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749A -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749A
KR20150138749A KR1020140067159A KR20140067159A KR20150138749A KR 20150138749 A KR20150138749 A KR 20150138749A KR 1020140067159 A KR1020140067159 A KR 1020140067159A KR 20140067159 A KR20140067159 A KR 20140067159A KR 20150138749 A KR20150138749 A KR 20150138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se
bobbin
yoke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783B1 (ko
Inventor
박민규
손미경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78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는 광투과공이 마련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광투과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양단에 요크 구멍이 형성된 보빈;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상기 보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암 조립체;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을 덮도록 상기 격벽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암 조립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용부 커버; 상기 격벽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빈의 요크 구멍이 노출되는 한 쌍의 개구; 및 상기 한 쌍의 개구를 통해 상기 보빈의 요크 구멍과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요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립이 편리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Iris apparatus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는 카메라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량을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는 광투과공이 마련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며 광투과공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와, 이 한 쌍의 블레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는 전자석과 영구자석과 일체로 설치된 구동 암을 포함한다. 구동 암의 양단에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힌지 구조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면 영구자석이 회전하고, 영구자석이 회전하면 이와 일체로 설치된 구동 암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 암이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한 쌍의 블레이드가 광투과공을 중심으로 직선 이동하여 광투과공의 개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광투과공을 통과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개 장치는 베이스에 전자석을 설치한 후, 구동 암이 조립된 영구자석을 전자석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조 또는 그 역순으로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전자석의 내부에 설치된 요크와 같은 자성체와 영구자석에 작용하는 자력, 주로 인력 때문에 영구자석을 베이스에 조립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개 장치는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개 장치는 영구자석을 구동시키기 위해 2개의 요크에 각각 별개의 보빈이 사용되는 구조여서 조립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조립이 편리하고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광투과공이 마련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광투과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되고 양단에 각각 요크 구멍이 형성된 보빈;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상기 보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암 조립체;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을 덮도록 상기 격벽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암 조립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용부 커버; 상기 격벽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빈의 요크 구멍이 노출되는 한 쌍의 개구; 및 상기 한 쌍의 개구를 통해 상기 보빈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요크 구멍과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요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암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암; 및 상기 구동 암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요크를 상기 한 쌍의 개구를 통해 상기 보빈의 요크 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요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암 조립체를 기준으로 상기 보빈의 일측에 제1코일부가 권선되고, 상기 보빈의 타측에 제2코일부가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빈은 상기 전선이 감기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의 일측에는 자력 차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의 전자석과 구동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자석과 구동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서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보빈과 구동암 조립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 요크를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와 수용부 커버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8은 영구자석과 홀 센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서 한 쌍의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의 전자석과 구동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자석과 구동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서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보빈과 구동암 조립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에서 요크를 결합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1)는 베이스(10), 전자석(30), 구동암 조립체(50), 수용부 커버(60), 한 쌍의 블레이드(80), 및 블레이드 커버(9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외부 광이 통과하는 광투과공(11)이 형성되며,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전자석(30)과 구동암 조립체(50)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21)을 형성하는 격벽(20)이 베이스(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이스(10)의 하면에는 한 쌍의 블레이드(80)가 수용되는 공간(13)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면의 일단 부근에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된 격벽(20)이 돌출된다. 격벽(2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단이 개방된 개구(23)가 마련된다. 격벽(20)의 안쪽에는 전자석(30)과 구동암 조립체(50)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21)이 마련된다. 수용 공간(21)이 형성된 베이스(10)의 부분에는 구동암 조립체(50)의 중심축(51)의 하단이 삽입되는 베이스 지지 홈(24)이 마련되고, 베이스 지지 홈(24)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의 한 쌍의 안내 홈(25)이 형성된다. 한 쌍의 안내 홈(25)은 후술하는 구동암 조립체(50)의 구동 암(53)의 한 쌍의 힌지 돌기(55)를 안내한다. 격벽(20)의 한 쌍의 개구(23)의 일측에는 각각 고정 블록(26)이 마련된다. 이 고정 블록(26)에 의해 보빈(40)에 삽입되는 요크(35,36)가 안내된다.
