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78B1 -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78B1
KR101950478B1 KR1020170075959A KR20170075959A KR101950478B1 KR 101950478 B1 KR101950478 B1 KR 101950478B1 KR 1020170075959 A KR1020170075959 A KR 1020170075959A KR 20170075959 A KR20170075959 A KR 20170075959A KR 101950478 B1 KR101950478 B1 KR 10195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gricultural products
seller
agricultural
agricultur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406A (ko
Inventor
안도훈
Original Assignee
(주) 우림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림인포텍 filed Critical (주) 우림인포텍
Priority to KR102017007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농산물 거래 시스템은 입력 수단 제공부, 농산물 정보 저장부,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 및 농산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입력 수단 제공부는 경매를 위해 반입되는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입력수단 및 농산물의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고, 농산물 정보 저장부는 입력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는 미리 설정된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농산물에 대한 낙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는 농산물을 낙찰받은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낙찰받은 농산물의 낙찰 정보를 전송하고,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 연동부는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며, 농산물 정보 제공부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등록된 농산물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영상 정보, 및 낙찰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GRICULTURAL PRODUCT}
본 발명은 상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농산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거래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은 공산품과는 달리 품질과 규격이 균일하지 못하고 신선도에 따라서 그 가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주로 상품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한 후 거래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농산물의 생산출하에서 품질 표준화 및 규격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농산물에서도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전자상거래에 의한 농산물의 판매가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농산물의 전자상거래에서는 현물을 보존하면서 거래할 수 없는 문제로 상품기준에 대한 판매자의 주관적인 기준이 등재될 수밖에 없으며, 소비자에게 다양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의 제공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산지 조작과 같은 상품의 허위정보 발생 우려가 상존한다.
이로 인해, 공산품과는 달리 농산물의 경우 소비자의 전자상거래 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전자 상거래의 활성화에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높은 반품 발생으로 인해 전자 상거래를 통한 농산물의 가격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한편, 전체 농산물 거래의 56% 유통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농산물 도매시장은, 현재 전통적인 거래방식으로 농산물 거래를 수행하고 있으나 새로운 형태의 농산물 거래 방식이 계속적으로 등장함에 따라 거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도매인들은 전자상거래 등의 신규시장 진출에 대한 두려움과 전문성의 부족으로 농산물의 전자상거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농산물에 대한 다양한 상품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한 오프라인 농산물 판매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융합한 보다 효율적인 농산물의 거래 형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거래 시스템은 입력 수단 제공부, 농산물 정보 저장부,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 및 농산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입력 수단 제공부는 경매를 위해 반입되는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입력수단 및 농산물의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고, 농산물 정보 저장부는 입력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는 미리 설정된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농산물에 대한 낙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는 농산물을 낙찰받은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낙찰받은 농산물의 낙찰 정보를 전송하고,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 연동부는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며, 농산물 정보 제공부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등록된 농산물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영상 정보, 및 낙찰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든 개별 농산물의 생산 이력, 실제 촬영된 영상은 물론, 출하 단계에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의 유통 이력까지 소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게 되므로, 전자 상거래를 통해 판매되는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농산물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 및 농산물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와 연동시킴으로써,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한 오프라인 농산물 판매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농산물 정보 제공부는 1차 판매자 단말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더 제공하며, 농산물 거래 시스템은 1차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농산물에 대한 응찰 정보를 경매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농산물의 원격 경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중도매인에게 응찰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현장 경매로 인해 발생하는 농산물 가격 급등락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는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을 통해 농산물이 판매되는 경우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으로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으며, 온라인 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는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농산물의 판매가 입력되는 경우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판매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도매인의 오프라인 점포 재고 정보와 온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중도매인의 온라인 점포 관리 부담을 감소시키면서도 중도매인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가 2차 판매자인 경우, 유통 이력 저장부는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는 2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2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판매된 농산물을 등록하며,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는 2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매상의 오프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 온라인 점포, 및 중도매인의 재고 정보를 서로 연계함으로써,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 관리 부담을 감소시키면서도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영상 정보는 농산물의 입체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농산물 거래 전체 단계에서 농산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는 농산물상에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고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에 대응하는 정보 획득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규격화된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농산물 거래를 위한 전단계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의 영상 정보는 정보 저장 수단의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농산물에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경우 영상을 통해 농산물의 동일성에 대한 더욱 확실한 증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수단 제공부는 농산물의 미리 설정된 속성 정보의 입력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영상 정보 이외에 농산물 거래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농산물의 속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이 함께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개별 농산물의 생산 이력, 실제 촬영된 영상은 물론, 출하 단계에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의 유통 이력까지 소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게 되므로, 전자 상거래를 통해 판매되는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농산물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 및 농산물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와 