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0887A -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0887A
KR20150140887A KR1020140068733A KR20140068733A KR20150140887A KR 20150140887 A KR20150140887 A KR 20150140887A KR 1020140068733 A KR1020140068733 A KR 1020140068733A KR 20140068733 A KR20140068733 A KR 20140068733A KR 20150140887 A KR20150140887 A KR 2015014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hopping mall
producer
product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황린혜
Original Assignee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들꾸러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0887A/ko
Publication of KR2015014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을 이용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농산물 유통이 신속하게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직거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농산물 생산자가 직접 판매를 취급할 수 있는 유형의 농산물인 경우에는 본인의 생산자모바일 쇼핑몰을 통해서 판매가 이루어지게 하고 소포장 상품, 꾸러미 상품 등과 같은 재포장 등의 이유로 농산물생산자 본인이 직접 판매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농산물모바일 유통을 관리하는 본사의 중앙모바일쇼핑몰을 통한 간접 판매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농산물 생산자나 소비자 모두에게 유리한 농산물 유통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SYSTEM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SERVIC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농산물 유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을 이용해서 농산물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농산물 유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직거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농산물 소비자로부터 차량으로 한나절 거리 정도의 인근에 농지나 농장을 경작하는 농산물 생산자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원하고 있으며, 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온라인 전자상거래에 대한 관심을 쏟고 있는 실정이다.
농산물 생산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농산물 도매상과의 거래를 통한 유통 방법이 편리하긴 하나 낮은 마진과 아울러 신선농산물의 시간 지체 등으로 인해 농산물의 상품 가치가 하락한 채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자상거래를 통한 신속한 직거래를 모색하고 있다.
현재 농산물 생산자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위해 개인 쇼핑몰을 준비하여 운영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는 농장 운영의 장기적인 측면에서 단순 생산형태가 아닌 비즈니스로서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농산물 생산자가 농산물 생산과 동시에 쇼핑몰 운영을 병행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는 상당히 버겁다. 운영 중인 개인 쇼핑몰의 마케팅 활동이 용의치 않음으로 인해 해당 농산물쇼핑몰의 활성화는 투입된 비용과 노력에 대비해 미진한 경우가 많은 바, 이는 농산물에 대한 기존의 불합리한 유통구조의 개선이 쉽지 않음을 드려낸 일예가 된다.
농산물 생산자가 쇼핑몰의 상품 구성 및 운영을 수행함에 있어 수익 창출이 어려운 여건의 대표적 일 예를 들면 소포장 단위의 상품 서비스가 힘들다는 것이다.
농산물 생산자가 도매 납품 시에는 10kg 이상 단위로 대포장하여서 납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온라인 쇼핑몰의 일반 소비자들은 1~5kg 용량의 저용량 소포장 상품을 선호하는데 이러한 소비자에 대한 고객맞춤형 농산물의 별도 준비는 어려운 상황이며 이로 인해 농산물 쇼핑몰의 구색은 제대로 갖춰지지 못하고 그 결과 온라인 판매도 저조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개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추가 인력과 비용을 투자하여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것 역시도 어렵다.
