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159A -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159A
KR20150136159A KR1020140062896A KR20140062896A KR20150136159A KR 20150136159 A KR20150136159 A KR 20150136159A KR 1020140062896 A KR1020140062896 A KR 1020140062896A KR 20140062896 A KR20140062896 A KR 20140062896A KR 20150136159 A KR20150136159 A KR 2015013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agricultural products
product
information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538B1 (ko
Inventor
김상태
황린혜
Original Assignee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53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으로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생산자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 및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는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를 구비하되, 중앙서버(14)는 인터넷(20)이나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고정단말(24a,24b)이나 이동단말(26a,26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접속되게 구성하며, 중앙서버(14)는, 각 카메라부(8)에서 촬영된 진열 농산물 영상와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의 검지값을 취합하여서 상품진열대(4)별 농산물 신선도정보를 생성하고, 농산물 신선도정보와 해당 농산물 상품 관련정보를 실시간 촬영되는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전송되게 구성하여서, 농산물 소비자와 생산자에게 실시간으로 당일수확 진열한 농산물의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농산물유통 서비스 및 신선도 관리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INFORMATION CONVERGENCE TECHNOLOGY SYSTEM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FRESH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유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과 아울러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신선식품 유통이 정보통신기술 융합을 통해서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은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동력원이므로 수요가 거의 일정한 특성이 있으며 농산물의 공급량에 따라 그 가격변동이 크게 된다. 또 산지에서 수확한 농산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률이 저하되고 신선도가 떨어져서 상품의 가치를 하락시킨다.
국내의 농산물 유통 여건상, 수확에서 식탁까지 이르는 농산물 물류운송 시간은 중간도매상 및 소매상을 거치므로 4~7일이 소요되고 이는 신선도 유지가 요구되는 농산물 특성을 감안하면 단축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농산물 유통구조의 개선 보완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농산물은 소농이 주로 수확하며 유통과정의 번거로움 및 위험부담 때문에 생산자인 농민은 중간 유통업자와의 거래를 불리한 조건에서 성사하게 되고, 심지어는 배추, 사과 등과 같은 농산물 등은 대부분을 밭떼기(포전거래)로 거래하여 실질적 이득은 중간 유통자들이 보고 있는 실정이다.
농산물의 특성은 기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 농산물 유통에 있어서도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켜주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데, 소농들은 생산계획이나 출하시기에 문외하고 막연히 판로 걱정만 하고 있는 실정이며 소비자와의 직거래에도 여러 어려움이 많아서 잘 이루어지지를 않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사려고 하는 농산물이 당일의 재고인지, 언제 입출하되었는지, 누가 어디서 생산한 것이지, 그리고 안전한 먹거리인지에 대한 의심을 수시로 하게 되는 실정이다.
만일 농산물 매장에 진열된 생산자의 농산물의 판매상태를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서 생산자가 실시간 파악하고 재고파악을 할 수 있다면 소농인 생산자라할지라도 해당 농산물의 생산계획이나 출하시기 조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만일 농산물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당일 수확되고 진열된 농산물의 정보를 바로 전달받을 수 있다면 그 농산물을 진열하고 있는 가까운 곳의 농산물 매장에서 신선한 먹거리를 안전하게 구입할 수 있게 되는바, 이러한 시스템 구현이 요망된다.
등록특허 제10-0808645호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특허 특2001-0083825호 "유기농산물의 유통판매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과 아울러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신선식품 유통이 정보통신기술 융합을 통해서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입의사가 있는 농산물의 입출고일, 원산지 정보, 생산자 정보 등의 정확한 정보를 원하는 소비자 요구를 바탕으로 근거리 산지에서 출하되는 농산물의 합리적인 유통과 소비자에게 신선한 농산물 공급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산물 매장에 진열된 농산물의 신선도 정보를 포함한 상품정보 및 상태를 스마트폰을 포함한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서 소비자나 생산자가 원격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농산물유통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선한 농산물을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을 포함한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해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보관과 저장이 편리하게 즉석 건조가공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농산물유통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생산자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 및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는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를 구비하되, 중앙서버(14)는 인터넷(20)이나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고정단말(24a,24b)이나 이동단말(26a,26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접속되게 구성하며,
상기 중앙서버(14)는, 각 카메라부(8)에서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각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에서의 검지값을 취합하여 상품진열대(4)별 농산물 신선도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최신의 농산물 신선도정보와 해당 농산물 상품 관련정보를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전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는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를 구비하되, 중앙서버(14)는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모바일 앱을 탑재한 이동단말(26a,26b)과 무선 접속되게 구성하며,
