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807A - 대기전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807A
KR20010014807A KR1020000021486A KR20000021486A KR20010014807A KR 20010014807 A KR20010014807 A KR 20010014807A KR 1020000021486 A KR1020000021486 A KR 1020000021486A KR 20000021486 A KR20000021486 A KR 20000021486A KR 20010014807 A KR20010014807 A KR 2001001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power
standby power
standby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819B1 (ko
Inventor
이와모토카즈히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ublication of KR2001001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2Power saving techniques of remote control or controlled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발명은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화제품이나 타이머 제어 가능한 전기기기 등에서 대기전력을 줄인 대기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발명에 따른, 기동과 정지를 지시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수신부(7)와, 전로(電路)를 개폐해서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단속(斷續)하는 릴레이(2)와, 상기 릴레이(2)를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회로 (4)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4)를 제어하는 제어부(16)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에서 대기전원 시스템(30)은, 전기 기기(1)의 동작 대기할 때,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7),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4) 및 상기 제어부(16)의 구동용 전력을, 상용전원 이외로부터 공급하는 대기용 전원(3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대기전원 시스템{STANDBY POWER SYSTEM}
본발명은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화제품이나 타이머 제어 가능한 전기기기 등에 사용되는 대기전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에 의한 기동과 정지 등의 조작이 가능한, 비디오 테잎 레코더 등과 같은 가정용 전기기기 등은, 전기제품 본체의 전원이 온 되어 있는 상태나 오프 되어 있는 상태에 상관없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리모콘 회로는 항상 접속되어서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타이머에 의한 기동과 정지 등이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에서도, 타이머 회로는 전원에 항상 접속되어서 동작한다.
특히, 전기제품 본체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대기상태에서, 전기제품 본체의 전원과 다른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리모콘 회로 또는 타이머 회로를 구동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전력을 대기전력이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화제품 (電化製品)의 대기전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전화제품은, 통상, 교류(AC)전원 플러그(8)를 통해서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서 동작한다. 각 요소를 접속하는 선에 관해 설명하면, 실선은 전력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제품(1)은, 일반적으로, 전원 스위치인 릴레이(2)와, 주전원용 트랜스(11) 및 주전원용 레귤레이터(12)를 갖는 주전원(3)과, 릴레이 구동회로(4)와, 대기전원용 트랜스(21) 및 대기전원용 레귤레이터(22)를 갖는 대기전원 시스템(5)과,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6)과, 리모콘신호 수신부(7)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전원(3)의 주전원용 트랜스(11)는, 릴레이(2)를 통해서 AC 플러그(8)에 접속된다. 한편, 대기전원 시스템(5)의 대기전원용 트랜스(21)는 AC 플러그(8)가 접속되어 있으면, 항상 전력공급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릴레이(2)와 AC 플러그(8) 사이에는, 휴즈, 라인 필터, 잡음방지용 콘덴서 등이 접속되는데,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여기서는그리지 않았다.
전화제품(1) 본체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대기상태에, 리모콘 신호 수신부(7)가 전기제품(1)의 기동을 지시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6)는 릴레이 구동회로(4)를 제어해서 릴레이(2)를 온시킨다. 릴레이(2)가 온이 되면, AC 플러그(8)를 통해서 전력이 공급되어, 주전원(11)이 동작하여 전기제품(1)이 기동한다.
대기상태에서의 릴레이 구동회로(4), 제어부(6)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7)의 구동용 전력, 즉 대기전력은, 대기전원 시스템(5)의 대기전원용 레귤레이터(22)로부터 항상 공급된다.
상술한 대기전력은, AC 플러그(8)로부터 직접 공급되어, 대기전원용 트랜스(21)를 통해서 전압교환을 행하기 때문에 여자전류가 흘러, 가전제품 본체의 동작상태나 대기상태에 상관없이 전력손실이 생긴다.
