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659A -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659A
KR20150133659A KR1020150070214A KR20150070214A KR20150133659A KR 20150133659 A KR20150133659 A KR 20150133659A KR 1020150070214 A KR1020150070214 A KR 1020150070214A KR 20150070214 A KR20150070214 A KR 20150070214A KR 20150133659 A KR20150133659 A KR 2015013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parameter
parameter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106B1 (ko
Inventor
토시유키 타카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통신장치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1의 통신부이며, 유저 조작에 의해 설정된 제1의 통신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1의 통신부가 공유한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의 통신부; 상기 제2의 통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구별해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 폰이 무선LAN을 사용해서 접속하여, 화상을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 무선LAN을 사용한 접속을 위해서는, SSID나 패스워드 등, 몇 개의 통신 파라미터를, 유저가 선택 또는 입력할 필요가 있어, 접속이 확립하기 위한 수순이 번잡했다.
이 접속 수순의 번잡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방법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62322호에는, 한번 접속하면, 접속시에 사용한 파라미터를 접속 이력으로서 보존해두어, 이후의 접속 수순을 간단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82587호에는, 접속시에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사용해서 공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에 의하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62322호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첫회의 무선LAN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유저의 수고도 덜 수 있다. 그 대신, 접속을 위해서는 기기끼리를 가까이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제한이 있다. 이를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62322호와 조합하여서, 첫회는 근접 무선통신기능에 의해 수고를 덜고, 다음번부터는 접속 이력을 사용해서 더욱 수고를 덜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을 단순하게 조합했을 경우, 이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즉,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할 때에 보존된 무선접속정보가, 기기끼리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무선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근접 무선통신을 행함으로써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정보로 덮어 써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기기끼리를 간단히 가까이 하는 방식만으로 손쉽게 접속을 확립할 수 있으므로, 접속 이력을 덮어 써버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에 보존된 무선접속정보에 대응하는 기기와 접속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다시 무선접속 설정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과거에 접속한 기기와의 접속 정보의 관리를 적절하게 행하는 기술을 실현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1의 통신부이며, 상기 제1의 통신부와는 다른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의 통신부;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 상기 제2의 통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구별해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1의 통신부와 제2의 통신부를 갖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의 통신부와는 다른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단계;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의 통신단계에서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를 사용해서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단계;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유지단계; 및 상기 제1의 통신단계에서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단계에서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구별해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전에 접속한 기기와의 접속 정보의 관리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상대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저의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시작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4a 내지 도 4h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를 행하기 위한 GUI화면의 예시도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근접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무선접속을 시작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를 예시하는 도다.
도 8a 및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를 행하기 위한 GUI화면의 예시도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들일 뿐이다. 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장치의 각종 조건과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 또는 변경된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상기 실시예들의 부분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도 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촬상장치 및 통신 상대기기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사용하고, 그 촬상장치와 통신 상대기기가 무선 접속된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상대기기로서 휴대전화의 일종인 스마트 폰을 상정하고 있지만, 다른 카메라 휴대전화나 타블렛 단말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 부착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광학계(101)는, 줌렌즈와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 구경 조리개 기능을 가지는 셔터로 이루어진다. 촬상부(102)는 피사체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등으로 구성된 촬상소자다. 촬상부(102)는,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를 구비한다.
휘발성 메모리(104)는 RAM등의 일시기억장치이며, 촬상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이하, 화상 데이터라고 함)를 기억한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104)는, 화상 데이터의 이외에, 파일 시스템 정보나, 관리 정보 등, 각종의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제어부(103)의 워킹 메모리의 역할을 한다. 한층 더, 휘발성 메모리(104)는, 화상의 기록시나 재생시에 버퍼 메모리의 역할을 한다. 제어부(103)의 워크 에어리어는, 휘발성 메모리(104)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외장형 하드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이어도 된다.