상기 중앙서버(14)는, 각 카메라부(8)에서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각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에서의 검지값을 취합하여 상품진열대(4)별 농산물 신선도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최신의 농산물 신선도정보와 해당 농산물 상품 관련정보를 실시간 촬영되고 모바일 포맷으로 압축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이동단말(26a,26b)로 전송하여서 이동단말(26a,26b)의 구동된 모바일 앱을 통해서 농산물상품 관련정보, 농산물 신선도정보 및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을 확인 및 온라인 구매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중앙서버(14)는, 상품진열대(4)에는 생산자별로 농산물상품(6)이 진열되게 배치하고 생산자별로 진열함에 따른 정보관리 및 상품진열대(4)에 진열된 농산물상품(6)에 대한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오프라인 매장관리부(3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로는 습도센서, 온도센서, 숙성체크기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 상기의 농산물 상품(6)은 단일 농산물이나 다수 농산물 종류로 배송 가능케 구성한 농산물 꾸러미 중의 하나로 꾸려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로서,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생산자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서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는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생산자용 모바일 앱을 탑재한 이동단말(26a)과 접속되게 구성하되,
상기 중앙서버(14)는;
생산자의 이동단말(26a)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요구에 따라 해당 생산자에 대응된 상품 진열대(4)의 카메라부(8)에서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생산자가 농산물 매장(2)에 납품한 농산물의 정보(상태, 판매, 재고, 물류요청, 통계)를 생산자의 이동단말(26a)로 무선 전송하고,
생산자의 이동단말(26a)로부터 생산자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홍보용 동영상(UCC)이 무선 수신됨에 따라 농산물 매장(2)의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로 방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요에 따라, 중앙서버(14)는 생산자의 이동단말(26a)로부터 생산자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홍보용 동영상(UCC)이 무선 수신됨에 따라 소비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생산자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홍보용 동영상(UCC)을 이동단말(26b)로도 무선 전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26a)로부터의 건조상품 주문을 처리 및 관리하는 농산물 건조관리부(42)가 중앙서버(14)에 포함되고, 농산물 건조관리부(42)와 인터페이스하며 투입된 농산물을 즉석 건조처리하는 농산물 건조기(18)가 농산물 매장(2)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선 농산물에 대한 생산과 소비의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생산자,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체계적인 물류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농산물 생산자는 자신을 상품 상태를 캠카메라를 통해 확인하고 물류를 사전에 준비할 수 있으며, 판매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되는 신선 농산물 상품의 정보를 생산자나 매장관리자에게서 제작된 상품 관련 동영상과 함께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매장의 해당 상품에 설치된 소형모니터형 디스플레이부로 방송되게 해줌으로써 매장을 찾은 농산물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당일 입고되는 등의 신선한 농산물을 소비자의 주문을 감안해서 보관과 저장이 편리하게 즉석 건조가공까지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신선한 건조상품을 얻을 수 있고, 농산물매장 관리자 입장이나 농산물 생산자 입장에서는 신선한 농산물의 당일 재고 처리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 융합형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중앙서버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T 융합형 농산물 매장에서의 진열 농산물 영상 및 정보를 스마트폰을 포함한 클라이언트 단말로 실시간 제공하는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농산물 매장내 상품마다 비치된 디스플레이부나 농산물 매장의 홈페이지 및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서 농산물 매장에 해당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제공하는 개략 구성도,
도 5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맞춤식 건조식품 가공 및 유통하는 절차 구성도,
도 6 내지 도 11은 소비자용 모바일 앱에 관련된 화면 구성 예시도,
도 12 내지 도 20은 생산자용 모바일 앱에 관련된 화면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통신 융합형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구성도로서, 농산물 매장(2)은 IT 융합형 농산물 매장으로 구현된다. 즉 본 발명의 농산물 매장(2)은 소비자가 직접 방문할 수 있는 오프라인(off-line) 상의 농산물 매장뿐만 아니라 인터넷 홈페이지나 스마트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모바일 앱'이라고도 약칭함) 등을 통해 방문할 수 있는 온라인(on-line) 상의 농산물 매장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오프라인 상의 농산물 매장(2)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로컬푸드(local food) 직매장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농산물 유통망(생산자 - 총판 - 도매 - 소매)을 거치는 농산물 매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로컬푸드(local food)는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농산물을 말하는데 흔히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칭하며, 그 로컬푸드를 직접 판매하는 매장이 로컬푸드 직매장이다. 이러한 로컬푸드 직매장은 먹을거리에 대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농민과 소비자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는 매장의 한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이 주관하거나 지원하는 사례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오프라인 상의 농산물 매장(2)은 소비자가 방문해 직접 구입하는 방식을 최소화하고 주문배달에 치중하는 소규모형태의 농산물 매장도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T융합형 오프라인 농산물 매장(2) 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들이 구비되며, 상품 진열대(4) 단위로 농산물 상품(6)을 향하는 카메라부(8)가 개별 설치되게 구성한다. 카메라부(8)는 진열된 농산물 상품(6)을 촬영하여 원거리에 있는 생산자나 소비자의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에게 진열농산물 영상정보로 실시간 제공해주며 진열 농산물 상품(6)의 신선도를 확인하는 소스데이터(source data)로도 제공된다.
카메라부(8)는 디지털 캠코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농산물 상품(6)은 단일 농산물로서 구성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농산물 종류로 배송 가능케 구성한 농산물 꾸러미가 될 수도 있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진열대(4)별로는 해상도 좋은 디스플레이부(10)도 생산자 농산물상품 소개를 위해 각기 설치된다. 각 디스플레이부(10)는 진열되어진 농산물 상품(6)의 생산자 또는 매장 관리자가 등록한 상품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실시간 방송하는데 활용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는 고해상도의 소형 모니터가 적절하다.
또한 농산물 매장(2)내 각 상품 진열대(4)에는 해당 농산물 상품의 신선도 데이터 검지를 위한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구비된다.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로는 습도센서, 온도센서, 숙성체크기 등과 그 외 검지용 균등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기기 단독이나 복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습도센서로 구현된다면, 습도센서는 상품 진열대(4)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6)의 시간경과에 따른 농산물 습도상태를 체크하여 농산물 상품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하는데 활용된다.