상기 대기전력은, 예를 들면, TV수상기나 비디오 테잎 레코더에 있어서는, 수 W가 되고, 특히 일반 가정에서는, 가전제품 본체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대기상태 시간이, 전원이 온 되어있는 대기상태 시간보다도 길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발명의 주목적은 리모콘 조작이 가능하거나 타이머 제어 가능한 전화제품에서, 대기전력을 삭감시키는 대기전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리모콘 조작이 가능하거나 타이머 제어가 가능한 전기 제품에서, 대기전원용 트랜스를 갖지 않고서 상용전원 이외로부터 공급할 수 있는 대기전원용 시스템을 이용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동작 대기상태에서 대기전력을 AC 플러그로부터 공급받도록 종속되어 있지 않고, 대기전원용 트랜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전원용 트랜스의 여자전류에서 기인하는 전력 손실이 없어져서 에너지 효율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화제품 (電化製品)의 대기전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화제품 (電化製品)의 대기전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전화제품 2 : 릴레이
3 : 주 전원 4 : 릴레이 구동회로
16 : 제어부 7 : 리모콘신호 수신부
8 : AC 플러그 11 : 주 전원용 트랜스
12 : 주 전원용 레귤레이터 21 : 대기전원용 트랜스
22 : 대기전원용 레귤레이터 30 : 대기전원
31 : 2차 전지 32 : 전렬공급/충전회로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화제품 (電化製品)의 대기전원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대기용 전원은 2차전지를 이용한다. 또는 상기 대기용 전원은 2차전지 이외에 1차 전지나 태양 전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각 요소를 접속하는 선들 중에서, 실선은 전력의 흐름을 나타내고, 점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전화제품(1)은 AC 플러그를 통해서 상용전원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주전원(3)은, 수동으로도 절환이 가능한 릴레이(2)를 통해서 AC 플러그(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2)는 주전원(3) 내의 주전원용 트랜스(11)에 접속되어 있고, 주전원용 트랜스(11)는 주전원용 레귤레이터(12)에 접속되어있다. 본실시예에 따른 대기전원 시스템(30)은 2차 전지(31)와 전력공급/충전회로(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충전회로(32)는 주전원(3)의 주전원용 레귤레이터(12)에 접속되어있다. 릴레이(2)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회로(4),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6), 리모콘신호 수신부(7) 및 2차 전지(31)들은,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를 통해서 전력공급/충전회로(32)에 접속되어있다. 2차 전지(31)는, 니커드 전지 또는 니켈 수은전지 등이다. 리모콘 신호 수신부(7)는, 제어부(16)를 거쳐서 릴레이 구동회로(4)에 접속된다.
전기제품(1) 본체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대기상태에서 리모콘신호 수신부(7)가 전원 온의 지시를 나타내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6)는 릴레이 구동회로(4)를 제어해서 릴레이(2)를 온으로 한다. 릴레이(2)가 온이 되면, 주전원(11)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화제품(1)이 기동한다. 상기 상태에서, 전력공급/충전회로(32)는, 릴레이 구동회로(4), 제어부(16) 및 리모콘신호 수신회로(7)의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2차 전지(31)를 충전한다.
전기제품(1) 본체가 작동할 때, 리모콘 신호 수신부(7)가 전원 오프의 지시를 나타내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6)는 릴레이 구동회로(4)를 제어하여 릴레이(2)를 오프로 하고, 전기제품(1)은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상기 상태에서 2차 전지(31)는 릴레이 구동회로(4), 제어부(16) 및 리모콘신호 수신회로(7)에 대기전력을 공급한다.
오랜 시간동안 대기상태가 계속되면, 2차 전지(31)는 방전되기 때문에, 릴레이 구동회로(4), 제어부(16) 및 리모콤신호 수신부(7)를 구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는, 2차 전지(31)의 충전전압을 항상 감시하여,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릴레이 구동회로(4)를 제어해서 릴레이(2)를 온으로 하여 주 전원(11)을 동작시키고, 전력공급/충전회로(32)를 통해서 2차 전지(31)을 충전한다. 제어부(16)는 2차 전지(31)가 완전하게 충전되었음을 확인한 다음에, 릴레이 구동회로(4)를 제어하여 릴레이(2)를 오프한다.
2차 전지(31)의 수명이 다해서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수동으로 릴레이(2)를 절환해서, 전력공급/충전회로(32)를 통해서 릴레이 구동회로(4), 제어부(16)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7)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기제품(1)을 AC 플러그(8)로부터 장시간 떼어 놓아서 2차 전지(31)가 전부 방전되면, 전기제품(1)을 AC 플러그(8)에 접속하여, 릴레이(2)를 손으로 기계적으로 온으로 해서, 주전원(11)을 동작킨 다음에, 전력공급/충전회로(32)를 통해서 2차 전지(31)를 충전한다.
또한, 타이머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은, 도 2의 실시예에서, 리모콘 신호 수신부(7) 대신에 타이머로 대체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발명에 따른 대기전원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이용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실시예는, 2차 전지 및 전력공급/충전회로를 갖는 대기전원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대기전원용 트랜스에 의한 여자전류에서 기인하는 전력손실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대기전원 시스템의 2차 전지는, 전기제품이 동작 상태에 있을 때, 주전원용 트랜스만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충전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비디오 테잎 레코더 등의 가정용 전기제품에 있어서, 동작 상태 시간보다도 대기상태 시간이 길다. 따라서, 전기제품 전체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트랜스의 여자전류에서 기인하는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에 따른 대기전원 시스템은, 리모콘 조작이나 타이머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에서, 대기전원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의 효율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발명에 따른 리모콘 조작이나 타이머 제어 가능한 전기제품의 대기전원 시스템은, 동작 대기상태에서 대기전력을 AC 플러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에 종속될 필요없고, 또한 대기전원용 트랜스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전원용 트랜스의 여자전류에서 기인하는 전력의 손실을 없앨 수 있어서, 에너지의 효율화를 촉진할 수 있다.

