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082A -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082A
KR20150138082A KR1020150075644A KR20150075644A KR20150138082A KR 20150138082 A KR20150138082 A KR 20150138082A KR 1020150075644 A KR1020150075644 A KR 1020150075644A KR 20150075644 A KR20150075644 A KR 20150075644A KR 20150138082 A KR20150138082 A KR 2015013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value
white balance
balance correction
col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202B1 (ko
Inventor
히로아키 쿠치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27Correction or control of colour gradation or colour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 H04N1/6063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image to be reproduc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1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visible and infrared ligh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43Demosaicing, e.g. interpolating colour pixel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04N5/225
    • H04N9/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3Hue control means, e.g. flesh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를 적절하게 제어 가능한 촬상장치. 촬상된 화상은 영역들로 분할되고, 색 평가 값은 각 영역으로부터 취득된다.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이 검출된다.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산출된 제1 WB 보정값과,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량보다 많은 영역들로부터 취득되고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과 다른 소정의 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된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산출된 제2 WB 보정값을 혼합하여서 산출된, 혼합 WB 보정값을 사용하여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행한다.

Description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THAT PERFORMS WHITE BALANC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상장치에 있어서 행해진 화이트 밸런스 처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촬상장치에 있어서 행해진 오토 화이트 밸런스 처리에서는, 소위 TTL(Through The Lens)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TTL방식에 의한 오토 화이트 밸런스 처리에 있어서는,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에 따라 광원의 빛의 색을 추정하고 있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이하, WB보정값이라고 한다)을 산출하기 위해서, 화상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색과 피사체 색을 정확하게 구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색신호의 평가 값을 판정하는 백색변화 범위를 촬영 조건 및 피사체 조건에 따라 변화시켜서, 휘도신호 레벨에 의존하지 않는 정확한 색온도 검출과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도록 한 촬상장치가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62029호 참조).
한층 더, 화이트 추출 범위에 포함되어 무채색으로 하는 작용이 일하는 녹색의 피사체(예를 들면, 응달등의 어두운 장소에서 녹색의 초목 또는 잔디를 촬영할 경우)에 대해서 적절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74281호 참조). 이 촬상장치에서는, 조도, 녹색의 양, 및 R게인을 좌표축으로 하는 3차원 좌표계의 데이터 분포에 의거하여, 광원으로서 옥내의 형광등을 사용하여 옥내에서 촬상하였는지 또는 옥외의 태양/응달에서 촬상하였는지를 판정하여서, 화이트 밸런스를 제어한다.
이제, 수은등과 같은 광원의 광 자체의 색이 녹색이고, 촬영하여서 얻어진 전체 화상이 푸른빛을 띠는 씬(제1 씬)을 촬영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응달 등의 어두운 장소에서 녹색의 초목 또는 잔디가 많은 씬(제2 씬)을 촬영했다고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262029호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174281호에 기재된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제1 씬과 제2 씬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즉,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262029호에 기재된 촬상장치에 있어서는, 제1 씬 및 제2 씬 양쪽의 피사체의 밝기 및 색의 평가 값은 같은 값이 되므로, 제1 씬 및 제2 씬의 WB보정값이 서로 같을 가능성이 높다.
한층 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174281호에 기재된 촬상장치에 있어서도, 광원의 빛의 색의 영향에 의해 화상전체가 푸른빛을 띠어버리므로, 녹색의 양과 R게인을 사용했다고 한들, 제1 씬과 제2 씬을 구별하는 것이 곤란하다.
제1 씬의 광원의 빛에 의해 채색된 녹색은 무채색으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2 씬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녹색을 선명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씬과 제2 씬을 구별하고, 그 씬에 따라 WB보정값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같은 색이 많이 검출되는 화상에 대해서, 그 검출된 색이 광원의 빛의 색인가 또는 피사체의 색인가를 판별하여서, 적절하게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의 촬상장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행해진 촬상으로 얻어진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으로부터 색 평가 값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 및 상기 산출 유닛에서 산출된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처리를 행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산출부와,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량보다도 많은 영역으로부터 취득되고,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과 다른 소정의 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산출부와,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혼합함으로써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의 촬상장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행해진 촬상으로 얻어진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으로부터 색 평가 값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영역마다 행해진 적외선량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 및 상기 산출 유닛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처리를 행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의 촬상소자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은,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행해진 촬상으로 얻어진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으로부터 색 평가 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량보다도 많은 영역으로부터 취득되고,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과 다른 소정의 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혼합함으로써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내의 색이 광원의 빛의 색인가 또는 피사체의 색인가를 판별하여서, 적절하게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에 구비된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의 블록도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디지털 카메라에서 행해지는 촬영 처리의 흐름도다.
도 4는, 도 3의 촬영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흐름도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화이트 판정부에서 행해진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상기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 처리의 흐름도다.
도 7a∼7h는, 도 2에 나타내는 WB화이트 밸런스 제어부에서 행해지는 신뢰도 산출에 사용된 테이블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7a는 비율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거리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c는 색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d는 휘도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e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f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g는 녹색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7h는 저녁 경치 색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적외선 판정에 근거한 녹색검출에 유용한 도면이고, 도 8a는 RAW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8b는 도 8a에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의 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적외선 판정 기반 녹색 검출 처리의 흐름도다.
도 10a∼10d는 도 2에 나타내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에서 행해진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a는 적외선 판정에 근거하여 녹색검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b는 녹색검출에 근거하여 색온도 추정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c는 색온도 추정에 근거하여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d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에 근거하여 최종적인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녹색검출 기반 색온도 추정 처리의 흐름도다.
도 12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가산 처리의 흐름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서 행해지는 WB보정값의 연산 처리의 흐름도다.
도 14a∼14d는, 도 13에 나타낸 저녁 경치 색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4a는 저녁 경치를 촬영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c는 체육관내를 촬영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d는 도 14c에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저녁 경치 색 검출 처리의 흐름도다.
도 16a∼16d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에서 행해진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6a는 적외선 판정에 근거하여 저녁 경치 색 검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도 16b는 저녁 경치 색 검출에 근거하여 색온도 추정 처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도 16c는 색온도 추정에 근거하여 WB보정값의 산출 처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 도 16d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에 근거하여 최종적인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에서 행해진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가산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록도다.
촬상장치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이하, 간단히 카메라라고 한다)이지만, 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이어도 된다. 한층 더, 촬상장치는, 카메라 기능 부착 휴대전화기 또는 카메라 부착 컴퓨터 등의 카메라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이어도 된다.
도 1의 참조부호 100으로 나타낸 카메라는, 렌즈, 셔터 및 조리개로 이루어진 광학계(101)를 가지고 있다. 광학계(101)를 통해 피사체상(광학상)이 촬상소자(102)에 결상한다. 이때, 광학계(101)로부터 초점거리,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 등의 광학계 정보가 중앙연산장치(CPU)(103)에 보내진다.
촬상소자(102)는, 예를 들면, CCD이미지센서 또는 CMOS이미지센서이며, 복수의 화소가 2차원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 화소에는 입사광을 R(적색), G(녹색), B(청색)의 색성분으로 분리하는 칼라필터가, 베이어 배열로 배열되어 있다. 촬상소자(102)는, 광학상을 화소마다의 휘도정보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소자(102)의 출력인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도시 생략)에 의해 디지털 화상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화상신호는 현상 처리전의 RAW데이터이며, CPU(103)에 의해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다. 또한, 촬상소자(102)의 전기 이득(이하, ISO감도라고 한다)은 CPU(103)에 의해 설정된다.