조작부(107)는,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동화상의 기록 시작/정지, 정지 화상의 촬영, 줌 조작, 후술하는 동작 모드의 변환), GUI화면에 의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스위치, 커서 키, 터치패널 등이다.
불휘발성 메모리(105)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 가능한, 예를 들면 EEPROM등의 2차 기억장치다. 불휘발성 메모리(105)에는, 제어부(103)를 동작하기 위한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이란,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의 수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05)에는, 촬영한 화상 파일과, 후술하는 무선접속정보등의 접속 이력정보가 보존된다.
제어부(103)는, CPU, 입출력 회로, 타이머 회로 등을 갖고, CPU가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휘발성 메모리(104)의 워크 에어리어에 전개하고 실행함으로써,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106)는, 촬영시의 뷰 파인더 화상의 표시, 촬영한 화상의 표시, 대화적인 조작을 위한 문자표시등을 행한다. 표시부(106)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EL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다. 표시부(106)는, 디지털 카메라(100)와 일체화되어도 되거나, 디지털 카메라(100)와 접속된 외부기기이어도 된다.
통신부(108)는,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통신부(108)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부(102)에서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통신부(108)를 거쳐서 외부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108)는 외부장치와 IEEE802.11의 규격에 따라 소위 무선LAN으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제어부(103)는, 통신부(108)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실현한다. 또한, 통신방식은 무선LAN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예들은 적외통신방식을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통신부(108)에 액세스하기 위한 부를 가지고 있으면 좋고, 반드시 통신부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통신부가 외부 악세사리로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추가 됨으로써 스마트 폰(200)과 통신을 하여도 된다. 또한, 통신부(108)를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AP의 일종이지만, 보다 기능이 한정된 간이적인 AP(이하, 간이AP)로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 카메라(100)가 간이AP로서 동작하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혼자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주변의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AP기기로서 인식하고, 디지털 카메라(100)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AP의 일종이지만,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바이더 등에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은 갖지 않고 있는 간이AP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자기가 형성한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그 데이터를 인터넷등의 다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는 없다.
근접 무선통신부(109)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무선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변복조회로와, 통신 콘트롤러로 구성된다. 근접 무선통신부(109)는, 변조한 무선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출력하고, 또 안테나에서 수신한 무선신호를 복조한다. 이에 따라, ISO/IEC 18092의 규격(소위 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따라 비접촉 근접 통신을 실현한다. 본 실시예의 근접 무선통신부(109)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측부에 배치된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근접 무선통신부(109)를 거쳐서 스마트 폰(200)에 및 스마트 폰으로부터 무선접속정보를 송수신한다.
기록 매체(110)는, 촬상부(10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 매체(110)는,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착탈 가능하여도 되거나, 디지털 카메라(100)에 내장되어도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는 적어도 기록 매체(110)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부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기록 매체(110)에는, 휘발성 메모리(104)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이미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이나 상기 카메라의 제어에 관련되는 각종 정보가 판독된다.
스마트 폰(200)의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스마트 폰(200)의 구성 및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폰(200)은, 광학계(201), 촬상부(202), 제어부(203), 휘발성 메모리(204), 불휘발성 메모리(207), 표시부(206), 조작부(207), 통신부(208), 및 근접 무선통신부(209)를 구비한다. 이것들의 요소의 기본적인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100)와 같아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저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시작하는 수순
이어서, 유저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시작하는 수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유저에 의한 메뉴 조작에 따라 개시되고, 무선접속의 개시의 지시를 디지털 카메라(100)가 접수한 것 에 따라 개시되는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무선접속의 개시의 지시는,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화면의 "무선기능" 메뉴의 선택에 의해 접수된다.
