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390A -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390A
KR20150138390A KR1020157031823A KR20157031823A KR20150138390A KR 20150138390 A KR20150138390 A KR 20150138390A KR 1020157031823 A KR1020157031823 A KR 1020157031823A KR 20157031823 A KR20157031823 A KR 20157031823A KR 20150138390 A KR20150138390 A KR 20150138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seat
length adjuster
rail
low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888B1 (ko
Inventor
카이 슈만
페터 라이머
잉고 튀펠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13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5Slide construction roller-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1)용 길이방향 조절기에 관한 것이며, 이는 하부 레일(5) 및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부 레일(3), 그리고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에 배열되며 상부 레일(3) 및 하부 레일(5)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요소(30)를 포함하며, 상부 레일(3) 및 하부 레일(5)과 접촉하고 회전 가능한 지지 롤러(22)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지지 요소(20)가 제공된다. 여기서, 지지 롤러(22)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20)는 수직 방향으로 지지 롤러(22)를 로드하는 지지 스프링(2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조절기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LONGITUDINAL ADJUSTER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 15 항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길이방향 조절기 및 일반적인 차량 시트가 DE 10 2011 011 766 A1 에 개시된다. 길이방향 조절기는 각각의 경우 서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2 개의 시트 레일들을 갖는 2 개의 레일 쌍들, 즉 상호적으로 서로를 에워싸는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포함한다. 상부 레일은 편안한 조절 영역 내에서 하부 레일에 대하여 그리고 또한 쉬운 진입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베어링 요소들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베어링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금속 볼들로 이루어지는 볼 케이지(ball cage)들을 포함한다. 볼 케이지들은 이러한 경우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의 중간 공간들에 배열되고, 볼들은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과 접촉한다.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변위 동안, 볼들은 그 위에서 롤링한다.
볼 케이지의 마지막 볼에 대한 처음의 볼의 공간이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의 지지부 길이를 규정한다. 처음의 볼과 마지막 볼은 일반적으로 볼 케이지의 단부들 근처에 배열된다. 따라서 볼 케이지의 길이는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의 지지부 길이에 대략 대응한다. 지지부 길이가 더 클수록,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은 더 커진다.
미리 결정된 조절 경로에 의한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변위에 의해, 볼 케이지들은 이러한 조절 경로의 절반만큼 정밀하게 이동한다. 볼 케이지들의 최대 가능한 길이는 따라서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의 길이에 의해 그리고 최대 조절 경로에 의해 규정된다. 그 결과, 지지부 길이 및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이 또한 제한된다.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의 높은 등급은 또한 차량 시트의 높은 고유 진동수를 야기한다. 여기서, 차량 시트의 가장 높은 가능한 고유 진동수가 바람직하여서, 차량 시트로 전송되는 차량의 섀시를 통한 낮은 진동수 여기(excitation)들은 증대로 이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성가신 소음들 또는 진동들을 유도하지 않는다. 상기 소음들은 빈 차량 시트, 즉 착석자에 의해 차지되지 않은 차량 시트에 의해 주로 발생할 수 있다.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는 DE 20 2006 016 652 U1 에 개시되며, 이는 한편으로는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배열되는 회전 가능한 볼들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 레일에 장착된 원통형 롤러들을 포함한다.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가 EP 0 067 123 A1 에 개시되며 이는 또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배열되는 회전 가능한 볼들을 포함하고 부가적으로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 가이드 롤러들을 포함한다.
차량 시트용 롤러 가이드가 DE 10 2004 038 507 A1 에 개시된다. 롤러 가이드는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롤링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 조절기 뿐만 아니라 서두에 언급된 타입의 차량 시트를, 특히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을 개선하고 따라서 차량 시트의 고유 진동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에 언급된 특징들을 갖는 길이방향 조절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요지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는 하부 레일 및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부 레일, 뿐만 아니라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배열되고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요소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지지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 요소는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과 접촉하며 회전 가능한 지지 롤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지지 롤러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는 수직 방향으로 지지 롤러를 로드(load)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한다.
