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438B1 -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 Google Patents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438B1
KR102096438B1 KR1020200008320A KR20200008320A KR102096438B1 KR 102096438 B1 KR102096438 B1 KR 102096438B1 KR 1020200008320 A KR1020200008320 A KR 1020200008320A KR 20200008320 A KR20200008320 A KR 20200008320A KR 102096438 B1 KR102096438 B1 KR 10209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unit
power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주)인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인우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0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광원으로 친환경, 저전력, 고휘도, 반영구적 수명 등의 장점을 갖는 LED를 사용한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갑작스런 정전시에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이 유지될 수 있는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편과 끼움홈(13)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본체의 결합편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끼움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전면에 장차되는 LED모듈; 상기 본체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가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LED모듈을 덮는 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고, 상용전원을 점등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모듈에 공급하는 드라이버회로와, 상용전원의 차단시 상기 LED모듈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UPS회로를 포함하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LED lamp equipped with UPS circui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광원으로 친환경, 저전력, 고휘도, 반영구적 수명 등의 장점을 갖는 LED를 사용한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갑작스런 정전시에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이 유지될 수 있는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조명등은 주변을 밝혀 길을 안내하거나 각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주차장이나 골목길 등처럼 우범지역의 조명등은 방범 기능도 한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상용전원을 이용해 점등이 되는 관계로, 정전으로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소등된다.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정전으로 조명등이 소등되면 비상대피로를 찾지 못하여 사고를 확대시키거나 생명을 잃게 되고, 우범지역에서는 범죄가 발생할 소지가 커진다.
그래서 정전으로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이 지속될 수 있는 수단이 조명등에 필요하다.
조명등의 광원으로 LED는 전력소비가 적고,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고, 밝은 빛으로(고휘도)로 조명하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져서, 근래에 엘이디 조명등의 널리 사용된다.
참고로,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10-2012-0033387 "엘이디조명등", 등록특허 10-1479544 "엘이디조명장치"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조명등에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시킬 수 있는 UPS회로를 갖는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여 갑자기 정전이 되더라도 조명등이 충분한 시간 동안 점등되어 정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주변상황을 파악하면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우범지역에서는 범죄르 예방할 수 있는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편과 끼움홈(13)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본체의 결합편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끼움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전면에 장차되는 LED모듈;
상기 본체의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가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LED모듈을 덮는 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고, 상용전원을 점등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모듈에 공급하는 드라이버회로와, 상용전원의 차단시 상기 LED모듈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UPS회로를 포함하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회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출력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변압기에 공급하는 PWM부와,
상기 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하여 상기 엘이디모듈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평활부와,
상기 PWM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UPS회로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정전압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만충감지부와,
상용전원의 차단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감지부와,
상기 정전감지부가 상용전원의 차단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방전스위치와,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점등되어 정전 사실을 표시하는 정전알림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기준 최저전압 이하로 방전된 경우, 방전을 차단하여 보호하는 과방전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를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고, 결합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면을 가압하는 헤드부로 구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홈과, 상기 중홈 하부에서 양측으로 형성된 인출공을 포함하는 체결핀과,
주차장의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체결핀의 몸통부가 인입되는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의 내부 양측면에 상기 인출공에 대응되도록 안착홈과 고정홈이 형성된 체결블럭과,
상기 체결핀의 중홈에 내삽되고,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 자석이 형성된 체결몸통과, 상기 체결몸통에 구비되며 상기 중홈을 통해 상기 체결핀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바를 포함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안착홈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성 승하강블록 및 상기 승하강블록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입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핀을 중홈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재를 전진 시키면, 상기 체결몸통이 상기 인출공을 통해 나와 상기 고정홈에 인입되어 체결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몸통이 고정홈에 인입되면, 상기 체결몸통의 자석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부재가 상기 체결핀으로 인입되고, 상기 승하강블록이 지지블록으로부터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중홈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후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은 정전이 되어도 일정시간은 점등이 지속되어 갑작스런 정전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고, 긴급상황으로 정전이 발생한 때에도 주변을 조명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여 사고의 확대를 예방하고, 인명 피해를 줄 일수 있고, 고휘도, 저전력 소비의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므로, 주변을 보다 밝게 그리고 보다 오랜시간 조명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체결유닛을 통해 주차장의 구조물에 간편신속하게 체결되어서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2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유닛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의 파워서플라이(60)의 블럭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파워서플라이(60)는 드라이버회로(110~190) UPS회로(200)로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버회로(110~190)는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의 방전전원을 점등전원으로 변환하여 LED모듈(30)에 공급함으로써, LED(33)를 점등시킨다.