도 3에 있어서, 우선, 단계S301에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접속처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의 "무선기능" 메뉴가 선택된 것에 따라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에 천이하여서, 접속되는 접속처를 유저에 선택시킨다. 도 4b의 화면에서는, 유저는, 조작부(107)를 거쳐서 원하는 접속처를 선택함으로써 접속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SET1, SET2, SET3"의 3종류의 접속처가 선택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SET1"을 선택하고 나서, "OK"를 선택함으로써, 무선접속을 확립한 후에, "SET1"에 무선접속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유저가, 도 4b의 화면에서 예를 들면 "SET1"을 선택하고, "OK"를 선택하면, 처리는 단계S302에 진행되고, 화면은 도 4c에 나타낸 것처럼 천이한다.
도 4c의 화면에서는, 유저는, 조작부(107)를 거쳐서 "설정을 변경"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0)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할 때의 SSID와 패스워드로서 임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 설정시에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시켜, 유저의 입력에 대응한 문자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SSID와 패스워드는, 도 4c의 화면에, SSID와 암호 키로서 표시된다. 도 4c는, SSID가 "test"로 설정되고 암호 키가 "12345678"로 설정되었을 때의 화면이다. 이 화면에서 유저가 "OK"를 선택하면, 처리는 도 3의 단계S303에 진행된다.
단계S303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동되고, 단계S302에서 설정한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설정된 SSID를 포함하는 비콘의 발신을 시작한다. 이후에, 화면은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천이한다. 도 4d의 화면에서는, 설정된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스마트 폰(200)을 조작해서 그 카메라와의 접속을 위한 처리를 행하기를 유저에게 촉구한다.
여기에서, 유저는 스마트 폰(200)을 조작하고, 이 디지털 카메라(100)가 생성한 네트워크에 참가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이 지시는, 스마트 폰(200)의 OS의 기능을 사용하여 주위에서의 그들의 비콘을 검지해서 일람 표시된 네트워크 중에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생성한 네트워크를 선택하여서 실현된다. 유저는, 도 4d의 화면에 표시된 SSID를 확인함으로써 일람에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생성한 네트워크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지시가 내려지면, 스마트 폰(200)은, 단계S304에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대하여 네트워크에의 참가의 요구를 송신한다.
이 요구를 수신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단계S305에서, 네트워크에의 참가를 허가한다.
계속되는 단계S306에서는, 스마트 폰(200)은, 디지털 카메라(100)로부터 IP어드레스를 요구한다.
이 요구를 받은 디지털 카메라(100)는, 단계S307에서 스마트 폰(200)에 IP어드레스를 할당한다.
다음에, 단계S308에서 유저에 의해 스마트 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단계S309에서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0)에 어플리케이션층에서의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S310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스마트 폰(200)으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층에서의 접속 요구에 따라, 스마트 폰(200)과 어플리케이션층에서의 접속을 확립한다.
이상과 같이, 단계S305에서 무선LAN의 물리층, 단계S307에서 IP층, 및 단계S310에서 어플리케이션층에서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간의 무선접속이 완료한다. 이 후에, 화면은 도 4e에 나타낸 것처럼 천이한다. 도 4e의 화면에는,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이 어플리케이션층에서 접속되어, 무선접속이 완료한 것이 표시된다.
무선접속이 확립하면,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0)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스마트 폰(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0)의 표시부(106)에는, 도 4f에 나타낸 것처럼, 기록 매체(11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의 일람이 표시되어, 유저는, 스마트 폰(200)에 송신하는 대상을 선택해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천이 등의 처리에 병행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단계S310 후, 단계S311에서, 스마트 폰(200)과의 접속 확립에 이용한 통신 파라미터를,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보존한다. 여기에서 보존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SSID, 패스워드, IP어드레스, 서브네트(subnet) 마스크, 및 디폴트 게이트웨이 등의 파라미터다. 이러한 데이터는, 다음번부터 스마트 폰(200)과의 접속을 위해 도 4b의 SET1을 선택함으로써 재차 유저가 입력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 SET1에 파라미터가 보존되어 있을 경우, 화면은 도 4c의 화면으로 천이하는 것이 아니고, 도 4g에 나타낸 것처럼 천이한다. 도 4g에서는, 접속 버튼을 선택하여서, 상기 보존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사용한 접속을 개시한다. 설정 확인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보존된 파라미터가 표시될 수 있다. 변경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화면은 도 4c에 나타낸 것처럼 천이하여, 새로운 파라미터의 접수와, 새로운 파라미터로의 덮어쓰기가 행해진다.
