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925B1 - 카메라용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925B1
KR100924925B1 KR1020080009839A KR20080009839A KR100924925B1 KR 100924925 B1 KR100924925 B1 KR 100924925B1 KR 1020080009839 A KR1020080009839 A KR 1020080009839A KR 20080009839 A KR20080009839 A KR 20080009839A KR 100924925 B1 KR100924925 B1 KR 10092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bobbin
electromagnets
driv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819A (ko
Inventor
임대순
김경호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925B1/ko
Priority to PCT/KR2008/000915 priority patent/WO2009022777A1/en
Publication of KR2009008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휴대폰, 소형가전, 셔터

Description

카메라용 셔터장치{Shutter apparatus for camera}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PDA(Personal Disital Assistant),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카메라 기능이 결합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은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셔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인 핸드폰의 카메라가 고화질화 되면서 기계식 셔터의 채용이 필수적이다. 핸드폰을 슬림화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슬림화도 필수적이므로 셔터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카메라 유닛은 좋은 품질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셔터의 동작속도를 가능한 한 빠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 셔터장치는 셔터의 빠른 구동속도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셔터에 소정 구동력을 전가하 기 위한 비교적 큰 사이즈를 갖는 동력원을 채용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셔터장치는 물론 렌즈유닛 전체의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휴대용 디지털 기기 전체의 사이즈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셔터의 구동 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유지하여 휴대폰 등의 디지털 소형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전자석은 제1 보빈과 제1 보빈에 권취된 제1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이 양측으로 분지된 제1 및 제2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자석은 제2 보빈과 제2 보빈에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이 양측으로 분지된 제3 및 제4 자극발생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과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N극 및 S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타측에 S극 및 N극의 자극이 착자되거나, 상기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S극 및 N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타측에 N극 및 S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또한 상기 제1 전자석은 제1 보빈과 제1 보빈에 권취된 제1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석은 제2 보빈과 제2 보빈에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양측으로 분지된 2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1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1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양측으로 분지된 2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틱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한쌍씩 N극 및 S극의 서로 다른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착자된 한쌍의 자극과 상기 마그네틱의 타측에 착자된 한쌍의 자극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자극이 서로 상이한 극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대응하는 측에 각각 N극 및 S극, 혹은 S극 및 N극의 자극이 착자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마그네틱의 양측에 각각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의 일측에는 각각 동시에 동일한 자극이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제1 전자석은 제1 하측보빈 및 상기 제1 하측보빈의 상측에 안착된 제1 상측보빈과, 상기 제1 하측 및 상측보빈에 함께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전자석은 제2 하측보빈 및 상기 제2 하측보빈의 상측에 안착된 제2 상측보빈과, 상기 제2 하측 및 상측보빈에 함께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1 마그네틱과, 상기 제1 및 제2 상측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2 마그네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에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N극 및 S극, 혹은 S극 및 N극 의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2 상측보빈에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N극 및 S극, 혹은 S극 및 N극 의 자극이 착자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양측에 각각 착자되어 상하로 서로 마주하는 자극은 서로 마주하는 자극이 상이한 자극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양측에 각각 착자되어 상하로 서로 마주하는 자극은 서로 편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 중 어느 하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절곡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은 상기 제1 마그네틱과 마주하는 일측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측보빈은 상기 제2 마그네틱 과 마주하는 일측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 일측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전자석에 인접하게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취된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이 양방향으로 각각 분지되어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인접한 한쌍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은 일측, 혹은 양단에 각각 N극 및 S극이 착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일 마그네틱이 양측에서 각각 동시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마그네틱 양측에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작용함에 따라, 구동아암에 연결된 제1 및 제2 셔터를 더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소형기기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서 고해상도의 선명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한쌍의 전자석을 소형화하고 아울러 단일의 마그네틱 만을 사용함으로써 셔터장치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베이스(10), 제1 및 제2 전자석(220a,220b), 구동아암(230), 마그네틱(235),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40), 제1 및 제2 셔터(50,6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일측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와 이 몸체부(11) 일측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18)를 포함한다.
