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770B1 - 카메라용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770B1
KR100866770B1 KR1020070023659A KR20070023659A KR100866770B1 KR 100866770 B1 KR100866770 B1 KR 100866770B1 KR 1020070023659 A KR1020070023659 A KR 1020070023659A KR 20070023659 A KR20070023659 A KR 20070023659A KR 100866770 B1 KR100866770 B1 KR 10086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aperture
electromagnet
base plate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839A (ko
Inventor
임대순
김경호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7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52Barrel 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대형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의 상면에 겹친 상태로 셔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형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셔터, 베이스판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셔터가 셔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셔터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셔터 구동부, 및 셔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셔터 전자석을 포함한다.
셔터, 조리개, 전자석, 영구자석, 광투과공

Description

카메라용 셔터장치{Shutter apparatus for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카메라용 셔터장치에서 제1 및 제2셔터가 대형 광투과공을 막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카메라용 셔터장치에서 대형 광투과공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카메라용 셔터장치에서 제1 및 제2셔터에 의해 소형 광투과공이 막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용 셔터장치 3; 제어부
5; 셔터 구동유닛 7; 조리개 구동유닛
10; 베이스판 11; 대형 광투과공
19; 커버 20; 제1셔터
23; 제1셔터 장공 27; 셔터 회전축
30; 제2셔터 33; 제2셔터 장공
40; 조리개 43; 조리개 장공
47; 조리개 회전축 50; 셔터 구동부
57; 셔터 영구자석 60; 셔터 전자석
70; 조리개 구동부 77; 조리개 영구자석
80; 조리개 전자석 90; 구동유닛 프레임
93; 셔터 안내홈 94; 조리개 안내홈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게임기, PDA(Personal Disital Assistant),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카메라 기능이 결합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은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셔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인 핸드폰의 카메라가 고화질화 되면서 기계식 셔터의 채용이 필수적이다. 핸드폰을 슬림화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슬림화도 필수적이므로 셔터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카메라 유닛은 좋은 품질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셔터의 동작속도를 가능한 한 빠르 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 유닛은 소형화를 위해 셔터 장치는 빛이 들어오는 구멍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없고 항상 일정한 크기를 갖는 고정 조리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 조리개를 갖는 셔터 장치를 사용하면, 촬영장소의 조명에 따라 카메라 유닛으로 인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고화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면서 동작속도가 빠른 셔터를 갖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겹친 상태로 셔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대형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셔터;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셔터가 상기 셔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셔터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셔터 구동부; 및 상기 셔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셔터 전자석;을 포함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셔터의 일단에는 각각 셔터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에는 상기 셔터 장공에 삽입되는 셔터 안내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셔터의 상측에 조리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형 광투과공을 갖는 조리개;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개가 상기 조리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조리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조리개 구동부; 및 상기 조리개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조리개 전자석;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조리개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조리개 구동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리개의 일단에는 조리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개 구동부에는 상기 조리개 장공에 삽입되는 조리개 안내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전자석과 조리개 전자석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셔터 구동부와 조리개 구동부의 회전축은 동축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1)는 베이스판(10), 제1셔터(20), 제2셔터(30), 셔터 구동유닛(5), 조리개(40), 조리개 구동유닛(7), 구동유닛 프레임(90), 및 제어부(3)를 포함한다.
베이스판(10)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빛이 통과하는 대형 광투과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10)의 아래에는 촬상면(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 대형 광투과공(11)을 통과한 빛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맺히게 된다.
베이스판(10)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셔터(20,30)의 동작범위를 제한하는 셔터 홈(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판(10)의 상면에 대형 광투과공(11)의 일측으로는 조리개(40)의 동작범위를 제한하는 조리개 스토퍼(15)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셔터(20,30)는 셔터 구동부(5)의 동작에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떨어지면서 대형 광투과공(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1셔터(20)는 베이스판(10)의 상면에 베이스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베이스판(10)에 셔터 회전축(27)이 형성되고, 제1셔터(20)에는 셔터 회전축(27)에 삽입될 수 있는 제1셔터 구멍(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셔터(20)의 제1셔터 구멍(21)을 셔터 회전축(27)에 삽입하면, 제1셔터(20)는 베이스판(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셔터 구멍(21)의 일측으로 제1셔터(20)에는 제1셔터 장공(23)이 형성되고, 반대측은 제2셔터(30)와 일부가 겹쳐질 때 베이스판(10)의 대형 광투과공(11)을 막을 수 있고, 제2셔터(30)와 서로 멀어질 때는 대형 광투과공(11)을 가리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셔터(30)는 제1셔터(20)의 상측으로 베이스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셔터(20)와 대략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셔터(30)는 제1셔터(20)가 삽입된 셔터 회전축(27)에 삽입되는 제2셔터 구멍(31)이 형성된다. 제2셔터 구멍(31)의 일측으로 제2셔터(30)에는 제2셔터 장공(33)이 형성되고, 반대측은 제1셔터(20)와 일부가 겹쳐지면 베이스판(10)의 대형 광투과공(11)을 막을 수 있고, 제1셔터(20)와 멀어질 때는 대형 광투과공(11)을 가리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셔터 구동유닛(5)은 제1 및 제2셔터(20,30)가 셔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판(10)의 대형 광투과공(11)을 개폐한다. 셔터 구동유닛(5)은 셔터 구동부(50)와 셔터 전자석(60)을 포함한다.