그러므로, 농산물 유통에 있어 만약에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나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면 농산물 생산자나 직거래를 원하는 소비자, 농산물 유통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라는 관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 특2001-0083825호 "유기농산물의 유통판매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산물 생산자가 희망하는 모바일 쇼핑몰로 농산물 판매상품가 이루어지되 생산자의 직·간접 판매 유형에 적응적으로 맞춰서 농산물 판매가 이루어지게 유통관리하는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이동단말을 이용한 농산물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12)(14)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8)이나 무선인터넷(10)을 통해 이동단말(12)(14)과 접속되는 중앙서버(2)를 구비하되,
중앙서버(2)는;
농산물생산자가 개인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에서 직접 상품 판매하는 직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과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상품판매하는 간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을 구분 관리하는 판매농산물 상품 유형관리부(44)와, 서비스 본사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몰을 관리하는 중앙모바일쇼핑몰 관리부(34)와, 중앙모바일 쇼핑몰 관리부(34)의 관리 하에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모바일 앱 판매 서비스함과 동시에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도 함께 모바일 앱화면에 진열하는 중앙모바일 쇼핑몰(20)과, 농산물 생산자가 직접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몰을 링크 관리 및 생산자별 판매 관리하는 생산자모바일 쇼핑몰 관리부(40)와, 중앙모바일 쇼핑몰(20)과 링크되며 미리 설정된 용량 이상의 농산물상품을 해당 농산물 생산자의 모바일 쇼핑몰로 직접 모바일앱 판매 서비스하는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과,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모바일 앱 판매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각부를 제어하고,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에서 앱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판매 유형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링크되어진 해당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로 진입하여서 해당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모바일 앱 판매서비스가 이루어지게 각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의 중앙서버(2)는 각 생산자의 생산자모바일쇼핑몰로 진행가능한 중앙모바일쇼핑몰을 이동단말 상에서 구동시키는 중앙모바일쇼핑몰용 모바일 앱 관리 및 각 생산자의 생산자모바일쇼핑몰을 이동단말 상에 구동시키는 생산자모바일쇼핑몰용 모바일 앱 관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앱 관리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에서,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판매되는 간접판매 유형상품은 소포장 상품, 다수 농산물 종류가 복합된 꾸러미 상품, 농산물 생산자의 도매납품 상품을 포함하고,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생산자 주도로 판매되는 직접판매 유형상품은 5kg 이상의 단일품종이나 복합상품으로 구성된 대용량 농산물 상품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을 이용한 농산물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 사용자와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단말에 설치된 농산물 유통 모바일 앱이 실행됨에 따라 농산물 유통관리 서비스본사에서 운영하는 중앙 모바일 쇼핑몰의 앱 메인화면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을 직접판매상품과 간접판매상품으로 유형을 구분하여서 가시적으로 제공하는 제1 과정과,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소비자가 선택함에 따라 중앙 모바일 쇼핑몰에서의 농산물상품 구매서비스를 진행하는 제2 과정과, 중앙 모바일 쇼핑몰의 앱 메인화면의 진열 농산물 상품중 직접판매 유형상품을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소비자가 선택함에 따라 중앙 모바일 쇼핑몰에 링크된 해당 농산물생산자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로 이동하여서 해당 생산자로부터의 농산물상품 직접 구매서비스가 이루어지게 서비스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의 서비스 방법에서는,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로 이동후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이 디스플레이된 앱화면 페이지에는 중앙모바일 쇼핑몰의 메인으로 이동하기 위한 중앙 모바일 쇼핑몰 메인가기 버튼과, 현재보여지는 상품의 메인 목록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생산자 메인가기 버튼이 포함되어 페이지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 생산자가 직접 판매를 취급할 수 있는 유형의 농산물인 경우에는 본인의 생산자모바일 쇼핑몰을 통해서 판매가 이루어지게 하고 소포장 상품, 꾸러미 상품 등과 같은 재포장 등의 이유로 농산물생산자 본인이 직접 판매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농산물모바일 유통을 관리하는 본사의 중앙모바일쇼핑몰을 통한 간접 판매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농산물 생산자나 소비자 모두에게 유리하며 농산물유통 비지니스 측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농산물 모바일 유통관리 시스템의 서버에서의 구체 기능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산물 모바일 유통관리 시스템에서의 농산물 쇼핑 개념 구성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모바일 유통에 관련된 이동단말 상의 모바일 앱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12)(14)을 이용하여서 농산물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으로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의 망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농산물 모바일 유통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사에서 구축한 중앙서버(2)는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12)(14)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몰 서비스, 즉 이동단말(12)(14) 상에서 구동되는 중앙 모바일쇼핑몰(20)과 생산자 모바일쇼핑몰(22) 서비스를 위해서 인터넷(8)이나 무선인터넷(10)을 매개로 하여 원거리의 소비자나 농산물생산자의 이동단말(12)(14)과 무선 접속된다.
무선인터넷(10)은 3세대(3G) 이동통신망, 와이브로(Wibro)망, LTE와 같은 4세대(4G) 이동통신망 등이 될 수 있다. 이동단말(12)(14)은 예를 들면 요즈음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아이패드 및 갤럭시노트 등과 같은 태블릿PC나 노트북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중앙서버(2)는 본사에서 운영하는 중앙의 모바일 쇼핑몰과 생산자가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몰 간의 연계 관리를 수행하며, 이를 위해 중앙서버(2)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4)와 모바일 쇼핑몰 운영자의 관리를 위한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도 함께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중앙서버(2)의 구체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농산물 모바일 유통관리 시스템에서의 농산물 쇼핑 개념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30),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 중앙모바일쇼핑몰 관리부(34), 중앙모바일 쇼핑몰(20), 생산자모바일쇼핑몰 관리부(38),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 모바일 앱 관리부(42), 판매 농산물상품 유형 관리부(44), 데이터베이스(DB)(4)와 그 데이터베이스(4)의 관리를 위한 DB서버(40), 및 결제서비스부(44)를 포함한다.