유저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개시하는 수순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무선접속을 개시하는 수순
계속하여,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무선접속을 개시하는 수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근접 무선통신부(109)에 의해, 스마트 폰(200)의 근접이 검지된 것에 따라 개시되는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우선, 단계S501에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스마트 폰(200)의 근접 무선통신부(209)로부터 복사된 캐리어를 검지함으로써 스마트 폰(200)의 근접을 검지한다. 그리고, 스마트 폰(200)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100)는, SSID나 패스워드 등, 무선LAN접속에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근접 무선통신을 거쳐서 스마트 폰(200)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송신된 SSID나 패스워드 등의 파라미터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무선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미리 랜덤한 값으로서 생성된 파라미터다. 또한, 아울러 스마트 폰(200)이 디지털 카메라(100)와 어플리케이션층에서의 접속을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정보도, 근접 무선통신을 거쳐서 송신된다. 이것을 수신한 스마트 폰(200)은, 단계S504에서 정보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단계S503∼단계S510은, 도 3의 단계S303∼단계S310과 같다.
끝으로, 단계S511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는, 스마트 폰(200)과의 접속 확립에 이용한 통신 파라미터를,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보존한다. 여기에서 보존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SSID, 패스워드, IP어드레스, 서브네트 마스크, 및 디폴트 게이트웨이 등의 파라미터다. 그렇지만, 도 3의 경우와 달리,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한 시퀀스에서는, 도 4b의 SET를 선택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는, SET1∼3의 어느 것도 아닌, SET4로서 파라미터를 보존한다. 이 결과, 다음번부터 접속처의 메뉴를 표시시키면, 도 4h와 같이, 미표시이었던 SET4가 표시된다. SET4은,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한 접속 전용의 파라미터 설정 내용의 이력이다. 그러므로,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했을 경우의 이력은 SET1∼3에 기록되는 일은 없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무선접속 처리
다음에, 상기의 시퀀스를 실현하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의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온 되면 개시되고,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휘발성 메모리(104)에 판독해서 제어부(103)가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601에서는, 제어부(103)는, 조작부(107)를 거쳐서 무선접속의 개시 조작이 행해졌는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도 4a의 무선통신 메뉴가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에 근거해 판정된다. 제어부(103)에 의해 개시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602에 진행된다. 또한, 제어부(103)에 의해 개시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609에 진행된다. 단계S609에서는, 제어부(103)는, 스마트 폰(200)과의 근접 무선통신이 개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부(103)에 의해, 근접 무선통신이 개시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601에 되돌아가고, 단계S601의 판정과 단계S609의 판정을 반복한다. 즉, 유저 조작 또는 스마트 폰(200)에의 근접을 기다린다. 제어부(103)에 의해, 근접 무선통신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처리는 단계S610에 진행된다.
우선, 단계S602를 설명한다.
단계S602에서는, 제어부(103)는, 표시부(106)에 접속처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도 4b의 화면이다. 이 단계는, 도 3의 단계S301에 해당한다. 이 접속처 선택 화면에는, 통신부(108)가 수신가능한 무선LAN의 네트워크 이름 등이 일람 표시되어, 유저는, 이 네트워크 이름 일람으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0)의 접속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처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무선접속하는 스마트 폰(200)이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복수의 스마트 폰과 무선접속하는 것을 상정하고, 복수의 스마트 폰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접속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보존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유저의 접속처 선택 조작에 따라, 무선접속정보가 보존되는 접속처를 설정한다. 무선접속을 확립한 후에, 여기에서 선택된 접속처에 무선접속정보가 정보로서 보존된다.