셔터 구동부(50)는 일단이 베이스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셔터(20,3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셔터(20,30)가 셔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셔터 구동부(50)는 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구동축(59)에 삽입되는 셔터구동 구멍(5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1셔터(20)의 제1셔터 장공(23)과 제2셔터(30)의 제2셔터 장공(33)에 삽입되는 셔터 안내핀(53)이 형성된다. 셔터 구동부(50)가 구동축(59)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에서 이동하면 셔터 안내핀(53)에 의해 제1 및 제2셔터(20,30)가 셔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동시에 소정 각도 회전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셔터(20,30)가 서로 겹쳐졌다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셔터 구동부(50)의 셔터 안내핀(53)의 하측으로는 셔터 영구자석(57) 이 설치되는 자석안치 홈(55)이 형성된다. 셔터 영구자석(57)은 막대자석으로 형성되어 셔터 구동부(50)의 자석안치 홈(55)에 고정된다. 셔터 영구자석(57)이 자석안치 홈(55)에 설치되었을 때, 셔터 영구자석(57)의 대략 절반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로 노출되는 셔터 영구자석(57)의 돌출부의 자극은 S극, N극중 어느 것으로 하여도 좋다.
셔터 전자석(60)은 셔터 영구자석(57)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셔터 영구자석(57)에 자력을 인가하여 셔터 구동부(50)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셔터 전자석(60)은 보빈(61)과 보빈(61)에 권선된 코일(6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전자석(60)의 보빈(61)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ㄷ"자의 보빈 중앙부(67)에는 코일(63)이 감겨 있다. 이와 같은 보빈(61)은 자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 구동부(50)에 설치된 셔터 영구자석(57)은 셔터 전자석(60)의 "ㄷ"자의 양팔(65,66)의 사이에 위치하며, 양팔(65,66) 중의 어느 한쪽 팔에 셔터 영구자석(57)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구동부(50)는 셔터 전자석(60)의 보빈(61)의 양팔(65,66)에 형성되는 자극에 따라 셔터 전자석(60)의 양팔(65,66) 내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조리개(40)는 소형 광투과공(45)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셔터(20,30)의 상측에 베이스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리개(40)는 제1 및 제2셔터(20,30)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리개(40)는 베이스판(10)의 상면에 형성된 조리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리개(40)에는 조리개 회전축(47)에 삽입되는 조리개 구멍(41)이 형성된다. 소형 광투과공(45)은 대형 광투과공(11)보다 지름이 작으며, 조리개(40)가 회전하여 대형 광투과공(11)을 막을 경우에 조리개 스토퍼(15)에 의해 조리개(40)의 소형 광투과공(45)의 중심이 대형 광투과공(11)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개(40)가 대형 광투과공(11) 위치에 오면 촬상면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든다. 조리개 구멍(41)의 반대 측에는 조리개 안내핀(73)이 삽입되는 조리개 장공(43)이 형성된다.
조리개 구동유닛(7)은 조리개(40)가 조리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판(10)의 대형 광투과공(11) 위에 소형 광투과공(45)이 위치하도록 한다. 조리개 구동유닛(7)은 조리개 구동부(70)와 조리개 전자석(80)을 포함한다.