연동시킴으로써,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한 오프라인 농산물 판매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의 원격 경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중도매인에게 응찰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현장 경매로 인해 발생하는 농산물 가격 급등락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도매인의 오프라인 점포 재고 정보와 온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중도매인의 온라인 점포 관리 부담을 감소시키면서도 중도매인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매상의 오프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 온라인 점포, 및 중도매인의 재고 정보를 서로 연계함으로써,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 관리 부담을 감소시키면서도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 거래 전체 단계에서 농산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하고 규격화된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농산물 거래를 위한 전단계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에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경우 영상을 통해 농산물의 동일성에 대한 더욱 확실한 증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정보 이외에 농산물 거래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농산물의 속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농산물 거래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거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실제 구현예의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거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농산물 거래 시스템(100)은 입력 수단 제공부(110), 농산물 정보 제공부(120), 농산물 정보 저장부(130),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140),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150),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160), 및 농산물 정보 제공부(17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농산물 거래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만으로도 구현할 수 있겠으나,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함께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또한, 농산물 거래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농산물 거래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농산물 거래 시스템(100)은 VR 경매 관리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DB 서버, 스트리밍 서버, VR 경매 서버, 스토리지 서버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입력 수단 제공부(110)는 경매를 위해 반입되는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입력수단 및 농산물의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한다. 입력 수단 제공부(100)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단말이 접속하고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또는 농산물의 영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농산물 거래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접속 및 입력 모듈이다.
도 2에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획득되어 입력되고 영상 정보는 VR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어 입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출하 농산물의 포장단계에서 바코드가 부착된 농산물이 VR 촬영기를 통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이 VR 경매관리시스템으로 입력되는데, 포장단위에서 바코드가 부착되어 입고가 간소화되고, 상품에 대한 VR 촬영을 통해 전자경매가 진행되며, 촬영된 이미지를 전 유통과정에서 조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 수단 제공부(110)는 농산물의 미리 설정된 속성 정보의 입력수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농산물의 속성 정보는 농산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며, 과일의 당도 정보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농산물 정보 제공부(120)는 1차 판매자 단말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며, 농산물 거래 시스템(100)은 1차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농산물에 대한 응찰 정보를 경매 시스템으로 제공한다.
도 2에서 1차 판매자 단말은 중도매인/매참인의 PC(스마트폰) 및 응찰기로 구현되어 있으며, 중도매인/매참인이 자신의 PC(스마트폰) 및 응찰기에 설치된 VR 경매 프로그램을 통해 경매에 참여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농산물의 원격 경매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중도매인에게 응찰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현장 경매로 인해 발생하는 농산물 가격 급등락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농산물 정보 저장부(130)는 입력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140)는 미리 설정된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농산물에 대한 낙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도 2에서 농산물 정보 저장부(130) 및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140)는 DB 서버와 스토리지 서버로 구현되어 있으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유통 이력 정보는 DB 서버에 영상 정보는 스토리지 서버에 각각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매법인 ERP로부터 전송받은 출하 상품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VR 경매 낙찰 정보를 도매법인 ERP로 전송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150)는 농산물을 낙찰받은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낙찰받은 농산물의 낙찰 정보를 전송하고,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 연동부(160)는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한다.
또한, 농산물 정보 제공부(170)는 소비자 단말로부터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등록된 농산물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영상 정보, 및 낙찰 정보를 제공한다.
도 2에서 온라인 매장에 대해 콘텐츠 정보를 공유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는 온라인 매장에서 낙찰된 상품의 VR 이미지, 품질, 이력 정보 등의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든 개별 농산물의 생산 이력, 실제 촬영된 영상은 물론, 출하 단계에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까지의 유통 이력까지 소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게 되므로, 전자 상거래를 통해 판매되는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농산물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 및 농산물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와 연동시킴으로써,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한 오프라인 농산물 판매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150)는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을 통해 농산물이 판매되는 경우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으로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으며, 온라인 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160)는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농산물의 판매가 입력되는 경우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판매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도매인 판매관리시스템의 실시간 재고 현황을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여 현재 재고 현황과 연동하여 상품이 진열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도매인의 오프라인 점포 재고 정보와 온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중도매인의 온라인 점포 관리 부담을 감소시키면서도 중도매인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소비자가 2차 판매자인 경우에는, 유통 이력 저장부는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160)는 2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2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며,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150)는 2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매상의 오프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 온라인 점포의 판매 정보, 및 중도매인의 재고정보를 연계함으로써,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 관리 부담을 감소시키면서도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점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2차 판매자는 소매상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소매상의 소규모 점포는 POS 시스템을 구입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중도매인과의 주문관리와 매입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램을 연계하고, 스마트폰 버전으로 판매시점 관리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거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제 구현예의 도면이다. 도 3에서 먼저, 농산물 거래 시스템은 경매를 위해 반입되는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입력수단, 및 농산물의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고, 입력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S110).