지지 요소는 따라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부가적인 지지 지점을 규정하고 이는 베어링 요소로부터 이격된다. 지지부 길이는 따라서 지지 요소와 베어링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 지지 지점 사이의 공간에 대략 대응한다. 베어링 요소의 전방 지지 지점은 지지 요소로부터 멀리 있는 베어링 요소의 단부의 근처에 위치된다. 따라서 지지부 길이 및 따라서 또한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은 증가된다.
회전 가능한 지지 롤러가 부가적인 지지 지점을 규정할 때,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이 지지 요소를 따라 슬라이딩한다면 비교적 적은 양의 마찰이 발생되고, 지지 롤러는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 상에서 롤링한다. 지지 스프링이 수직 방향으로 지지 롤러 상에서 작용할 때,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 뿐만 아니라 지지 요소에서의 공차들의 발생을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며, 지지 요소가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과 일정하게 접촉하는 것이 보장된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는 이동 방향으로 길이방향 조절기의 후방 영역에 배열된다. 그 결과, 길이방향 조절기의 지지부 길이는 베어링 요소가 이동 방향으로 길이방향 조절기의 전방 영역에 위치된다면 증가된다. 베어링 요소가 이동 방향으로 길이방향 조절기의 전방 영역에 위치된다면, 상부 레일은 편안함 조절 영역 내에서 하부 레일에 대하여 그리고 또한 쉬운 진입 위치로 변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특히 2 개의 지지 요소들이 제공되며, 여기서 2 개의 지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방향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스프링은 대략 중공 원통형 베이스 본체를 갖고, 복수의 스프링 아암들이 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스프링은 웨이브 스프링으로서 디자인된다.
지지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표면을 갖고, 지지 지점은 부가적으로 지지 롤러가 그 위에 위치됨으로써 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가 하부 레일에 배열되고 따라서 차량에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는 횡단 방향으로 하부 레일에 편심적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 하부 레일에 대한 변위 동안, 상부 레일은 단지 일 측 상에서 횡단 방향으로 지지 요소의 지지 롤러와 접촉하게 된다.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롤러의 회전이 이에 의해 허용된다.
지지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원통형 디자인의 베어링 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의 중심 축선은 회전 축선과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는 베어링 핀이 지지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에 따르면, 베어링 핀은 레일들 중 하나에, 즉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에 체결되고, 이러한 레일로부터 멀리 있는 그의 단부에 플랜지형의 넓어진 부분을 갖는다. 플랜지형의 넓어진 부분은 지지 롤러가 지지 스프링에 의해 레일로부터 강제로 더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공간은 지지 롤러의 지지부 폭보다 더 크다. 접촉 공간은 이러한 경우 지지 롤러의 상부 레일의 지지 지점과 지지 롤러의 회전 축선 사이의 공간이다.
지지부 폭은 수직 방향으로의 지지 롤러의 연장부이다. 그 결과, 전복 모멘트(tilting moment)는 지지 롤러 상에 작용하고, 상기 전복 모멘트는 베어링 핀에 대하여 지지 롤러 상에 작용한다. 그 결과, 베어링 핀과 지지 롤러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은 증가되고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이 더 증가된다.
또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공간은 지지 스프링의 지지부 공간보다 더 크다. 지지부 공간은 이러한 경우 회전 축선에 대한 지지 롤러의 지지 스프링의 작용 지점의 공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롤러는 비금속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지지 롤러는 베어링 핀 및 상부 레일에 대하여 비교적 낮은 중량 및 충분히 높은 마찰 값을 갖는다.