조리개 구동부(70)는 일단이 베이스판(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조리개(40)에 연결되어 조리개(40)가 조리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조리개 구동부(70)는 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구동축(59)에 삽입되는 조리개구동 구멍(7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조리개 장공(43)에 삽입되는 조리개 안내핀(73)이 형성된다. 조리개 구동부(70)가 구동축(59)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에서 이동하면 조리개 안내핀(73)에 의해 조리개(40)가 조리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조리개 구동부(70)는 셔터 구동부(50)와 동일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 구동부(70)의 조리개구동 구멍(71)은 셔터 구동부(50)의 구동축(59)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조리개 구동부(70)의 조리개 안내핀(73)의 하측으로는 조리개 영구자석(77)이 설치되는 자석안치 홈(75)이 형성된다. 조리개 영구자석(77)은 셔터 영구자석(57)과 유사하게 막대자석으로 형성되어 조리개 구동부(70)의 자석안치 홈(75)에 고정된다. 조리개 영구자석(77)이 자석안치 홈(75)에 설치되었을 때, 조리개 영구자석(77)의 대략 절반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로 노출되는 조리개 영구자석(77)의 돌출부의 자극은 S극, N극중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조리개 전자석(80)은 조리개 영구자석(77) 돌출부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조리개 영구자석(77)에 자력을 가하여 조리개 구동부(70)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조리개 전자석(80)의 구조는 상술한 셔터 전자석(60)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조리개 구동부(70)에 설치된 조리개 영구자석(77)은 조리개 전자석(80)의 "ㄷ"자의 양팔(85,86)의 사이에 위치하며, 조리개 전자석(80)의 양팔(85,86) 중 어느 한 팔에 자력에 의해 당겨져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조리개 구동부(70)는 조리개 전자석(80)에 형성되는 자극에 따라 조리개 전자석(80)의 양팔(85,86) 내에서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셔터(20,30)와 조리개(40) 사이에는 제1 및 제2셔터(20,30)가 동작하거나 조리개(40)가 동작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중간판(1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필름으로 중간판(17)을 형성하였다. 중간판(17)에는 베이스판(10)에 형성된 대형 광투과공(11)에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17a)이 형성된다.
또한, 조리개(40)의 상측으로는 조리개(4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9)가 설 치된다. 커버(19)에는 대형 광투과공(11)에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19a)이 형성된다.
구동유닛 프레임(90)은 베이스판(10)의 일측에 베이스판(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셔터 구동유닛(5)과 조리개 구동유닛(7)의 구동축(59)과 셔터 전자석(60) 및 조리개 전자석(80)을 지지한다. 조립의 편리성을 위해 구동유닛 프레임(90)은 상부 구동유닛 프레임(91)과 하부 구동유닛 프레임(92)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구동유닛 프레임(91)은 베이스판(10)과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 구동유닛 프레임(92)은 상부 구동유닛 프레임(91)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베이스판(10)과 이어지는 상부 구동유닛 프레임(91)의 상면에는 각각 셔터 안내핀(53)과 조리개 안내핀(73)의 이동을 안내하는 셔터 안내홈(93)과 조리개 안내홈(94)이 형성된다. 셔터 안내홈(93)과 조리개 안내홈(94)의 사이에는 구동축(59)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 고정홈(95)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구동유닛 프레임(92)에는 셔터 전자석(60)과 조리개 전자석(80)을 고정하는 셔터 전자석 고정홈(96)과 조리개 전자석 고정홈(97)이 형성되고, 셔터 전자석 고정홈(96)과 조리개 전자석 고정홈(97) 사이의 하부 구동유닛 프레임(92)의 하면에는 구동축(59)의 하단을 고정하는 하단 고정홈(98)이 형성된다.
제어부(3)는 셔터 전자석(60)과 조리개 전자석(80)의 코일(63,83)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셔터 전자석(60)의 양팔(65,66)과 조리개 전자석(80)의 양팔(85,86)에 유도되는 자극을 제어한다. 제어부(3)는 PCB 기판으로 형성하여 하부 구동유닛 프레임(92)의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1)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셔터를 작동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셔터가 작동하기 전에 제1 및 제2셔터(20,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부가 겹쳐져서 베이스판(10)의 상면에 형성된 대형 광투과공(11)을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빛은 대형 광투과공(11)을 통해 촬상면으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때, 셔터 구동부(50)의 셔터 안내핀(53)은 베이스판(10), 즉 구동유닛 프레임(90)의 셔터 안내홈(93)의 제2위치(93b)에 위치하고 있다. 즉, 셔터 구동부(50)의 셔터 영구자석(57)의 돌출부는 셔터 전자석(60)의 양팔(65,66) 중 제2팔(66)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3)가 셔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는 셔터 전자석(60)으로 전류를 흘린다. 만일, 셔터 구동부(50)의 셔터 영구자석(57)의 돌출부(57a)의 자극이 S극인 경우에, 제어부(3)는 셔터 전자석(60)의 제2팔(66)이 S극이 되고 제1팔(65)이 N극이 되도록 셔터 전자석(60)의 코일(63)에 전류를 흘린다. 그러면, S극인 셔터 영구자석(57)의 돌출부가 셔터 전자석(60)의 제2팔(66)의 S극에 의해 척력을 받고 제1팔(65)의 N극에 의해 인력을 받아 제1팔(65)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 영구자석(57)은 셔터 구동부(5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셔터 구동부(50)가 구동축(59)을 중심으로 셔터 전자석(60)의 제2팔(66)에서 제1팔(65) 쪽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셔터 구동부(50)의 셔터 안내핀(53)은 셔터 안내홈(93)의 제2위치(93b)에서 제1위치(93a)로 이동한다. 셔터 안내핀(53)이 셔터 안내홈(93)의 제2위치(93b)에서 제1위치(93a)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셔터 장공(23,33)과 셔터 안내핀(53)에 의해 제1셔터(20) 및 제2셔터(30)가 셔터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셔터 안내핀(53)이 셔터 안내홈(93)의 제1위치(93a)에 위치하면, 제1 및 제2셔터(20,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어 대형 광투과공(11)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빛이 대형 광투과공(11)을 통해 촬상면으로 입사된다.