중앙서버(2)에서, 서버 제어부(30)는 이동단말(12)(14)을 이용한 농산물 유통을 위해 중앙서버(2)내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서버 제어부(30)는 소비자의 이동단말(12) 상에서 실행된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모바일 앱 판매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각부를 제어하고,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에서 앱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링크되어진 해당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로 진입하여서 해당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모바일 앱 판매서비스가 이루어지게 각부를 제어한다.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는 서버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있는 관리자컴퓨터 및 각종 출력장치가 될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30)와 중앙관리자 간의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중앙모바일쇼핑몰 관리부(34)는 서버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서비스 본사에서 운영하는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을 관리하며, 중앙모바일 쇼핑몰(20)은 중앙모바일 쇼핑몰 관리부(34)의 관리 하에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모바일 앱 판매 서비스함과 동시에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도 함께 모바일 앱화면에 진열한다.
생산자모바일쇼핑몰 관리부(38)는 농산물 생산자가 직접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몰을 링크 관리 및 생산자별 판매정보를 전송받아 확인 관리한다. 그리고,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은 해당 농산물 생산자에 의해서 직접 운영되는 모바일 쇼핑몰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앙모바일 쇼핑몰(20)과 링크되어 있으며,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 진열된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의 선택을 통해서 소비자의 이동단말(12)상에서 앱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에서 소비자가 대용량 농산물상품을 구매하게 되면 결제 및 배송 책임은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의 주인인 생산자가 직접 지게 되며, 그 판매에 대한 확인 관리차원에서 소비자의 구입정보는 중앙서버(2)에 전달된다.
농산물 생산자가 직접 판매를 주도하는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 대한 독립 모바일 앱도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제작하여서 온라인 상의 모바일 콘텐츠 장터를 통해 유상 또는 무상으로 농산물 생산자에게 공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만일 소비자가 독립된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을 이용하여 바로 접속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중앙모바일 쇼핑몰(20)과는 연동되지가 않는다.
소비자의 이동단말(12)상의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판매되는 간접판매 유형상품은 5kg 미만의 소포장 상품, 다수 농산물 종류가 복합된 꾸러미 상품, 농산물 생산자의 도매납품 상품 등이 있으며, 소비자의 이동단말(2) 상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 판매되는 직접판매 유형상품은 5kg 이상의 단일품종이나 복합상품으로 구성된 대용량 농산물 상품이다.
모바일 앱 관리부(42)는 각 생산자의 생산자모바일쇼핑몰(22)로 진행가능하게 구성된 중앙모바일 쇼핑몰(20)을 소비자의 이동단말(12) 상에서 구동시키는 중앙모바일쇼핑몰용 모바일 앱 관리와 아울러 각 생산자별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을 소비자의 이동단말(12) 상에서 링크 연결로 구동되는 생산자모바일쇼핑몰용 모바일 앱 관리도 한다.
그리고, 판매 농산물상품 유형 관리부(44)는 농산물생산자가 개인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 직접 상품 판매하는 직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과,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을 통해 상품판매하는 간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을 구분하여 관리한다. 직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과 간접판매 농산물 상품 유형의 구분 데이터는 DB서버(40)의 제어 하에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된다.
결제서비스부(48)는 각종 신용카드사서버, 은행사서버, 이통신사서버, 전자화폐서버 등의 외부의 결제서비스부와 인터넷(20)이나 무선인터넷(22)을 매개로 연결되며, 서버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의 각종 결제를 처리하며, 결제의 편의도모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농산물생산자의 개인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각종 결제도 집중시켜서 처리할 수 있다. 결제서비스부(48)를 통한 결제방법으로는 신용카드(전자결제), 통장이체, 무통장입금, 마일리지, 전자화폐, 휴대폰 결제 및 기타 전자적으로 결제 가능한 각종 방법이 포함된다.
농산물 생산자나 소비자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탑재할 수 있는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온라인 상의 모바일 콘텐츠 장터(예컨대 애플의 앱스토어, SK텔레콤의 T스토어, 삼성전자의 플레이스토어 등)에 본 발명에 따라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애플리케이션 등록한 모바일 앱을 본인의 이동단말(12)(14)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다.