측광 센서(105)는 복수의 측광영역을 구비하고 있고(예를 들면, 12(수평)×8(수직)으로 이루어진 총 96개의 측광영역), 광학계(101)를 통해 입사한 광량에 따라 측광영역마다 피사체 휘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된 피사체 휘도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도시 생략)에 의해 디지털 휘도신호로 변환되어서 CPU(103)에 보내진다.
또한, 측광 센서(105)의 측광영역의 수에 관해서는 정수이면 좋고, 상기의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적외선 센서(106)는, 측광 센서(105)의 측광영역과 동일한 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광학계(101)를 통해 입사한 광량에 따라 각 영역으로부터의 적외선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된 적외선량은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도시 생략)에 의해 디지털 적외선신호로 변환되어서, CPU(103)에 보내진다.
CPU(103)는 카메라(100)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카메라(100)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CPU(103)가 연관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실현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등의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일차기억장치(104)는, 예를 들면, RAM등의 휘발성 기억장치이며, CPU(103)의 작업용 에어리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데이터 및 정보는, 107로 나타낸 화상처리장치(107)에 의해 이용되고, 또한, 기록 매체 드라이브 장치(108)에 세트된 기록 매체 108M에 기록된다.
이차기억장치(109)는, EEPROM등의 비휘발성 기억장치다. 이차기억장치(109)에는, 카메라(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펌웨어) 및 각종의 설정 정보가 기억되어서, CPU(103)에 의해 사용된다.
기록 매체 드라이브 장치(108)에 착탈 가능하게 세트되는 기록 매체 108M에는,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기록 매체 108M은,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카드다. 또한, 기록 매체 108M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등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다른 기기로 판독될 수 있다.
표시부(110)에는, 촬영 전에 뷰 파인더 화상이 표시되고,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110)에는 대화적인 조작을 위한 GUI화상이 표시된다.
조작부(111)는, 유저의 조작으로 입력된 정보를 접수해서 CPU(103)에 보내는 입력 디바이스 군이다. 조작부(111)에는, 버튼, 레버 및 터치패널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11)는, 음성 및 시선을 사용한 입력 기기이어도 된다. 또한, 조작부(111)에는 촬영 시작을 행하는 릴리즈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카메라(100)에는, 화상처리장치(107)에 의해 행해지는 화상처리의 모드가 복수 구비하고, 이것들 화상처리 모드 중 1개를 선택해서 촬상 모드로서 조작부(111)에 설정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107)는, 촬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107)는 화이트 밸런스 처리, RGB베이어 배열의 신호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개의 플레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색보간처리, 감마 보정처리, 채도 보정처리, 및 색상(color phase) 보정처리등의 현상 처리라고 불리는 화상처리를 행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처리장치(107)가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위한 산술연산을 행하지만, 화상처리장치(107)의 이것들의 기능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를, CPU(103)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여도 좋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처리장치(107)에 구비된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200)(이하, WB제어부(200)라고 한다)의 블록도다.
WB제어부(200)는 화이트 밸런스 처리를 행한다. WB제어부(200)는, 화이트로서 추정된 화소에 근거하여 산출된 WB보정값(이하,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이라고 한다)과 적외선량에 근거하여 산출된 WB보정값(이하,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이라고 한다)에 따라 혼합WB보정값을 산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WB제어부(200)는, 블록 분할부(201), 화이트 판정부(202),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03),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 색판정부(205), 휘도판정부(206), 적외선량 판정부(207), RGB값 가산부(208), 광원색 추정부(209),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10),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 및 혼합WB보정값 산출부(21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블록에서 실행된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100)로 행해지는 촬영 처리의 흐름도다.
이때, 전술한 릴리즈 버튼은 2단계로 조작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조작부(111)에 있어서의 SW1은 릴리즈 버튼이 반가압될 때에 ON이 되는 스위치를 나타내고, 조작부(111)에 있어서의 SW2는 릴리즈 버튼이 완전 가압될 때에 ON이 되는 스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촬영 처리는, CPU(103)의 제어하에서 행해진다.
촬영 처리를 시작하면, CPU(103)는, 조작부(111)로부터 유저 입력을 접수한다(단계S301: 조작부의 제어). 그리고, CPU(103)는, 유저 입력에 따라 광학계(101)의 초점거리, 셔터 속도, 및 조리개 값등의 설정을 조절한다(단계S302: 광학계의 제어).
그리고, CPU(103)는, 유저 입력에 따라 측광 센서(105)에 있어서의 측광영역을 조절한다(단계S303: 측광 센서의 제어). 한층 더, CPU(103)는, 유저 입력에 따라 적외선 센서(106)에 있어서의 측광영역을 조절한다(단계S304: 적외선 센서의 제어). 그리고, CPU(103)는, 유저 입력에 따라 촬상소자(102)의 ISO감도등의 설정을 조절한다(단계S305: 촬상소자의 제어).
그 후, CPU(103)는, 단계S302∼S305에 있어서 변경된 설정에 있어서의 변경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한다(단계S306: 표시부의 제어). 또한, 단계S302∼S305의 처리순서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처리순서를 변경하여도 좋다.
다음에, CPU(103)는 조작부(111)에 있어서 SW1이 온 또는 오프인지를 판정한다(단계S307). SW1이 오프이면(단계S307에 있어서, OFF), CPU(103)는 단계S301의 처리에 되돌아간다. 한편, SW1이 온이면(단계S307에 있어서, ON), CPU(103)는 측광 센서(105)에 의해 피사체의 밝기를 계측한다(단계S308). 한층 더, CPU(103)는 자동노출(AE)모드일 때는, 셔터 속도, 조리개 값, 및 ISO감도에 따라 노출을 조절한다.
그리고, CPU(103)는, 적외선 센서(106)에 의해 측광 센서(105)와 동일한 영역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량을 검출한다(단계S309). 그리고, CPU(103)는, 자동 포커스(AF)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측거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초점을 조절한다(단계S310). 또한, 단계S308∼S310의 처리순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의 예에 한하지 않고 처리순을 변경하는 하여도 좋다.
다음에, CPU(103)는, 조작부(111)의 SW2가 온 또는 오프인지를 판정한다(단계S311). SW2가 오프이면(단계S311에 있어서, OFF), CPU(103)는 단계S301에 되돌아간다. 한편, SW2가 온이면(단계S311에 있어서, ON), CPU(103)는 셔터를 제어해서 촬상소자(102)를 노광하고, 일차기억장치(104)에 RAW데이터를 기억한다(단계S312).
계속해서, CPU(103)는, 화상처리장치(107)를 제어하고, 후술한 것처럼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의 WB보정값을 산출한다(단계S313). 그리고, CPU(103)는,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를, WB보정값(혼합WB보정값)에 의해 보정해서(즉, 현상해서)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단계S314).
그 후에, CPU(103)는, 현상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화상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단계S315). CPU(103)는, 기록 매체 108M에 상기 현상후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서(단계S316), 촬영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S315 및 S316의 처리순서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처리순서를 변경하여도 좋다.
도 4는, 도 3의 촬영 처리의 단계S313에서 실행된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흐름도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블록 분할부(201)는,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를 수신하고, RAW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의 수(예를 들면, 12(수평)×8(수직)의 합계 96개)의 블록 영역(이하, 간단히 블록이라고 부른다)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블록 분할부(201)는 블록마다의 R, G 및 B신호 값의 적분값을 산출한다.
또한, 블록의 분할 수는 상기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블록 분할 수는 정수이면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블록의 분할 수 및 그 영역은, 측광 센서(105) 및 적외선 센서(106) 각각의 영역의 분할 수 및 영역에 대응한다.
