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581B1 -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581B1
KR100917581B1 KR1020080002983A KR20080002983A KR100917581B1 KR 100917581 B1 KR100917581 B1 KR 100917581B1 KR 1020080002983 A KR1020080002983 A KR 1020080002983A KR 20080002983 A KR20080002983 A KR 20080002983A KR 100917581 B1 KR100917581 B1 KR 10091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ever
shutter
base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177A (ko
Inventor
임대순
김경호
정호영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5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2Handheld portable device, e.g. holographic camera, mobile holographic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소형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는 셔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셔터장치는 렌즈유닛으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제2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광투과공과 동축으로 배치된 제1 광투과공을 갖는 커버; 상기 베이스 일측의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측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각각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카메라, 셔터, 블레이드

Description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Shutter apparatus for camera of cellphone}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소형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카메라 기능이 결합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은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셔터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인 핸드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도록 개선 되면서 기계식 셔터의 채용이 필수적이 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소형화 및 슬림화 하고 있는 핸드폰과 같은 소형 디지털 기기에 상기와 같은 카메라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서 근본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슬림화가 필수적이 되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셔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아울러, 고품질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셔터의 동작속도를 가능한 한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는 점도 함께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 셔터장치는 셔터의 빠른 구동속도를 보장 받기 위해 셔터에 소정 구동력을 전가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사이즈를 갖는 동력원을 채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셔터장치는 물론 카메라 유닛 전체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휴대용 디지털 기기 전체의 사이즈에 영향을 주게 되었고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셔터의 구동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함에 따라, 휴대폰 등의 디지털 소형기기에 적용 시 기기의 전체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렌즈유닛으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제2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광투과공과 동축으로 배치된 제1 광투과공을 갖는 커버; 상기 베이스 일측의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측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각각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를 제공 한다.
상기 구동부는 중앙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아암레버; 상기 아암레버 일측에 배치되어 일방향 또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양측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되는 셔터구동부; 및, 상기 아암레버의 중앙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셔터구동부의 양측을 향해 인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절곡되며 각각 N극 및 S극의 서로 다른 자극이 착자된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레버는 상기 셔터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셔터구동부 양측과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구동한다.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각각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은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투과공을 폐쇄하거나 완전 개방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암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셔터구동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양측이 상기 아암레버에 고정된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 주변까지 절곡되는 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량조절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광량조절부의 양측에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에 착자된 자극과 서로 다른 자극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아암레버를 선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엇갈리면서 서로 공통되는 영역이 상기 제1 광투과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방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중앙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아암레버; 상기 아암레버 일측에 배치되어 일방향 또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양측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되는 셔터구동부; 및, 상기 아암레버의 중앙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이 각각 상기 셔터구동부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바형상의 제1 및 제2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레버는 상기 셔터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셔터구동부 양측과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구동한다.
이 경우, 상기 셔터구동부는 상기 아암레버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요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코일에는 동시에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동일한 극의 자극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은 각각 양측에 서로 다른 극의 자극이 착자되며, 상기 셔터구동부의 제1 및 제2 요크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일측은 각각 서로 다른 극의 자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아암레버를 기준으로 상기 셔터구동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상기 아암레버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 배치되는 제3 요크와, 상기 제3 요크에 권취되는 제3 코일을 구비하는 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일과 제3 코일에 동시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아암레버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엇갈리면서 서로 공통되는 영역이 상기 제1 광투 과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암레버를 선회시키기 위한 마그네틱의 양측에 동시에 인력과 척력이 작용함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2배의 힘으로 아암레버에 연결된 제1 및 제2 셔터를 더 빠르게 작동시킴에 따라, 디지털 소형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고해상도의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아암레버, 셔터구동부 및 광량조절부를 한곳에 집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갖으면서도 셔터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조립 및 분해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암레버 및 마그네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베이스(100), 커버(110), 구동부(200) 및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통상의 렌즈유닛(미도시) 전방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1 및 제2 셔터(310,320)가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100)는 상기 렌즈유닛(미도시)과 동축상으로 위치하는 제2 광투과공(10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00)는 제1 및 제2 셔터(310,32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셔터(310,320)가 왕복이동 중 베이스(100)의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00) 길이방향의 양측을 따라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05,107)를 구비한다.
더욱이 베이스(100)는 일측에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200)이 설치되는 함몰부(108)가 베이스(1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함몰부(108)에는 힌지핀(213)의 끝단(213c)이 압박 고정되는 고정홈(109)이 형성된다.