전자석(30)은 베이스(10)의 격벽(20)의 수용 공간(21)에 설치되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빈(40), 코일(31), 및 한 쌍의 요크(35,36)를 포함한다.
보빈(40)은 코일(31)이 감기는 곳으로서, 한 개의 몸체로 대략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빈(40)의 중앙부(41) 일측에는 영구자석(57)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42)이 마련되고, 그 반대쪽에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4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빈(40)의 중앙부(41)에 2개의 돌기(43)가 마련된다. 보빈(40)의 중앙부(41) 내부는 막힌 상태로 형성하거나 관통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보빈(40)의 양단에는 코일(31)이 감길 수 있는 제1 및 제2코일 감김부(45,47)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측면판(44,46)이 설치된다. 보빈(40)의 일측에는 제1측면판(44)이 설치되고, 제1측면판(44)과 중앙부(41) 사이에는 제1코일 감김부(45)가 마련된다. 보빈(40)의 타측에는 제2측면판(46)이 설치되고, 제2측면판(46)과 중앙부(41) 사이에는 제2코일 감김부(47)가 마련된다. 제1측면판(44)과 제2측면판(46) 각각의 중앙에는 요크(35,36)가 삽입될 수 있는 요크 구멍(48)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70)과 코일(31)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49)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빈(40)을 베이스(10)의 수용 공간(21)에 설치하면, 보빈(40)의 양단에 형성된 요크 구멍(48)이 격벽(20)의 개구(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코일(31)은 보빈(40)의 제1코일 감김부(45)와 제2코일 감김부(47)에 설치된다. 코일(31)은 제1코일 감김부(45)와 제2코일 감김부(47)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별개의 코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개의 전선(또는 와이어)으로 제1코일 감김부(45)와 제2코일 감김부(47)에 이어 감아서 제1코일 감김부(45)와 제2코일 감김부(47)에 감긴 코일을 한 개의 코일(31)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코일 감김부(45)에 감긴 코일(31)을 끊지 않고 제2코일 감김부(47)에 연속해서 감는다. 즉, 제1코일 감김부(45)에 코일(31)을 감은 후, 보빈(40)의 중앙부(41)의 돌기(43)에 코일(31)을 적어도 한 번 감은 후, 다시 제2코일 감김부(47)에 코일(31)을 감는 것이다.
이때, 제1코일 감김부(45)에 감은 코일(31)의 감김 방향과 제2코일 감김부(47)에 감은 코일(31)의 감김 방향은 코일의 연결 방법에 따라 정해진다. 만일, 코일(31)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1코일 감김부(45)에 감은 코일(31)의 감김 방향과 제2코일 감김부(47)에 감은 코일(31)의 감김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감는다. 즉, 제1코일 감김부(45)에 코일(31)을 시계 방향으로 감았으면, 제2코일 감김부(47)에는 코일(31)을 반시계 방향으로 감는 것이다. 이때, 제1코일 감김부(45)에서 제2코일 감김부(47)로 연결되는 코일(31a)을 보빈(40) 중앙부(41)의 돌기(43)에 한 번 이상 감으면, 코일(31a)이 보빈(40)에 고정되므로 코일(31)이 감긴 보빈(40)을 베이스(10)에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코일(31)이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1코일 감김부(45)에 감은 코일(31)의 감김 방향과 제2코일 감김부(47)에 감은 코일(31)의 감김 방향이 같도록 감는다. 즉, 제1코일 감김부(45)에 코일(31)을 시계 방향으로 감았으면, 제2코일 감김부(47)에는 코일(31)도 시계 방향으로 감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한 개의 몸체로 된 보빈(40)의 양측에 코일(31)을 감아 전자석을 만드므로, 종래와 같이 별개로 분리된 2개의 보빈에 코일을 감아 만드는 전자석에 비해 부품수도 감소되고, 제작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 쌍의 요크(35,36)는 서로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제1요크(35)는 양쪽 팔의 길이가 동일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요크(36)는 U자 형상에서 한쪽 팔의 길이가 다른 쪽 팔보다 짧은 형태로 형성된다. 제1요크(35)의 한쪽 팔은 제1측면판(44)의 요크 구멍(48)을 통해 보빈(40)의 제1코일 감김부(45)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요크(46)는 긴 팔이 제2측면판(46)의 요크 구멍(48)을 통해 보빈(40)의 제2코일 감김부(47)의 내부에 삽입된다. 요크(35.36)는 자성체로 형성된다.
