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985B1 -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985B1
KR101138985B1 KR1020100070337A KR20100070337A KR101138985B1 KR 101138985 B1 KR101138985 B1 KR 101138985B1 KR 1020100070337 A KR1020100070337 A KR 1020100070337A KR 20100070337 A KR20100070337 A KR 20100070337A KR 101138985 B1 KR101138985 B1 KR 10113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power
electronic device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35A (ko
Inventor
진호운
이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엠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엠앤씨
Priority to KR102010007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9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전자기기에 인입되는 AC전원의 2선 각각에 릴레이를 구비하여 이 릴레이를 온오프시키는 릴레이 구동부와, 릴레이의 후단에서 AC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을 충전함과 아울러 작동전원을 리모콘 센서부 및 릴레이 구동부에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릴레이 구동부는 리모콘 센서부의 명령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온오프시킨다. 릴레이 구동부는 2선 각각에 구비된 릴레이를 시간차를 두고 온오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릴레이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한다.
3. 작용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의 대기 모드 진입시 AC인렛으로부터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 1선 차단이 아닌 2선 차단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세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는 AC인렛으로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CUTTING OFF MODULE FOR STANDBY POWER IN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으로 작동되는 텔레비전, 음향기기, 게임기 등의 전자기기가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절환되더라도 미세 누설전류로 인한 전력소비가 없고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를 AC인렛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는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다수의 선행기술이 축적되어 왔다. 근래의 전자기기는 리모콘을 통한 원격 제어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데, 이는 원격 제어는 물론이고 대기모드를 지원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 대기 모드는 AC인렛으로부터 전력을 소비하는바,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분리하라는 등의 공익광고가 심심치 않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05523호(이하, 선행기술)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어댑터를 개시한 바 있다. 이 어댑터는 제어부(14)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전기기(1)의 대기시간 중에는 릴레이 접점이 온되어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가전기기(1)의 동작중에는 릴레이 접점이 오프되어 가전기기(1) 동작중에만 소정의 유도전압이 발생되는 트렌스포머(12)와, 이 트렌스포머(12)에서 발생된 교류 유도전압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충전부(13)를 충전시키며, 수신센서(15)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대기 시간 동안에 온된 릴레이 접점을 오프시키는 제어부(14)와, 이 제어부(14)에 연결되어 충전조건을 입력받아 가전기기(1) 사용중에 정류된 트렌스포머(12)의 출력전압으로 충전되며 가전기기(1)가 오프된 대기시간 동안에는 제어부(14)와 릴레이부(11)의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충전부(13)와, 상기 제어부(14)에 연결되어 리모콘 신호를 입력받아 대기시간동안 온된 릴레이 접점이 오프되도록 제어부(14)에 수신신호를 전달하는 수신센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어댑터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센서(15)는 가전기기(1)의 것이 아닌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외장형을 설명하고 있는 선행기술의 도 2를 살펴보면 보다 명확해진다. 또, AC전원의 차단이 1선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인지 명확한 설명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1선 차단인 경우에는 미세 누설전류에 의한 전력소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원코드를 AC인렛(혹은 콘센트)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게다가 선행기술은 릴레이 동작이 통상의 경우와 반대로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관련 설명을 살펴보면, 충전부(13)가 과방전되면 릴레이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가전기기(1) 사용시에는 릴레이가 오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대기시간이 도과하더라도 전자기기(1)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부(13)를 충전시키면 다시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대기시간에는 릴레이가 온(ON)되므로 충전부의 전원소모가 많아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세 누설전류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를 AC인렛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다.
둘째, 전자기기에 구현되어 있는 리모콘 센서부를 이용함으로써 구성의 복잡도를 낮춘다.
