 그리고 입력버튼(415)과 연결되어 전원관리부(4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입력버튼(415)을 통해 각 교실의 전원장비들이 개별, 또는 그룹별, 또는 전체로 지정되고, 지정된 전원장비들이 자동으로 ON 또는 OFF 되는 시간이 설정되는 설정부(421)와,
상기 설정부(421)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해당 전원장비들에 설치된 ON/OFF구동부에 ON 또는 OFF신호를 상기 제4송수신기(411)를 통해 전송하는 신호발생부(4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설정부(421)와 신호발생부(423)를 통해 음악실이나 실험실과 같이 특정 시간대에만 사용되는 교실의 전원장비들은 사용시간 외에는 자동으로 전원장비가 OFF 되도록 하고, 학생들이 모두 하교하고 선생님들이 되근한 시간대에는 당직실이나 관리실과 같이 특정 교실을 제외한 모든 교실의 전원장비들이 OFF되도록 하고, 학생들이 등교하는 시간이 되면 미리 에어컨이나 히터를 ON시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예방하고, 최적의 수업환경이 조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430)을 상용전원과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원제어부(420)에 공급하여 정전 등으로 전원관리부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한다.
도4에는 전원공급수단(430)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6a,b에는 구체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무정전 전원공급수단(430)은 배터리(BAT), 컨버터부(4400), 충전부(450), 전원선택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는 전원제어부(420)에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평상시(무정전시)에는 상기 충전부(450)를 통해 충전되어 만충상태를 유지하다가 정전이 발생되면 상기 전원선택부(460)에 의해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전원제어부(420)에 공급한다.
상기 컨버터부(440)는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충 전부(450)와 전원선택부(460)에 공급한다.
상기 컨버터부(440)는 필터부(441), 평활부(442), 제1변압기, 직류부(444), 제2트랜지스터, 퓨즈, 제2제어부, 제2변압기, 제1구동전원공급부(44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입력단에는 퓨즈(F1)가 연결되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과전류를 차단하여 그 이하의 회로를 보호한다.
상기 필터부(441)는 상호 병렬연결된 커패시터(C1,C2)와 인턱터(L2)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평활부(442)는 상호 병열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D2,D3,D4,D5)와 커패시터(C3,C4)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부(441)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평활부(442)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2,R4)는 상기 제2제어부(U1)의 초기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평활부(442)의 출력전원은 제1변압기(T1)에 공급되되, 제2트랜지스터(Q1)가 제1변압기에 공급되는 평활부(442)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그 펄스폭을 제어한다.
상기 제2변압기(T2)는 상기 제1변압기(T1)에 자속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전원공급부(443)는 상기 제2변압기에 유기되는 전압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제어부(U1)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구동전원공급부(443)는 다이오드(D8), 저항(R8), 커패시터(C11,C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변압기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10)은 제2변압기에 유기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제2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저항(R10)이 감지하는 제2변압기의 유기전압의 크기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U1)는 제1변압기의 출력전원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2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1) 소스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9,R11)과 커패시터(C7)는 제2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변압기(T1)에 병렬연결되어 있는 저항(R3,R5), 커패시터(C14), 다이오드(D7)는 필터부나 평화부로 역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 전압을 필터링(피크치 억제) 한다.
상기 제2제어부(U1)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12), 써머스터(NTC), 커패시터(C8)는 상기 제2제어부가 안정적인 동작(주로 스위칭제어를 위한 발진)을 하도록 한다.