커버(110)는 베이스(100)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구동부(200) 및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보호한다. 또한 커버(110)는 일측에 상기 렌즈유닛(미도시)의 중심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제1 광투과공(111)이 형성되며, 타측에 아암레버(210)의 제1 및 제2 걸림돌기(215,217)를 각각 가이드하기 위한 원호형 제1 및 제2 가이드공(113,115)이 상호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가이드공(113,115)의 길이는 아암레버(210)의 최대선회각에 대응하도록 설정한다.
구동유닛(200)은 아암레버(210), 마그네틱(220), 셔터구동부(230) 및 광량조절부(240)를 포함한다.
아암레버(210)는 중앙에 힌지핀(213)의 중앙부(213a)가 관통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관통공(211) 일측 주변에는 힌지핀(213)의 헤드(213b)가 삽입 되는 삽입부(210a)가 형성된다. 이 경우, 중앙부(213a)의 직경은 힌지핀(213)이 관통공(211)에 삽입될 경우 유격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선회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힌지핀(213)은 끝단(213a)이 관통공(211)을 통과한 후 함몰부(108)의 고정홈(109)에 삽입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아암레버(210)는 힌지핀(213)에 의해 함몰부(108)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아암레버(210)는 양단에 동일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 걸림돌기(215,217)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제1 및 제2 걸림돌기(215,217)는 제1 및 제2 셔터(310,32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공(311,321)에 삽입됨에 따라 아암레버(210)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할 때,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베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킨다.
더욱이 아암레버(210)는 함몰부(108)에 장착 시 함몰부(108)와 마주하는 측으로 마그네틱(220)을 삽입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219)가 돌출 형성된다(도 3 참조).
마그네틱(220)은 각각의 양단이 서로 닿지 않고 대략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원호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221,223)에는 각각 N극과 S극이 착자된다.
셔터구동부(230)는 함몰부(108)의 일측에 배치되고 함몰부(108)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로 나란히 설치되는 제1 및 제2 요크(231,235)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요크(231,235)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 코일(233,237)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요크(231,235)는 끝단이 아암레버(210)에 결합된 마그네틱(220)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요크(231,235)는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될 경우 서로 N극 또는 S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아암레버(210)에 결합된 마그네틱(220)의 양단과 제1 및 제2 요크(231,235)의 끝단 사이에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고, 이 힘에 의해 아암레버(21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광량조절부(240)는 셔터구동부(230)의 맞은편 함몰부(108)에 설치되며, 제3 요크(241)와 제3 요크(241)의 중앙부에 권취된 제3 코일(245)을 구비한다. 제3 요크(241)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며, 양측의 끝단(241a,241b)은 동일방향으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제3 요크(241)는 함몰부(108)에 설치 시, 양측 끝단(241a,241b)이 각각 아암레버(210)의 중앙 양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요크(241)는 제3 코일(245)에 일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틱(220)의 양단(221,223)과 인접한 양측 끝단(241a,241b)에 각각 서로 인접한 마그네틱(220)의 양단(221,223)에 발생한 자극의 반대자극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양측 끝단(241a,241b)과 마그네틱(220)의 양단(221,223) 사이에는 동시에 인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광량조절부(240)는 작동 시 제1 및 제2 셔터(310,320)에 연결된 아암레버(210)를 수직으로 고정시켜, 커버(110)의 제1 광투과공(111)보다 작은 제2 개방영역(S2, 도 6 참고)을 통해 소량의 광이 렌즈유닛(미도시)으로 투과시킨다.