본 목적은 청구항 제 15 항에 언급된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차량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조절기를 갖는다. 차량 시트의 고유 진동수는 길이방향 조절기의 증가된 강성에 의해 증가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유리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후방 조절된 위치의 길이방향 조절기의 레일 쌍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전방 조절된 위치의 길이방향 조절기의 레일 쌍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절단 라인 A-A 을 따른 후방 조절된 위치의 레일 쌍을 통하는 섹션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절단 라인 B-B 를 따른 전방 조절된 위치의 레일 쌍을 통하는 섹션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3의 절단 라인 C-C 를 따른 후방 조절된 위치의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 쌍을 통하는 섹션을 도시하고,
도 6은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의 레일 쌍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차량 시트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3의 절단 라인 C-C 를 따른 후방 조절된 위치의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일 쌍을 통하는 섹션을 도시하고,
도 9는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의 레일 쌍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자동차용 차량 시트(1), 본 경우에 후방 시트는 시트 부분(2)과 이에 부착되고 경사가 조절 가능한 등받이(10)를 갖는다. 하지만 차량 시트는 또한 전방 시트일 수 있다.
차량 내측의 차량 시트(1)의 배열 및 그의 통상적인 이동 방향은 이후에 사용되는 방향 정보를 규정한다. 이러한 경우, 지면에 직각으로 지향되는 방향은 이후에 수직 방향으로 나타내고 수직 방향에 직각이고 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은 이후에 횡단 방향으로 나타낸다.
도시되지 않은 머리 받침대가 수직 방향으로 등받이(10)의 상부 단부에 또한 부착되며, 상기 상부 단부는 시트 부분(2)으로부터 멀리 있다.
차량 시트(1)는 자동차의 차량 바닥에 연결되는 2 개의 하부 레일(5)들 뿐만 아니라 2 개의 상부 레일(3)들을 갖는 길이방향 조절기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는 시트 부분(2)이 등받이(10)와 함께 그리고 본 경우에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에 반대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상부 레일(3)들은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부 레일(5)들 중 하나에 각각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길이방향 조절기 및 길이방향 조절기의 부분들이 참조하는, 사용되는 방향 정보, 즉 수직 방향, 이동 방향 및 횡단 방향은 차량의 차량 시트 및 길이방향 조절기의 종래의 배열에 적용된다.
각각의 2 개의 상부 레일(3)들은 각각의 경우 하부 레일(5)과 연관된 시트 레일 쌍을 형성한다. 길이방향 조절기는 따라서 횡단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2 개의 시트 레일 쌍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각각의 잠금 장치(14)에 의해 각각의 2 개의 상부 레일(3)들은 각각의 하부 레일(5)에 잠금되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 해제 레버(16)에 의해, 잠금 장치(14)들은 잠금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전기 구동부를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본 경우에, 2 개의 시트 레일 쌍들은 거울 대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조절기의 단지 하나의 시트 레일 쌍이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베어링 요소들은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베어링 요소들은 본 경우에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금속 볼들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볼 케이지(30)들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타입들의 베어링 요소들, 예컨대 원통형 롤러들 또는 다른 롤링 요소들의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도면들에서, 각각의 경우 볼 케이지(30)가 가시적이다. 볼 케이지(30)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들은 상부 레일(3)과 그리고 하부 레일(5)과 접촉한다.
본 경우에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은 이동 방향으로 하부 레일(5)의 후방 영역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은 지지 롤러(22), 베어링 핀(24) 및 지지 스프링(26)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양쪽의 지지 요소(20)들을 이동 방향으로 하부 레일(5)의 전방 영역에 배열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은 본 경우에 이동 방향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열되고, 이동 방향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지지 요소(20)는 전방 지지 요소(20)로서 나타내고 이동 방향(20)으로 후방에 위치되는 지지 요소는 후방 지지 요소(20)로서 나타낸다.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을 횡단 방향으로 또는 서로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은 본 경우에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러한 이유로 지지 요소(20)들 중 단지 하나가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베어링 핀(24)은 대략 원형 실린더의 형상을 갖고 그의 중심 축선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하부 레일(5)에 배열된다. 베어링 핀(24)은 하부 레일에 제공되고 이에 체결되는 하부 레일(5)의 개구 안으로 삽입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7의 도면들은 예시적인 제 1 실시예 및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서 베어링 핀(24)은 하부 레일(5)에 리벳 연결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서, 베어링 핀(24)은 하부 레일(5)에 너트(40)에 의해 나사 연결된다. 또한 다른 체결 가능성들, 예컨대 용접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보강 클램프(42)가 하부 레일(5)에 연결되며, 이는 레일 쌍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베어링 핀(24)이 삽입되는 하부 레일(5)의 개구는 횡단 방향으로 하부 레일(5)의 중심에 위치되지 않으며 횡단 방향으로 외측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따라서, 베어링 핀(24) 그리고 따라서 또한 그의 중심 축선은 횡단 방향으로 하부 레일(5)의 중심에 대하여 외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갖는 지지 롤러(22)는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베어링 핀(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 롤러(22)의 내경은 베어링 핀(24)의 외경에 대략 대응한다. 따라서, 베어링 핀(24)은 본 경우에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지지 롤러(22)를 관통한다. 지지 롤러(22)는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어링 핀(24)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이 중심 축선은 지지 롤러(22)의 회전 축선(A)과 정렬된다. 따라서 지지 롤러(22)의 회전 축선(A)은 또한 횡단 방향으로 하부 레일(5)의 중심에 대하여 외측으로 오프셋된다.