구동암 조립체(50)는 베이스(10)의 수용 공간(21)에 보빈(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술한 전자석(30)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80)를 구동시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동암 조립체(50)는 한 쌍의 블레이드(80)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구동 암(53)과 영구자석(57)을 포함한다.
구동 암(53)은 중심축(51)과 상기 중심축(51)에서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팔(52)을 포함한다. 2개의 팔(52)의 각각의 단부에는 힌지 돌기(55)가 형성된다. 중심축(51)에는 영구자석(57)이 결합된다. 영구자석(57)에서 돌출된 중심축(51)의 상단은 수용부 커버(60)에 형성된 커버 지지 홈(61)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중심축(51)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수용 공간(21)에 마련된 베이스 지지 홈(24)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영구자석(57)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선(미도시)을 기준으로 N극과 S극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영구자석(57)은 그 중심선의 자력이 가장 약하다. 영구자석(57)의 중심에는 구동 암(53)의 중심축(51)이 삽입되는 결합공(58)이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57)은 구동 암(53)의 중심축(51)에 삽입된 후, 구동 암(5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영구자석(57)에 구동 암(53)의 중심축(51)을 결합하고, 중심축(51)을 베이스(10)와 수용부 커버(60)로 지지하면, 영구자석(57)과 구동 암(53)은 베이스(10)에 대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수용부 커버(60)는 상기 베이스(10)의 수용 공간(21)을 덮도록 상기 격벽(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암 조립체(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 커버(60)의 하면에는 커버 지지 홈(61)이 마련되어 있어 구동 암(53)의 중심축(51)이 삽입된다. 또한, 수용부 커버(60)의 하면에는 격벽(20)의 한 쌍의 개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돌기부(63)가 마련된다. 한 쌍의 돌기부(63)의 각각이 격벽(20)의 한 쌍의 개구(23)의 각각에 삽입되었을 때, 돌기부(63)와 개구(23) 사이에는 요크(35,36)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G)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부 커버(60)로 격벽(20)의 상단을 덮은 상태에서, 요크(35,36)를 격벽(20)의 개구(23), 구체적으로, 수용부 커버(60)의 돌기부(63)와 격벽(20)의 개구(23) 사이의 틈새(G)를 통해 격벽(20)의 수용 공간(21)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요크(35,36)의 한쪽 팔은 수용 공간(21)에 설치된 보빈(40)의 요크 구멍(48)에 삽입한다.