제1 셔터(310)는 일측에 아암레버(210)의 제1 걸림돌기(215)가 삽입되는 제1 결합공(3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광투과공(111)을 소량수광 또는 대량수광 모드로 개방하기 위한 제1 개방요홈(317)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셔터(310)는 베이스(100)의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05,107)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소정 곡률로 돌출된 한쌍의 제1 슬라이딩 돌기(313,315)를 양측단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쌍의 제1 슬라이딩 돌기(313,315)가 곡률을 갖는 상태로 돌출된 이유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선회하는 아암레버(210)에 의해 제1 걸림돌기(215)가 상하로 변위되므로, 제1 셔터(310)가 아암레버(210)의 제1 걸림돌기(215)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제1 걸림돌기(215)를 중심으로 미세한 각도로 선회함과 동시에 베이스(100)를 따라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셔터(310)의 왕복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셔터(320)는 제1 셔터(310)에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일측에 아암레버(210)의 제2 걸림돌기(217)가 삽입되는 제2 결합공(321)이 형성되고, 제2 아암레버(210)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1 개방요홈(317)과 함께 제1 광투과공(111)을 소량수광 또는 대량수광 모드로 개방하기 위한 제2 개방요홈(327)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셔터(320)는 제1 셔터(31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100)의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05,107)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 곡률을 갖는 한쌍의 제1 슬라이딩 돌기(313,315)를 양측단의 중앙부에 각각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용설명에 앞서, 마그네틱(220)의 착자된 자극의 위치는, 도 4와 같이, 아암레버(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좌측단(221)에 N극이 착자되고, 우측단(223)에 S극이 착자된 것으로 정의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예를 들면 카메라(미도시)를 온(on) 시키거나 또는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미도시)의 경우 촬영모드로 설정할 경우, 커버(110)의 제1 광투과공(111, 도 1 참고)이 제1 및 제2 셔터(310,32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가 광에 비노출되는 초기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초기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요크(231,235)의 각각의 끝단에 동일하게 N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N극이 착자된 마그네틱(220)의 좌측단(221)과 제1 요크(231) 간에 척력이 작용하고, S극이 착자된 마그네틱(220)의 우측단(223)과 제2 요크(235) 간에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레버(210)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제1 셔터(31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셔터(320)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개방요홈(317,327)이 서로 공통되는 영역을 갖지 못함에 따라 제1 및 제2 셔터(310,320)에 의해 제1 광투과공(111)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촬영을 할 경우, 카메라 또는 휴대폰에 설치된 설정수단을 통해 대량수광 모드로 설정 한 후, 사진촬영을 위해 셔터버튼(미도시)을 누른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동일한 역방 향 전류가 인가되고,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요크(231,235)의 각각의 끝단에 동일하게 S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N극이 착자된 마그네틱(220)의 좌측단(221)과 제1 요크(231)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S극이 착자된 마그네틱(220)의 우측단(223)과 제2 요크(235) 간에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레버(210)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제1 셔터(31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셔터(32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셔터(310,320)는 제1 및 제2 개방요홈(317,327)이 상호 제1 광투과공(111)을 제1 개방영역(S1)만큼 개방함으로써, 제1 광투과공(111)을 대량수광 모드로 개방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고, 아암레버(210)와 제1 및 제2 셔터(310,320)는 도 4와 같이 상술한 초기상태로 설정되면서, 제1 광투과공(111)을 폐쇄한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마그네틱(220)의 좌/우측단(221,223)이 셔터구동부(230)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220)의 좌우측단(221,223)에서 동시에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므로써, 제1 및 2 셔터(310,320)가 예를 들면, 1/1000초의 고속동작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고해상도의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밝은 곳에서 촬영을 할 경우, 상술한 초기상태(도 4 참고)에서 카메라 또는 휴대폰에 설치된 설정수단을 통해 소량수광 모드로 설정 한 후, 사진촬영을 위해 셔터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전류가 차단됨과 동시에, 도 6과 같이, 제3 코일(245)에는 일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 어 마그네틱(220)의 좌측단(221)에 인접한 제3 요크(241)의 좌측단(241a)에는 S극이 형성되고 마그네틱(220)의 우측단(223)에 인접한 제3 요크(241)의 우측단(241b)에는 N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틱(220)의 좌측단(221) 및 제3 요크(241)의 좌측단(241a) 사이와, 마그네틱(220)의 우측단(223) 및 제3 요크(241)의 우측단(241b) 사이에는 각각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아암레버(210)는 초기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다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셔터(310,320)의 제1 및 제2 개방요홈(317,327)은 서로 엇갈리면서 제1 개방영역(S1) 보다 작은 제2 개방영역(S2)을 이루도록 설정됨에 따라, 제1 광투과공(111)을 소량수광모드로 개방한다.
이어서, 광량조절부(240)의 제3 코일(245)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코일부(233,237)에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서 제1 및 제2 셔터(310,320)는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제1 광투과공(111)을 폐쇄한다.
이와 같은 셔터장치는 광량조절부(240)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셔터구동부(230)에서 발생하는 자력보다 약한 자력이 발생하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대량수광 모드에서도 광량조절부(240)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제1 실시예의 셔터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며, 다만, 아암레버(210)에 설치되는 마그네틱(421,423) 및, 광량조절부(440)의 구성이 상이 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의 구성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인 마그네틱(421,423) 및, 광량조절부(44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도 8과 같이, 아암레버(210)의 일측면에 서로 대칭으로 경사 형성된 제1 및 제2 마그네틱삽입부(219a,219b)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마그네틱삽입부(219a,219b)에는 각각 바(bar)형태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마그네틱(421,423)이 각각 삽입된다.