농산물 매장(2)의 각 상품 진열대(4) 별로 설치된 카메라부(8), 디스플레이부(10) 및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는 농산물 매장(2)에 구비된 중앙서버(14)의 제어 하에 작동되어서 신선도데이터 획득을 위한 검지값을 중앙서버(14)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농산물 매장(2)에 구비된 중앙서버(14)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6)를 이용해서 오프라인 상의 농산물매장 관리와 아울러 오프라인 농산물매장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6)에 대한 온라인 판매나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온라인 농산물매장의 관리도 함께 수행한다.
본 발명의 중앙서버(14)는 유통관리에 따른 유통 정보통신 기능으로서 매장에 입고되어 판매되는 농산물의 종류, 가격, 상태, 재고, 소비자 피드백, 특이사항의 정보를 수시로 체크하여서 체크 항목별 정해진 일정 시간마다 해당 농산물을 납품한 생산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26a)로 종류, 가격, 상태, 재고, 소비자 피드백, 특이사항의 농산물의 매장 유통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농산물 생산자는 본인이 소지한 이동단말(26)로 수신된 정보를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이동단말(26a)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농산물 매장(2)의 중앙서버(14)로 답변이나 의견을 무선 전송하는바, 농산물의 유통 정보를 중앙서버(14)과 생산자 클라이언트가 이동통신망을 포함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능동적 유통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앙서버(14)는 데이터베이스(16)의 정보와 시스템의 중앙 처리 및 관리를 위한 서버 관리프로그램이 농산물매장(2)의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제공되며, 농산물매장(2)의 카메라부(8)와 원격의 소비자용 및 생산자용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과 UCC 동영상과 서버(14)로 전송된 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
또한 중앙서버(14)는 당일 입고되는 등의 신선한 농산물을 소비자의 주문에 따라 보관과 저장이 편리하도록 농산물 매장(2)에 설치되어 즉석 건조가공하는 농산물 건조기(18)와도 인터페이스한다.
이러한 중앙서버(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20)이나 무선인터넷(22)을 통해서 원거리의 소비자나 생산자의 고정단말(24a)(24b)이나 생산자나 소비자의 이동단말(26a)(26b)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과 유무선으로 접속된다. 무선인터넷(22)은 3세대(3G) 이동통신망, 와이브로(Wibro)망, LTE와 같은 4세대(4G) 이동통신망 등이 될 수 있다.
고정단말(24a)(24b)은 퍼스널컴퓨터가 될 수 있고, 이동단말(26a)(26b)은 예를 들면 요즈음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아이패드 및 갤럭시노트 등과 같은 태블릿PC나 노트북컴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중앙서버(14)의 구체 블록 구성도로서, 서버 제어부(28),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부(30), 오프라인 매장관리부(32), 온라인 농산물매장(35)의 홈페이지 운용을 위한 온라인 몰 관리부(34), 모바일 앱 관리부(36), 입고 농산물상품 관리부(38), 데이터베이스(DB)(16)의 관리를 위한 DB서버(40), 농산물 건조기(18)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에 관련한 관리를 위한 농산물 건조관리부(42), 및 결제서비스부(44)를 포함한다.
중앙서버(14)에서, 서버 제어부(28)는 농산물 유통을 위해 중앙서버(14)내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매장관리자 인페이스부(32)는 서버 제어부(28)의 제어 하에 있는 매장 관리자컴퓨터 및 각종 출력장치가 될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28)와 매장관리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오프라인 매장관리부(32)는 서버 제어부(28)의 제어 하에 오프라인 상의 농산물 매장(2)에 농산물상품(6)을 생산자별로 진열함에 따른 정보관리 및 상품 진열대(4)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6)에 대한 각종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온라인 몰 관리부(34)는 서버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온라인 농산물매장(35)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 생산자나 소비자 클라이언트 즉 PC와 같은 고정단말(24a)(24b)으로부터 인터넷(20)을 통해 몰 홈페이지로 접속되는 각종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고, 모바일 앱 관리부(36)는 모바일환경에서 오프라인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에서의 실시간 정보제공, 농산물 매장(2)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6)에 관련한 홍보 동영상 제공서비스 등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여 이동단말(26a,26b)을 가진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생산자용 모바일 앱도 제공한다. 생산자용 모바일 앱에는 생산자의 영상제작을 도울 수 있는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도 포함된다. 그래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이동단말(26a,26b)의 모바일 앱 구동시 각종 서비스 관리를 수행한다.
입고 농산물상품 관리부(38)는 서버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농산물유통 서비스 및 신선도 관리에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입고된 후 진열한 농산물의 정보 제공이나 당일 입고된 신선한 농산물의 재고가 가능한 한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관리 서비스를 수행한다.
농산물 건조관리부(42)는 서버 제어부(28)의 제어 하에 당일 입고되는 등의 신선한 농산물 상품을 즉석 건조가공하기 위한 농산물 건조기(18)에 관련한 관리를 수행한다.