몸체부(11)는 상면에 제1 및 제2 셔터(50,6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며, 중앙에 빛이 투과하는 제1 광투과공(11a)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1)는 몸체부(11) 상측에 배치되는 FPCB(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15)가 외주 선단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몸체부(11)는 연장부(18)에 인접한 측에 제1 및 제2 셔터의 힌지축 역할을 하는 고정축(16)이 형성된다. 더욱이, 몸체부(11)는 제1 및 제2 셔터(50,60)가 몸체부(11)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선회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및 제2 걸림부(11b,11c)가 몸체부(11) 일주변에 돌출 형성된다.
연장부(18)는 구동아암(230)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구동아암(230)과 함께 제1 및 제2 전자석(220a,220b)이 설치된다.
제1 전자석(220a)은 제1 보빈(221) 및 제1 코일부(222)를 포함한다. 제1 보빈(221)은 일측이 양측으로 각각 분지된 제1 및 제2 자극발생단(221a,221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코일부(222)가 권취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자극발생단(221a,221b) 간의 간격은 상기 마그네틱의 길이와 같거나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자석(220b)은 제1 광투과공(11a)을 중심으로 제1 전자석(20a)에 대칭 배치된다. 제2 전자석(220b)은 제1 전자석(220a)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전자석(220b)은 제2 보빈(223) 및 제2 코일부(224)를 포함한다. 제2 보빈(223)은 일측이 양측으로 각각 분지된 제3 및 제4 자극발생단(223a,223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코일부(224)가 권취된다. 이 경우, 제3 및 제4 자극발생단(223a,223b) 간의 간격은 제1 보빈(221)의 제1 및 제2 자극발생단(221a,221b) 간의 간격과 마찬가지로 마그네틱(235)의 길이와 같거나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아암(230)은 연장부(18)의 결합구멍(19)에 선회 가능하도록 일측 상/하단에 제1 및 제2 힌지돌기(231,232)가 각각 형성되며, 타측 상단에는 연결돌기(23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돌기(233)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구동아암(230)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 시 고정축(16)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셔터(50,60)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선회시킨다.
마그네틱(235)은 구동아암(230)의 회전부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멍(234)에 고정되며, 이 경우 자기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보빈(221,223)의 제1 내지 제4 자극발생단(221a,221b; 223a,223b)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마그네틱(235)은 양단이 삽입구멍(234)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 상태로 삽입구멍(234)에 고정된다.
또한, 마그네틱(235)은 양측(235a,235b)에 N극 및 S극의 2개 자극이 각각 착자되며, 양측(235a,235b)이 배치된 각각 2개의 자극은 서로 상이한 자극이 마주하도록 착자된다. 즉, 도 2와 같이,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221a,223a)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틱(235)의 일측(235a)은 제1 자극발생단(221a)과 마주하는 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제3 자극발생단(223a)과 마주하는 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또한,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221b,223b)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틱(235)의 타측(235b)은 제2 자극발생단(221b)에 마주하는 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제4 자극발생단(223b)에 마주하는 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이러한 마그네틱(235)은 착자된 자극의 위치가 마그네틱(235)의 제1 내지 제4 자극발생단(221a,221b,223a,223b)에 인접한 마그네틱(235)의 양면에 각각 면 착자방식으로 착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PCB(40)는 소정의 회로부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코일부(222,224)에 인가되는 전류를 인가한다. 이 FPCB(40)는 주변을 따라 몸체부(11)의 다수의 고정돌기(15)가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홈(45)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셔터(50,60)을 커버한 상태로 몸체부(11)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FBCB(40)는 중앙부분에 제1 광투과 공(11a) 보다 작거나 같은 지름을 갖는 제2 관통구멍(40a)이 형성된다. 또한 FPCB(40)는 몸체부(11)의 고정축(16)이 삽입되는 고정구멍(41)과, 구동아암(230)의 연결돌기(23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43)이 형성된다. 