상기 제1변압기(T1)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직류부(444)는 제1변압기 2차권선에 유기되는 전원을 정류,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충전부(450)와 전원선택부(460)에 공급한다. 상기 직류부(444)는 다이오드(D6,D7), 인덕터(L1), 커패시터(C5,C6), 저항(R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부(450)는 제2구동전원공급부(451), 제1제어부, 충전전류인가부(452), LED(LD1), 제3트랜지스터, 제5트랜지스터(Q2), 감지부(45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구동전원공급부(451)는 제4트랜지스터(Q4), 레귤레이터(U2), 저항(R19,R20,R21,R26), 커패시터(C16)로 구성되어 상기 컨버터부(440)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강압시켜 상기 제1제어부(U3)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U3)는 다시 이를 제3제어부(U4)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전류인가부(452)는 저항(R14,R15,R23,R24)과, 상기 저항(R14,R15,R23,R24)의 출력 충전전류가 일정하게 유지(즉, 정전류)되도록 하는 제3제어부(U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배터리에 정전류의 충전전류를 인가한다.
상기 제3제어부(U4)는 제1제어부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또한 제1제어부로부터 배터리에 인가되는 충전전류의 크기를 전송받아 상기 저 항(R14,R15,R23,R24)에 일정크기의 전류, 즉 정전류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3제어부(U4)에 연결되어 있는 제5트랜지스터(Q2)는 제3제어부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어 제2구동전원공급부(451)나 컨버터부(440)로 역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저항(R14,R15,R23,R2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16,R25)과 커패시터(C14)는 배터리에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다시 한 번 정류하고, 또한 상기 저항(R16,R25)은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1제어부(Q1)에 전송한다.
상기 제3트랜지스터(Q3)는 상기 충전전류인가부(452)와 배터리(BAT)를 연결하고 상기 제1제어부(U3)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어 충전전류를 배터리에 공급 또는 차단한다.
그리고 배터리(BAT)에 직렬연결되어 있는 두 저항(R37,R40)으로 구성되는 감지부(453)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즉, 만충상태인지, 방전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1제어부(U3)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제1제어부는 상기 제3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부(U3)에 연결되어 있는 LED(LD1)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시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컬로러 발광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적색으로 발광되는 때에는 방전상태로 충전이 행해지고 있고, 청색으로 발광되는 때에는 만충상태로 충전이 없는 상태이고, 점등자체가 안되는 때에는 정전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선택부(460)는 제1트랜지스터(Q6)와 레귤레이터부(4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무정전시에는 컨버터부(440)의 출력전원을 전원제어부(420)로 공급하고, 컨버터부(440)로부터 전원공급이 없는 정전시에는 배터리(BAT)의 전원을 전원제어부(420)로 공급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6)는 컨버터부(4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저항(R17)이 베이스단자에 연결되어 온/오프되어, 컨버터부(440) 또는 배터리의 전원이 전원제어부(420)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트랜지스터(Q6)가 오프되는 경우에 컨버터부(440)의 전원이 전원제어부(420)로 공급되도록 하였으나, 그 반대(제1트랜지스터(Q6)가 온되는 경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부(461)는 제4제어부(U4)와 정류부(462), 그리고 인덕터(L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덕터(L3)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승압시키고, 상기 정류부(462)는 승압된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측(즉, 전원제어부(420)로)으로 공급한다. 상기 정류부(462)는 다이오드(D10), 저항(R22,R28), 커패시터(C15,C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제어부(U4)는 상기 인덕터(L3)에의 전류 인가와 그 크기를 제어하여 승압되어 정류부(462)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4제어부(U4) 전단에 구비된 커패시터(C17)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을 상기 인덕터(L3)로 방전하여 승압에 이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선택부(46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디오 믹서 외에 구동전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장치 또는 오디오 믹서에 다른 크기의 구동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들이 있는 경우에 이들에게 각각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여러 개(460a, 460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교실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장비 중 형광등은 교육환경의 질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발명은 조도가 높고, 조사 방향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LED 형광등을 사용한다.