그리고, 블록 분할부(201)는, 블록마다 그 R, G 및 B신호 값의 각각의 적분값에 의거하여 비율R/G 및 비율B/G를 산출한다. 그리고, 화이트 판정부(202)는, 후술한 것처럼, 가로축이 비율R/G를 의미하고 세로축이 비율B/G를 의미하는 R/G-B/G좌표평면에 설정한 백색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을 결정하고, 그 블록의 각각의 R, G 및 B의 신호 값을 적분하고, 적분값Rinteg, Ginteg, 및 Binteg을 얻는다(단계S401: 화이트 검출).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화이트 판정부(202)로 행해지는 판정 처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비율G/B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흑체 복사 궤적이 참조번호 501로 표시되어 있다. 태양광(양지와 응달의 각각의 경우), 텅스텐 광, 수은등 광, 형광등 광, 또는 플래쉬 광 등의 여러 가지 광을 각각을 사용하여 촬영한 무채색 피사체의 모든 색의 각(R/G, B/G) 좌표(즉, 한 쌍의 R/G값과 B/G값)가 그 영역내에 존재하도록 백색영역(502)이 설정된다.
도 5에 있어서는, R/G-B/G좌표 평면을 사용해서 피사체로부터 무채색인 듯한 화소를 추출해서 광원의 빛의 색을 추정함으로써 WB보정값을 연산했지만, 다른 적저한 방법으로 피사체로부터 무채색인 듯한 화소를 추출해서 WB보정값을 연산하여도 좋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03)는, 백색영역(502)내의 블록에 대해서 산출한 R, G 및 B 적분값Rinteg, Ginteg 및 Binteg에 따라, 하기의 식(1A)∼(1C)를 사용해서 WB보정값(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을 산출한다(단계S402):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R게인
W_WB_Rgain=Ginteg/Rinteg ...(1A)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G게인
W_WB_Ggain=Ginteg/Ginteg ...(1B)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B게인
W_WB_Bgain=Ginteg/Binteg ...(1C)
그리고,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후술하는 것처럼,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를 산출한다(단계S403).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403에서 행해진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 처리의 흐름도다.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도 4의 단계S401에 있어서 추출된 화이트 블록의 수의 전체 블록 수(즉, 화상전체의 블록수)에 대한 비율(백색의 검출 범위에 색 평가값이 포함되는 영역의 화상 전체에 대한 비율)에 따라 비율 기반 신뢰도Tratio를 산출한다(단계S601).
도 7a∼7h는, 도 2에 나타낸 WB제어부(200)로 행해지는 신뢰도 산출에 사용된 테이블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7a는 비율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거리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c는 색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d는 휘도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e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f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덧붙여, 도 7g는 녹색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h는 저녁 경치 색 신뢰도의 산출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율 기반 신뢰도Tratio를 산출할 때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도 7a에 나타낸 테이블(비율 기반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하여, 비율 기반 신뢰도Tratio(%)를 산출한다.
도 7a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이트 블록의 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비율 기반 신뢰도Tratio(%)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블록 전체의 수는 예시로만 나타낸 96개이지만, 블록 전체의 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화이트 블록의 비율이 클수록, 비율 기반 신뢰도Tratio(%)가 높아지도록 비율 기반 신뢰도 테이블을 설정하도록 하면 좋다.
계속해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단계S402에서 산출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R게인 W_WB_Rgain 및 B게인 W_WB_Bgain에 따라, 하기의 식(2A)와 (2B)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R/G-B/G좌표 평면에 있어서의 좌표(503)의 점을 구한다: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하는 R/G=1/W_WB_Rgain ...(2A)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하는 B/G=1/W_WB_Bgain ...(2B)
그리고,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503)의 점과 흑체 복사 궤적(501)과의 최단 거리(504)에 따라, 도 7b에 나타내는 테이블(거리 기반 신뢰도 테이블)로부터 거리 기반 신뢰도Tdist(%)을 산출한다(단계S602).
도 7b에 있어서, 가로축은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503)의 점과 흑체 복사 궤적(501)과의 최단 거리(504)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흑체 복사 궤적(501)에 의존한 거리 기반 신뢰도Tdist를 나타낸다. 거리 기반 신뢰도 테이블은, 거리 기반 신뢰도Tdist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503)의 점과 흑체 복사 궤적(501)과의 최단 거리가 가까울수록, 거리 기반 신뢰도Tdist가 높아지게 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도 7b에 있어서의 최소거리Dmin과 최대거리Dmax는 임의로 설정한다. 그 (R/G, B/G)좌표(503)의 점이 흑체 복사 궤적(501)에 가까울수록, 수은등으로부터의 광 아래가 아니고 자연광 아래의 무채색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식(3)에 의해 비율 기반 신뢰도Tratio와 거리 기반 신뢰도Tdist를 승산하여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Twhite를 산출한다(단계S603):
Twhite=Tratio×Tdist/100 ...(3)
그리고,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04)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 산출을 종료하고, CPU(103)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되돌아간다.
다음에, CPU(103)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Twhite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404). 이 단계에서는, CPU(103)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Twhite가 소정의 역치이상이면, 자연광하에서 무채색이 검출되어 있다고 판정하여, 신뢰도Twhite는 고 신뢰도라고 한다. 한편, CPU(103)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Twhite가 소정의 역치미만이면, 신뢰도Twhite는 저 신뢰도라고 한다.
신뢰도Twhite가 고 신뢰도이면(단계S404에 있어서, 고 신뢰도), CPU(103)는 WB보정값 연산처리를 종료하고, 도 3에 나타내는 단계S314에 진행된다. 그리고, CPU(103)는, 화상처리장치(107)를 제어해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따라,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한편, 신뢰도Twhite가 저 신뢰도이면(단계S404에 있어서, 저 신뢰도), CPU(103)는, 색판정부(205), 휘도판정부(206), 적외선량 판정부(207), RGB값 가산부(208),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를 제어해서 이후에 기재된 처리들을 행한다.
이 처리들에서는, 우선, CPU(103)의 제어하에서, 적외선 판정에 의거하여 녹색의 검출이 이루어진다(단계S405). 보다 구체적으로,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이, 블록 분할부(201)의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소정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다음에, 적외선 센서(106)에 있어서 동일한 영역(즉, 블록)으로부터 검출된 적외선량에 의거하여, 녹색이라고 판정된 블록의 색이 수은등등의 광원에 영향을 받는 색인가 또는 피사체의 색인가가 판별된다. 그리고, 피사체의 색이라고 판별된 녹색만이 후술의 녹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산출이 되는 피사체로 설정된다.
도 8a 및 8b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405에서 행해진 적외선 판정 기반 녹색 검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8a는 RAW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의 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녹색의 잔디의 블록을 참조번호 801로 나타내고, 푸른 하늘의 블록을 참조번호 802로 나타낸다. 또한, 흰 간판의 블록을 참조번호 803으로 나타낸다. 지금, 도 8a에 나타내는 화상이 자연광하에서 촬영하여서 얻어진다고 하면, 태양광은 적외선을 포함하므로, 녹색의 잔디의 블록(801)은 적외선을 그 블록으로부터 반사하기 때문에 피사체의 색을 나타낸다고 판별되므로, 그 블록(801)은 녹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산출이 되는 피사체로 설정된다. 또한, 푸른 하늘의 블록(802) 및 흰 간판의 블록(803)은 녹색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블록은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산출이 되는 피사체로 설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8a에 나타내는 화상이 야간에 수은등 아래에서 촬영하여 얻어진다고 하면, 흰 간판의 블록(803)은, 수은등의 광의 색의 영향을 받고, 종종 녹색이라고 판별된다. 또한, 녹색의 잔디의 블록(801)도 수은등의 광의 색의 영향을 받으므로, 본래의 녹색과 다른 색이 된다. 이 경우, 수은등의 광은 적외선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녹색의 잔디의 블록(801) 및 흰 간판의 블록(803)은 수은등의 광의 영향에 의한 색이라고 판별된다. 이 결과, 이들 블록이 녹색이지만, 이들 블록은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산출이 되는 피사체로 설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4의 WE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405에서 행해진 적외선 판정 기반 녹색검출 처리의 흐름도다.