단계S603에서는, 제어부(103)는, 표시부(106)에 접속처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표시된 화면은, 도 4c의 화면이다. 이 단계는, 도 3의 단계S302에 해당한다. 이 접속처 정보 입력 화면에는, 접속처의 SSID나 패스워드 등이 입력 가능하다. 이 접속처 정보 입력 화면의 표시시에, 디폴트 값으로서 생성된 SSID나 패스워드가 입력된 상태이여도 되거나, 유저가 임의로 디폴트의 표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유저가 접속처 정보 입력 화면에 SS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단계S604에서는, 제어부(103)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무선LAN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결과,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된 SSID를 사용한 비콘의 발신을 시작한다. 여기에서 표시된 화면은, 도 4d의 화면이다. 이 단계는, 도 3의 단계S303에 해당한다. 이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스마트 폰(200)으로부터의 네트워크에의 참가 요구를 기다린다.
단계S604에서 스마트 폰(200)으로부터의 네트워크에의 참가 요구를 수신하면, 처리는 단계S605에 진행된다.
단계S605에서는, 제어부(103)는, 스마트 폰(200)과의 무선접속을 확립하고,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DHCP서버로서 동작하여, 스마트 폰(200)에 IP어드레스를 할당해도 좋다. 이 단계는, 도 3의 단계S305와 단계S307에 해당한다.
단계S606에서는, 제어부(103)는, 어플리케이션층에서 스마트 폰(200)과의 무선접속을 확립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층의 프로토콜로서는, 예를 들면 PTP(Picture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한다.
단계S607에서는, 제어부(103)는, 단계S606에서의 접속 확립이, 단계S6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결과로서 행해진 것인지, 단계S609에서 YES라고 판정된 결과로서 행해진 것인지를 판정한다. 바꿔 말하면, 유저 조작에 의해 접속이 개시된 것인지,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접속이 개시된 것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단계S601∼S603을 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므로, 단계S6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결과로서 접속 확립된 것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즉, 유저 조작에 의해 접속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되게 된다. 이 경우, 처리는 단계S608에 진행된다.
단계S608에서는, 제어부(103)는, 스마트 폰(200)과의 접속에 이용한 SSID나 패스워드, IP어드레스등의 무선접속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보존한다. 이 처리는 도 3의 단계S311에 해당한다.
이상이, 단계S602이후의 처리다.
계속해서, 단계S610이후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S610에서는, 제어부(103)는, 근접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무선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 미리 랜덤한 값으로서 생성된 파라미터를, 근접 무선통신을 거쳐서 스마트 폰(200)에 송신한다. 또한, 스마트 폰(200)이 디지털 카메라(100)와 어플리케이션층에서 접속을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정보도, 근접 무선통신을 거쳐서 송신된다. 이 단계는, 도 6의 단계S601에 해당한다. 이 처리가 끝나면, 단계S604에 진행된다.
단계S604∼단계S606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단계S607에서는, 제어부(103)는, 단계S606에서의 접속 확립이, 단계S6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결과로서 행해진 것인지, 단계S609에서 YES라고 판정된 결과로서 행해진 것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단계S609에서 YES라고 판정된 결과로서 행해진 것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이 경우에, 처리는 단계S611에 진행된다.