Claims (4)

  1. 기동 및 정지를 지시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신호 수신부와, 전로(電路)를 개폐해서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단속(斷續)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를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의 대기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가 동작 대기할 때,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 및 상기 제어부등에 공급되는 구동용 전력은, 상기 상용전원 이외에서 공급되는 대기용 전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용 전원은 2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가 동작할 때는, 상기 리모콘신호 수신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 및 상기 제어부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2차 전지를 충전하는 전력공급/충전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전지의 충전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를 제어해서 상기 릴레이를 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 시스템.
KR10-2000-0021486A 1999-04-23 2000-04-22 대기전원 시스템 KR10037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16073 1999-04-23
JP11116073A JP2000324690A (ja) 1999-04-23 1999-04-23 待機電源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807A true KR20010014807A (ko) 2001-02-26
KR100374819B1 KR100374819B1 (ko) 2003-03-04

Family

ID=1467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486A KR100374819B1 (ko) 1999-04-23 2000-04-22 대기전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324690A (ko)
KR (1) KR1003748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073B1 (ko) * 2005-03-21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123731B1 (ko) * 2009-06-08 2012-03-15 주식회사 블랙박스 커넥터 및 그 운용 방법
KR101138985B1 (ko) * 2010-07-21 2012-04-25 주식회사 진우엠앤씨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US8890487B2 (en) 2010-05-17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9418C (zh) * 2004-07-05 2008-01-02 周先谱 一种零功耗待机电源控制装置
JP4508148B2 (ja) * 2006-04-19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組込用電源装置
JP4892087B2 (ja) * 2010-06-23 2012-03-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電源制御装置
KR101728740B1 (ko) * 2010-11-19 2017-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90496A (ja) * 2011-10-20 2013-05-13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JP5349571B2 (ja) * 2011-12-13 2013-11-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5089180A (ja) * 2013-10-29 2015-05-07 ヤマハ株式会社 スタンバイ回路
KR101411433B1 (ko) * 2014-02-04 2014-06-25 (주)다재기술 대기 전력 절감 회로
EP3155875B1 (en) * 2014-06-10 2017-12-2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riving a light circuit with wireless contro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073B1 (ko) * 2005-03-21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123731B1 (ko) * 2009-06-08 2012-03-15 주식회사 블랙박스 커넥터 및 그 운용 방법
US8890487B2 (en) 2010-05-17 2014-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KR101138985B1 (ko) * 2010-07-21 2012-04-25 주식회사 진우엠앤씨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24690A (ja) 2000-11-24
KR100374819B1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813B1 (ko)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절감 회로
CN101405921B (zh) 用于电驱动家具设施的电源关断开关和控制箱
US20130093381A1 (en) Energy saving cable assembly
KR100374819B1 (ko) 대기전원 시스템
US9425678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JP5271423B2 (ja) 電子デバイスおよびパワー・アダプターを有するデバイス装置ならびにパワー・アダプター接続方法
WO20080424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while reducing heat generation in a portable device
CN101452264A (zh) 一种零功耗待机及安全运行电源控制装置
KR20170006697A (ko) 전기 차량용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하의 전원 공급방법
WO2013147489A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32392A (ko)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어뎁터
JP2006254655A (ja) 電源制御装置
JP2004274897A (ja) 省待機電力電源装置
JP3371684B2 (ja) 充電装置
KR20010051942A (ko) 리모트 컨트롤 수신 시스템 및 ac 어댑터 시스템을포함하는 전자 기기
JP2002078232A (ja) 電子機器
KR20020050457A (ko) 가전기기용 대기전력 소모방지 장치
JP3041192U (ja) 電動機に応用される連続給電装置
CN110753434A (zh) 一种开关设备
CN215956106U (zh) 用于弱电模块的供电系统、单火线开关和智能开关
JP5169660B2 (ja) 制御装置及び空気調和機
US20020195880A1 (en) Appliance and a power supply therefor
JPH07284225A (ja) 電子機器
JPH11178230A (ja) 充電装置
KR200195037Y1 (ko) 전기,전자제품 및 산업용 기기의 대기전류 또는 누설전류소모 방지 및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