색판정부(205)는, 미리 설정된 녹색검출 영역(색 검출 프레임)에 포함된 색을 추출하고, 도 7c에 나타낸 테이블(색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색 신뢰도Tcolor를 산출한다(단계S901).
도 7c에 있어서, 가로축은 블록마다의 색에 대응한 (R/G, B/G)좌표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색 신뢰도Tcolor를 나타낸다. 도 7c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녹색검출 영역(도 10a도 참조)의 내측에 색 신뢰도가 100%인 영역(1002)(도 10a 참조)이 설정되고, 녹색검출 영역(1001)에 블록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블록의 색 신뢰도는 0%로 설정된다. 또한, 녹색검출 영역(1001)에 블록이 포함되고, 또 색 신뢰도 100%인 영역(1002)에도 블록이 포함될 경우에는, 그 블록의 색 신뢰도는 100%로 설정된다. 또한, 블록이 녹색검출 영역(1001)에 포함되지만 색 신뢰도가 100%인 영역(1002)에는 블록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선형보간에 의해, 적외선량에 따라 서서히 색 신뢰도Tcolor가 변화되도록 산출된다.
또한, 녹색검출 영역(1001)의 내측에 색 신뢰도 100%이 되는 영역(1002)을 설정하는 것은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색 신뢰도Tcolor는, 녹색검출 영역(1001)의 중심부에 블록이 가까울수록, 높게 설정되어도 된다. 이렇게, 색 신뢰도Tcolor를 고려함으로써, 색의 변동에 의한 WB보정값의 극단적인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휘도판정부(206)는, 측광 센서(105)로 검출된 피사체 휘도에 의거하여, 색 신뢰도Tcolor를 산출하기에 피사체의 색이 충분히 밝은지를 판정하도록, 도 7d에 나타내는 테이블(휘도 기반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휘도 기반 신뢰도Tlumi를 산출한다(단계S902).
도 7d에 있어서, 가로축은 블록마다의 피사체 휘도에 대응한 (R/G, B/G)좌표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휘도 기반 신뢰도Tlumi를 나타낸다. 도 7d의 휘도 기반 신뢰도 테이블은, 휘도 기반 신뢰도Tlumi는, 피사체 휘도가 높을수록, 높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휘도 기반 신뢰도Tlumi를 고려함으로써, 매우 어두운 야경 씬등의 화상이 자연광하에서 촬영된 것으로서 판정된 잘못된 판정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적외선량 판정부(207)는, 적외선 센서(106)로 검출된 적외선량에 의거하여 도 7e에 나타낸 테이블(적외선 기반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를 산출한다(단계S903).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는, 예를 들면 무채색의 피사체가 수은등등의 녹색의 광원하에서 촬영되었는지 또는 초목의 녹색이 자연광하에서 촬영되었는지의 어느 쪽의 가능성이 높은지를 나타내는 신뢰도다.
또한, 적외선량은, 측광 센서(105)에 의해 검출된 피사체 휘도로 적외선량을 정규화하고, 피사체 휘도에 대한 적외선량의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밝기 변화에 의해 생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최소값Imin보다도 적외선량이 적을 경우에는, 그 블록의 색은 광원의 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간주하는 반면에, 최대값Imax보다도 적외선량이 많을 경우에는, 그 블록의 색은 피사체의 색으로서 간주한다. 또한, 적외선량이 최소값Imin과 최대값Imax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 선형보간에 의해, 적외선량에 따라 서서히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가 변화되도록 설정된다.
다음에, RGB값 가산부(208)는, 처리 대상 블록의 R, G 및 B의 신호 값 각각에 대하여, 색 신뢰도Tcolor, 휘도 기반 신뢰도Tlumi, 및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에 따라, 식(4A)∼(4C)에 의해 가중 적분을 행한다(단계S904):
RintegA=RintegA+Rij×(Tcolor/100×Tlumi/100×Tir/100) ...(4A)
GintegA=GintegA+Gij×(Tcolor/100×Tlumi/100×Tir/100) ...(4B)
BintegA=BintegA+Bij×(Tcolor/100×Tlumi/100×Tir/100) ...(4C)
여기서, Rij는, i 및 j번째의 블록내의 R신호 값의 적분값, Gij는, i 및 j번째의 블록내의 G신호 값의 적분값이며, Bij는, i 및 j번째의 블록내의 B신호 값의 적분값이다. 또한, i는 수평방향의 각 블록의 블록 번호(0∼11 중 임의의 번호)이며, j는 수직방향의 각 블록의 블록 번호(0∼7 중 임의의 번호)이다.
이렇게 하여 가중 적분에 의해 산출된 적분값(즉, 가산 값)이, 각각, 전술의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이다. 또한,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는 최초의 블록을 처리하기 전에 한번만 0으로 초기화 된다.
도 10a∼10d는, 도 2에 나타내는 WB제어부(200)에서 행해지는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a는 적외선 판정에 근거하여 녹색검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b는 녹색검출에 근거하여 색온도 추정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c는 색온도 추정에 근거하여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0d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에 근거하여 최종적인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좌표평면상의 색간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전체 신뢰도가 높은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003으로 나타낸다. 녹색검출 영역(1001)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색 신뢰도가 100%가 되는 영역 1002에는 포함되지 않는, 즉 색 신뢰도Tcolor가 낮은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004로 나타낸다. 또한, 휘도 기반 신뢰도Tlumi 또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가 낮은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005로 나타내고, 녹색검출 영역(1001)에 포함되지 않는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006으로 나타낸다. 또한,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위치, 즉 (RintegA/GintegA, BintegA/GintegA)좌표의 위치를 참조번호 1007로 나타낸다.
우선, 위치 1003에서 전체 신뢰도가 높은 색은 모든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므로, 그 색 값이 그대로 가산된다. 한편, 위치 1004에서의 색은, 색 신뢰도Tcolor가 낮으므로, 그 색의 수치에 예를 들면 0.5의 가산 비율을 승산한 값이 가산된다. 또한, 그 색의 가산 비율은, 녹색검출 영역(1001)내이지만 색 신뢰도 100%이 되는 영역(1002)외에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그 색의 위치에 따라, (R/G, B/G)좌표평면에서, 결정된다.