상부 레일(3)은 이동 방향으로 그의 후방 단부에서, 수직 방향의 하부 영역에 챔퍼(chamfer)를, 즉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식으로 그리고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비스듬한 부분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스프링(26)은 대략 중공 원통형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스프링 아암(28)들이 이로부터 반경방향 그리고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경우, 스프링 아암(28)들은 최초에 베이스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그의 추가의 연장부에서 축방향으로 휘어진다. 베어링 핀(24)은 지지 롤러(22)와 유사한 방식으로 지지 스프링(26)을 관통하고, 지지 스프링(26)의 베이스 본체의 내경은 베어링 핀(24)의 외경에 대략 대응한다.
예시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스프링(26)은 지지 롤러(22) 아래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며, 즉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고, 하부 레일(5)에, 본 경우에는 그의 베이스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 아암(28)들은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그리고 베이스 본체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방으로 돌출하고 수직 방향으로 상방으로 지지 롤러(22)에 작용한다. 지지 스프링(26)은 또한 상이한 구성의 탄성 요소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스프링(26)은 웨이브 스프링으로서 구성되고 대략적으로는 감겨진(wound) 편평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중공 원통형 베이스 본체를 갖는다. 베어링 핀(24)은 지지 롤러(22) 아래에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즉 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지지 스프링(26)을 관통한다. 지지 스프링(26)은 수직 방향으로 상방으로 지지 롤러(22)에 작용한다.
수직 방향으로 그의 상부 단부에서 베어링 핀(24)은 플랜지형의 넓어진 부분을 갖고 이는 지지 롤러(22)가 스프링 아암(28)들 또는 지지 스프링(26)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에 의해 더 상방으로 강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롤러(22)는 따라서 베어링 핀(24)의 플랜지형의 넓어진 부분과 지지 스프링(26) 사이에서, 상부 레일(3)과의 접촉이 존재하지 않는 한 장력을 받는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조절기가 후방 조절된 위치에 있다면, 상부 레일(3)의 가로 영역은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의 지지 롤러(22)들과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 상부 레일(3)은 지지 스프링(26)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에 반대로, 수직 방향으로 하방으로 지지 롤러(22)들을 프레스한다. 양쪽의 지지 요소(20)들은 따라서 후방 영역에서 이동 방향으로 상부 레일(3)을 지지하고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상부 레일(3)에 작용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롤러(22)는 수직 방향으로 확장된 부분을 갖고 이는 지지부 폭(L2)으로서 나타낸다. 지지 롤러(22)의 상부 레일(3)의 지지 지점은 회전 축선(A)으로부터 접촉 공간(L1)에 위치된다. 여기서, 접촉 공간(L1)은 본 경우에 지지 롤러(22)의 지지부 폭(L2) 보다 더 크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스프링(26)은 회전 축선(A)으로부터 지지 공간(L3)의 지지 롤러(22)에 작용한다. 여기서, 접촉 공간(L1)은 본 경우에 지지 스프링(26)의 지지 공간(L3)보다 더 크다.