격벽(20)의 수용 공간(21)에 보빈(40)의 상측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이 설치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은 보빈(40)에 감긴 코일(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플렉시블 회로기판(70)에는 영구자석(57)의 자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는 자력 검출센서(73)가 설치될 수 있다. 자력 검출센서(73)로는 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홀 센서(73)와 영구자석(57)의 위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홀 센서(73)는 영구자석(57)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며, 홀 센서(73)가 영구자석(57)의 자력을 검출할 수 있는 거리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영구자석(57)의 표면과 홀 센서(73) 사이의 거리는 0.155mm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홀 센서(73)는 영구자석(57)의 Y축 선상에 Z축 중심선과 일치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홀 센서(73)의 중심이 영구자석(57)의 높이(H)의 중심과 일치하고, 홀 센서(73)가 영구자석(57)의 중심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자력 검출센서(73)는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을 통해 조리개 장치(1)가 설치되는 카메라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된 자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자력 검출센서(7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 장치(1)의 구동암 조립체(50)를 여러 단계로 제어하여 입사되는 광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의 일단은 90도로 절곡하고, 절곡된 부분은 자력 차폐부재(71)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영구자석(57)과 마주하는 격벽(20)의 일측에는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의 자력 차폐부재(7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차폐부재 안치홈(27)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을 보빈(40)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수용부 커버(60)를 덮으면, 영구자석(57)이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의 자력 차폐부재(71)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개 장치(1)가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의 보이스 코일 모터와 같은 렌즈 구동기기에 작용할 수 있는 영구자석(57)의 자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력 차폐부재(71)가 플렉시블 회로기판(70)과 일체로 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자력 차폐부재(71)는 플렉시블 회로기판(70)과 별도로 형성되어, 격벽(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자력 차폐부재(71)는 자력 또는 자기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플렉시블 회로기판(7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자력 차폐부재(71)는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의 재료가 아니라 자력 또는 자기를 차폐할 수 있는 별도의 재료로 형성된다.
한 쌍의 블레이드(80)는 베이스(10)에 형성된 광투과공(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블레이드(80)는 베이스(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 돌기(미도시) 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블레이드(80)는 제1블레이드(81)와 제2블레이드(82)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블레이드(81,82)는 구동 암(53)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광투과공(11)의 개방 면적을 조절한다. 제1 및 제2블레이드(81,82)의 각각의 일단에는 구동 암(53)의 힌지 돌기(55)가 삽입되는 힌지 구멍(83,84)이 형성되며, 좌우 측면에는 제1 및 제2블레이드(81,82)의 직선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안내 돌기(17)가 삽입되는 안내 슬릿(85,86)이 마련된다. 또한, 제1 및 제2블레이드(81,82)는 광투과공(11)을 개방하기 위해 각각의 중앙에 형성된 요홈(87,88)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커버(90)는 한 쌍의 블레이드(80)의 상측으로 상술한 베이스(1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 커버(90)를 베이스(10)에 결합하면, 베이스(10)의 하면과 블레이드 커버(70) 사이에는 한 쌍의 블레이드(60)가 원활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는 공간(13)이 형성된다. 베이스(10)에는 블레이드 커버(90)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 홈(18)이 형성되고, 블레이드 커버(90)에는 복수 개의 고정 홈(18)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고정 돌기(98)가 형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커버(90)는 베이스(10)의 하면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커버(90)에는 베이스(10)의 광투과공(11)에 대응되는 광구멍(91)과 구동 암(53)의 2개의 힌지 돌기(55)를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홈(9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공정에서 코일(31)이 감긴 보빈(40)을 준비한다. 또한, 구동 암(53)의 중심축(51)에 영구자석(57)을 조립하여 구동암 조립체(50)를 준비한다.
이어서, 베이스(10)의 격벽(20)의 수용 공간(21)에 보빈(40)을 조립하고, 보빈(40)의 일측에 구동암 조립체(50)를 조립한다. 이때, 구동 암(53)의 중심축(51)의 하단을 베이스(10)의 베이스 지지 홈(24)에 삽입하고 구동 암(53)의 한 쌍의 힌지 돌기(55)는 베이스(10)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홈(25)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을 보빈(40)과 영구자석(57)의 상측에 조립한다. 이때,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의 자력 차폐부재(71)이 격벽(20)의 차폐부재 안치홈(27)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후, 플렉시블 회로기판(70)의 상측에 수용부 커버(60)를 조립한다. 이때, 수용부 커버(60)의 커버 지지 홈(61)이 구동암 조립체(50)의 중심축(51)의 상단에 삽입되도록 하고, 수용부 커버(60)의 한 쌍의 돌기부(63)가 격벽(20)의 한 쌍의 개구(23)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수용부 커버(60)의 돌기부(63)가 삽입된 격벽(20)의 개구(23)에는 틈새(G)가 존재한다.