상기 드라이버회로(110~190)은 필터부(110), 정류부(120), PFC부(130), PWM부(140), 평활부(150), 컨트롤러(160), 피드백부(170), 정전압부(180), 과전압차단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110)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에 순간적인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포함된 경우에 이를 차단하여 파워서플라이(60)를 보호하고, 입력되는 상용전원에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정류부(120)는 상기 필터부(110)를 통과한 상용전원을 정류한다.
상기 PFC부(130)는 상기 정류부(120)를 통해 정류된 상용전원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을 맞춰 역률을 보상하여, 전력효율을 높인다.
상기 PWM부(140)는 상기 PFC부(130)의 출력전원을 PWM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변압기(T1) 1차권선에 스위칭된 펄스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변압기(T1)는 권선비에 따라 1차권선으로 입력되는 펄스전원을 강압(또는 승압)하여 2차권선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평활부(150)는 상기 변압기(T1)에서 출력되는 펄스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시켜 LED모듈(30)에 공급한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파워서플라이(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정전압부(180)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상기 피드백부(170)로부터 상기 평활부(150)의 출력전원 전류(또는 전압) 크기를 전송받아 상기 PWM부(14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LED모듈(30)에 정전류(또는 정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UPS회로(200)의 만충감지부(230)으로부터 배터리(210)의 충전전압 크기를 전송받아 충전부(220)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만충되도록 하며, 또한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배터리의 종류에 적합한 파형의 충전전원이 배터리(220)에 공급되도록 충전부(22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상기 피드백부(170)는 상기 평활부(150)의 출력전류(또는 출력전압)와, 상기 PWM부(140)가 변압기(T1)로 입력하는 출력전류(또는 출력전압) 크기를 상기 컨트롤러(160)로 피드백시켜 전송함으로써, 상기 LED모듈(30)로 정전류(또는 정전압)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부(180)는 PFC부(130)의 출력전원(정전시에는 배터리의 방전전원)을 정전압화여 상기 컨트롤러(16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부(220)에 충전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과전압차단부(120)는 상기 정류부(1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결과 과전압으로 판단되면 차단스위치(SW1)를 오프시켜 과전압이 PFC부(13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UPS회로(200), 즉, 무정전전원공급회로는 정전 등이 원인이 되어 상용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배터리(210)의 충전전원을 방전하여 LED모듈(30)의 LED(33)가 일정 시간 이상 점등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배터리(210), 충전부(220), 만충감지부(230), 정전감지부(240), 방전스위치(250), 정전알림부(260), 과방전방지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210)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축전지를 사용하고, 긴급상황 발생시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소 1시간 이상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엘이디모듈을 점등시킬 수 있는 충전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220)는 상기 정전압부(18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210)를 충전시키고,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하여 배터리(210)의 종류에 적합한 파형의 충전전원을 생성한다.
상기 만충감지부(230)은 상기 배터리(210)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기준 만충전압 이하인 때에 상기 컨트롤러(160)로 신호를 전송하여 충전이 행해지도록 한다. 참고로, 충전이 행해지는 기준 만충전압은 배터리가 실제 만충된 상태의 만충전압 보다는 약간 작다.
상기 정전감지부(240)는 상기 과전압보호회로(100)의 차단스위치(120)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단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어 정전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정전감지부(240)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것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컨트롤러(160)로 전송한다.