결제서비스부(44)는 각종 신용카드사서버, 은행사서버, 이통신사서버, 전자화폐서버 등의 외부의 결제서비스부와 인터넷(20)이나 무선인터넷(22)을 매개로 연결되며, 서버 제어부(28)의 제어하에 오프라인 농산물매장(2)에서의 각종 결제나 온라인 농산물매장(35)에서의 모든 결제를 집중시켜 처리한다. 결제서비스부(44)를 통한 결제방법으로는 신용카드(전자결제), 무통장입금, 마일리지, 전자화폐, 휴대폰 결제 및 기타 전자적으로 결제 가능한 각종 방법이 포함된다.
농산물 생산자나 소비자는 본 발명의 중앙서버(14)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농산물매장(35)의 홈페이지에 퍼스널컴퓨터(PC)와 같은 고정단말(24a,24b)를 이용해 접속하거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탑재할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의 모바일 콘텐츠 장터(예컨대 애플의 앱스토어, SK텔레콤의 T스토어, 삼성전자의 플레이스토어 등)에 본 발명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등록한 생산자용이나 소비자용의 모바일 앱을 이동단말(26a,26b)에 다운로드받아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비자용의 모바일 앱이나 생산자용 모바일 앱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 예시는 하기와 같다.
소비자용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소비자용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핸드폰번호와 이메일을 통해 사용자 인증 과정과 시스템 이용약관의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과 도 6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메인화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오늘의 상품, 꾸러미 상품, 상품문의, 나의페이지, 매장정보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농산물 상품 광고, 이벤트를 보여주는 메인 배너 영역과 농산물 상품의 썸네일 이미지와 간략 정보를 보여주는 메인 상품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오늘의 상품' 버튼을 선택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농산물 상품 리스트로 이동하는바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농산물의 상품을 썸네일 이미지와 상품명, 가격으로 이루어진 간략 상품 정보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간략 상품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도 8과 같은 농산물 상품의 상세 정보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 영상, 상품 대표이미지, 상품 상세이미지, 상품 가격, 상품 입고 날자, 상품 재고 수량, 상품 설명, 농산물 인증 정보, 농산물 생산자 정보, 유통기한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농산물의 상세 정보 화면에서는 장바구니 넣기, 바로구매의 버튼이 제공되며,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선택하여 장바구니에 농산물 상품을 담거나 구매 과정이 이루어지는 구매 화면으로 이동한다.
상품상세정보 화면에서 뒤로가기 버튼(디바이스 물리 버튼 또는 그래픽 버튼)을 선택하여 상품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과 홈가기 버튼을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도 6과 같은 메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꾸러미 상품 버튼을 선택하면 도 9와 같은 일예의 꾸러미 상품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바 복수의 농산물 상품으로 조합된 꾸러미 상품의 썸네일 이미지와 간략 상품 정보로 이루어진 상품 목록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도 10과 같은 꾸러미 상품의 상세 정보 화면으로 이동하여서 꾸러미 상품으로 조합된 농산물 정보, 농사물 대표 이미지, 상품 상세이미지, 상품 가격, 상품 입고 날자, 상품 재고 수량, 상품 설명, 농산물 인증 정보, 농산물 생산자 정보, 유통기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꾸러미상품의 구매를 위해 장바구니 넣기 버튼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선택하여 장바구니에 농산물 상품을 담거나 구매 과정이 이루어지는 구매 화면으로 이동케 할 수 있다.
상품상세정보 화면에서 뒤로가기 버튼(디바이스 물리 버튼 또는 그래픽 버튼)을 선택하여서 상품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과 메인가기 버튼을 선택하여 도 6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도 6의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에서 제공하는 '상품문의' 버튼을 선택하면 도 11과 같은 상품문의 게시판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품의 문의, 상품의 이용 후기의 글 제목으로 이루어진 목록에서 내용의 읽기를 원하는 글 제목을 선택하여 읽기 화면을 이동하는 것과 상품 문의 및 후기의 대상 농산물의 간략 정보와 해당 상품의 상세 정보 화면으로 이동되는 링크를 제공한다.
도 6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에서 제공하는 '매장정보' 버튼을 선택하면 도 12와 같은 오프라인 매장 정보 소개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과 도 13과 같은 지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 위치 정보, 주소, 도로 및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매장 정보 수록은 목록으로 구성 가능하다.
생산자용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산자용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핸드폰번호와 이메일을 통해 사용자 인증 과정과 시스템 이용약관의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도 14와 같은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는 바 메인화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매장 상품 리스트, 생산 상품 상태 확인, UCC동영상 올리기, 물류관리, 정산정보 보기 버튼과 매장에서 공지하는 글의 제목으로 구성된 공지사항 목록으로 메인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은 생산자용 애플리케이션 메인 화면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매장 상품 리스트 버튼을 생산자가 선택하면, 도 15의 예시와 같이 농산물 상품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여서 상품 목록 및 상세 정보 확인을 할 수 있다.
도 14의 애플리케이션 메인화면의 생산 상품 상태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도 16 및 도 17의 예시와 같이 생산자가 매장에 납품한 농산물의 정보 확인(상태, 판매, 재고, 물류요청, 통계) 페이지로 이동한다.