셋째, 전자기기의 대기 모드 진입 후, 충전부가 과방전되어 정상동작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리모콘 센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채용되는 모듈 형태를 취한다. 이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대기전력 차단모듈로 지칭된다.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전자기기에 인입되는 AC전원의 2선 각각에 릴레이를 구비하여 이 릴레이를 온오프시키는 릴레이 구동부와, 릴레이의 후단에서 AC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을 충전함과 아울러 작동전원을 리모콘 센서부 및 릴레이 구동부에 공급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릴레이 구동부는 리모콘 센서부의 명령신호, 즉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송출한 명령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온오프시킨다. 여기서 릴레이가 온되면 충전부는 작동전원을 충전하게 되고, 오프되면 이른바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릴레이 구동부는 2선 각각에 구비된 릴레이를 시간차를 두고 온오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릴레이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하여, 대기 모드시 충전부의 과방전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 이 바이패스부는 수동식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대기 모드 진입시 AC인렛으로부터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1선 차단이 아닌 2선 차단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세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는 AC인렛으로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AC전원 2선 각각에 구비되는 릴레이의 동작에 시간차를 두기 때문에 릴레이 접점에서의 스파크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 진입시 충전부가 과방전되더라도 바이패스부를 통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전자기기를 정상동작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개시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바이패스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작동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도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100)(이하, 차단모듈)은 TV, 게임기 등 리모콘 기능을 제공하는 각종 전자기기(10)에 편성(내장, embedding)되는 구성이다. 이 전자기기(10)는 리모콘(미도시)에서 발생하는 명령신호,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센서부(12)를 포함하고 있다. 차단모듈(100)은 릴레이 구동부(110), 충전부(120) 및 바이패스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구동부(110)는 리모콘 센서부(12)의 온오프 명령신호에 따라 AC전원 2선 각각에 구비되는 릴레이(112a, 112b)의 온오프를 절환한다. 충전부(120)는 AC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리모콘 센서부(12), 릴레이 구동부(11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하, 작동전원)을 공급한다. 이 충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112a, 112b) 후단에서 전원을 인출한다. 즉, 릴레이(112a, 112b)가 온(ON)되어야만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바이패스부(130)는 릴레이(112a, 112b)의 온오프 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AC전원을 바이패스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바이패스부(1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바이패스부(130)는 각 릴레이(112a, 112b)를 바이패스하여 AC전원의 경로를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132a, 132b)를 포함한다. 이 스위치(132a, 132b)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릴레이 등으로 자동화하게 되면 구성의 복잡도가 커질 뿐만 아니라 해당 릴레이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수급해야 하는 모순에 빠진다.
이러한 바이패스부(130)는 충전부(120)에 충전된 작동전원이 방전되었을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충전부(120)가 과방전되었을 경우에는 릴레이 구동부(11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하더라도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과방전시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릴레이(112a, 112b)를 바이패스시켜 충전부(120)가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릴레이 구동부(110)를 위주로 본 발명의 작동 흐름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초기상태로서 본 발명의 충전부(120)에는 작동전원이 충전되어 있고, 릴레이(112a, 112b)는 온 상태에 있는 것으로 설정한다.
릴레이 구동부(110)가 리모콘 센서부(12)로부터 오프 명령신호를 수신하면(S401), 릴레이(112a, 112b)에 공급되는 작동전원을 차단하여 오프시킨다(S403). 이 상태는 전자기기(10)의 대기 모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대기 모드시에는 AC전원의 2선이 릴레이에 의해 모두 차단된 상태이므로 1선 차단 방식과 달리 미세 누설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를 AC인렛(콘센트)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제S403 단계에 있어서, 릴레이(112a, 112b)가 동시에 온에서 오프로 절환되는 순간, 접점에서의 저항이 무한대에 가깝기 때문에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크가 빈번히 발생할 경우 릴레이 접점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각 릴레이(112a, 112b)의 절환에 시간차를 둔다. 즉, 릴레이(112a, 112b)를 동시에 절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시간차, 예를 들어 0.1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초의 차를 가지고 각 릴레이가 절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간차 절환에 의해 접점에서의 스파크를 경감시키거나 그 발생빈도를 억제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의 전환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릴레이 구동부(110)가 리모콘 센서부(12)로부터 온 명령신호를 수신하면(S405), 릴레이(112a, 112b)에 작동전원을 공급하여 온시킨다(S407)(활성 모드). 제S407 단계에서도 각 릴레이(112a, 112b)는 제S403 단계와 같이 시간차를 가지고 절환될 수 있다. 릴레이(112a, 112b)가 온되면 충전부(120)는 AC전원으로부터 작동전원을 충전한다(S409).
상술한 대기 모드와 활성 모드는 리모콘 센서부(12)에서 출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전환되며, 대기 모드시에는 전자기기(10)의 전원 플러그를 AC인렛에서 분리시키지 않아도 회로적으로 완벽히 분리된 상태(2선 차단)에 있게 된다.