상기 방전스위치(250)는 상기 배터리(210)의 출력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감지부(240)로부터 정전 사실을 전송받은 상기 컨트롤러(16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온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방전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알림부(260)는 상기 방전스위치(250)가 온되어 배터리(210)가 방전된 경우에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정전 사실을 알린다.
상기 과방전방지부(270)은 지속적인 방전으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기준 최저전압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배터리(210)의 방전을 중단시켜,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엘이디 조명등(1)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등(1)은 본체(10), 덮개(20), LED모듈(30), 장착판(40), 커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하에서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또한, 조명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파워서플라이(60), 커넥터 등이 장착된다.
상기 본체(10)의 양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편(11)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끼움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LED모듈(30)을 PCB(31)와, 상기 PCB(31)에 실장되는 복수의 LED(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판(40)은 전면에 상기 LED모듈(30)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장착판(40)의 후면에는 길이방향 양측으로 끼움편(4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끼움편(41)은 상기 본체(10)의 결합편(11)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되는 두 결합편(1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장착판(40)의 양측에 형성되는 두 끼움편(41)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짧아서 상기 두 끼움편(41)은 상기 두 결합편(11) 사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우발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장착판(40)이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끼움편(41)의 단부에는 원형모양의 걸림부(42)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걸림부(42)가 상기 결합편(11)의 하부면에 살짝 걸치는 걸림결합된다.
상기 장착판(40)에는 분해도구가 투입되는 투입홀(45)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투입홀(45)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잡아당겨 장착판(40)을 본체(10)에서 분리시킬 수 있고, 드라이버, 볼펜, 젓가락 등의 막대기를 투입홀(45)로 사선방향으로 집어넣어 막대기의 하단이 본체(10) 바닥에 접촉되도록 한 후에 막대기의 상단을 들어올려 지렛대 방식으로 장착판(40)을 본체(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어 LED모듈(30)을 덮는다. 상기 커버(50)는 LED모듈(30)을 덮어 보호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하여 LED모듈(30)에서 발산되는 빛을 주변으로 확산시키고, 눈부심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50)의 양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돌기(5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53)는 상기 본체(10)의 상단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3)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커버(50)는 탄성을 가져서 폭 조절이 가능한다. 작업자는 커버(50)를 잡고 눌러 폭을 줄인 상태로 커버(50)를 본체(10)의 전방 개구부로 집어넣고, 커버(50)의 끼움돌기(53)가 본체(10)의 끼움홈(13)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50)를 본체(10)에 결합시킨다. 커버(50)를 본체(10)에서 분리시킬 때에도 커버(50)를 잡고 눌러 폭을 줄여서 끼움돌기(53)가 끼움홈(13)에서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50)를 본체(10)의 개구부에서 이탈시키면 된다.
상기 엘이디 조명등의 본체(10)는 체결유닛(P)을 통해 주차장의 구조물, 가로등의 구조물 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체결유닛(P)은 간편신속하게 탈착되도록 하여 엘이디 조명등의 설치작업과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용이하도록 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유닛(P)은 크게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브라켓(P1)과, 주차장이나 가로등 등에 구비되는 구조물에 장착되는 체결블럭(P3)과, 상기 브라켓(P1)을 체결블럭(P3)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핀(P10)으로 구성된다.
도5에는 상기 체결유닛(P)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 매커니즘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유닛(P)에 대해 구체적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5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핀(P10)이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체결블럭(P3)에 체결되는 것으로 방향을 정한다.
상기 체결핀(P10)은 헤드부(P11)와 몸통부(P13)로 구성되고, 내부에 중홈(P15)이 형성되고, 상기 중홈(P15)에 하부에는 양측으로 인출공(P1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블럭(P3)에는 상기 몸통부(P13)가 인입되는 핀홈(P20)이 형성되고, 핀홈(P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인출공(P17)에 대응되도록 안착홈(P23)과 고정홈(P21)이 형성다.