도 14의 애플리케이션 메인화면의 UCC 동영상 올리기 버튼을 선택하면 도 18과 같은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동영상 및 이미지를 편집하여 UCC 영상을 제작하는 화면으로 이동하는 바, 생산자에 의해 완성된 UCC 동영상을 서버로 전송하고 업로드 상태 확인, 방영 상태 확인, 영상관리 기능으로 사후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14의 애플리케이션 메인화면의 물류 관리 버튼을 선택하면, 도 19와 같이 매장에서 발생한 구매, 문의, 배송 등 개인 활동 정보의 확인 및 관리 화면으로 이동하여서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4의 애플리케이션 메인화면의 정산 정보 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도 20의 예시와 같이 생산자 상품의 유통 정보와 정산 정보 확인 화면으로 이동하는 바 그에 관련된 정보를 표로 표시한다.
상기한 생산자 애플리케이션의 매장 상품 리스트, 생산 상품 상태 확인, UCC동영상 올리기, 물류관리, 정산정보 보기 화면페이지에서 메인가기를 선택하게 되면 메인화면으로 이동된다.
생산자가 매장에 납품한 농산물 상품의 종류가 복수의 경우 매장 상품 목록, 생산 상품 상태 확인, UCC동영상 올리기, 물류관리, 정산정보 보기 각 화면의 상단에 상품 선택 버튼을 종류에 맞게 구성되는 것과 선택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T 융합형 농산물 매장(2)에서의 진열 농산물 영상 및 정보를 스마트폰을 포함한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실시간 제공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농산물 직거래매장이나 일반농산물 중간유통 매장과 같은 농산물 매장(2)의 상품 진열대(4)에 진열한 상품상태 및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26a)(26b)에 다운로드한 모바일 앱을 구동시켜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즉, 농산물 매장(2)의 상품 진열대(4) 상단에 위치한 카메라부(8)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중앙서버(14)의 내부에 구비된 영상처리 기능부의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을 거쳐 모바일 디바이스의 환경에서 구동되는 H.264 포맷으로 압축되어 무선인터넷(2)을 통해서 무선전송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26a)(26b)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품리스트 상의 해당 상품의 썸네일 이미지 및 상품 간략 정보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농산물 매장(2)의 상품 진열대(4)에 진열된 해당 농산물의 실시간 촬영 동영상과 상품정보를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상품 상세 정보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이동단말(26a,26b) 상에서 구동된 소비자용 모바일 앱에는 농산물 매장 평면도와 상품진열대(4)마다에 설치된 카메라부(8)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터치버튼이 있는 앱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생산자나 소비자와 같은 사용자는 이동단말(26a)(26)의 앱 화면 상에서 원하는 캠코더 위치에 대응된 터치버튼을 터치하면 해당 상품진열대(4)에 현재 진열되고 있는 농산물 상품(6)에 대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중앙서버(14)의 서버 제어부(30)는 상품 진열대(4)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6)의 촬영 영상과 아울러 습도센서와 같은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에서의 신선도 소스데이터를 취합하여서 해당 농산물 상품(6)의 신선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30)는 진열된 농산물 상품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모바일 환경에서 구동가능하도록 H.264 포맷으로 압축하는 동영상 인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그후 중앙서버(14)에서는 해당 농산물 상품(6)의 신선도 정보, 그리고 해당 농산물 상품(6)의 당일입고여부, 생산지역, 생산자명 등의 농산물상품 관련정보와 H.264 포맷으로 압축된 농산물 상품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무선 인터넷(22)을 통해 모바일 앱을 구동한 이동단말(26a,26b)로 전송하여서 사용자가 모바일 앱의 상품 상세정보 화면을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므로 소비자는 당일 수확하고 신선한 농산물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오프라인 농산물 매장(2)을 찾아가거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배송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카메라부(8)에서 촬영되어 중앙서버(14)로 저장된 동영상 파일은 H.264 포맷으로 변환되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기간 동안 보관되었다가 중앙서버(14)에 설정된 소멸 시기에 삭제되는 것과 별도의 파일 서버로 백업되어서 보관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으로 동영상 파일을 관리할 수도 있다.
생산자는 디지털 캠과 같은 카메라부(8)를 통해 촬영한 상품 진열대(4) 상의 자신의 상품상태를 모바일 앱 구동한 이동단말(26a)을 통하거나 인터넷(20)상의 온라인 농산물매장(35)을 통해서 확인하여 물류를 사전에 준비할 수 있으며, 특히 생산자용 모바일 앱을 이동단말(26a)에 설치하게 되면 중앙서버(16)에 제공해준 판매 관련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생산자용 모바일앱은 매장에 납품한 해당 생산자에 대응된 농산물 상품에 대해서 농산물 매장에서의 상품소비 및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해당 생산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매장관리자는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해서 입고된 생산자의 농산물상품의 판매량, 재고량,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게 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는 입고 농산물상품 관리부(38)에 의해서 관리된다.