소비자의 이동단말(12)에서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애플리케이션 등록한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를 하게 되면, 도 4와 같은 현재 실행되는 중앙 모바일 쇼핑몰(20) 앱의 첫 페이지가 보여지는 화면인 Intro화면이 실행된다. Intro화면은 로딩시간을 활용하여 해당 시점 정보를 사전 다운로드 함으로써 체감 실행 속도를 경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후에는 이용자의 이동단말(1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핸드폰번호와 이메일을 통해 중앙서버(2)에서의 사용자 인증 과정과 시스템 이용약관의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에서는 이동단말(12)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약관 및 개인 정보수집/이용/제공 동의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최초 이용자는 인증절차를 통해서 중앙서버(2)로부터 회원인증을 받게 되며, 인증된 회원 정보는 중앙 서버(2)로 전송되어서 서버제어부(30)의 제어 하에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된다. 회원 식별 및 인증 정보는 이메일과 회원이 보유한 이동단말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앱이 설치된 후 인증과정과 시스템 이용약관의 확인 절차가 완료된 후 이동단말(12)의 화면상에는 도 6에 도시된 일예와 같은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의 메인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의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의 메인페이지 앱 화면에서는, 판매되는 농산물상품의 주요 노출상품을 간략표시로 진열하되 크게 농산물 상품을 직접판매상품과 간접판매상품으로 유형을 구분하여서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요지적 특징으로 한다.
도 6에서 농산물 상품중 간접판매 유형상품은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주도하여 판매하는 것으로서, 5kg 미만의 소포장 상품, 다수 농산물 종류가 복합된 꾸러미 상품, 농산물 생산자의 도매납품 상품 등이 있다.
그리고 도 6의 메인페이지의 앱 화면에 간접판매 유형의 농산물 상품으로 함께 진열된 직접판매 유형상품은, 농산물 생산자가 주도하여 판매하는 것으로서 5kg 이상의 단일품종이나 복합상품으로 구성된 대용량 농산물 상품이다.
본사가 주도하여 판매하는 간접판매유형의 농산물 상품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소포장 상품이나 꾸러미 상품의 농산물 사진이미지, 이름, 가격/간략정보가 실리고, 또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의 농산물 상품에도 대용량상품의 농산물 사진이미지와 이름, 및 가격/간략정보가 마찬가지로 실린다.
이용자(농산물 소비자)가, 본사에서 주도하여 판매하는 간접판매 유형 상품을 선택하면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중앙서버(2)의 제어 하에 이동단말(12)의 중앙 모바일 쇼핑몰(20)내에서 상품의 상세 정보 화면으로 이동하는 것과 선택 상품의 구매 과정과 결제가 이루어진다. 중앙모바일 쇼핑물(20)에서 상품구입시 구입정보는 중앙서버(2)로 바로 전송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비자가 도 6의 간략표시된 상품에서 예컨대 본사에서 주도하여 판매하는 간접판매 유형중 소포장농산물 상품을 화면터치 등으로 선택하면 도 7의 화면 일예에서와 같은 해당 소포장농산물 상품의 상세정보 확인페이지가 활성화되어서 이동단말(12)의 화면상에 디플레이 된다.
도 7의 소포장 농산물상품 상세정보화면에서, 소포장농산물 상품 이미지 표시란에는 해당 상품의 대표이미지가 노출되고, 농산물 이름 및 가격란에는 농산물의 이름, 가격, 출하날짜, 산지 등 상품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품상세 설명란에는 해당상품에 대한 다수의 상세 이미지와 그에 대응한 상품내용이 상세히 기재된다. 또 도 7의 상세정보화면에는 선택한 상품의 구매실행과 선택상품을 담아두는 장바구니 기능을 위한 '구매'버튼이나 '장바구니'버튼도 각기 마련된다.
다른 일예로서, 소비자가 도 6의 간략표시된 상품에서 본사에서 주도하여 판매하는 간접판매 유형중 꾸러미농산물 상품을 화면터치 등으로 선택하면 도 8의 화면 일예에서와 같은 해당 꾸러미장농산물 상품의 상세정보 확인페이지가 활성화되어서 이동단말(12)의 화면상에 디플레이 된다.