상부 레일(3)이 하부 레일(5)에 잠금되고, 지지 롤러(22)와 접촉한다면,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20)의 설명된 기하학적 디자인 및 배열로 인해 전복 모멘트는 지지 롤러(22)에 작용하고, 상기 전복 모멘트는 베어링 핀(24)에 대한 지지 롤러(22)에 작용한다. 그 결과, 수직 방향으로 베어링 핀(24)과 지지 롤러(2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증가된다. 그 결과, 길이방향 조절기의 강성은 더 증가된다.
길이방향 조절기가 후방 조절된 위치에 있다면,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의 지지부 길이는 이동 방향으로 볼 케이지(30)의 전방 단부와 후방 지지 요소(20) 사이의 공간에 대략 대응한다.
후방 조절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부 레일(3)이 전방 조절된 위치를 향하여 하부 레일(5)에 대하여 전방으로 변위된다면, 상부 레일(3)은 최초에는 볼 케이지(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후방 지지 요소(20)와 접촉한 채로 남아있는다.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의 지지부 길이는 따라서 최초에는 증가한다.
전방으로의 상부 레일(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 레일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22)와 접촉한 채로 남아있으며 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의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롤러(22)의 회전을 야기한다. 지지 롤러(22)는 따라서 상기 상부 레일 상에서 상부 레일(3)을 따라 롤링한다.
예시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의해 야기되는 지지 롤러(22)의 회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베어링 핀(24)과 지지 롤러(2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된다. 그 결과, 상부 레일(3)의 요구되는 변위 힘이 또한 감소된다. 본 경우에, 상부 레일(3)을 대면하는 지지 롤러(22)의 표면이 프로파일되며, 이에 의해 상부 레일(3)에 대한 지지 롤러(22)의 접촉이 개선된다.
길이방향 조절기가 미리 정해진 조절 경로를 따라 중앙 조절된 위치에 도달한다면, 상부 레일(3)은 후방 지지 요소(20)를 떠나가고 이로부터 단지 전방 지지 요소(20)와 접촉한다.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의 지지부 길이는 그 후 이동 방향으로 볼 케이지(30)의 전방 단부와 전방 지지 요소(20) 사이의 공간에 대략 대응한다. 하지만, 볼 케이지(30)는 중앙 조절된 위치에서 후방 조절된 위치에서보다 더 전방으로 위치된다.
중앙 조절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부 레일(3)이 이제 전방 조절된 위치의 방향으로, 하부 레일(5)에 대하여 더 전방으로 변위된다면, 볼 케이지(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부 레일(3)은 전방 지지 요소(20)와 접촉한 채로 남아있다.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의 지지부 길이는 따라서 다시 증가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조절기가 전방 조절된 위치에 있다면, 상부 레일(3)의 가로 영역은 이동 방향으로 전방 지지 요소(20)의 지지 롤러(22)와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 상부 레일(3)은 수직 방향으로 하방으로 지지 스프링(26)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에 반대로 지지 롤러(20)를 강제하고 전방 지지 요소(20)는 따라서 후방 영역에서 이동 방향으로 상부 레일(3)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부 레일(3)과 후방 지지 롤러(20) 사이에 접촉이 존재하지 않는다.
길이방향 조절기가 전방 조절된 위치에 있다면,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의 지지부 길이는 이동 방향으로 볼 케이지(30)의 전방 단부와 전방 지지 요소(20) 사이의 공간에 대략 대응한다. 전방 조절된 위치에서 볼 케이지(30)는 이러한 경우 중앙 조절된 위치에서보다 더 전방으로 위치된다.
전방 조절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하부 레일(5)에 대한 상부 레일(3)이 이제 더 전방으로 변위된다면, 즉 전방 조절된 위치를 넘어서 쉬운 진입 위치로 변위된다면, 상부 레일(3)은 또한 전방 지지 요소(20)를 떠나간다. 길이방향 조절기가 쉬운 진입 위치에 있다면,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의 지지부 길이는 볼 케이지(30)의 길이에 대략 대응한다.