셔터 안내핀(53)이 도 5와 같이 셔터 안내홈(93)의 제1위치(93a)에 위치한 순간, 제어부(3)는 다시 셔터 전자석(60)에 반대 방향의 전류를 흘린다. 그러면, 셔터 전자석(60)의 제1팔(65)은 S극을 띠고, 제2팔(66)은 N극을 띠게 된다. 그러면, 제1팔(65)에 밀착되어 근접하였던 셔터 영구자석(57)은 S극인 제1팔(65)에 의해 척력을 받고, N극인 제2팔(66)에 의해 인력을 받아 제2팔(66)로 이동한다. 따라서, 셔터 구동부(50)의 셔터 안내핀(53)도 셔터 안내홈(93)의 제1위치(93a)에서 제2위치(93b)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던 제1 및 제2셔터(20,30)가 도 4와 같이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가 되어 외부의 빛이 대형 광투과공(11)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 및 제2셔터(20,30)가 소형 광투과공(45)에 대해 셔터 기능을 하는 경우에는, 조리개(40)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광투과공(11)의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셔터(20,30)가 동작한다는 점 외에는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1)는 셔터 구동부(50)를 전자석과 영구자 석의 자력에 의해 회전시키므로 구조를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셔터 구동부(50)가 회전방향으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받으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셔터장치보다 셔터의 동작속도가 빠르다.
다음으로, 셔터 장치(1)의 조리개(40)를 동작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1)는 입사되는 광량에 따라 2가지의 조리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할 장소에 빛이 적은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대형 광투과공(11)을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대형 조리개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촬영할 장소에 빛이 많은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소형 광투과공(45)을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소형 조리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개 모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거나, 수광센서 등을 사용하여 촬영할 장소의 빛의 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리개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6과 같이 조리개(40)가 소형 조리개 모드에 있는 경우, 즉 소형 광투과공(45)이 대형 광투과공(11)의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리개 구동부(70)의 조리개 안내핀(73)은 조리개 안내홈(94)의 제2위치(94b)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조리개 구동부(70)의 조리개 영구자석(77)의 돌출부는 조리개 전자석(80)의 양팔(85,86) 중 제2팔(86)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조리개 모드 변환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는 조리개 전자석(80)의 코일(83)에 전류를 흘려 조리개 구동부(70)가 제1팔(85)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만일, 조리개 구동부(70)의 조리개 영구자석(77)의 돌출부의 자극이 S극인 경우에, 제어부(3)는 조리개 전자석(80)의 제2팔(86)이 S극이 되고 제1팔(85)이 N극이 되도록 조리개 전자석(80)의 코일(83)에 전류를 흘린다. 그러면, 조리개 영구자석(77)의 돌출부가 조리개 전자석(80)의 제2팔(86)의 S극에 의해 척력을 받고 제1팔(85)의 N극에 의해 인력을 받아 제1팔(85) 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조리개 영구자석(77)은 조리개 구동부(7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리개 구동부(70)가 구동축(59)을 중심으로 조리개 전자석(80)의 제2팔(86)에서 제1팔(85) 쪽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조리개 구동부(70)의 조리개 안내핀(73)은 구동유닛 프레임(90)에 형성된 조리개 안내홈(94)의 제2위치(94b)에서 제1위치(94a)로 이동한다. 조리개 안내핀(73)이 조리개 안내홈(94)의 제2위치(94b)에서 제1위치(94a)로 이동하면, 조리개 장공(43)에 삽입되어 있는 조리개 안내핀(73)에 의해 조리개(40)가 조리개 회전축(4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리개 안내핀(73)이 조리개 안내홈(94)의 제1위치(94a)에 위치하면, 조리개(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광투과공(11)의 일측에 위치하여 대형 광투과공(11)이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반대로, 대형 조리개 모드에서 조리개 모드 변환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는 다시 조리개 전자석(80)에 전류를 반대로 흘려 조리개(40)의 소형 광투과공(45)이 대형 광투과공(11)의 위에 중심이 일치하도록 위치한다.