도 8의 꾸러미 농산물상품 상세정보화면의 구성은 도 7의 소포장 농산물상품 상세정보화면 구성과 유사하게 제공된다. 다만, 도 8의 앱화면 중간부에는 꾸러미 상품에 포함된 단독 농산물 섬네일(thumbnail) 윈도우화면을 다수개로 별도로 마련하되, 그 제공된 섬네일 윈도우화면은 해당 단독농산물 상품 상세화면으로의 바로가기 버튼역할도 겸한다.
이동단말(12)의 앱화면상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의 간접판매 상품의 구매 정보는 중앙 서버(2)로 전송되고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됨과 동시에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내 관리자 컴퓨터의 구매 확인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므로, 관리자는 관리자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서 구매 확인을 할 수 있다.
본사의 관리자는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를 통해서 중앙모바일 쇼핑몰(20)의 농산물 상품을 데이터베이스(4)에 등록, 수정, 삭제, 분류, 활성 및 비활성화로 관리할 수 있으며, 또 데이터베이스(4)에 등록된 회원의 개인 식별 정보, 주소, 구매 활동 정보를 확인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2)에서는 소비자의 이동단말(12) 상의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을 통한 간접상품 판매정보가 발생하면 해당 생산자 및 생산자의 이동단말(14)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를 통해서 인지하고 해당 농산물상품판매 정보를 해당 생산자의 이동단말(14)로 전송한다(도 3 참조).
그러므로 판매를 위탁한 농산물 생산자는 자신의 농산물 상품판매 상태를 생산자인 본인의 이동단말(14)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의 이동단말(12)상 중앙모바일 쇼핑몰(20)의 앱 메인화면에서 진열 농산물 상품중 생산자 주도하에 판매되는 직접판매 유형상품 예컨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5kg이상의 대용량상품을 선택하면 중앙서버(2)의 제어하에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에 링크된 도 9와 같은 해당 농산물 생산자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로 즉시 이동하게 되며, 그후 해당 생산자로부터의 농산물상품 직접 구매서비스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 이루어진 구매 정보는 확인 관리 용도로서 생산자의 이동단말(14)로부터 프로그램적으로 발신되는 메일 알림 및/또는 푸시알림이 중앙 서버(2)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중앙서버(2)에서는 확인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함과 동시에 본사의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의 관리자 프로그램을 통해서 관리자에게 제공하여서 관리자가 구매, 결제 금액, 판매 수수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중앙서버(2)는 생산자가 직접 운영하는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과의 연동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4)에 생산자의 농장 정보, 연동 정보, 판매 정보, 매출 정보를 저장하며, 또 본사의 관리자가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내 관리자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도 9는 도 5의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의 메인페이지에서 중앙 모바일 쇼핑몰(20)의 상품 중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에 대한 상품 구매를 이용자(소비자)가 선택 시 링크연결로 이동됨에 따라 활성화된 소비자 이동단말(12)상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의 앱 화면으로서, 대용량 농산물 상품중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상세 정보 확인페이지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대용량 농산물상품 상세정보 앱화면 페이지에는 5kg이상의 대용량농산물 상품 이미지 표시란에는 해당 상품의 대표이미지가 노출되고, 농산물 이름 및 가격란에는 농산물의 이름, 가격, 출하날짜, 산지 등 상품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앱화면 페이지내 상품상세 설명란에는 해당상품에 대한 다수의 상세 이미지와 그에 대응한 상품내용이 상세히 기재된다. 또 도 9의 상세정보 앱화면 페이지 내에는 선택한 상품의 구매실행과 선택상품을 담아두는 장바구니 기능을 위한 '구매'버튼이나 '장바구니'버튼도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도 9의 상세정보 앱화면 페이지의 상단에는 중앙모바일 쇼핑몰의 메인으로 이동하기 위한 '중앙 모바일 쇼핑몰 메인가기' 버튼과, 현재보여지는 상품의 메인 목록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생산자 메인가기'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이용자(농산물 소비자)가 '중앙 모바일 쇼핑몰 메인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중앙서버(2)의 제어하에 이동단말(12)의 화면은 도 5의 앱 화면으로 복귀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만일 이용자(농산물 소비자)가 '생산자 메인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중앙서버(2)의 제어하에 이동단말(12)의 화면에는 도 10의 앱 화면 일예와 같이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0)의 메인목록 앱화면이 팝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0)의 메인목록 앱화면에는 생산자의 주도하에 현재 판매되는 대용량 농산물 상품 다수의 목록이 표시된다.