제1 및 2 마그네틱(421,423)은 도 7과 같이, 양측에 각각 N극 및 S극의 자극이 착자되어 있으며, 이 경우 서로 인접한 제1 및 2 마그네틱(421,423)의 일측과 서로 멀리 떨어진 타측은 각각 상이한 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아암레버(210)가 힌지핀(213)에 의해 함몰부(108)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 제1 마그네틱(421)은 고정홈(109)를 기준으로 셔터구동부(230)의 제1 요크(231) 측에 배치되고, 제2 마그네틱(423)은 고정홈(109)을 기준으로 셔터구동부(230)의 제2 요크(235) 측에 배치된다. 아울러, 제1 및 제2 마그네틱(421,423)의 서로 멀리 배치된 타측이 각각 셔터구동부(2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제1 및 제2 마그네틱(421,423)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일측은 각각 광량구동부(44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광량구동부(440)는 셔터구동부(230)와 마찬가지로 제3 요크(441) 및 제3 요크(441)에 권취된 제3 코일(443)을 포함한다. 광량조절부(440)는 그 중심(C2) 위치가 아암레버(210)의 중심(C1)으로부터 제1 요크(231)가 위치하는 측으로 소정 거 리(L)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도 11 참고). 이러한 광량조절부(440)의 배치는 광량조절부(440)와 제1 요크(231) 및 제1 코일(233)을 통해,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구동하여 제1 개방영역(S1) 보다 작은 제2 개방영역(S2)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마그네틱(421,423)의 N극 및 S극의 착자 위치는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마그네틱(421)은 제1 요크(231)에 인접한 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광량조절부(440)에 인접한 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또한 제2 마그네틱(423)은 제2 요크(235)에 인접한 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광량조절부(440)에 인접한 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한편, 제1 및 제2 셔터(310,320)가 커버(110, 도 1 참고)의 제1 광투과공(111)을 폐쇄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전류를 인가하면 제1 및 제2 요크(231,235)에 각각 동일하게 N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틱(421)과 제1 요크(231)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고, 제2 마그네틱(423)과 제2 요크(235)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아암레버(210)는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구동하여 제1 광투과공(111)을 폐쇄한다. 이 경우, 광량조절부(440)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오프(off)된 상태이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 촬영을 할 때, 도 10과 같이, 대량수광 모드를 유지하 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코일(233,237)에 동시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제1 및 제2 요크(231,235)에는 각각 S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틱(421)과 제1 요크(231)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제2 마그네틱(423)과 제2 요크(235)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함에 따라, 아암레버(210)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구동하여 제1 광투과공(111)을 제1 개방영역(S1)으로 개방한다. 이 경우, 광량조절부(440)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오프(off)된 상태이다.
반대로, 밝은 곳에서 촬영할 때, 도 11과 같이, 소량수광 모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코일(237)로 전가되는 전류를 차단시키고, 제1 코일(233) 및 광량조절부(440)의 제3 코일(443)에 동시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제1 및 제3 요크(231,235)에는 각각 N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틱(421)과 제1 요크(231)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고, 동시에 제1 마그네틱(421)과 제3 요크(441)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한다. 결국, 아암레버(210)는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된 제1 및 3 요크(231,441) 사이에서 발행하는 자력에 의해 아암레버(210)의 중심(C1)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제1 및 제2 셔터(310,320)를 구동하여 제1 광투과공(111)을 제2 개방영역(S2) 만큼 개방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대량수광 및 소량수광 모드를 별도의 설정수단을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세팅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대량수광 및 소량수광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아암레버(210), 셔터구동부(230) 및 광량조절부(240, 440)를 베이스(100)의 일측에 집약 배치함에 따라 전체적인 셔터장치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암레버 및 마그네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및 제2 셔터가 광투과공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및 제2 셔터가 대광량 상태로 위치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및 제2 셔터가 소광량 상태로 위치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암레버 및 마그네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및 제2 셔터가 광투과공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및 제2 셔터가 대광량 상태로 위치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및 제2 셔터가 소광량 상태로 위치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베이스 110: 커버
111: 제1 광투과공 200: 구동부
210: 아암레버 220: 마그네틱
230: 셔터구동부 240, 440: 광량조절부
310: 제1 셔터 320: 제2 셔터
421: 제1 마그네틱 423: 제2 마그네틱

Claims (9)

  1. 삭제
  2. 렌즈유닛으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제2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광투과공과 동축으로 배치된 제1 광투과공을 갖는 커버; 상기 베이스 일측의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측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각각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중앙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아암레버; 상기 아암레버 일측에 배치되어 일방향 또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양측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되는 셔터구동부; 상기 아암레버의 중앙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셔터구동부의 양측을 향해 인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절곡되며 각각 N극 및 S극의 서로 다른 자극이 착자된 마그네틱 및, 상기 아암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셔터구동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양측이 상기 아암레버에 고정된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 주변까지 절곡되는 광량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레버는 상기 셔터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셔터구동부 양측과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각각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은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투과공을 폐쇄하거나 완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광량조절부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광량조절부의 양측에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에 착자된 자극과 서로 다른 자극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아암레버를 선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엇갈리면서 서로 공통되는 영역이 상기 제1 광투과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5. 