도5a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 형광등의 사시도이고, 도5b는 분해 사시도로 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등은 LED(10), PCB(20), 방열프레임(30), 사이드커버(40), 브라켓(50), 렌즈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LED(10)는 조도 및 휘도가 높은 칩 LED를 사용하였고, 화이트, 그린, 블루, 옐로우 등의 색상의 빛을 발하는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LED(10)는 PCB(20) 일면에 매립형태로 돌출되지 않도록 실장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표면에는 빛을 확산시키거나 집광시키는 확산렌즈로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LED(10)는 형광등이나 전구램프에 비해 열선이나 자외선을 거의 포함하지 않고, 전기요금이 70%이상 절감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PCB(20)의 일면에는 상기 LED(10)와 LED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 등의 전자소자가 일정간격으로 실장되어 있고, PCB(20)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메탈 PCB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B(20)는 방열프레임(30)의 안착홈(31)에 안착되고, 양면테이프를 통해 안착홈의 바닥면에 접착될 수 있고, 도면과 같이 안착홈(31)에 형성되어 있는 PCB홀(32)에 측면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프레임(30)은 열전달이 우수한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PCB(20)가 안치되어 결합되는 안착 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PCB(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PCB홀(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의 가장자리에는 렌즈부재(6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렌즈홀(3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마그넷(7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37)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볼트(B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볼트홀(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사이드커버(40) 및 브라켓(50)을 볼팅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홀(35)과, PCB(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되는 수용홈(38)과, 사이드커버(40)의 결합돌기(41)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홀(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방열면적을 늘려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날개부를 방열프레임의 외면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방열프레임(3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마그넷(70)은 본 조명장치를 자성을 갖는 벽체(금속 벽체)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부면 볼트홀(33)에 삽입되는 볼트(B2)는 브라켓(50)과는 별도로 방열프레임(30)을 벽체 등에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사이드커버(40)는 상기 방열프레임(30)의 양단에 결합되고, 방열프레임의 양단을 막아 방열프레임(30)에 삽입결합된 PCB(20), 렌즈부재(60), 브라켓(50), 볼트(B2) 등이 방열프레임(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커버(40)의 내면에는 방열프레임(30)의 돌기홀(마그넷홀과 안착홈이 대용될수 있음)(34)에 삽입결합되는 돌기(4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브라켓과(50) 함께 방열프레임(30)에 볼트(B1)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공(4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렌즈부재(60)의 양측면에는 방열프레임(30)의 렌즈홀(36)에 삽입되는 절곡부(61)가 형성되어 있고, 방열프레임의 상부 렌즈홀(36)에 결합되어 안착홈(31)을 덮음으로써 PCB(20)에 실장되어 있는 칩 LED(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LED를 보호하고,
조명 목적에 따라 LED(10)가 발하는 빛을 확산시키거나 집광시켜 방출하고, 그 내면에는 입사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키기 위한 요철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요철패턴에 의해 LED가 발하는 빛은 약 30도에서 120도의 어느 한 각도로 집광 또는 확산되어 조명한다.
상기 브라켓(50)은 상기 방열프레임(30)을 벽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방열프레임의 브라켓홀(35)에 결합되는 볼트(B1)가 삽입되는 볼트공(54)을 갖는 수직부(53)와, 상기 수직부(53)와 일체를 이루며 절곡되어 있고 벽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52)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볼트(B1)로 방열프레임(30)이 회전가능하게 브라켓(50)에 결합시킨 후에 방 열프레임을 회전시켜 조명 방향에 맞게 방열프레임(30)의 각도를 조절한 후에 볼트(B1)를 꽉 조여 방열프레임(30)을 브라켓(50)에 고정시킴으로서 방열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간단하게 행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성요소를 갖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도1을 보다 구체화한 구성도.
도 3 은 강의실제어부를 보다 구체화한 구성도.
도 4 는 전원관리부의 블록 구성도.