이 경우 장공(43)의 길이는 구동아암(230)의 선회 각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FPCB(40)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FPCB(40)대신에 통상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커버로 대체하고, 제1 및 제2 코일부(222,224)는 카메라 본체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1 셔터(50)는 제1 고정구멍(51), 제1 장공(53) 및 제1 요홈부(55)를 포함한다. 제1 고정구멍(51)에는 제1 셔터(50)의 선회중심이 되는 고정축(16)이 힌지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장공(53)에는 구동아암(230) 선회 시 구동아암(230)의 선회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제1 셔터(50)를 선회시키기 위해 연결돌기(23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장공(53)은 제1 고정구멍(51)에 인접한 제1 셔터(50)의 일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셔터(50)는 제1 셔터(50)의 선회방향의 일측에 제1 광투과공(11a)의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 제1 요홈부(55)가 형성되며, 이는 제1 요홈부(55)가 제2 광투과공(40a)의 원주와 일치된 상태에서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1 셔터(50)는 제1 장공(53)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1 요홈부(55)가 제2 광투과공(40a)의 원주와 일치된 상태까지 그 선회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셔터(60)는 제1 셔터(50)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제1 셔터(50)와 같이 제2 고정구멍(61), 제2 장공(63) 및 제2 요홈부(6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고정구멍(61)에는 제1 고정구멍(51)에 삽입되는 고정축(16)가 힌지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 장공(63)에는 제1 장공(53)에 삽입된 구동아암(230)의 연결돌기(23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제2 장공(63)은 제2 고정구멍(61)에 인접한 제2 셔터(60)의 일 부분에 형성된다.
더욱이 제2 셔터(60)는 제1 셔터(50)와 마찬가지로 제2 셔터(60)의 선회방향의 일측에 제2 광투과공(40a)의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을 갖는 제2 요홈부(65)가 형성되며 이는, 제2 요홈부(65)가 제2 광투과공(40a)의 원주와 일치된 상태에서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2 셔터(60)는 제2 장공(63)의 길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2 요홈부(65)가 제2 광투과공(40a)의 원주와 일치된 상태까지 그 선회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3 및 도 4는 제1 및 제2 셔터(50,60)의 동작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FPCB(40)를 생략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FPCB(40)의 제2 광투과공(40a)은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예를 들면, 카메라(미도시)를 온(on) 시키거나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미도시)의 경우 촬영모드로 설정할 경우, 제2 광투과공(40a)이 제1 및 제2 셔터(50,6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가 광에 비노출되는 초기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진촬영을 위해 셔터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순간적으로 제1 및 제2 셔터(50,60)가 선회하면서 도 4와 같이,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개방한다. 이하에, 이와 같이 제2 광투과공(40a)이 폐쇄된 상태(도 3 참조)에서 완전 개방된 상태(도 4 참조)로 전환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전자석(220a,220b)의 제1 및 제2 코일부(222,224)에 동일방향의 전류가 동시에 인가되면, 마그네틱(235)에 인접한 제1 및 제2 보빈(221,223)의 제1 내지 제4 자극발생단(221a,221b; 223a,223b)에는 동시에 동일한 자극 즉, S극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마그네틱(235)의 일측(235a)의 S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1 보빈(221)의 제1 자극발생단(221a)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고, 마그네틱(235)의 일측(235a)의 N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2 보빈(223)의 제3 자극발생단(223a)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마그네틱(235) 타측(235b)의 N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1 보빈(221)의 제2 자극발생단(221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마그네틱(235)의 타측(235)의 S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2 보빈(223)의 제4 자극발생단(223b) 사이에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아암(230)은 제1 및 제2 힌지돌기(231,232, 도 2 참고)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연결돌기(233)는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셔터(5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제2 셔터(6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제1 및 제2 요홈부(55,65)가 제2 광투과공(40a) 과 동심원으로 배치되면서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개방한다.