제어부(3)가 조리개 전자석(80)을 제어하여 조리개(40)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셔터 구동부를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사용하여 구동하므로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따라 서,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적합하도록 카메라용 셔터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셔터장치는 셔터 구동부 및 조리개 구동부에 회전 방향으로 척력과 인력이 동시에 작용하므로 셔터와 조리개의 동작속도를 종래 기술에 의한 셔터와 조리개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9)

  1. 대형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겹친 상태로 셔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대형 광투과공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셔터;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셔터가 상기 셔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셔터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셔터 구동부; 및
    상기 셔터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셔터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셔터의 일단에는 각각 셔터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에는 상기 셔터 장공에 삽입되는 셔터 안내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셔터의 상측이나 하측에 조리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형 광투과공을 갖는 조리개;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개가 상기 조리개 회전축 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조리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조리개 구동부; 및
    상기 조리개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조리개 전자석;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4. 대형 광투과공을 갖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조리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형 광투과공을 갖는 조리개;
    상기 베이스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개가 상기 조리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조리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조리개 구동부; 및
    상기 조리개 영구자석의 양측으로 설치되며,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조리개 전자석;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의 일단에는 조리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개 구동부에는 상기 조리개 장공에 삽입되는 조리개 안내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전자석과 조리개 전자석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와 조리개 구동부의 회전축은 동축 상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전자석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전자석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20070023659A 2007-03-09 2007-03-09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86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59A KR100866770B1 (ko) 2007-03-09 2007-03-09 카메라용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59A KR100866770B1 (ko) 2007-03-09 2007-03-09 카메라용 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39A KR20080082839A (ko) 2008-09-12
KR100866770B1 true KR100866770B1 (ko) 2008-11-04

Family

ID=4002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659A KR100866770B1 (ko) 2007-03-09 2007-03-09 카메라용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768A (ko) * 2014-08-14 2016-02-24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모바일 기기용 셔터 및 조리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925B1 (ko) * 2017-03-31 2020-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110A (ja) 1999-11-16 2001-05-25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シャッタ装置及び絞り装置
JP2001255570A (ja) 2000-03-13 2001-09-21 Minolta Co Ltd カメラのシャッター機構
KR100732494B1 (ko) 2005-07-26 2007-06-27 에스인포텍(주) 셔터기능을 갖는 조리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88008B1 (ko) 2005-05-17 2007-12-21 성우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110A (ja) 1999-11-16 2001-05-25 Nidec Copal Corp 電磁アクチュエータ、シャッタ装置及び絞り装置
JP2001255570A (ja) 2000-03-13 2001-09-21 Minolta Co Ltd カメラのシャッター機構
KR100788008B1 (ko) 2005-05-17 2007-12-21 성우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셧터 및 조리개 구조
KR100732494B1 (ko) 2005-07-26 2007-06-27 에스인포텍(주) 셔터기능을 갖는 조리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768A (ko) * 2014-08-14 2016-02-24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모바일 기기용 셔터 및 조리개 장치
KR101664194B1 (ko) 2014-08-14 2016-10-11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모바일 기기용 셔터 및 조리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39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10433A1 (en) Shutter driving apparatus for camera module
US8118503B2 (en) Blade driving device for cameras
KR100884962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316514B2 (en) Light controller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881726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US20080205879A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Small Image Photographing Devices
KR20160020768A (ko) 모바일 기기용 셔터 및 조리개 장치
US8337102B2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US20100329664A1 (en) Shutter device for camera
JP2006189792A (ja) カメラレンズアセンブリのシャッター装置
KR100866770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20110026337A (ko) 셔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소형 카메라
KR101177450B1 (ko) 카메라용 셔터 장치
KR100893284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891282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89795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01997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467650B1 (ko)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갖는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917581B1 (ko) 휴대폰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0459345B1 (ko)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1043901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35533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1186655B1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셔터장치
KR100788844B1 (ko) 자기적 짝힘을 이용한 카메라폰용 셔터
KR100916236B1 (ko)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