상기 체결핀(P10)의 중홈(P15)에는 체결부재(P30)가 내삽된다. 상기 체결부재(P30)는 상기 인출공(P17)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 자석(P311)이 형성된 체결몸통(P31)과, 상기 체결몸통(P31)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기 중홈(P15)을 통해 상기 체결핀(P10)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바(P3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블럭(P3)의 안착홈(P23)에는 인입방지부재(P40)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방지부재(P40)는 지지블록(P41)과 상기 지지블록(P41)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성 승하강블록(P43) 및 상기 승하강블록(P4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상승유도스프링(P4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체결유닛(P)은 상기 체결핀(P10)을 중홈(P15)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재(P30)를 전진(도5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체결몸통(P31)이 상기 인출공(P17)을 통해 나와 상기 고정홈(P21)에 인입되어 체결핀(P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몸통(P31)이 고정홈(P21)에 인입되면, 상기 체결몸통(P31)의 자석(P311)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부재(P40)가 상기 체결핀(P10)으로 인입되고,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지지블록(P41)으로부터 상승유도스프링(P45)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중홈(P15)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P30)의 후퇴(도5에서 좌측으로 이동)를 제한하여서, 체결핀(P10)이 체결블럭(P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브라켓(P3)이 체결블럭(P3)에 체결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핀(P10)은 헤드부(P11)와, 몸통부(P13)로 이루어지는 핀 형상으로, 원통형의 핀이 아닌 사각형의 핀으로 이루어져 방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핀홈(P20) 또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홈(P15) 또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향성 특정을 위해 체결핀(P10)에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핀(P10)에는 중홈(P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홈(P15)은 상기 체결핀(P10)의 중앙에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중홈(P15) 저면의 양측에는 각각 인출공(P17)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몸통(P31)의 인출 및 인입방지부재(P40)의 인입을 허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핀(P10)의 중홈(P15)에는 체결몸통(P31)과 손잡이바(P33)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P30)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몸통(P31)은 상기 중홈(P15)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출공(P17)을 통하여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재이고, 상기 손잡이바(P33)는 상기 체결몸통(P3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중홈(P15) 상부로 돌출(노출)되는 직선형의 바 형상의 부재를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바(P33)를 잡고 움직이면, 상기 체결몸통(P31)의 일단이 상기 인출공(P17)을 통하여 상기 체결핀(P10)의 몸통부(P13) 일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몸통(P31)의 타측에는 자석(P3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 인입방지부재(P40)를 끌어당기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핀홈(P20)은 상기 체결핀(P10)의 몸통부(P13)가 인입되는 곳으로, 상기 인출공(P17)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고정홈(P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안착홈(P23)이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안착홈(P23)에 인입방지부재(P40)가 수용되어 있다.
개략적인 작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브라켓(P1)과 체결블럭(P3)을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핀(P10)을 브라켓(P1)에 형성되는 결합공(H)을 관통시켜 상기 헤드부(P11)가 브라켓(P1)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핀홈(P20)에 끼운 후, 사용자가 상기 체결핀(P10) 상부에 노출된 손잡이바(P33)를 조작하여 체결몸통(P31)의 일단을 상기 고정홈(P21)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체결핀(P10)이 핀홈(P20)에 고정되게 되고, 이 때 상기 체결몸통(P31)의 타단에 구비된 자석(P311)이 상기 안착홈(P23)에 수용된 인입방지부재(P40)를 끌어당기면, 상기 인입방지부재(P40)의 승하강블록(P43)이 상기 중홈(P15) 내부에서 상승하여 상기 몸통부(P13)의 내측면, 즉 상기 중홈(P15)의 벽면을 지지하여 상기 체결몸통(P31)의 후퇴를 제한하여 임의로 체결부재(P30)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하강블록(P43)은 자석(P311)에 의해 끌어 당겨 질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인입방지부재(P40)는 상기 안착홈(P23)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지지블록(P41)과, 상기 지지블록(P41)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블록(P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블록(P43)과 지지블록(P41) 사이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상승유도스프링(P45)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상승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상승유도스프링(P45)은 양 단부가 상기 지지블록(P41) 및 승하강블록(P43)에 결합되는 일반형 스프링,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승하강블록(P43)과 지지블록(P41)이 만나는 면에 각각 서로 연통되는 홈부(P46)가 형성되고, 이 홈부(P46)에 상승유도스프링(P45)이 구비되어 승하강블록(P43)이 상승할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인입방지부재(P40)가 안착홈(P23)에 수용될 때에는 상기 안착홈(P23)의 상부면에 의해 승하강블록(P43)의 상승을 불허하지만, 상기 인입방지부재(P40)가 인출공(P17)을 통해 체결핀(P10)에 인입되고,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중홈(P15) 내에 위치하면, 승하강블록(P43)의 상면을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블록(P43)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체결핀(P10)을 핀홈(P20)으로부터 해정하는 동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상승된 승하강블록(P43)을 강제로 하강시키기 위한 부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핀(P1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중홈(P15)에는 푸쉬부재(P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푸쉬부재(P50)는 도면을 기준으로 중홈(P15)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저면은 상기 체결몸통(P3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부재이다.