이어서, 베이스(10)의 하면에 한 쌍의 블레이드(80)를 조립한다. 이때, 각 블레이드(81,82)의 힌지 구멍(83,84)이 베이스(10)의 하면에서 한 쌍의 안내 홈(25)을 통해 돌출된 구동암 조립체(50)의 힌지 돌기(55)에 삽입되도록 하고, 안내 슬릿(85,86)이 베이스(10)의 안내 돌기(17)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후, 블레이드 커버(90)를 베이스(10) 하면에 덮는다. 이때, 블레이드 커버(90)의 복수 개의 고정 돌기(98)를 베이스(10)에 마련된 복수 개의 고정 홈(18)에 삽입하면 블레이드 커버(90)가 베이스(10)에 결합된다. 그러면 도 6과 같이 한 쌍의 요크(35,36)만 조립되지 않고 다른 부품들은 모두 조립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베이스(10)의 격벽(2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틈새(G)를 통해 한 쌍의 요크(35,36)를 조립한다. 즉, 격벽(20) 일측의 틈새(G)를 통해 제1요크(35)를 삽입한다. 이때, 제1요크(35)의 한쪽 팔을 보빈(40)의 요크 구멍(48)에 삽입한 상태로 제1요크(35)를 격벽(20)의 틈새(G)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2요크(36)를 격벽(20)의 반대측 틈새(G)를 통해 삽입한다. 이때, 제2요크(36)의 한쪽 팔을 보빈(40)의 요크 구멍(48)에 삽입한 상태로 제2요크(36)를 격벽(20)의 틈새(G)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요크(35,36)를 격벽(20)의 틈새(G)를 통해 보빈(40) 및 수용 공간(21)에 삽입하면, 구동암 조립체(50)의 영구자석(57)과 제1 및 제2요크(35,36)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제1 및 제2요크(35,36)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후, 제1요크(35) 및 제2요크(36)가 설치된 틈새(G)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요크(35)와 제2요크(36)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 조리개 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10)의 틈새(G)를 통해 요크(35,36)를 베이스(10)에 고정된 보빈(10)의 요크 구멍(48)에 삽입하면 되므로, 영구자석(57)과 요크(35,36)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관계없이 요크(35,36)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1)에서 한 쌍의 블레이드(8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블레이드 커버(9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전자석(30)에 전원이 인가되기 전에, 도 9a와 같이 한 쌍의 블레이드(80)가 광투과공(11)을 차단하고 있다. 이때,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자력 검출센서를 통해 영구자석(57)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한 쌍의 블레이드(80)가 광투과공(11)을 차단하는 원위치에 있는 것을 인식한다. 그 후, 제어부에 저장되거나 입력되는 조리개 값에 대응되도록 제어부는 전자석(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광투과공(11)의 개방 넓이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광투과공(11)을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제1요크(35)의 선단이 마주하는 영구자석(57)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띠도록 전원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1요크(35)의 선단(35a)과 마주하는 영구자석(57)이 S극이면, 영구자석(57)과 인접한 제1요크(62)의 선단(35a)이 N극을 띠도록 코일(31)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영구자석(57)이 제1요크(35) 쪽으로 회전한다. 영구자석(57)이 회전하면, 구동 암(53)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 암(53)이 회전하면, 구동 암(53)에 연결된 제1 및 제2블레이드(81,8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도 9b와 같이 광투과공(11)을 개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에 입력되는 조리개 값이 변하면, 제어부는 자력 검출센서와 전자석(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블레이드(80)를 직선 이동시켜, 조리개 값에 대응되도록 광투과공(11)을 개방한다.