상부 레일(3)이 이동 방향에 반대로 쉬운 진입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된다면, 상부 레일(3)의 후방 단부는 전방 지지 요소(20)의 지지 롤러(22)와 다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부 레일(3)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는 챔퍼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하는 지지 롤러(22)의 표면에 충돌하고, 이에 의해 지지 롤러(22)와 접촉하게 되는 상부 레일(3)의 프로세스는 용이하게 되며 상부 레일(3)을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변위 힘이 감소된다.
회전 가능한 롤러들을 갖지 않지만,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슬라이더를 갖는 지지 요소(20), 또는 복수의 지지 요소(20)들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부 레일(3)은 지지 요소(20)와 롤링 접촉하지 않으며 슬라이딩 접촉한다.
상기 설명에서 개시된 특징들, 청구 범위들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을 그의 다양한 실시예들로 이행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조합적으로 모두가 중요할 수 있다.
1 차량 시트
2 시트 부분
3 상부 레일
5 하부 레일
10 등받이
14 잠금 장치
16 잠금 해제 레버
20 지지 요소
22 지지 롤러
24 베어링 핀
26 지지 스프링
28 스프링 아암
30 볼 케이지
40 너트
42 보강 클램프
A 회전 축선
L1 접촉 공간
L2 지지 폭
L3 지지 공간

Claims (15)

  1. 차량 시트(1)용 길이방향 조절기로서, 하부 레일(5) 및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부 레일 내부에서 안내되는 상부 레일(3), 뿐만 아니라 상부 레일(3)과 하부 레일(5) 사이에 배열되고 상부 레일(3) 및 하부 레일(5)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요소(30)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지지 요소(20)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 요소는 상부 레일(3) 및 하부 레일(5)과 접촉하고 회전 가능한 지지 롤러(22)를 갖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22)는 수직 방향으로 뻗어있는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20)는 수직 방향으로 지지 롤러(22)를 로드(load)하는 지지 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20)는 이동 방향으로 길이방향 조절기의 후방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특히 2 개의 지지 요소(20)들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방향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프링(26)은 대략 중공 원통형 베이스 본체를 갖고, 이들로부터 복수의 스프링 아암(28)들이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스프링(26)은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으로서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22)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20)는 하부 레일(5)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요소(20)는 횡단 방향으로 하부 레일(5)에 편심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22)는 원형 원통형 디자인의 베어링 핀(2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베어링 핀의 중심 축선은 회전 축선(A)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핀(24)은 지지 스프링(26)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핀(24)은 레일(3, 5)들 중 하나에 체결되고 레일(3, 5)로부터 멀리 있는 베어링 핀의 단부에 플랜지형의 넓어진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공간(L1)은 지지 롤러(22)의 지지부 폭(L2)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공간(L1)은 지지 스프링(26)의 지지 공간(L3)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22)는 비금속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조절기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1).
KR1020157031823A 2013-04-09 2014-04-04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KR101740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6251.6 2013-04-09
DE102013206251 2013-04-09
DE102013208003.4A DE102013208003B4 (de) 2013-04-09 2013-05-02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3208003.4 2013-05-02
PCT/EP2014/056812 WO2014166833A1 (de) 2013-04-09 2014-04-04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390A true KR20150138390A (ko) 2015-12-09
KR101740888B1 KR101740888B1 (ko) 2017-05-29

Family

ID=515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823A KR101740888B1 (ko) 2013-04-09 2014-04-04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73491B2 (ko)
EP (1) EP2983943B1 (ko)
JP (1) JP6125093B2 (ko)
KR (1) KR101740888B1 (ko)
CN (1) CN105283348B (ko)
DE (1) DE102013208003B4 (ko)
WO (1) WO20141668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800A (ko) * 2019-01-09 2020-07-23 마터 이탤리 에스알엘 개선된 레일 설계를 가진 차량 시트용 슬라이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9436B2 (ja) * 2014-04-25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