다음에, 위치 1005에 대응하는 휘도 기반 신뢰도Tlumi 또는 외선 기반 신뢰도Tir가 낮은 색은, 양쪽 신뢰도 Tlumi와 Tir가 소정의 역치이상이면, 그 색의 값을 소정의 가산 비율과 승산한 값이 가산되지만, 이들 신뢰도 중 적어도 한쪽의 신뢰도가 소정의 역치보다 낮으면, 색(1005)이 녹색검출 영역(1001)에 포함되어 있을 때에도 그 색의 값이 가산되지 않는다. 최후에, 위치(1006)에 대응하는 녹색검출 영역(1001)에 포함되지 않는 위치(1006)에 대응한 색은, 휘도 기반 신뢰도Tlumi 및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의 쌍방이 높은 경우도 가산되지 않는다, 즉 적분되지 않는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CPU(103)는,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및 BintegA 중 적어도 1개가 갱신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905).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 중 적어도 1개가 갱신되어 있으면(단계S905에 있어서, YES), CPU(103)는 그 블록의 색이 피사체의 색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는, 피사체의 색을 검출한 블록에 있어서의 평균 적외선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해당 블록의 휘도로 정규화된 후의 적외선량IRij를, 하기의 식(5)에 의해 누계 적외선량IRtotal에 가산한다(단계S906):
IRtotal=IRtotal+IRij ...(5)
여기서, IRij는 i 및 j번째의 블록내의 상기 블록의 검출된 휘도값으로 정규화된 후의 적외선량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i는 수평방향의 각 블록의 블록 번호(0∼11 중 임의의 번호)이며, j는 수직방향의 각 블록의 블록 번호(0∼7 중 임의의 번호)이다.
또한, 이 단계에서 행해진 정규화 처리는, 블록의 적외선량을 해당 블록에서의 적외선량을 측광 센서(105)로 검출한 휘도값으로 제산하는 처리다. 또한, 누계 적외선량IRtotal은 최초의 블록을 처리하기 전에 한번만 0으로 초기화된다.
다음에,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는, 피사체의 색을 검출한 블록의 수의 화상전체의 블록의 수에 대한 비율을 산출하기 위해서, 하기의 식(6)에 의해 누계 녹색 블록수Ntotal을 카운트한다(단계S907):
Ntotal=Ntotal+1 ...(6)
이때, 누계 녹색 블록수Ntotal은 최초의 블록을 처리하기 전에 한번만 0으로 초기화된다.
계속해서, CPU(103)는, 분할된 전체 블록에 대해서 확인을 행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908). 또한,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 중 적어도 하나가 갱신되지 않고 있으면(단계S905에 있어서, NO), CPU(103)는 피사체의 색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단계S908에 진행된다.
전체 블록에 대해서 확인되어 있지 않으면(단계S908에 있어서, NO), CPU(103)는 다음 블록에 처리를 이동해서(단계S909), 단계S901에 되돌아간다. 한편, 전체 블록에 대해서 확인하면(단계S908에 있어서, YES),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는, 누계 적외선량IRtotal과 누계 녹색 블록수Ntotal에 따라, 하기의 식(7)에 의해 피사체의 색을 검출한 블록의 평균 적외선량IRave를 산출한다(단계S910). 그 후, CPU(103)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되돌아간다.
IRave=IRtotal/Ntotal ...(7)
상기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피사체의 색이라고 판별된 블록의 R, G 및 B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 다음 식(8)으로 산출되는 피사체의 색이라고 판별된 블록의 수의 화상전체의 블록의 수에 대한 비율Nratio, 그리고, 피사체의 색이라고 판별된 블록의 평균 적외선량IRave를 사용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 것처럼,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가산 처리가 행해진다.
Nratio=Ntotal/합계 블록수×100 ...(8)
여기에서, 합계 블록수는, 도시된 예에서, 12×8=96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광원색 추정부(209)는,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에 대응하는 도 10b에 있어서의 위치 1007의 좌표에 의거하여 촬영시의 광원의 광, 즉, 자연광의 색온도를 추정한다(단계S406).
도 11은,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406에서 행해진 녹색검출 기반 색온도 추정 처리의 흐름도다.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여, 도 10b에 있어서는, 도 10a와 같이,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 평면이 표시되고, 좌표평면상의 색간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녹색검출 영역(1001)의 코너에서의 점을 참조번호 1008∼1011로 나타내고, 각각은,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점 1008과 점 1010은 저 색온도 영역에 있고, 점 1009와 점 1011은 고 색온도 영역에 있다.
색온도 추정 처리를 시작하면, 광원색 추정부(209)는, 저 색온도영역의 점 1008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와 고 색온도영역의 점 1009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사용해서 선형보간함으로써,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의 R/G성분에 대응하는 점 1012에 있어서의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산출한다(단계S1101).
그리고, 광원색 추정부(209)는, 저 색온도 영역의 점 1010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와 고 색온도 영역의 점 1011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사용해서 선형보간함으로써,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의 R/G성분에 대응하는 점 1013에 있어서의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산출한다(단계S1102).
광원색 추정부(209)는, 점 1012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와 점 1013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사용해서 선형보간함으로써,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의 B/G성분에 대응하는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산출한다(단계S1103).
그리고, 광원색 추정부(209)는, 단계S1103에서 산출한 광원의 광의 역 색온도를 색온도로 변환한다(단계S1104). 그리고, 광원색 추정부(209)는 색온도 추정 처리를 종료하고, CPU(103)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되돌아간다.
상기의 색온도 추정 처리에 의해 얻어진 녹색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에 대응하는 좌표의 점 1007에서의 광원의 광의 색온도를 사용하여, 이후에 설명된 처리가 행해진다.
도 4 및 도 10c를 참조하여,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10)는, 단계S406에 있어서 추정된 광원의 광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WB보정값(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을 산출한다(단계S407).
도 10c에 있어서는, 도 10a 및 10b와 마찬가지로,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색간의 좌표평면상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적외선을 포함하는 녹색의 피사체가 검출되므로 그 피사체가 자연광하에서의 촬영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고 상정하고,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10)는, 흑체 복사 궤적(501)상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점의 (RGg, BGg)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10)는, 식(9A)∼(9C)을 사용해서 그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적외선 기반 WB보정값(1014)을 산출한다: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R게인
IR_WB_Rgain=1/RGg ...(9A)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G게인
IR_WB_Ggain=1 ...(9B)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B게인
IR_WB_Bgain=1/BGg ...(9C)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적외선 기반 WB보정값(1014)과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을 사용하여, 다음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가산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 및 혼합WB보정값 산출부(213)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을 소정의 비율로 가산해서, 최종적인 WB보정값(혼합WB보정값)이 산출된다(단계S408).
도 12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408에서 실행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가산 처리의 흐름도다.
도 10d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d에 있어서는, 도 10a∼10c와 마찬가지로,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색간의 좌표평면상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가산 처리를 시작하면,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는, 단계S405에 있어서 피사체의 색(녹색)이라고 판정된 블록의 평균 적외선량IRave에 의거하여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2를 산출한다(단계S1201).
또한,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2는, 도 7f에 나타낸 테이블(적외선 기반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산출된다. 그렇지만, 해당 테이블은 도 7e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는, 단계S405에 있어서 피사체의 색(녹색)이라고 판정된 블록들의 수에 대한 비율Nratio에 의거하여 녹색 신뢰도Tgreen을 산출한다(단계S1202).
또한, 녹색 신뢰도Tgreen은, 도 7g에 나타내는 테이블(녹색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산출된다. 그렇지만, 해당 테이블은 도 7a에 나타낸 테이블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g에 나타내는 테이블에 있어서, 가로축의 수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녹색 블록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녹색 신뢰도 테이블은, 피사체의 색(녹색)이라고 판정된 블록의 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녹색 신뢰도Tgreen이 높아지도록 구성하면 좋다.