도 5a,5b 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 형광등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6a,6b 는 전원관리부 전원공급수단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LED 20 : PCB
30 : 방열프레임 40 : 사이드커버
50 : 브라켓 60 : 렌즈부재
100 : 중앙방송부 200 : 교육준비실방송부
300 : 강의실방송부
111,211,311,411 : 송수신기 113,213,313 : 방송데이터수신수단
120,220,320 : 제어부
400 : 전원관리부 420 : 전원제어부
430 : 전원공급수단 440 : 컨버터부
450 : 충전부 460 : 전원선택부

Claims (2)

  1. 방송실에 설치되고, 영상 및 음원의 방송데이터를 내부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중앙방송부;
    강의실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방송부에서 송출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데이터를 TV 및 스피커를 통해 방송하는 다수의 강의실방송부;
    관리실에 설치되고, 상기 방송실과 강의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장비들(예; 형광등, TV, 선풍기)의 전원상태(입력전원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전원이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 여부)를 감시하고, 상기 전원장비들의 전원 ON/OFF를 원격 제어하는 전원관리부;를 포함하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관리부는
    상기 내부통신망에 연결된 제4송수신기와,
    상기 제4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원장비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상태감지기로부터 전원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관리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버튼과,
    상기 제4송수신기, 표시부 및 입력버튼이 연결되고, 상기 제4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전원장비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ON/OFF구동부에 ON/OFF신호를 전송하여 전원장비들의 전원 ON/OFF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관리부가 제어, 관리하는 상기 전원장비로서 형광등은
    다수의 칩 엘이디(LED)가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열프레임;
    상기 방열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커버;
    상기 사이드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방열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
    상기 방열프레임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칩 엘이디가 발산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시키는 렌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열프레임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에는 마그넷(Magnet)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하부에는 볼트의 헤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볼트홀과, 상기 칩 엘이디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안착홈에는 상기 PCB가 삽입되는 PCB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재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부재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렌즈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일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는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프레임의 양단에는 나사를 통해 상기 브라켓의 수직부가 결합되는 브라켓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커버 내면에는 방열프레임의 돌기홀에 삽입결합되는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과 함께 방열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되는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원관리부는
    배터리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평상시에는 상기 컨버터부의 출력전원을 공급하고, 정전시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전원제어부에 무정전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충전부는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가공처리하여 충전전류를 상기 배터리에 인가하고, 충전전류가 일정하게 유지(즉, 정전류)되도록 하는 제3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전류인가부와,
    상기 충전전류인가부의 충전전류를 배터리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 저항(R37,R40)을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U3)와,
    상기 컨버터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제1제어부(U3)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구동전원공급부와,
    상기 충전전류인가부의 출력 충전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1제어부(U3)에 전송하는 저항(R16,R25)과,
    상기 제3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컨버터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BAT)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제5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1제어부(U3)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LD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택부는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전원의 입력 유무에 따라 온/오프 되고, 온/오프 상태에 따라 컨버터부 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1트랜지스터(Q6)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부하측에 필요한 크기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레귤레이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컨버터부는
    입력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출력전원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의 출력전원을 변압하는 제1변압기(T1)와,
    상기 제1변압기(T1)의 출력전원을 평활하여 직류화하는 직류부와,
    상기 제1변압기(T1) 1차측에 입력되는 전원을 스위칭하여 2차측 출력전원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2트랜지스터(Q1)와,
    입력 상용 교류전원의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F1)와,