도 4에서 선별, 출하 및 포장된 농산물에 부착된 바코드에 저장된 생산이력정보가 생산 이력 정보 입력 수단, 및 농산물 도매시장에 반입, 하차 및 입고된 이후 VR 촬영된 VR 촬영 상품 이미지가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VR/O2O 서버로 각각 입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판매자 단말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농산물에 대한 응찰 정보를 경매 시스템으로 제공하며,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농산물에 대한 낙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한다(S120). 이에 대해, 도 4에서 VR/O2O 서버가 전자경매 시스템을 통해 VR 경매를 수행하고 낙찰 결과인 유통 이력 정보를 전달받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농산물을 낙찰받은 1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낙찰받은 농산물의 낙찰 정보를 전송하고,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며, 소비자 단말로부터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등록된 농산물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영상 정보, 및 낙찰 정보를 제공한다(S130).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VR 촬영 상품 이미지를 중도매인의 온라인 점포 시스템과 연동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을 통해 농산물이 판매되는 경우,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으로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전송하고,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농산물의 판매가 입력되는 경우,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판매 정보를 전송한다(S140).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VR/O2O 서버가 중도매인의 판매관리시스템으로부터 실재고 정보를 전송받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산물의 생동감 있는 VR/AR의 이미지정보와 상품의 당도, 채도, 색도 등의 정보전달과 생산이력제, 유통이력제와 연동된 상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농산물 상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어 국내 농산물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뢰성 있는 상품정보와 상품상태에 대한 VR/AR의 이미지정보가 동시에 제공됨에 따라 수요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현물거래보다는 상물 분리의 거래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도매인과 소매상의 실시간 재고현황을 온라인에 동기화하기 위해 농산물의 판매정보에 대해 스마트폰과 POS를 통해 실시간 관리를 진행하여 경영 합리화와 아울러 온라인 마켓의 진출에 따라 오프라인의 매장의 활성화를 통해 거래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또한, VR/AR의 이미지 정보와 부가정보를 통해 농산물 상품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통해 구매 교섭력 상승으로 농산물의 소비가 증진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신뢰도 높은 농산물을 통해 온라인 시장(Market)으로의 진출이 가능해짐으로써 거래 규모가 향상되어 도매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또한, 기존의 가격 급등락의 주된 원인이었던 현물을 보면서 거래하는 경매시스템에서 상물 분리의 거래인 정가수의매, 전자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농산물의 수급균형이 농산물이 출하되기 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안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농산물의 가격안정효과로 인해 가격 폭등락의 피해를 보았던 식자재, 외식업체, 김치공장 등 농산물의 원재료의 비중이 높은 업체에게 안정적인 농산물 공급으로 인한 경영합리화가 기대된다.