전원이 차단되면, 영구자석(57)의 N극 또는 S극의 중심이 제1요크(35)의 타단을 향하게 된다. 그러면, 한 쌍의 블레이드(40)는 광투과공(21)을 차단하는 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10; 베이스
11; 광투과공 20; 격벽
23; 개구 30; 전자석
31; 코일 40; 보빈
50; 구동암 조립체 53; 구동 암
57; 영구자석 60; 수용부 커버
70; 플렉시블 회로기판 71; 자력 차폐부재
80; 블레이드 90; 블레이드 커버

Claims (6)

  1. 광투과공이 마련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광투과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블레이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되고 양단에 각각 요크 구멍이 형성된 보빈;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에 상기 보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암 조립체;
    상기 베이스의 수용 공간을 덮도록 상기 격벽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암 조립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용부 커버;
    상기 격벽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보빈의 요크 구멍이 노출되는 한 쌍의 개구; 및
    상기 한 쌍의 개구를 통해 상기 보빈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요크 구멍과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암; 및
    상기 구동 암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요크를 상기 한 쌍의 개구를 통해 상기 보빈의 요크 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요크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 조립체를 기준으로 상기 보빈의 일측에 제1코일부가 권선되고, 상기 보빈의 타측에 제2코일부가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는 상기 전선이 감기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측에는 자력 차폐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KR1020140067159A 2014-06-02 2014-06-02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KR10163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59A KR101635783B1 (ko) 2014-06-02 2014-06-02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59A KR101635783B1 (ko) 2014-06-02 2014-06-02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49A true KR20150138749A (ko) 2015-12-10
KR101635783B1 KR101635783B1 (ko) 2016-07-04

Family

ID=5497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59A KR101635783B1 (ko) 2014-06-02 2014-06-02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8433A (zh) * 2017-08-07 2020-04-10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342B1 (ko) 2018-06-08 2023-07-25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84964B1 (ko) 2018-07-04 2023-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1B1 (ko) * 2008-01-10 2009-09-15 성우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35533B1 (ko) * 2008-06-10 2010-01-07 성우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10085436A (ja) * 2008-09-29 2010-04-15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KR20110025546A (ko) 2009-09-04 2011-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의 조리개용 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1B1 (ko) * 2008-01-10 2009-09-15 성우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35533B1 (ko) * 2008-06-10 2010-01-07 성우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셔터장치
JP2010085436A (ja) * 2008-09-29 2010-04-15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KR20110025546A (ko) 2009-09-04 2011-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의 조리개용 셔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8433A (zh) * 2017-08-07 2020-04-10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EP3667408A4 (en) * 2017-08-07 2021-04-28 LG Innotek Co., Ltd. LENS TRAINER,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5166929A (zh) * 2017-08-07 2022-10-1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CN110998433B (zh) * 2017-08-07 2022-11-25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US11543622B2 (en) 2017-08-07 2023-01-0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0998433B9 (zh) * 2017-08-07 2023-01-3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EP4307046A3 (en) * 2017-08-07 2024-04-1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783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1172B2 (en) Camera lens assembly
KR102232029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13064315B (zh) 透镜移动装置
US9910289B2 (en) Miniature lens driving apparatus
CN106208536B (zh) 电动机用传感器
KR101477247B1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EP3438720B1 (en) Lens drive device
CN105324712B (zh) 相机模块
US20080117536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0488450B (zh) 相机模块
KR101635783B1 (ko)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JP2009195084A (ja) アクチュエーターおよび光学装置
KR10220125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3011259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10078485A (ko)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KR101859972B1 (ko) 카메라용 조리개장치
KR101634552B1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용 자동 초점 조절장치
KR101874431B1 (ko) 3차원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CN103620493A (zh) 光调节装置
JP2011221212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376814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10862384B2 (en) Linear actuator
TWI564648B (zh) 光圈裝置,驅動馬達及攝影機
KR20120065491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613166B1 (ko)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