    상호 병렬연결된 커패시터(C1,C2)와 인턱터(L2)로 구성되는 상기 필터부와,
    상호 병열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D2,D3,D4,D5)와 커패시터(C3,C4)로 구성되는 상기 평활부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U1)와,
    상기 제2제어부에 초기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전원공급 저항(R2,R4)와,
    상기 제1변압기(T1)에 자속결합되어 있는 제2변압기(T2)와,
    다이오드(D8), 저항(R8), 커패시터(C11,C12)로 구성되고, 상기 제2변압기의 유기되는 전원을 평활하여 상기 제2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구동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변압기에 유기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1변압기의 출력전원의 크기를 상기 제2제어부로 전송하는 저항(R10)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R9,R11) 및 커패시터(C7)와,
    상기 제1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6,D7), 인덕터(L1), 커패시터(C5,C6), 저항(R6)으로 구성되는 상기 직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선택부는
    상기 컨버터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상기 제1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단자에 공급하여 제1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는 저항(R17)과,
    상기 배터리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승압시키는 인덕터(L3)와, 다이오드(D10), 저항(R22,R28), 커패시터(C15,C18)로 구성되어 상기 인덕터(L3)의 출력전원을 정류하여 부하측으로 공급하는 정류부와, 상기 인덕터(L3)의 승압 크기를 제어하는 제4제어부(U4)를 포함하는 상기 레귤레이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20090100604A 2009-05-19 2009-10-22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0951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431 2009-05-19
KR20090043431 2009-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087B1 true KR100951087B1 (ko) 2010-04-05

Family

ID=4221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604A KR100951087B1 (ko) 2009-05-19 2009-10-22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63B1 (ko) * 2011-03-11 2011-06-01 김민주 옥외용 방송장치
CN104808523A (zh) * 2015-04-01 2015-07-29 东莞市一琉实业有限公司 一种礼佛环境智能控制装置
KR20150139252A (ko) * 2014-06-03 2015-12-11 위월드 주식회사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2096438B1 (ko) * 2020-01-22 2020-05-27 (주)인우이엔씨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20210135825A (ko) 2020-05-06 2021-11-16 비앤에스 주식회사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489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국제이엔씨 학교관리시스템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0792763B1 (ko) * 2007-09-19 2008-04-03 주식회사 로보티어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489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국제이엔씨 학교관리시스템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0792763B1 (ko) * 2007-09-19 2008-04-03 주식회사 로보티어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63B1 (ko) * 2011-03-11 2011-06-01 김민주 옥외용 방송장치
KR20150139252A (ko) * 2014-06-03 2015-12-11 위월드 주식회사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KR101707224B1 (ko) * 2014-06-03 2017-02-27 위월드 주식회사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CN104808523A (zh) * 2015-04-01 2015-07-29 东莞市一琉实业有限公司 一种礼佛环境智能控制装置
KR102096438B1 (ko) * 2020-01-22 2020-05-27 (주)인우이엔씨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20210135825A (ko) 2020-05-06 2021-11-16 비앤에스 주식회사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87B1 (ko)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US11101686B1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with remote lighting
US10912178B1 (en) System for providing video on demand
US20160100086A1 (en) Light Device has Built-in Camera and Related Digital Data Device&#39;s Functions
US89075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US8829799B2 (en) Autonomous grid shifting lighting device
US9668053B1 (en) Bluetooth landscape/pathway lights
US20120074843A1 (en) Lighting Wall Switch with Power Failure Capability
JP2009157651A (ja) 配線器具
KR100918635B1 (ko) 전원관리부를 구비한 교내 방송 시스템
CN203588424U (zh) 语音播报器及语音播报系统
US20070146477A1 (en) Cctv camera system and wireless non-video/video door phone systems all having ac/dc self-sustained power supply apparatus
WO2010080565A1 (en) Led light bulb
KR100912891B1 (ko) 터치스위치로 구성된 입력부를 갖는 교내 방송 시스템
US11262038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emergency light module and interface
TW201441987A (zh) 智慧型消防方向指引裝置
JP2009165250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JP4966180B2 (ja) 配電システム
US20200221549A1 (en) Status lights
JP2020024891A (ja) 照明スイッチ回路、照明スイッチ及び照明スイッチシステム
CN106923510A (zh) 一种智能教学课桌
KR101144972B1 (ko) 비상 유도방송 장치
KR20020024111A (ko) 음향출력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기용 어댑터장치
KR101131301B1 (ko) 송신/수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송수신방법
WO2021002606A1 (ko) Tv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동작하는 조명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