농산물상품 관리부(38)에서 관리되는 납품한 농산물의 정보는 상태, 판매, 재고, 물류요청, 통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생산자는 생산자 이동단말(26a)의 생산자용 모바일 앱을 이용해 납품농산물 정보확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업데이트되고 농산물상품 관리부(38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카메라부(8)로 촬영중인 해당 생산자의 진열된 농산물 상품(6)의 촬영영상정보와 함께 생산자의 클라이언트단말(24a)(26a)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생산자는 자신의 농산물에 대한 출하시기 내지 물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서버(14)는 아래와 같은 기능 프로세스도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온/오프라인 유통 후기 정보 알림 기능 -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간 발생하는 SNS 기반의 상품 후기를 취합하여 해당 상품의 생산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상품 소비 정보 통계화 기능 - 상품의 유통간 발생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통계를 내고 소비 패턴을 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품 진열대(4)별로 설치된 전방의 소형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해서나 또는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의 모바일 앱을 통해서 해당 진열 농산물상품(6)의 생산자 또는 매장 관리자가 등록한 상품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실시간 방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농산물 매장(2)내 농산물상품(6)마다 비치된 디스플레이부(10)로나 농산물 매장의 홈페이지 및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26b)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서 농산물 매장에 진열된 본인의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제공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중앙서버(28)의 모바일 앱 관리부(36)에는 생산자용 모바일 앱으로서 영상제작을 도울 수 있는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도 관리한다.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은 간편하게 홍보용 동영상(UCC)을 제작하거나 홍보용 책자(전자책)나 명함 등을 제작할 수 있는 모바일용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되며, 이러한 모바일용 응용프로그램은 농산물 생산자가 별 어려움없이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제작하고 제작시간도 줄일 수 있으며 UCC툴이나 디자인툴에 대한 두려움 없이 접근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요즈음 농업기술연구소 등에서는 농산물 생산자가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제작할 수 있도록 강좌도 개최하는 바, 그 강좌를 수강하면 더욱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당 기관과 협의해서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는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 장터(예컨대 애플의 앱스토어, SK텔레콤의 T스토어, 삼성전자의 플레이스토어 등)에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해 놓으며, 생산자의 이동단말(26a)에서는 이를 다운로드받아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26a)로 촬영된 동영상을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에서 UCC 동영상으로 편집하여 농산물 매장(2)의 중앙서버(14)로 무선인터넷(22)을 통해 전송하고, 중앙서버(14)에서는 이를 내부에 구비된 동영상코덱 및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해당 농산물상품(6)이 진열된 상품진열대(4) 전면 상단에 설치된 소형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해 방송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농산물 생산자는 이동단말(26a)의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생산지 동영상을 UCC로 제작하여, 중앙서버(14)로 업로드하게 되면 중앙서버(14)의 서버 제어부(28)의 제어하에 데이터베이스(16)에 생산지 동영상을 농산물 매장(2)에 입고된 농산물상품에 대응시켜서 저장한다. 만일 동영상 업로드시 농산물 생산자로부터 동영상 수정요청이 있으면 매장관리자는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해서 동영상을 최적상태로 수정하고 그 동영상 UCC를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
그 후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부(30)와의 인터페이스로 농산물 매장(2)의 상품 진열대(4)에 해당 농산물 상품(6)의 진열이 확인되면, 중앙서버(14)의 서버 제어부(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진열된 생산자 농산물 홍보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데이터베이스(16)에서 읽어와서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의 모바일앱으로 제공하고 아울러 농산물 매장(2)내 해당 농산물 상품(6)의 상품진열대(4)에 놓여 있는 디스플레이부(10)를 통해서 그 생산지 동영상(UCC)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8)의 제어 하에 소비자가 고정단말(24a)에서도 온라인 농산물매장(35)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농산물 홍보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진열된 생산자 농산물정보와 생산지 동영상(UCC)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당일수확 진열한 농산물에 대한 생산지 홍보영상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농산물 소비자(고객)는 진열된 농산물 상품(6)의 실시간 촬영영상 및 신선도정보와 아울러 홍보영상(UCC)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어서 해당 농산물 상품(6)을 믿고 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일 입고되는 등의 신선한 농산물 상품에 대한 건조가공을 원하는 소비자에게 즉석 건조가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소비자 입장에서는 신선한 건조상품을 얻을 수 있고, 농산물매장 관리자 입장이나 농산물 생산자 입장에서는 신선한 농산물의 당일 재고 처리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구현한다.
도 5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맞춤식 건조식품 가공 및 유통하는 절차 구성도이다.
농산물의 장기간 보존 방법으로서 건조가공은 가장 안전하고 보편적인 형태이며,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조용 농산물 상품을 선택하고 주문함으로써 즉석 건조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비자용으로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장터에 등록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에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면,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의 모바일 앱에는 건조용 농산물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앱 페이지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건조용 농산물상품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농산물상품에 대한 보기 선택을 하게 되면 중앙서버(14)의 서버 제어부(28)에서는 농산물 건조관리부(42)의 제어하에 선택한 농산물상품들중 농산물 매장(2)에 진열된 다수의 농산물상품들의 화상정보 및 상품상태(신선도정보나 생산자 정보 등)를 소비자의 이동단말(26b)로 제공한다.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을 이용하여 건조용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하게 되면, 농산물 매장(2)의 중앙서버(14)의 서버 제어부(28)에서는 도 5의 (b)에서와 같이 주문접수를 받게 되고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부(30)를 통해서 소비자의 주문접수 내용을 출력장치(모니터, 프린터, 관리자 스마트폰 등등)를 통해서 출력한다.