즉, 도5의 [C]와 같이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중홈(P15)내에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푸쉬부재(P50)를 밀어 푸쉬부재(P50)의 상단부가 중홈(P15) 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이 노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하강하여 해정동작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푸쉬부재(P50)가 중홈(P15)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P111)이 상기 헤드부(P11)에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부재(P50)에는 상기 이탈방지턱(P111)에 걸리는 걸림단턱(P51)이 더 구비되고,
상기 푸쉬부재(P50)가 중홈(P15)내에서 좌우방향(도5를 기준으로 한다.)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홈(P15) 벽면에는 상기 푸쉬부재(P50)를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P15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푸쉬부재(P50)는 상하 방향으로 제한적인 움직임만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보다 손쉬운 해정과, 체결핀(P10) 보관 시에 임의로 체결몸통(P31)이 인출공(P17)을 통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스프링(P35)이 더 구비되게 되는데,
이 탄성스프링(P35)의 양단은 상기 푸쉬부재(P50)와 손잡이바(P33)에 밀착되며 상기 손잡이바(P33)를 좌측방향, 즉 푸쉬부재(P50)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5의 [A]와 같이 체결부재(P30)는 중홈(P15)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체결부재(P30)를 움직여 체결몸통(P31)을 고정홈(P21)에 인입시키면 도5의 [C]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P35)이 인장되게 되며, 이 때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상승함에 따라 탄성력이 있다 하더라도 원위치되지 못하며,
해정 시 사용자가 푸쉬부재(P50)를 눌러 승하강블록(P43)을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P35)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부재(P30)는 후퇴하여 체결몸통(P31)의 일단이 고정홈(P21)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이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인입방지블록을 안착홈(P23)으로 밀어 넣어 원위치 시킨 후 체결핀(P10)을 핀홈(P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안착홈(P23)에 수용된 인입방지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핑부재(P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토핑부재(P60)는 상기 핀홈(P20)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스토퍼(P61)와, 상기 스토퍼(P6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토핑스프링(P6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토퍼(P61)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핀홈(P20)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홈과 돌기, 또는 도브테일 형상으로 핀홈(P20) 벽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도5의 [A]와 같이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스토퍼(P61)의 일부가 상기 안착홈(P23)의 입구 아래를 일부 가림으로서 상기 인입방지부재(P40)의 인출을 불허하게 되고, 상기 체결핀(P10)이 끼워지면 상기 스토퍼(P61)가 눌려 상기 안착홈(P23)의 입구를 개방하여 인입방지블록의 인출을 허용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핀(P10)의 몸통부(P13)에는 상기 스토핑부재(P60)가 위치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P131)가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P131)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P61)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턱(P13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체결하고자 하는 브라켓(P1)의 두께에 대응하고, 외력 등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헤드부(P11) 저면에 가압스프링(P73)과 가압판(P71)으로 구비된 가압부재(P70)를 더 구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엘이디 조명등
10 : 본체 11 : 결합편
13 : 끼움홈 20 : 덮개
30 : LED모듈 40 : 장착판
41 : 끼움편 45 : 투입홀
50 : 커버 53 : 끼움돌기
60 : 파워서플라이
P : 체결유닛 P10 : 체결핀
P11 : 헤드부 P111 : 이탈방지턱
P13 : 몸통부 P131 : 리세스
P133 : 푸쉬턱 P15 : 중홈
P151 : 이탈방지돌기 P17 : 인출공
P20 : 핀홈 P21 : 고정홈
P23 : 안착홈 P30 : 체결부재
P31 : 체결몸통 P311 : 자석
P33 : 손잡이바 P35 : 탄성스프링
P40 : 인입방지부재 P41 : 지지블록
P43 : 승하강블록 P45 : 상승유도스프링
P46 : 홈부 P50 : 푸쉬부재
P51 : 걸림단턱 P60 : 스토핑부재