한편, 대기 모드시 대기 시간이 길어질 경우, 예를 들어 충전부(120)에 충전된 작동전원이 완전히 소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조작하여 온 명령신호를 송출해도 본 발명의 차단모듈(100)은 동작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바이패스부(130)이다.
사용자가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릴레이(112a, 112b)를 바이패스시키면, AC전원이 충전부(120)에 공급되고, 충전부(120)는 작동전원을 충전함과 아울러 리모콘 센서부(12)에 작동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리모콘 센서부(12)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하여 송출한 온 명령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릴레이 구동부(110)는 릴레이(112a, 112b)를 온시킨다. 전자기기가 정상동작을 하게 되면, 사용자가 바이패스부(130)를 통해 릴레이(112a, 112b)의 바이패스 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리모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를 지원하는 각종 전자기기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 : 전자기기 12 : 리모콘 센서부
100 : 차단모듈 110 : 릴레이 구동부
112a, 112b : 릴레이 120 : 충전부
130 : 바이패스부 132a, 132b : 스위치

Claims (4)

  1. 리모콘 센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채용되는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인입되는 AC전원의 2선 각각에 릴레이(112a, 112b)를 구비하여 상기 릴레이를 온오프시키는 릴레이 구동부(110); 및
    상기 릴레이의 후단에서 상기 AC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전원을 충전하고, 상기 작동전원을 상기 리모콘 센서부 및 상기 릴레이 구동부에 공급하는 충전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리모콘 센서부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2선 각각에 구비된 릴레이를 시간차를 두고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릴레이를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부(1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수동식 스위치(132a, 13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KR1020100070337A 2010-07-21 2010-07-21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KR10113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37A KR101138985B1 (ko) 2010-07-21 2010-07-21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37A KR101138985B1 (ko) 2010-07-21 2010-07-21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35A KR20120008935A (ko) 2012-02-01
KR101138985B1 true KR101138985B1 (ko) 2012-04-25

Family

ID=4583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37A KR101138985B1 (ko) 2010-07-21 2010-07-21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358A (ko) 2018-06-01 2018-06-14 이귀봉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8307B (zh) 2011-03-09 2017-06-13 D&R技术有限公司 用于功率管理的系统、装置和方法
KR101525979B1 (ko) * 2013-11-07 2015-06-05 유대영 대기전력 차단스위치모듈 및 그가 설치된 전자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723A (ja) * 1999-05-11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制御装置
KR20010014807A (ko) * 1999-04-23 2001-02-26 구자홍 대기전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807A (ko) * 1999-04-23 2001-02-26 구자홍 대기전원 시스템
JP2000324723A (ja) * 1999-05-11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358A (ko) 2018-06-01 2018-06-14 이귀봉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35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0231B (zh) 断路布置
KR101473890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시스템
KR101512478B1 (ko) 전원 어댑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 장치
JP2013115850A (ja) 車両用充電装置
US20160079718A1 (en) High voltage and high current power outlet
KR101138985B1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JP2014140279A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
CN104094496A (zh) 用于形成运输保险的方法以及蓄电池运行的电气设备
KR101609719B1 (ko) 차량 상시전원과 연결된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완전 충전 감지 장치
JP2014140278A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2008061363A (ja) 電池パックの充電システム
EP1086521B1 (en)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KR20130021552A (ko) 부하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원 접속 장치
JP2014003896A (ja) 充電システム及び処理装置
CN104469463A (zh) 一种机顶盒与电视机自动待机的方法
JP2017506496A (ja) 音声認識を利用する待機電力遮断電気装置および方法
CN206771655U (zh) 一种机械开关控制的空调
JP7192877B2 (ja) 電気機器システム
KR101926556B1 (ko)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1617714B1 (ko) 4극 이어폰 장치의 스위치 제어 방법
CN220440423U (zh) 用于断路器合闸线圈的供电装置及电站恢复系统
KR101707224B1 (ko) 동축케이블망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
CN108462232B (zh) 数据线
CN207926214U (zh) 电池保护装置
CN106375692A (zh) 一种控制ac开关机的电视系统、电视和遥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