그 후, 제2 광투과공(40a)을 폐쇄하는 과정 즉, 도 4에서 도 3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코일부(222,224)에 제2 광투과공(40a)이 개방될 때의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면, 도 3과 같이, 마그네틱(235)의 양측(235a,235b)에 인접한 제1 및 제2 보빈(221,223)의 제1 내지 제4 자극발생단(221a,221b; 223a,223b)에는 동시에 동일한 자극 즉, N극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마그네틱(235)의 일측(235a)의 S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1 보빈(221)의 제1 자극발생단(221a)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마그네틱(235)의 일측(235a)의 N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2 보빈(223)의 제3 자극발생단(223a) 사이에 척력이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마그네틱(235) 타측(235b)의 N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1 보빈(221)의 제2 자극발생단(221b)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고, 마그네틱(235)의 타측(235b)의 S극이 착자된 부분과 제2 보빈(223)의 제4 자극발생단(223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아암(230)은 제1 및 제2 힌지돌기(231,232, 도 2 참고)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구동아암(230)의 연결돌기(233)가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셔터(5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제2 셔터(6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폐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는, 단일 마그네틱(35) 양측(235a,235b)에 각각 인접한 제1 및 제2 보빈(221,223)의 제1 내지 제4 자극발생단(221a,221b; 223a,223b) 즉, 총 4곳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마그네틱(235)의 양측에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케 하여 구동아암(230)의 선회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셔터장치는 제1 및 2 셔터(50,60)의 스피드를 증가시켜 고해상도의 선명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제1 보빈(221)에 제1 및 제2 자극발생단(221a,221b)을 구비하고, 제2 보빈(223)에 제3 및 제4 자극발생단(223a,223b)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보빈(221,223)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분지된 자극발생단을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는 2개의 분지된 자극발생단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 하에서 제1 및 제2 셔터(50,60)를 구동하는 경우, 하나의 자극발생단을 갖는 보빈에 의해 제1 및 제2 전자석(220a,220b)의 자극 전환 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줄여 제1 및 제2 셔터(50,60)의 구동 딜레이 타임(delay time)을 최소화 함에 따라 제1 및 제2 셔터(50,6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자석(220a,220b)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전자석(220a,220b)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마그네틱은 N극 및 S극이 일측면에 착자되는 면2극 착자된 마그네틱을 사용하거나, 또는 N극 및 S극이 양단에 착자되는 통상의 막대형 마그네틱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 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이며, 다만 제1 및 제2 전자석(320a,320b)과, 마그네틱(335)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다. 따라서, 도 5를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를 설명하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셔터장치의 제1 전자석(320a)은 제1 보빈(321)과 제1 보빈(321)에 권취된 제1 코일부(322)를 포함한다. 마그네틱(335)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보빈(321)의 일측에는 제1 코일부(322)에 의해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N극 또는 S극의 자극이 형성된다.
제2 전자석(320b)은 제1 전자석(320a)과 마찬가지로, 제2 보빈(323)과 제2 보빈(323)에 권취된 제2 코일부(324)를 포함한다. 마그네틱(335)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보빈(323)의 일측에는 제2 코일부(324)에 의해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N극 또는 S극의 자극이 형성된다.
마그네틱(335)은 링형으로 형성되며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이 착자된다. 즉, 도 5와 같이, 제1 보빈(321)에 인접한 일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제2 보빈(323)에 인접한 타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셔터장치의 작용을 도 6 및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진촬영을 위해 셔터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순간적으로 제1 및 제2 셔터(50,60)가 선회하면서 도 7과 같이,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개방한다. 이하에, 제2 광투과공(40a)이 폐쇄된 상태(도 6 참조)에서 완전 개방된 상태(도 7 참조)로 전환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전자석(320a,320b)의 제1 및 제2 코일부(322,324)에 동시에 동일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틱(335)에 인접한 제1 및 제2 보빈(321,323)의 일측에는 동시에 동일한 자극 즉, N극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마그네틱(335)의 N극이 착자된 일측과 제1 보빈(321)의 N극이 형성된 일측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마그네틱(335) S극이 착자된 타측과 제2 보빈(323)의 N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아암(330)은 제1 및 제2 힌지돌기(331,332, 도 5 참고)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연결돌기(333)는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셔터(5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제2 셔터(6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제1 및 제2 요홈부(55,65)가 제2 광투과공(40a)과 동심원으로 배치되면서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개방한다.