도 10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의 메인목록 앱 화면에서는, 판매되는 다수의 대용량 농산물상품의 주요 노출상품을 간략표시로 진열하되, 각 항목별로 대용량 상품의 이름, 가격, 간략정보, 및 대용량 농산물 상품 섬네일 사진이미지가 표시된다.
더욱이 도 10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 메인목록 앱 화면에는, 중앙모바일 쇼핑몰의 메인으로 이동하기 위한 '중앙 모바일 쇼핑몰 메인가기' 버튼과, '장바구니'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이동단말(12)상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 5kg이상의 대용량 농산물상품을 선택하고 구매하게 되면, 이러한 구매와 결제는 중앙서버(2)의 결제 서비스부(48)가 전혀 관여하지 않고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상품배송 역시도 농산물 생산자의 직접 책임 하에 이루어지게 된다.
그렇지만 중앙서버(2)에서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서, 농산물 생산자가 주도하는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 구매와 결제가 이루어진 구매 확인정보는 생산자의 이동단말(14)로부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발신되는 메일 알림 또는 푸시알림 메시지 형태로 중앙 서버(2)로 전송되며, 중앙 서버(2)에서는 그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4)를 업데이트하고 중앙 관리자가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구매, 결제 금액, 판매 수수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6)를 통해서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을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단말을 이용해 유통시킴에 있어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거래 확대 및 신속한 농산물 판매가 이루어지게 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2)-- 중앙서버 (4)-- 데이터베이스(DB)
(6)-- 중앙관리자 인터페이스부 (8)-- 인터넷
(10)-- 무선인터넷 (12)-- 이동단말(소비자)
(14)-- 이동단말(생산자) (20)-- 중앙 모바일 쇼핑몰
(22)--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 (30)-- 서버제어부
(34)-- 중앙모바일쇼핑몰 관리부 (38)-- 생산자모바일쇼핑몰 관리부
(40)-- DB서버 (42)-- 모바일 앱 관리부
(44)-- 판매농산물상품 유형 관리부 (48)-- 결제서비스부

Claims (7)

  1.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을 이용한 농산물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12)(14)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8)이나 무선인터넷(10)을 통해 이동단말(12)(14)과 접속되는 중앙서버(2)를 구비하되,
    중앙서버(2)는;
    농산물생산자가 개인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에서 직접 상품 판매하는 직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과 농산물 모바일유통관리 서비스 본사가 상품판매하는 간접판매 농산물상품 유형을 구분 관리하는 판매농산물 상품 유형관리부(44)와,
    서비스 본사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몰을 관리하는 중앙모바일쇼핑몰 관리부(34)와,
    중앙모바일 쇼핑몰 관리부(34)의 관리 하에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모바일 앱 판매 서비스함과 동시에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도 함께 모바일 앱화면에 진열하는 중앙모바일 쇼핑몰(20)과,
    농산물 생산자가 직접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몰을 링크 관리 및 생산자별 판매를 확인 관리하는 생산자모바일 쇼핑몰 관리부(40)와,
    중앙모바일 쇼핑몰(20)과 링크되며 미리 설정된 용량 이상의 농산물상품을 해당 농산물 생산자의 모바일 쇼핑몰로 직접 모바일앱 판매 서비스하는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과,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모바일 앱 판매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각부를 제어하고,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앱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을 선택함에 따라 링크되어진 해당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로 진입하여서 해당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모바일 앱 판매서비스가 이루어지게 각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모바일 쇼핑몰(20)에서 판매되는 간접판매 유형상품은 소포장 상품, 다수 농산물 종류가 복합된 꾸러미 상품, 농산물 생산자의 도매납품 상품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에서의 생산자 주도로 판매되는 직접판매 유형상품은 5kg 이상의 단일품종이나 복합상품으로 구성된 대용량 농산물 상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중앙서버(2)는 각 생산자의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로 진행가능케 링크한 중앙모바일 쇼핑몰(20)을 이동단말(12) 상에서 구동시키는 중앙모바일쇼핑몰용 모바일 앱 관리 및 각 생산자의 생산자모바일 쇼핑몰(22)을 이동단말(12) 상에 구동시키는 생산자모바일쇼핑몰용 모바일 앱 관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앱 관리부(42)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5. 모바일 앱이 설치된 이동단말을 이용한 농산물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 사용자와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단말에 설치된 농산물 유통 모바일 앱이 실행됨에 따라 농산물 유통관리 서비스본사에서 운영하는 중앙 모바일 쇼핑몰의 앱 메인화면에 진열된 농산물 상품을 직접판매상품과 간접판매상품으로 유형을 구분하여서 가시적으로 제공하는 제1 과정과,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간접판매 유형상품을 소비자가 선택함에 따라 중앙 모바일 쇼핑몰에서의 농산물상품 구매서비스를 진행하는 제2 과정과,