P61 : 스토퍼 P63 : 스토핑스프링
P70 : 가압부재 P71 : 가압판
P73 : 가압스프링

Claims (3)

  1.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편(11)과 끼움홈(13)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양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20);
    상기 본체(10)의 결합편(11)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끼움편(41)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판(40);
    상기 장착판(40)의 전면에 장착되는 LED모듈(30);
    상기 본체(10)의 끼움홈(13)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53)가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LED모듈(30)을 덮는 커버(50);
    상기 본체(10) 내부에 내장되고, 상용전원을 점등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LED모듈(30)에 공급하는 드라이버회로와, 상용전원의 차단시 상기 LED모듈(30)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UPS회로를 포함하는 파워서플라이(60);
    상기 본체(10)를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유닛(P);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P)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결합되고, 결합공(H)이 형성된 브라켓(P1)과,
    상기 결합공(H)을 관통하는 몸통부(P13)와, 상기 몸통부(P13)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P1)의 일면을 가압하는 헤드부(P11)로 구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홈(P15)과, 상기 중홈(P15) 하부에서 양측으로 형성된 인출공(P17)을 포함하는 체결핀(P10)과,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체결핀(P10)의 몸통부(P13)가 인입되는 핀홈(P20)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P20)의 내부 양측면에 상기 인출공(P17)에 대응되도록 안착홈(P23)과 고정홈(P21)이 형성된 체결블럭(P3)과,
    상기 체결핀의 중홈(P15)에 내삽되고, 상기 인출공(P17)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 자석(P311)이 형성된 체결몸통(P31)과, 상기 체결몸통(P31)에 구비되며 상기 중홈(P15)을 통해 상기 체결핀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바(P33)를 포함하는 체결부재(P30)와,
    상기 안착홈(P23)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블록(P41)과 상기 지지블록(P41)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성 승하강블록(P43) 및 상기 승하강블록(P4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P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입방지부재(P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핀(P10)을 중홈(P15)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부재(P30)를 전진 시키면, 상기 체결몸통(P31)이 상기 인출공(P17)을 통해 나와 상기 고정홈(P21)에 인입되어 체결핀(P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몸통(P31)이 고정홈(P21)에 인입되면, 상기 체결몸통(P31)의 자석(P311)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부재(P40)가 상기 체결핀(P10)으로 인입되고, 상기 승하강블록(P43)이 지지블록(P41)으로부터 탄성스프링(P35)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중홈(P15)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P30)의 후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회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출력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원을 스위칭하여 변압기에 공급하는 PWM부와,
    상기 변압기의 출력전원을 평활하여 상기 LED모듈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평활부와,
    상기 PWM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UPS회로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정류부의 출력전원을 정전압화하는 정전압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만충감지부와,
    상용전원의 차단여부를 감지하는 정전감지부와,
    상기 정전감지부가 상용전원의 차단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방전스위치와,
    상기 배터리의 방전시 점등되어 정전 사실을 표시하는 정전알림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기준 최저전압 이하로 방전된 경우, 방전을 차단하여 보호하는 과방전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3. 삭제