그 후, 제2 광투과공(40a)을 폐쇄하는 과정 즉, 도 7에서 도 6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코일부(322,324)에 제2 광투과공(40a)이 개방될 때의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면, 도 6과 같이, 마그네틱(335)에 인접한 제1 및 제2 보빈(321,323)의 일측에는 동시에 동일한 자극 즉, S극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마그네틱(335)의 N극이 착자된 일측과 제1 보빈(321)의 S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마그네틱(335) S극이 착자된 타측과 제2 보빈(323)의 S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아암(330)은 제1 및 제2 힌지돌기(331,332, 도 5 참고)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구동아암(330)의 연결돌기(333)가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셔터(5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제2 셔터(6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폐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틱(335)의 양측에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케 하여 구동아암의 선회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이며, 다만 제1 및 제2 전자석(420a,420b)과, 제1 및 제2 마그네틱(435a,435b)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다. 따라서, 도 8을 참고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를 설명하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의 제1 전자석(420a)은 상하로 겹치게 배치된 제1 하측보빈(421a), 제1 상측보빈(421b)과, 서로 겹쳐진 제1 하측 및 상측보빈(421a,421b)에 권취된 제1 코일부(422)를 포함한다. 마그네틱(435)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하측 및 상측보빈(421a,421b)의 일측에는 제1 코일부(422)에 의해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N극 또는 S극의 자극이 형성된다.
제2 전자석(420b)은, 제1 전자석(420a)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겹치게 배치된 제2 하측보빈(423a), 제2 상측보빈(423b)과, 서로 겹쳐진 제2 하측 및 상측보빈(423a,423b)에 권취된 제2 코일부(424)를 포함한다. 마그네틱(435)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하측 및 상측보빈(423a,423b)의 일측에는 제2 코일부(424)에 의해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동시에 동일한 N극 또는 S극의 자극이 형성된다.
제1 마그네틱(435a)은 구동아암(430)의 회전부 하측에 배치되고, 링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마그네틱(435a)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이 착자된다. 즉, 도 8과 같이, 제1 마그네틱(435a)은 제1 하측보빈(421a)에 인접한 일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제2 하측보빈(423a)에 인접한 타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제2 마그네틱(435b)은 구동아암(430)의 회전부 상측에 배치되고, 대략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막대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2 마그네틱(435b)은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자극이 착자된다. 즉, 제2 마그네틱(435b)은 도 8과 같이, 제1 상측보빈(421b)에 인접한 일측에 N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제2 상측보빈(423b)에 인접한 타측에 S극의 자극이 착자된다. 결국, 제1 및 제2 마그네틱(435a,435b)은 상하측의 자극이 서로 다른 자극이 위치하도록 서로 상하로 겹쳐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마그네틱(435b)은 양측의 N극 및 S극이 제1 마그네틱(435a)의 N극 및 S극의 중심과 서로 편향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함께, 제1 상측 및 하측보빈(421a,421b)의 일측이 서로 어긋나도록 설정되고, 제2 상측 및 하측보빈(421b,423b)의 일측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및 제2 하측보빈(421a,423a)은 제1 마그네틱(435a)과 마주하는 일측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형성되고, 제1 및 제2 상측보빈(421b,423b)은 제2 마그네틱(435b)과 마주하는 일측이 각각 제1 및 제2 하측보빈(421a,423a)의 일측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 형성된다.