매장관리자가 주문접수 내용에 따라 해당 농산물 상품을 농산물 건조기(18)에 투입한 후 그 건조기(18)의 조작패널을 이용해서 농산물 상품별 건조조건을 설정하고 건조 시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5의 (c)에서와 같이 농산물 건조기(18)에서의 해당 농산물 건조가 시작된다. 또한 농산물 건조기(18)와 인터페이스하는 농산물 건조관리부(42)에서는 농산물 건조기(18)의 건조 설정정보 및 건조 진행정보에 근거하여 건조예상시간, 현 건조상태 등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주문상품의 건조가공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제어부(28)에 제어 하에 그 주문상품의 건조가공진행 정보를 건조상품 주문한 소비자의 이동단말(26b)로 수시로 무선전송한다. 이때 농산물 건조기상태 촬영용 카메라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작동중인 농산물 건조기(18)의 동영상도 건조상품 주문한 소비자의 이동단말(26b)로 수시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조상품을 주문한 소비자는 본인의 이동단말(26b)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주문상품의 건조가공진행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농산물 건조기(18)에서의 주문상품 건조가공이 완료되면(도 5의 (d)), 농산물 건조관리부(42)에서는 서버 제어부(28)의 제어 하에 주문상품의 건조상품 준비 완료정보를 건조상품 주문한 소비자의 이동단말(26b)로 무선전송한다. 그러면 건조상품 주문한 소비자의 이동단말(26b)에서는 주문상품 수령요청을 알람을 모바일 앱을 통해 제공하거나 이동단말의 일반 단문메시지 형태로 제공한다(도 5의 (d)).
그에 따라 건조상품 주문한 소비자는 건조상품을 보관하고 있는 오프라인 농산물 매장(2)을 직접 찾아가거나 이동단말(26b)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배송주문을 요청하서 해당 건조상품을 택배로 수령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을 유통함에 있어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접촉 접점을 확대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구현에 이용할 수 있으며, 직거래 확대를 위한 인프라 확충에도 이용 가능하다.
(2)-- 농산물 매장 (4)-- 상품 진열대
(6)-- 농산물 상품 (8)-- 카메라부
(10)-- 디스플레이부 (12)--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
(14)-- 중앙서버 (16)-- 데이터베이스(DB)
(18)-- 농산물 건조기 (20)-- 인터넷
(22)-- 무선인터넷 (24a)(24b)(26a)(26b)-- 클라이언트단말
(24a)(24b)-- 고정단말 (26a)(26b)-- 이동단말
(28)-- 서버제어부 (30)-- 매장관리자 인터페이스부
(32)-- 오프라인매장 관리부 (34)-- 온라인몰 관리부
(35)-- 온라인 농산물매장 (36)-- 모바일 앱 관리부
(38)-- 당일입고 농산물상품 관리부 (40)-- DB서버
(42)-- 농산물 건조관리부 (44)-- 결제서비스부

Claims (10)

  1.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생산자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 및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는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를 구비하되, 중앙서버(14)는 인터넷(20)이나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고정단말(24a,24b)이나 이동단말(26a,26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접속되게 구성하며,
    상기 중앙서버(14)는, 각 카메라부(8)에서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각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에서의 검지값을 취합하여 상품진열대(4)별 농산물 신선도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최신의 농산물 신선도정보와 해당 농산물 상품 관련정보를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24a,24b)(26a,26b)로 전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2.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는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를 구비하되, 중앙서버(14)는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모바일 앱을 탑재한 이동단말(26a,26b)과 무선 접속되게 구성하며,
    상기 중앙서버(14)는, 각 카메라부(8)에서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각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에서의 검지값을 취합하여 상품진열대(4)별 농산물 신선도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고, 최신의 농산물 신선도정보와 해당 농산물 상품 관련정보를 실시간 촬영되고 모바일 포맷으로 압축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이동단말(26a,26b)로 전송하여서 이동단말(26a,26b)의 구동된 모바일 앱을 통해서 농산물상품 관련정보, 농산물 신선도정보 및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을 확인 및 온라인 구매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앙서버(14)는,
    상품진열대(4)에는 생산자별로 농산물상품(6)이 진열되게 배치하고 생산자별로 진열함에 따른 정보관리 및 상품진열대(4)에 진열된 농산물상품(6)에 대한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오프라인 매장관리부(3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선도데이터 획득용 검지기(12)로는 습도센서, 온도센서, 숙성체크기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농산물 상품(6)은 단일 농산물이나 다수 농산물 종류로 배송 가능케 구성한 농산물 꾸러미 중의 하나로 꾸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앙서버(14)는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을 이동단말(26a,26b)로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구동되는 H.264 포맷으로 압축처리하는 영상처리 기능부를 내부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7.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2)내에 농산물 상품(6)을 진열하는 상품 진열대(4) 단위로 진열 농산물상품 실시간 촬영용 카메라부(8)와 생산자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가 각기 개별 설치되게 구성하고,
    농산물 매장(2)내에서 오프라인 농산물매장 및 온라인 농산물매장을 관리하는 중앙서버(14)는 무선인터넷(24)을 매개로 생산자용 모바일 앱을 탑재한 이동단말(26a)과 접속되게 구성하되,
    상기 중앙서버(14)는,
    생산자의 이동단말(26a)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요구에 따라 해당 생산자에 대응된 상품 진열대(4)의 카메라부(8)에서 실시간 촬영된 진열농산물 영상과 함께 생산자가 농산물 매장(2)에 납품한 농산물의 정보(상태, 판매, 재고, 물류요청, 통계)를 생산자의 이동단말(26a)로 무선 전송하고,
    생산자의 이동단말(26a)로부터 생산자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홍보용 동영상(UCC)이 무선 수신됨에 따라 농산물 매장(2)의 농산물상품 소개용 디스플레이부(10)로 방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생산자의 이동단말(26a)에서는 온라인 상의 모바일 콘텐츠 장터에 등록된 생산자농산물 홍보용 영상제작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여서 생산지 농산물을 촬영한 이동단말(26a)의 생산지 동영상을 UCC로 제작하여 중앙서버(14)로 업로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중앙서버(14)는 생산자의 이동단말(26a)로부터 생산자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홍보용 동영상(UCC)이 무선 수신됨에 따라 소비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생산자 농산물 정보와 생산지 홍보용 동영상(UCC)을 이동단말(26b)로도 무선 전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동단말(26a)로부터의 건조상품 주문을 처리 및 관리하는 농산물 건조관리부(42)가 중앙서버(14)에 포함되고, 농산물 건조관리부(42)와 인터페이스하며 투입된 농산물을 즉석 건조처리하는 농산물 건조기(18)가 농산물 매장(2)에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1020140062896A 2014-05-26 2014-05-26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10159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96A KR101595538B1 (ko) 2014-05-26 2014-05-26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96A KR101595538B1 (ko) 2014-05-26 2014-05-26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159A true KR20150136159A (ko) 2015-12-07