렌즈유닛으로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제2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광투과공과 동축으로 배치된 제1 광투과공을 갖는 커버; 상기 베이스 일측의 함몰된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일측이 각각 연결됨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각각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중앙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아암레버; 상기 아암레버 일측에 배치되어 일방향 또는 역방향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양측에 동시에 N극 또는 S극의 동일한 자극이 형성되는 셔터구동부; 상기 아암레버의 중앙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측이 각각 상기 셔터구동부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바형상의 제1 및 제2 마그네틱; 및, 상기 아암레버를 기준으로 상기 셔터구동부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상기 아암레버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 배치되는 제3 요크와, 상기 제3 요크에 권취되는 제3 코일을 구비하는 광량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레버는 상기 셔터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셔터구동부 양측과 상기 마그네틱의 양단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구동하며,
    상기 셔터구동부는 상기 아암레버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요크; 및,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코일에는 동시에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요크에 동일한 극의 자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은 각각 양측에 서로 다른 극의 자극이 착자되며, 상기 셔터구동부의 제1 및 제2 요크에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일측은 각각 서로 다른 극의 자극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는 각각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은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투과공을 폐쇄하거나 완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제3 코일에 동시에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아암레버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개방요홈이 엇갈리면서 서로 공통되는 영역이 상기 제1 광투과공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상기 제1 광투과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장치.
KR1020080002983A 2008-01-10 2008-01-10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1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83A KR100917581B1 (ko) 2008-01-10 2008-01-10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983A KR100917581B1 (ko) 2008-01-10 2008-01-10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77A KR20090077177A (ko) 2009-07-15
KR100917581B1 true KR100917581B1 (ko) 2009-09-15

Family

ID=4133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983A KR100917581B1 (ko) 2008-01-10 2008-01-10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49A (ko) * 2014-06-02 2015-12-10 성우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644A (ko) * 2006-02-28 2007-08-31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KR20070099292A (ko) * 2006-04-04 2007-10-09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렌즈 배리어의 반자동개폐장치
JP2007298544A (ja) 2006-04-27 2007-11-15 Nidec Copal Corp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KR100788008B1 (ko) * 2005-05-17 2007-12-21 성우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008B1 (ko) * 2005-05-17 2007-12-21 성우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KR20070089644A (ko) * 2006-02-28 2007-08-31 니덱 코팔 코포레이션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KR20070099292A (ko) * 2006-04-04 2007-10-09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카메라 렌즈 배리어의 반자동개폐장치
JP2007298544A (ja) 2006-04-27 2007-11-15 Nidec Copal Corp デジタル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49A (ko) * 2014-06-02 2015-12-10 성우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KR101635783B1 (ko) 2014-06-02 2016-07-04 성우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177A (ko)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433A1 (en) Shutter driv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US20080205879A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US8337102B2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US20100329664A1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KR101177185B1 (ko) 카메라 셔터 장치
KR100732494B1 (ko) 셔터기능을 갖는 조리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17581B1 (ko)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891282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10026337A (ko) 셔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소형 카메라
KR10098979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01997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519632B1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KR2005003764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66770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1186655B1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셔터장치
CN202472191U (zh) 手机相机的快门装置
KR100935533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693500B1 (ko) 슬라이드를 이용한 줌 레벨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92492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WO2009022777A1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KR101249462B1 (ko) 초소형 셔터장치의 액추에이터
KR100467654B1 (ko)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38574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893284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00130386A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