다음에,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2와 녹색 신뢰도Tgreen에 의거하여, 아래의 식(10)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가산 비율Ratio_W_IR를 산출한다(단계S1203):
Ratio_W_IR=Tir2×Tgreen/100 ...(10)
또한, 단계S1203에서는, 전술의 단계S403에서 산출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가산 비율Ratio_W_IR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신뢰도에 따라서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한쪽을 사용하도록 가산 비율Ratio_W_IR를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혼합WB보정값 산출부(213)는, 가산 비율Ratio_W_IR에 의거하여 식(11)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을 가산하여서 WB보정값(혼합WB보정값)WB_Rmix를 산출한다(단계S1204):
WB_Rmix=(WB_Rw×(100-Ratio_W_IR)
+WB_Rir×Ratio_W_IR)/100 ...(11)
여기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R게인을 WB_Rw로 나타내고,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R게인을 WB_Rir로 나타내고, 혼합WB보정값의 R게인을 WB_Rmix로 나타낸다.
또한, 혼합WB보정값의 G게인 및 B게인에 관해서도 R게인을 산출하기 위한 식과 같은 식을 사용해서 산출한다. 그리고, CPU(103)는, 도 4의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되돌아간다.
도 10d에 있어서,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014로 나타내고,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015로 나타낸다. 또한, 혼합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016으로 나타낸다.
좌표점 1014와 좌표점 1015를 연결시키는 직선을, 가산 비율Ratio_W_IR에 따라 분할한 점의 좌표를, 혼합WB보정값에 대응한 점 1016의 (R/G, B/G)좌표로 설정한다. 이 처리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천이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혼합WB보정값에 의해,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유사한 색이 많이 검출되는 화상에 대하여, 그 화상의 색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색인지 또는 피사체의 색인지를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와 같고, 또한, 화상처리장치에 구비된 화이트 밸런스 제어부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한층 더,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행해지는 촬영 처리는, WB보정값 연산 처리를 제외하고, 도 3에 나타내는 촬영 처리와 같다.
제2실시예에서는, 형광등 광 아래의 적색 피사체와 저녁 경치를 구별해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에서 행해지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흐름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WB보정값 연산 처리는 CPU(103)의 제어하에 행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착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404에 있어서, 신뢰도Twhite가 저 신뢰도라고 판정되면, CPU(103)는, 색판정부(205), 휘도판정부(206), 적외선량 판정부(207), RGB값 가산부(208)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를 제어해서 적외선 판정에 근거하여 저녁 경치 색 검출을 행한다(단계S1305). 이 단계에서는,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로 나타낸 화상이 소정수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저녁 경치와 동일한 색(이하, 저녁 경치 색이라고 한다)이라고 판정된 블록이 적색 피사체의 색인지 또는 석양에 의해 빨갛게 물들고 있는 하늘의 색인지가 판정된다. 그리고, 석양에 의해 빨갛게 물들고 있는 하늘의 색이라고 판정된 저녁 경치 색의 블록만의 신호 값이 적분된다.
도 14a∼14d는, 도 13에 나타내는 저녁 경치 색 검출 처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4a는 저녁 경치를 촬영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체육관내를 촬영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d는 도 14c에 나타내는 화상을 소정수의 블록으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석양에 의해 빨갛게 물들고 있는 하늘의 블록을 참조번호 1401로 나타내고, 석양에 비춰진 푸른 바다의 블록을 참조번호 1402로 나타낸다. 도 14a에 나타낸 예에서는, 석양이 적외선을 방출하므로, 석양에 의해 빨갛게 물들고 있는 하늘의 블록(1401)은 적외선성분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그 블록(1401)이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정되어서, 그 신호 값은 적분대상이 된다. 석양에 비춰진 푸른 바다의 블록(1402)은 저녁 경치 색이 아니고, 그 신호 값은 적분되지 않는다.
도 14d를 참조하면, 체육관의 나무 바닥을 참조번호 1403로 나타낸다. 도 14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형광등에 비춰진 체육관의 나무 바닥의 색이 저녁 경치 색과 유사 색인 경우, 저녁 경치 색이라고 오판정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형광등등의 광원은 적외선을 방출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체육관의 나무 바닥을 적색 피사체라고 판정하고, 바닥재의 신호 값은 적분되지 않는 값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1305에서 행해진 저녁 경치 색 검출 처리의 흐름도다.
저녁 경치 색 검출 처리를 시작하면, 도 9에 나타낸 적외선 판정 기반 녹색 검출 처리의 단계S901과 같은 방법으로, 색판정부(205)는 미리 설정된 저녁 경치 색 검출 영역에 포함되는 색을 추출한다. 그리고, 색판정부(205)는, 도 7c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해서 색 신뢰도Tcolor를 산출한다(단계S1501).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02와 같이, 휘도판정부(206)는, 측광 센서(105)로 검출된 피사체 휘도에 의거하여, 도 7d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해서 휘도 기반 신뢰도Tlumi를 산출한다(단계S1502). 그리고, 적외선량 판정부(207)는, 적외선 센서(106)로 검출된 적외선량에 의거하여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를 산출한다(단계S1503). 여기에서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는, 예를 들면 체육관등의 옥내에 있어서 적색 피사체를 촬영했을 가능성과, 석양에 의해 빨갛게 물들고 있는 하늘을 촬영했을 가능성 중 어느 쪽이 높은지를 나타내는 신뢰도다.
또한, 적외선량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측광 센서(105)로 검출된 피사체 휘도에 의해 상기 적외선량을 정규화하고, 피사체 휘도에 대한 적외선량의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밝기의 변화에 의해 생긴 적외선량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를 산출할 때에 도 7e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사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최소값Imin보다도 적외선량이 적을 경우에는, 그 블록을 피사체의 색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최대값Imax보다도 적외선량이 많을 경우에는, 그 블록을 광원의 광의 영향에 의한 색이라고 판정한다.
저녁 경치 색도 넓은 의미에서는 피사체의 색이지만, 해가 기울면, 햇볕이 긴 공기층을 지나게 되어서, 주파수가 높은 파랑계통의 광이 보다 많이 분산된 결과, 저녁 경치는 빨개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 피사체의 색과 저녁 경치 색을 구별하기 위해서, 저녁 경치 색을 광원의 광의 영향에 의한 색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적외선량이 최소값Imin과 최대값Imax 사이일 경우에는, 선형보간에 의해 적외선량에 따라 서서히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가 변화된다.
그 후,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04와 같은 방법으로, RGB값 가산부(208)는, 단계S1501∼S1503에서 산출된 신뢰도에 의거하여 상기의 식(4A)∼(4C)에 의해 저녁 경치 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를 산출한다(단계S1504).
도 16a∼16d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WB제어부에서 행해지는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6a는 적외선 판정에 근거하여 저녁 경치 색 검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6b는 저녁 경치 색 검출에 근거하여 색온도 추정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또한, 도 16c는 색온도 추정에 근거하여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고, 도 16d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에 근거하여 최종적인 WB보정값의 산출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도 10a∼10d와 같이,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색간의 좌표평면상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저녁 경치 색 검출 영역 1601의 내측에 색 신뢰도 100%가 되는 영역 1602가 설정되어 있고, 이 영역 1602는 도 10a에 나타내는 녹색 검출 영역(1001)내에 설정된 색 신뢰도 100%가 되는 영역 1002와 동일하다.
전체 신뢰도가 높은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603으로 나타낸다. 저녁 경치 색 검출 영역 1601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색 신뢰도가 100%가 되는 영역 1602에는 포함되지 않는, 즉 색 신뢰도Tcolor가 낮은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604로 나타낸다. 또한, 휘도 기반 신뢰도Tlumi 또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가 낮은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605로 나타내고, 저녁 경치 색 검출 영역 1601에 포함되지 않는 색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의 예를 참조번호 1606으로 나타낸다. 또한, 저녁 경치 색 검출 적분값 RintegA, GintegA 및 BintegA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위치, 즉 (RintegA/GintegA, BintegA/GintegA)좌표의 위치를 참조번호 1607로 나타낸다.