KR101595538B1 KR101595538B1 (ko) 2016-02-22

Family

ID=5487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896A KR101595538B1 (ko) 2014-05-26 2014-05-26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5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528A (ko) * 2017-09-01 2019-03-11 (주)태우그린푸드 축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7431A (ko) * 2017-09-07 2019-03-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선의 신선도 판별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기기
KR20210155731A (ko) *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미트박스글로벌 축산물 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11423458B2 (en) * 2019-09-12 2022-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to select perishable items by time to expi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12484A (es) 2016-04-15 2019-03-01 Walmart Apollo Llc Sistemas y metodos para facilitar la adquisicion en una instalacion minorista fisica.
WO2017181017A1 (en) 2016-04-15 2017-10-19 Wal-Mart Stores, Inc. Partiality vector refinement systems and methods through sample probing
US20170300856A1 (en) * 2016-04-15 2017-10-19 Wal-Mart Stor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paring freshness levels of delivered merchandise with customer preferences
WO2017181052A1 (en) 2016-04-15 2017-10-19 Wal-Mart Stor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based product recommendations
US10373464B2 (en) 2016-07-07 2019-08-06 Walmart Apollo,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partiality vectors based on monitoring of person and his or her home
KR101950478B1 (ko) * 2017-06-15 2019-02-20 (주) 우림인포텍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12758B1 (ko) 2018-02-28 2019-10-21 주식회사 크레펀 소셜 플랫폼 기반하에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농축수산 가공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102108549B1 (ko) 2019-12-06 2020-05-07 최원일 타일 및 위생 도기의 유통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34446B1 (ko) * 2021-09-17 2022-08-19 주식회사 주방뱅크 신선식품용 쇼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25A (ko) 2001-07-02 2001-09-03 이시흥 유기농산물의 유통 판매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2313A (ko) * 2003-01-02 2004-07-07 선광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상의 실시간 쇼핑 방법
KR100808645B1 (ko) 2004-12-07 2008-02-29 민병훈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4122A (ko) * 2010-05-03 2010-05-24 김성훈 증강현실 활용 신선식품 품질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정보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825A (ko) 2001-07-02 2001-09-03 이시흥 유기농산물의 유통 판매방법 및 시스템
KR20040062313A (ko) * 2003-01-02 2004-07-07 선광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상의 실시간 쇼핑 방법
KR100808645B1 (ko) 2004-12-07 2008-02-29 민병훈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4122A (ko) * 2010-05-03 2010-05-24 김성훈 증강현실 활용 신선식품 품질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과 정보 처리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528A (ko) * 2017-09-01 2019-03-11 (주)태우그린푸드 축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7431A (ko) * 2017-09-07 2019-03-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생선의 신선도 판별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스마트 기기
US11423458B2 (en) * 2019-09-12 2022-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to select perishable items by time to expiration
KR20210155731A (ko) *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미트박스글로벌 축산물 거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538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538B1 (ko)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US113018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in a retail store
US8479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achine-readable indicia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nd offers to potential customers
US20180342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and distributing inventory
TWI490808B (zh) 智慧型裝置輔助商務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3256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facing e-commerce platforms with brick and mortar presences
US201703724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plementary product suggestions
US201500325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line transactions and/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KR101695570B1 (ko) 키워드 추출에 의한 온라인 쇼핑 장바구니의 자동 생성 방법
JP2014016970A (ja) サー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50363760A1 (en) Interactiv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in both actual exhibit spot and online shop
KR20150140887A (ko)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JP2018206207A (ja) 取引サーバおよび取引システム
KR101912047B1 (ko) 통합 쇼핑몰 분양 시스템
US10769715B1 (en) System and process for in-app sale of physical products
JP6535521B2 (ja) 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
KR101274788B1 (ko) 실시간 개별상담 가능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JP20191176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80225737A1 (en) Apparatus and System to Facilitate Brick and Mortar Retail business
KR102310689B1 (ko) 지역 기반의 긴급 처리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JP20191175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40023320A (ko) 못난이 농산물의 판매를 위한 풀필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47625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9486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