    중앙 모바일 쇼핑몰의 앱 메인화면의 진열 농산물 상품중 직접판매 유형상품을 이동단말 사용자의 앱 화면인터페이스를 통해 소비자가 선택함에 따라 중앙 모바일 쇼핑몰에 링크된 해당 농산물생산자의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로 이동하여서 해당 생산자로부터의 농산물상품 직접 구매서비스가 이루어지게 서비스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판매 유형상품은 5kg 미만의 소포장 상품, 다수 농산물 종류가 복합된 꾸러미 상품, 농산물 생산자의 도매납품 상품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직접판매 유형상품은 5kg 이상의 단일품종이나 복합상품으로 구성된 대용량 농산물 상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 모바일 쇼핑몰의 이동하여서 생산자 직접판매 유형상품이 디스플레이된 앱화면 페이지에는, 중앙모바일 쇼핑몰의 메인으로 이동하기 위한 중앙 모바일 쇼핑몰 메인가기 버튼과, 현재보여지는 상품의 메인 목록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생산자 메인가기 버튼이 포함되어 페이지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에서의 서비스 방법.
KR1020140068733A 2014-06-06 2014-06-06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150140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733A KR20150140887A (ko) 2014-06-06 2014-06-06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733A KR20150140887A (ko) 2014-06-06 2014-06-06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887A true KR20150140887A (ko) 2015-12-17

Family

ID=5508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733A KR20150140887A (ko) 2014-06-06 2014-06-06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08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962A (ko) 2017-02-27 2018-09-05 손수우 다품목 소포장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20190020311A (ko) 2019-02-20 2019-02-28 손수우 다품목 소포장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CN113450184A (zh) * 2021-06-18 2021-09-28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区块链畜牧养殖信息溯源直销系统及其销售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193A (ko) * 2000-08-29 2000-11-06 최철윤 농산물 관련 종합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010089006A (ko) * 2000-03-20 2001-09-29 김용옥 농수산물 전자상거래에서의 맞춤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2288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코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006A (ko) * 2000-03-20 2001-09-29 김용옥 농수산물 전자상거래에서의 맞춤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4193A (ko) * 2000-08-29 2000-11-06 최철윤 농산물 관련 종합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030012288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코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파머스를 아세요?(농산물정보 실시간 공유서비스)(2013.08.0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962A (ko) 2017-02-27 2018-09-05 손수우 다품목 소포장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20190020311A (ko) 2019-02-20 2019-02-28 손수우 다품목 소포장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CN113450184A (zh) * 2021-06-18 2021-09-28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区块链畜牧养殖信息溯源直销系统及其销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80805A1 (en) Arranging Advertisement Content In Digital Receipts
KR101595538B1 (ko) 정보통신기술 융합형 신선 농산물 유통 관리시스템
KR20140031990A (ko) 연합 및 멀티-테넌트 전자상거래 플랫폼
US10217155B2 (en) Product cross-selling method and system
US202100122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through return labels
CN108108968A (zh) 支付管理系统的实现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101753836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073938A1 (en) Channel partners system and method
US20190050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g based upselling
KR101903769B1 (ko) 융복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시스템.
KR20150140887A (ko) 농산물 모바일 유통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US202203379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live video streams
KR101221364B1 (ko) 판매자간 물품을 공유하여 패키지 물품을 제공하는 맞춤형 구매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24879A1 (ja) 商品後買い(tm)システム
US20200279265A1 (en) Secure pin entry via moble device
KR20200093749A (ko)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383396A1 (en) Build and update a virtual store based on a physical store
US20220383397A1 (en) Customize a virtual store based on buyer preferences and movement
US118167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tasks across multiple online stores
KR101928873B1 (ko) 온라인 투 오프라인 간편결제 기반의 기부금 모금 방법
KR102002220B1 (ko) 금융상품과 결합된 선정산 기반의 대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Veres et al.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for Remote Customer Service.
JP201907517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9098820A1 (en) A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latform
JP2019219939A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