또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하는 상물 분리의 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농산물의 유통물류가 소비처로 직배송이 되는 전자거래를 통한 유통물류의 신속성 및 효율성이 강회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농산물 거래 시스템
110: 입력 수단 제공부
120: 농산물 정보 제공부
130: 농산물 정보 저장부
140: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
150: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
160: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
170: 농산물 정보 제공부

Claims (18)

  1. 경매를 위해 반입되는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입력수단, 및 상기 농산물의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입력 수단 제공부;
    입력된 상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농산물 정보 저장부;
    미리 설정된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농산물에 대한 낙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
    상기 농산물을 낙찰받은 1차 판매자의 오프라인점포 판매관리시스템에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의 낙찰 정보를 전송하는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는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 및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등록된 농산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영상 정보, 및 낙찰 정보를 제공하는 농산물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는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을 통해 상기 농산물이 판매되는 경우, 상기 1차 판매자의 오프라인점포 판매관리시스템으로 상기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더 전송하고,
    상기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는 상기 1차 판매자의 오프라인점포 판매관리시스템에 상기 농산물의 판매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상기 판매 정보를 더 전송하며,
    상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는 상기 농산물상에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고 상기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에 대응하는 정보 획득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이고,
    상기 농산물의 영상 정보는 육안 식별 가능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의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정보 제공부는 상기 1차 판매자의 1차 판매자 단말로 상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더 제공하며,
    상기 1차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농산물에 대한 응찰 정보를 상기 경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응찰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의 소비자가 2차 판매자인 경우,
    상기 유통 이력 정보 저장부는 상기 판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 연동부는 상기 2차 판매자의 온라인점포 운영시스템에 상기 2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며,
    상기 판매자 판매관리시스템 연동부는 상기 2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상기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농산물의 입체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 제공부는 상기 농산물의 미리 설정된 속성 정보의 입력수단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10. 농산물 거래 시스템이,
    경매를 위해 반입되는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입력수단, 및 상기 농산물의 영상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경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농산물에 대한 낙찰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농산물을 낙찰받은 1차 판매자의 오프라인점포 판매관리시스템에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의 낙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는 단계; 및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등록된 농산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 영상 정보, 및 낙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산물 거래 방법으로서,
    상기 1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을 통해 상기 농산물이 판매되는 경우, 상기 1차 판매자의 오프라인점포 판매관리시스템으로 상기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판매자의 오프라인점포 판매관리시스템에 상기 농산물의 판매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상기 판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는 상기 농산물상에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고 상기 부착된 정보 저장 수단에 대응하는 정보 획득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이고,
    상기 농산물의 영상 정보는 육안 식별 가능한 상기 정보 저장 수단의 영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매자의 1차 판매자 단말로 상기 농산물의 생산 이력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농산물에 대한 응찰 정보를 상기 경매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의 소비자가 2차 판매자인 경우,
    상기 농산물 거래 시스템에 상기 판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2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 운영 시스템에 상기 2차 판매자의 온라인 점포에 대응하여 상기 낙찰받은 농산물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판매자의 판매관리시스템에 상기 농산물의 판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농산물의 입체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의 미리 설정된 속성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거래 방법.

KR1020170075959A 2017-06-15 2017-06-15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59A KR101950478B1 (ko) 2017-06-15 2017-06-15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59A KR101950478B1 (ko) 2017-06-15 2017-06-15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06A KR20190000406A (ko) 2019-01-03
KR101950478B1 true KR101950478B1 (ko) 2019-02-20

Family

ID=6502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59A KR101950478B1 (ko) 2017-06-15 2017-06-15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6926B (zh) * 2019-03-26 2020-06-21 財團法人亞洲大學 農產品品質保證之產銷履歷的建立及查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66B1 (ko) * 2006-10-15 2008-06-10 장옥 중개센터를 이용한 인터넷 경매 방법
KR101595538B1 (ko) * 2014-05-26 2016-02-22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12A (ko) * 2003-06-21 2004-12-31 주식회사 스피드칩 농산물 추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5005A (ko) * 2006-01-11 2007-07-18 육상조 연속경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266B1 (ko) * 2006-10-15 2008-06-10 장옥 중개센터를 이용한 인터넷 경매 방법
KR101595538B1 (ko) * 2014-05-26 2016-02-22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06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55560A1 (en) System for facilitating point of sale transactions
KR101950478B1 (ko) 농산물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4379A (ko) 넷 오더 시스템
KR102238503B1 (ko)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KR20160051934A (ko) 모바일 농수산물 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794936B1 (ko) 가중치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WO2020034624A1 (zh) 一种基于区块链的商品交易方法
KR20140107716A (ko) 소셜 커머스를 이용한 농산물 직거래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1357248A (ja) 自動競売装置及び自動競売方法
KR20210073797A (ko) 인공지능 농산물생산판매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15713A (ko) 소매사업자를 위한 상품 자동 주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71605A (ko) 직거래 실시간 개인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2002007782A (ja) 電子商取引方法及び装置
KR20200103413A (ko) 수산물 신유통 시스템
KR100328142B1 (ko) 자율적인 제품광고 매장 형성을 이용한 역경매 전자상거래 방법
KR20130012785A (ko)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KR20050019594A (ko) 인터넷을 통한 도소매 시스템의 통합관리시스템 및통합관리방법
KR20220067349A (ko) 주류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류 거래 방법
KR20210136264A (ko)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농산물 거래 시스템
KR20170076404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수입 패션 상품 가격 책정 방법
KR20020043544A (ko) 메신저 기반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9203A (ko) 온라인 상품정보 실시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52630B1 (ko) 상품 매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154536B1 (ko) 도매 거래를 위한 역경매 방법
KR101274788B1 (ko) 실시간 개별상담 가능한 선택적 다중 영상통신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및 보안 시스템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