CN105216668A (zh) * 2014-06-26 2016-01-06 李宛豫 能翻转的车用座椅框架及其组件
DE102016225822A1 (de) * 2016-09-21 2018-03-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a.r.l. Sitzschienenpaar für einen Fahrzeugsitz
WO2019063764A1 (de) * 2017-09-28 2019-04-04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Endkappe für eine schiene einer schienenverstellung
KR101986137B1 (ko) * 2017-10-31 2019-06-05 주식회사 다스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DE102019206304B4 (de) * 2018-05-04 2022-01-27 Lear Corporation Schienenanordnung
JP7376042B2 (ja) * 2019-12-18 2023-11-08 トヨタ紡織精工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EP4082829A1 (en) * 2021-04-28 2022-11-02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seat rail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a seat rail system
DE102021214144A1 (de) 2021-07-07 2023-01-12 Adient Us Llc Sitzlängsverstelleinrichtung
CN114468636B (zh) * 2022-01-25 2023-03-17 苏州达丰齐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座椅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88339A (en) 1932-10-13 1933-02-23 Herbert Linwood Sleigh Improvements relating to sliding seats
DE3122124C2 (de) * 1981-06-04 1986-09-11 Aluminium Walzwerke Singen Gmbh, 7700 Singen Längsführung zur Lagerung eines längsverschiebbaren Sitzes beispielsweise in einem Kraftfahrzeug
JP2003072439A (ja) * 2001-09-05 2003-03-12 Mazda Motor Corp 車両乗員体重測定装置
JP2003146118A (ja) * 2001-11-12 2003-05-21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2004155242A (ja) * 2002-11-05 2004-06-03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DE102004038507B4 (de) * 2004-08-07 2008-04-10 Grammer Ag Rollenführung für verstellbare Fahrzeugsitze
CN2858367Y (zh) * 2005-12-31 2007-01-17 杭州市汽车内饰件有限公司 汽车座椅的正驾轨道装置
DE202006016652U1 (de) * 2006-10-31 2008-03-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N201423937Y (zh) * 2009-04-21 2010-03-17 佛吉亚(上海)管理有限公司 汽车座椅手动滑轨机构
DE102011011766B4 (de) 2011-02-18 2019-12-1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einstellbarer Fahrzeugsitz
KR101230850B1 (ko) * 2011-05-17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800A (ko) * 2019-01-09 2020-07-23 마터 이탤리 에스알엘 개선된 레일 설계를 가진 차량 시트용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4650A (ja) 2016-05-23
DE102013208003B4 (de) 2016-01-07
KR101740888B1 (ko) 2017-05-29
EP2983943A1 (de) 2016-02-17
CN105283348A (zh) 2016-01-27
DE102013208003A1 (de) 2014-10-09
EP2983943B1 (de) 2019-06-12
CN105283348B (zh) 2017-11-17
US9573491B2 (en) 2017-02-21
JP6125093B2 (ja) 2017-05-10
WO2014166833A1 (de) 2014-10-16
US20160068082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888B1 (ko) 차량 시트용 길이방향 조절기, 및 차량 시트
US9126505B2 (en) Seat slide apparatus
EP2444277B1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JP5654764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US20130119723A1 (en) Vehicle seat
US8708299B2 (en) Slide device for vehicle seat
KR20160118355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EP2295285B1 (en) Slide structure of vehicle seat
US8899542B2 (en) Seat track system
JPH08253062A (ja)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387779B2 (en) Seat track assembly having selectable end stop positions
US20140138996A1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automobile seat
US6691971B2 (en) Seat slide device
EP2292462B1 (en) Slide Structure of Vehicle Seat
US8434820B2 (en) Vehicle seat with securing device for a support element
DE102018128009A1 (de) Sitzbaugruppe mit aufhängung
US9663009B2 (en) Conveyance seat
DE102008038266A1 (de) Fahrzeugsitz
US9499086B2 (en) Motor vehicle with an adjustable loading panel in a cargo space
JP4771793B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DE102018127996A1 (de) Scharnierbügel für sitzbaugruppe
US9555723B2 (en) Vehicle seat with a turning device
CN113335152B (zh) 车辆座椅
EP2158105A1 (en) Vehicle seat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