이로써, 제1 마그네틱(435a)이 제1 및 제2 상측보빈(421b,423b)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2 마그네틱(435b)이 제1 및 제2 하측보빈(421a,423a)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함에 따라, 구동아암(430)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셔터장치의 작용을 도 9 내지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및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진촬영을 위해 셔터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순간적으로 제1 및 제2 셔터(50,60)가 선회하면서 도 7과 같이,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개방한다. 이하에, 이와 같이 제2 광투과공(40a)이 폐쇄된 상태(도 9 및 10 참조)에서 완전 개방된 상태(도 11 및 12 참조)로 전환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전자석(420a,420b)의 제1 및 제2 코일부(422,424)에 동시에 동일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11 및 12와 같이, 제1 하측 및 상측보 빈(421a,421b)의 일측과 제2 하측 및 상측보빈(423a,423b)의 일측에는 동시에 동일한 자극 즉, N극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틱(435a)의 S극이 착자된 일측과 제1 하측보빈(421a)의 N극이 형성된 일측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마그네틱(435a)의 N극이 착자된 타측과 제2 하측보빈(323a)의 N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척력이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마그네틱(435b)의 N극이 착자된 일측과 제1 상측보빈(421b)의 N극이 형성된 일측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2 마그네틱(435b)의 S극이 착자된 타측과 제2 상측보빈(423b)의 N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아암(430)은 제1 및 제2 힌지돌기(431,432, 도 8 참고)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연결돌기(433)는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셔터(5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제2 셔터(6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제1 및 제2 요홈부(55,65)가 제2 광투과공(40a)과 동심원으로 배치되면서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개방한다.
그 후, 제2 광투과공(40a)을 폐쇄하는 과정 즉, 도 11에서 도 9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코일부(422,424)에 제2 광투과공(40a)이 개방될 때의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면, 도 9 및 10과 같이, 제1 및 하측 및 상측보빈(421a,421b)의 일측과 제2 및 하측 및 상측보빈(423a,423b)의 일측에는 동시에 동일한 자극 즉, S극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틱(435a)의 S극이 착자된 일측과 제1 하측보빈(421a)의 S극이 형성된 일측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마그네틱(435a)의 N극이 착자된 타측과 제2 하측보빈(323a)의 S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마그네틱(435b)의 N극이 착자된 일측과 제1 상측보빈(421b)의 S극이 형성된 일측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2 마그네틱(435b)의 S극이 착자된 타측과 제2 상측보빈(423b)의 S극이 형성된 일측 사이에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구동아암(430)은 제1 및 제2 힌지돌기(431,432, 도 8 참고)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연결돌기(433)는 제1 및 제2 셔터(50,60)의 제1 및 제2 장공(53,6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셔터(5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동시에 제2 셔터(60)는 고정축(1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제1 및 제2 요홈부(55,65)가 제2 광투과공(40a)과 동심원으로 배치되면서 제2 광투과공(40a)을 완전히 폐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셔터장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마그네틱(435a,435b)의 양측의 4곳에서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발생케 하여 구동아암(430)의 선회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마그네틱이 몸체부 상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셔터가 각각 광투과공을 폐쇄 및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셔터가 각각 광투과공을 폐쇄 및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 셔터가 광투과공을 폐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 셔터가 광투과공을 개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은 도 11에 표시된 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베이스 11: 몸체부
50: 제1 셔터 60: 제2 셔터
220a, 320a, 420a: 제1 전자석 220b, 320b, 420b: 제2 전자석
230,330,340: 구동아암

Claims (16)

  1. 삭제
  2.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은 상기 마그네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며,
    상기 제1 전자석은 제1 보빈과 제1 보빈에 권취된 제1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이 양측으로 분지된 제1 및 제2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자석은 제2 보빈과 제2 보빈에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이 양측으로 분지된 제3 및 제4 자극발생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과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N극 및 S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타측에 S극 및 N극의 자극이 착자되거나,
    상기 제1 및 제3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S극 및 N극의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및 제4 자극발생단 사이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틱의 타측에 N극 및 S극의 자극이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4.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은 상기 마그네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며,
    상기 제1 전자석은 제1 보빈과 제1 보빈에 권취된 제1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석은 제2 보빈과 제2 보빈에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양측으로 분지된 2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1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1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마그네틱에 인접한 일측에 양측으로 분지된 2개의 자극발생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한쌍씩 N극 및 S극의 서로 다른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마그네틱의 일측에 착자된 한쌍의 자극과 상기 마그네틱의 타측에 착자된 한쌍의 자극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자극이 서로 상이한 극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6.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은 상기 마그네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며,