색들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 1603∼1606 및 (RintegA/GintegA, BintegA/GintegA)좌표의 위치 1607은, 도 10a에 나타내는 색들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 1003∼1006 및 (RintegA/GintegA, BintegA/GintegA)좌표의 위치 1007과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05와 같은 방법으로, CPU(103)는 저녁 경치 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 중 적어도 하나가 갱신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505). 저녁 경치 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 중 적어도 하나가 갱신되어 있으면(단계S1505에 있어서, YES), 즉, 해당 블록이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정되면,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06과 같은 방법으로,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는, 저녁 경치 색을 검출한 블록의 평균 적외선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해당 블록의 휘도로 정규화된 후의 적외선량IRij를, 식(5)에 의해 누계 적외선량IRtotal에 가산한다(단계S1506). 또한, 이 단계에서 행해진 정규화처리는, 블록의 적외선량을 해당 블록의 검출된 측광 센서(105)의 휘도값으로 제산하는 처리다.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07의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는, 저녁 경치 색을 검출한 블록의 수의 화상전체의 블록의 수에 대한 비율Nratio을 산출하기 위해서, 식(6)에 의해 누계 저녁 경치 블록수Ntotal로 카운트한다(단계S1507).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08의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CPU(103)는 전체 블록에 대해서 확인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1508).
전체 블록에 대해서 확인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1508에 있어서, NO), CPU(103)는 다음 블록에 처리를 이동하고(단계S1509), 단계S1501에 되돌아간다. 또한, 저녁 경치 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가 갱신되어 있지 않으면(단계S1505에 있어서, NO), CPU(103)는 단계S1508에 진행된다.
전체 블록에 대해서 확인되면(단계S1508에 있어서, YES), 도 9에 나타내는 단계S910과 같은 방법으로,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신뢰도 산출부(211)는, 누계 적외선량IRtotal과 누계 저녁 경치 블록수Ntotal에 따라, 식(7)에 의해 저녁 경치 색을 검출한 블록의 평균 적외선량IRave를 산출한다(단계S1510). 그 후에, CPU(103)는 도 13에 나타내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되돌아간다.
상기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별된 블록의 R, G 및 B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 상기 식(8)로 산출된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별된 블록의 화상 전체에 대한 비율Nratio, 그리고,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별된 블록의 평균 적외선량IRave를 사용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가산 처리가 행해진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406과 같은 방법으로, 광원색 추정부(209)는, 저녁 경치 색 검출 적분값RintegA, GintegA 및 BintegA에 대응하는 위치 1607의 좌표에 의거하여 저녁 경치 색의 색온도를 추정한다(단계S1306).
단계S1306에서 저녁 경치 색 검출에 근거한 색온도 추정은, 도 11의 색온도 추정 처리와 같은 방법으로 행해지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b에서는, 도 16a와 마찬가지로,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색간의 좌표평면상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b에 나타낸 예는, 도 10b에 나타낸 예와 같고, 색들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 1608∼1613은 도 10b에서 색들의 (R/G, B/G)좌표평면상의 위치 1008∼1013에 대응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407과 같이, 적외선 기반 WB보정값 산출부(210)는, 단계S1306에서 추정된 저녁 경치 색의 색온도에 대응하는 WB보정값(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을 산출한다(단계S1307).
도 16c에 있어서는, 도 16a 및 16b와 같이,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색간의 좌표평면상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c에 나타낸 예는, 도 10c에 나타내 예와 같고, 참조번호 1614로 나타낸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은 적외선 기반 WB보정값(1014)에 대응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 및 혼합WB보정값 산출부(213)는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을 소정의 비율로 가산한다(단계S1308). 그리고, 가산으로 얻어진 WB보정값을 소정의 값만큼 쉬프트시켜서, 최종적인 WB보정값이 산출된다.
도 17은, 도 13에 나타내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의 단계S1308에서 실행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가산 처리의 흐름도다.
도 16d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d에 있어서는, 도 16a∼16c와 마찬가지로, 가로축이 비율R/G를 나타내고, 세로축이 비율B/G를 나타내는 (R/G, B/G)좌표평면이 표시되고, 색간의 좌표평면상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 흑체 복사 궤적(501)이 도시되어 있다. 가산 처리를 시작하면,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는, 단계S1305에 있어서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정된 블록들의 평균 적외선량IRave에 의거하여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2를 산출한다(단계S1701).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2는, 도 7f에 나타내는 테이블(적외선 기반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산출되지만, 이 테이블은 도 7e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는, 단계S1305에 있어서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정된 블록의 수의 전체 블록의 수에 대한 비율Nratio에 의거하여 저녁 경치 색 신뢰도Tevening을 산출한다(단계S1702).
또한, 저녁 경치 색 신뢰도Tevening는, 도 7h에 나타내는 테이블(저녁 경치 색 신뢰도 테이블)을 참조해서 산출되지만, 이 테이블은 도 7a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h에 나타낸 테이블에 있어서, 가로축의 수치는 일례로 나타내지만, 저녁 경치 색 블록의 수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녁 경치 색이라고 판정된 블록의 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저녁 경치 색 신뢰도Tevening이 높아지도록 구성하면 좋다.
다음에, WB보정값 가산 비율 산출부(212)는, 적외선 기반 신뢰도Tir2와 저녁 경치 색 신뢰도Tevening에 의거하여, 아래의 식(12)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가산 비율Ratio_W_IR를 산출한다(단계S1703):
Ratio_W_IR=Tir2×Tevening/100 ...(12)
또한, 단계S1703에서는, 상술한 단계S1303에서 산출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가산 비율Ratio_W_IR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신뢰도에 따라서, 화이트 기반 WB보정값 및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의 한쪽을 사용하도록 가산 비율Ratio_W_IR를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혼합WB보정값 산출부(213)는, 가산 비율Ratio_W_IR를 사용한 상기의 식(11)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을 함께 가산하여서 WB보정값(혼합WB보정값)WB_Rmix를 산출한다(단계S1704). 그 후에, 혼합WB보정값 산출부(213)는 혼합WB보정값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값만큼 붉은 광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쉬프트시켜서, 붉은 광을 강조하는 WB보정값(저녁 경치 색 기반 WB보정값)을 산출한다(단계S1705). 그리고, CPU(103)는 도 13에 나타내는 WB보정값 연산 처리에 되돌아간다.
도 16d에 있어서, 적외선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614로 나타내고, 화이트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615로 나타낸다. 또한, 혼합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616로 나타내고, 저녁 경치 색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한 (R/G, B/G)좌표의 점을 참조번호 1617로 나타낸다.
좌표점 1614와 좌표점 1615를 연결시키는 직선을 가산 비율Ratio_W_IR에 따라 분할한 점의 좌표는, 혼합WB보정값에 대응한 점 1616의 (R/G, B/G)좌표로 설정된다. 그리고, 소정의 값만큼 흑체 복사 궤적(501)을 따라 고 색온도측으로 상기 점 1616을 쉬프트시켜서 도달된 점의 좌표는, 저녁 경치 색 기반 WB보정값에 대응하는 점 1617의 (R/G, B/G)좌표로 설정된다.