KR1020200008320A 2020-01-22 2020-01-22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10209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320A KR102096438B1 (ko) 2020-01-22 2020-01-22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320A KR102096438B1 (ko) 2020-01-22 2020-01-22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438B1 true KR102096438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320A KR102096438B1 (ko) 2020-01-22 2020-01-22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4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3069A (zh) * 2021-05-11 2021-08-03 二工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应急灯
KR102300128B1 (ko) * 2021-04-26 2021-09-09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Smps용 순간정전 보상 장치
KR20230117997A (ko)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포드림 정해진 주기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의 역할을 절체하는 자동절체장치를 포함하는 ess-ups겸용 전기 에너지 공급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86B1 (ko) * 2008-07-29 2008-11-03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형광등
KR100951087B1 (ko) * 2009-05-19 2010-04-05 주식회사 로보티어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0976374B1 (ko) * 2010-03-05 2010-08-18 (주)세계에스엠티 조사방향제어와 조명의 강약조절 및 조명배열과 비상전원기능을 갖는 조명등기구
KR20120135824A (ko) * 2011-06-07 2012-12-17 에코엘이디(주) 엘이디 비상조명등
KR101479544B1 (ko) * 2013-05-16 2015-01-26 주식회사 나로텍 엘이디조명장치
KR20170123813A (ko) * 2016-04-29 2017-11-09 김종화 조명 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86B1 (ko) * 2008-07-29 2008-11-03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형광등
KR100951087B1 (ko) * 2009-05-19 2010-04-05 주식회사 로보티어 교내 전원 감시 및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0976374B1 (ko) * 2010-03-05 2010-08-18 (주)세계에스엠티 조사방향제어와 조명의 강약조절 및 조명배열과 비상전원기능을 갖는 조명등기구
KR20120135824A (ko) * 2011-06-07 2012-12-17 에코엘이디(주) 엘이디 비상조명등
KR101479544B1 (ko) * 2013-05-16 2015-01-26 주식회사 나로텍 엘이디조명장치
KR20170123813A (ko) * 2016-04-29 2017-11-09 김종화 조명 레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28B1 (ko) * 2021-04-26 2021-09-09 주식회사 케이아이씨텍 Smps용 순간정전 보상 장치
CN113203069A (zh) * 2021-05-11 2021-08-03 二工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应急灯
CN113203069B (zh) * 2021-05-11 2024-02-27 二工防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应急灯
KR20230117997A (ko)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포드림 정해진 주기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ess)와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의 역할을 절체하는 자동절체장치를 포함하는 ess-ups겸용 전기 에너지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438B1 (ko) Ups회로를 갖는 엘이디 조명등
EP2725875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luminaire
CN207572785U (zh) 照明配电箱
KR200432784Y1 (ko) Led램프를 겸비한 휴대용 제논 탐조등
CN202145575U (zh) 应急照明充电座
KR102096437B1 (ko) 절전형 주차장 조명 시스템
JP5624268B2 (ja) 照明装置、照明器具
KR101458688B1 (ko) 정전시에도 작동되는 충전형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조명 시스템
KR20120032160A (ko) 조명 기기의 일체형 전원 공급 장치
KR101266419B1 (ko) 태양광 충전식 조명스탠드
KR200441710Y1 (ko) 착탈식 다기능 비상유도장치
KR101612777B1 (ko) 무선충전 안전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066250A1 (en) Combination emergency light and nightlight
KR101454465B1 (ko) 조명시간이 연장되는 비상조명등
CN202747210U (zh) 节能灯
KR101743068B1 (ko) 랜턴 겸용 led 램프
KR20160012673A (ko) 밝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광원을 가진 비상 유도등 겸용 비상 손전등
CN219433141U (zh) 一种具有人体感应的应急照明装置
CN217559718U (zh) 一种楼梯内照明系统
CN219063160U (zh) 地铁车厢用应急灯
CN213686570U (zh) 内置应急电源的led照明装置
CN213513311U (zh) 一种易安装的线型灯
CN108730840A (zh) Led灯
KR200354376Y1 (ko) 자가발전기를 갖춘 계단의 미끄럼 방지장치
CN210579354U (zh) 一种具有应急功能的led照明控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