    상기 마그네틱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대응하는 측에 각각 N극 및 S극, 혹은 S극 및 N극의 자극이 착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의 양측에 각각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의 일측에는 각각 동시에 동일한 자극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8. 빛을 통과시켜 필름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를 노광시키기 위한 광투과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되는 제1 및 제2 전자석; 상기 베이스 일측의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 상기 구동아암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일부를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면서 상기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셔터; 및, 상기 구동아암 일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은 상기 마그네틱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아암은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에 전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자석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를 작동하며,
    상기 제1 전자석은 제1 하측보빈 및 상기 제1 하측보빈의 상측에 안착된 제1 상측보빈과, 상기 제1 하측 및 상측보빈에 함께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전자석은 제2 하측보빈 및 상기 제2 하측보빈의 상측에 안착된 제2 상측보빈과, 상기 제2 하측 및 상측보빈에 함께 권취된 제2 코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1 마그네틱과, 상기 제1 및 제2 상측보빈 사이에 배치된 제2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에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N극 및 S극, 혹은 S극 및 N극 의 자극이 착자되고,
    상기 제2 마그네틱은 상기 제1 및 제2 상측보빈에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N극 및 S극, 혹은 S극 및 N극 의 자극이 착자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양측에 각각 착자되어 상하로 서로 마주하는 자극은 서로 마주하는 자극이 상이한 자극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양측에 각각 착자되어 상하로 서로 마주하는 자극은 서로 편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틱 중 어느 하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절곡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은 상기 제1 마그네틱과 마주하는 일측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측보빈은 상기 제2 마그네틱과 마주하는 일측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측보빈 일측의 절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09839A 2007-08-14 2008-01-30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2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39A KR100924925B1 (ko) 2008-01-30 2008-01-30 카메라용 셔터장치
PCT/KR2008/000915 WO2009022777A1 (en) 2007-08-14 2008-02-15 Shutter device for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839A KR100924925B1 (ko) 2008-01-30 2008-01-30 카메라용 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819A KR20090083819A (ko) 2009-08-04
KR100924925B1 true KR100924925B1 (ko) 2009-11-05

Family

ID=4120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839A KR100924925B1 (ko) 2007-08-14 2008-01-30 카메라용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9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079A (ja) * 2001-12-17 2003-07-03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04032873A (ja) 2002-06-25 2004-01-29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04109933A (ja) 2002-09-20 2004-04-08 Nidec Copal Corp デジタル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04194403A (ja) 2002-12-10 2004-07-08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079A (ja) * 2001-12-17 2003-07-03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04032873A (ja) 2002-06-25 2004-01-29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04109933A (ja) 2002-09-20 2004-04-08 Nidec Copal Corp デジタル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2004194403A (ja) 2002-12-10 2004-07-08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819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433A1 (en) Shutter driv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US20100329664A1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US8337102B2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KR20120133910A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KR100891282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80105970A (ko) 조리개장치
KR10092492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8979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WO2009022777A1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KR100901997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67803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35533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US20230171497A1 (en) Camera module
KR100917581B1 (ko)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38574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678042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5003764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66770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080105880A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CN202472191U (zh) 手机相机的快门装置
KR2003383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916236B1 (ko)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00130386A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893284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1831950B1 (ko) 초박형 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