상기의 처리에 의해, 화이트 기반 WB보정값과 적외선 기반 WB보정값과의 천이를 매끄럽게 할 수 있고, 저녁 경치가 되는 붉은 광으로 강조된 색의 색조를 갖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저녁 경치 색 기반 WB보정값을 사용하여, 일차기억장치(104)에 기억된 RAW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4년 5월 3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4-112589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2)

  1.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행해진 촬상으로 얻어진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으로부터 색 평가 값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 및
    상기 산출 유닛에서 산출된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처리를 행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산출부와,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량보다도 많은 영역으로부터 취득되고,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과 다른 소정의 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산출부와,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혼합함으로써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산출부를 구비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에서 산출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의 신뢰도가 소정값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상기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 대신에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행하는, 촬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산출 유닛은, 상기 백색의 검출 범위에 각각 색 평가 값이 포함되는 영역의 화상 전체에 대한 비율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촬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산출 유닛은,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에 대응하는 색공간의 위치와 흑체 복사 궤적간의 거리에 의거하여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촬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할 때, 소정의 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해당 색 평가 값이 검출된 영역에서의 적외선량에 따라 각 색 평가 값을 가중해서 적산하고, 적산 후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촬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적외선량이 많은 영역일수록, 해당 영역의 가중을 크게 해서 색 평가 값을 적산하고, 적산 후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촬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상기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휘도를 검출하는 휘도검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산출 유닛은, 휘도값이 높은 영역일수록, 해당 영역의 가중을 크게 해서 색 평가 값을 적산하고, 적산 후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촬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각 영역의 색이, 해당 영역으로부터 검출된 적외선량에 의거하여 광원의 광의 색인지 또는 피사체의 색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유닛을 더 구비하는, 촬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양보다도 많은 영역의 화상 전체에 대한 비율이 클수록,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에 대한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의 비율이 커지도록,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혼합하여서, 상기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촬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유닛은,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양보다도 많은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적외선량이 많을수록,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에 대한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의 비율이 커지도록,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혼합하여서,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촬상장치.
  11.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행해진 촬상으로 얻어진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으로부터 색 평가 값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에 의해 영역마다 행해진 적외선량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산출 유닛; 및
    상기 산출 유닛에 의해 산출된 상기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처리를 행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촬상장치.
  12.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행해진 촬상으로 얻어진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으로부터 색 평가 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화상의 영역에 관련하여 정의된 피사체의 각 영역으로부터 적외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복수의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사용해서 상기 화상에 화이트 밸런스 보정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복수의 색 평가 값 중, 각각 적외선량이 소정량보다도 많은 영역으로부터 취득되고, 색공간에서 설정된 백색과 다른 소정의 색의 검출 범위에 포함되는 색 평가 값을 사용해서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과,
    상기 제1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과 상기 제2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혼합함으로써 혼합 화이트 밸런스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075644A 2014-05-30 2015-05-29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0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2589A JP6494181B2 (ja) 2014-05-30 2014-05-30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JP-P-2014-112589 201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082A true KR20150138082A (ko) 2015-12-09
KR101830202B1 KR101830202B1 (ko) 2018-02-20

Family

ID=5367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644A KR101830202B1 (ko) 2014-05-30 2015-05-29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2063B2 (ko)
JP (1) JP6494181B2 (ko)
KR (1) KR101830202B1 (ko)
CN (1) CN105306916B (ko)
DE (1) DE102015006984A1 (ko)
GB (2) GB25276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3955A (zh) * 2020-08-26 2020-1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补偿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2878B2 (en) * 2015-10-16 2017-09-12 Google Inc. Auto white balance using infrared and/or ultraviolet signals
WO2019064753A1 (ja) * 2017-09-29 2019-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610073B (zh) * 2017-10-31 2020-10-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终端、存储介质
CN107734319B (zh) * 2017-11-28 2019-09-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白平衡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7920236A (zh) * 2017-12-18 2018-04-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白平衡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7872663B (zh) 2017-12-25 2019-05-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08600725B (zh) * 2018-05-10 2024-03-19 浙江芯劢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rgb-ir图像数据的白平衡校正装置及方法
WO2020026561A1 (ja) 2018-08-01 2020-02-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CN108965835B (zh) * 2018-08-23 2019-12-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及终端设备
JP7286412B2 (ja) * 2019-05-22 202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監視システム
CN110602473B (zh) * 2019-10-24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白平衡校准方法及装置
JP7492344B2 (ja) * 2020-02-26 2024-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21182672A (ja) * 2020-05-18 2021-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55656B2 (ja) * 2020-05-18 202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35677A (ja) * 2021-03-05 2022-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115014B (zh) * 2021-04-15 2023-07-18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EP4326151A1 (en) * 2021-04-21 2024-02-28 Tascent, Inc. Thermal based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for biometric systems
US20230070353A1 (en) * 2021-09-09 2023-03-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0891A (ja) * 1989-11-17 1991-07-10 Sanyo Electric Co Ltd 白バランス調整装置
JP3631022B2 (ja) 1997-12-25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信号処理装置
US6788339B1 (en) 1997-12-25 2004-09-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US7196724B2 (en) 2000-12-08 2007-03-27 Nikon Corporatio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digital camera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perform white balance adjustment using pixel outputs from extracted areas
JP2002374539A (ja) * 2001-06-15 2002-12-26 Olympus Optical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可能なカメラ
JP2003163944A (ja) * 2001-11-28 2003-06-06 Fuji Photo Film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4064468A (ja) 2002-07-30 2004-02-26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5197914A (ja) * 2004-01-06 2005-07-21 Fuji Photo Film Co Ltd 顔画像認識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4677226B2 (ja) 2004-12-17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217698B2 (ja) * 2005-06-20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8131292A (ja) * 2006-11-20 2008-06-05 Olympus Corp 撮像装置
JP5162905B2 (ja) * 2007-01-10 2013-03-13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066398B2 (ja) * 2007-06-29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98156B2 (ja) * 2008-03-04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US8357899B2 (en) * 2010-07-30 2013-01-22 Aptina Imaging Corporation Color correction circuitry and methods for dual-band imaging systems
JP5761946B2 (ja) * 2010-09-02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5569361B2 (ja) 2010-11-29 2014-08-13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JP5808142B2 (ja) * 2011-05-02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96970B2 (ja) * 2012-08-31 2016-09-2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撮像装置
JP6029954B2 (ja) 2012-11-30 2016-11-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822819B2 (ja) 2012-12-05 2015-11-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の実装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3955A (zh) * 2020-08-26 2020-1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补偿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953955B (zh) * 2020-08-26 2022-01-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补偿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6916B (zh) 2017-06-30
GB201509171D0 (en) 2015-07-15
GB2527674B (en) 2018-07-04
DE102015006984A1 (de) 2015-12-03
GB2527674A (en) 2015-12-30
GB201719751D0 (en) 2018-01-10
KR101830202B1 (ko) 2018-02-20
JP6494181B2 (ja) 2019-04-03
CN105306916A (zh) 2016-02-03
US20150350620A1 (en) 2015-12-03
JP2015228546A (ja) 2015-12-17
US9402063B2 (en)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202B1 (ko)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6316B1 (ko)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촬상장치
US8823829B2 (en) Image capture with adjustment of imaging properties at transitions between regions
US97495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40071264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312139A (ja) 撮像装置
JP202118267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61120A (ja) 撮像装置、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用プログラム
US116065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06126347A1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5031743A (ja) 露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US114517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552165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043364A (ja) 撮像装置
US1140559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589493B1 (ko) 플래시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6670110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3743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658347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6508889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1008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