단계S611에서는, 제어부(103)는, 단계S608에서 보존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무선접속정보를 보존한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는, 단계S605에서 무선LAN의 물리층과, IP층에서 접속을 확립하고, 단계S606에서 어플리케이션층에서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의 무선접속이 완료한다. 그 후에,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이 서로 통신을 행하여, 유저는 스마트 폰(200)을 조작하여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의 통신 절단 후에, 다시 무선접속을 행하고 싶을 경우, 예를 들면 도 4b의 원하는 SET를 선택하면 좋다. 한번 단계S608 또는 단계S611에서, SET에 보존한 무선접속정보는, 예를 들면 도 4b의 원하는 SET를 선택하여서 판독되고, 이후의 재접속의 수순을 간단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SSID를 입력하거나, 스마트 폰(200)에 근접할 필요 없이, 스마트 폰(200)과 다시 무선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접속정보의 구성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접속시에 보존된 무선접속정보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간에, 조작부(107)를 거친 무선접속과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 모두를 확립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100)의 불휘발성 메모리(105)의 기억영역(701)에는,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무선접속정보와,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무선접속정보가, 다른 기억영역702와 703에 따로따로 보존된다.
도 6의 단계S602의 접속처 선택시나 스마트 폰(200)과의 통신을 절단한 후에 다시 무선접속을 행할 경우에는, 우선, 도 4b와 도 4h의 화면과 같이 선택 가능한 접속처를 일람으로서 표시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100)의 제어부(103)는, 불휘발성 메모리(105)의 기억영역702와 703으로부터,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무선접속정보와,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무선접속정보를 판독하여, 일람 표시에 이용한다. 이러한 화면에서, 유저는 조작부(107)를 거쳐서 원하는 접속처를 선택하여 접속처를 설정함으로써, 무선접속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SET1"을 선택하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여기서, 그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test", 패스워드가 "12345678"이 된다. 그리고, 유저가 스마트 폰(200)으로 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하여 무선접속 설정 조작을 행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을 무선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에서의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에 보존된 무선접속정보로서, "SET1", "SET2", "SET3"이 기억영역(702)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저가 "SET4(NFC)"을 선택하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그 액세스 포인트의 SSID가 "test NFC", 패스워드가 "abcde123"이 된다. 그리고,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을 근접시킴으로써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을 무선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는,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에 보존된 무선접속정보로서, "SET4(NFC)"이 기억영역(703)에 보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휘발성 메모리(105)에는,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무선접속정보보다도, 무선접속 설정 조작을 행해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이력정보쪽이 많이 보존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에 보존된 이력의 수는 복수이어도 좋거나, 무선접속 설정 조작을 행해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때의 이력의 수와 동일하여도 좋다. 복수의 이력을 보존할 경우,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할 때마다, 오래된 이력이 연대순으로 덮어써진다. 또한,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할 경우에는, 유저가 SET1∼SET3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SET에 대응하는 영역에 이력을 보존하지만, 유저는 모두 고르지 않고 오래된 이력을 덮어 쓰는 형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의 무선접속정보의 보존처를, 조작부(107)를 통한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로부터 분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에는, 상기 SET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력을 남기기 위해서는 자동적으로 어느 쪽인가의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행했을 경우와,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행했을 경우로 이력을 공유하면, 이력을 무한히 보존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자동적으로 이력이 삭제될 것이다. 특히, 근접 무선통신은 디지털 카메라(100)를 조작하지 않고 스마트 폰(200)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무선접속을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손쉽게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력을 공유했을 경우에, 접속 이력들이 보존되는 빈도가, 조작부(107)를 통한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높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유저가 무심코 필요한 이력을 삭제해버리는 불편이 생기기 쉽다. 이 불편을 막기 위해서, 보존처를 나눈다.
또한, 조작부(107)를 통해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 유저가 선택한 접속처와 무선접속을 확립한 후에는, 그 접속처에 무선접속정보가 덮어 써지는 방식으로 보존된다.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는, 이 경우 접속처는 1개(SET4만)이기 때문에,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한 후에는, 기억영역(703)의 무선접속정보가 덮어 써지는 방식으로 보존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와,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로, 접속처를 나누어서 무선접속정보를 보존함으로써,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 유저는 접속처를 선택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기존의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한 접속처의 무선접속정보가 무심코 덮어 써져서 보존되는 것도 방지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접속 설정 조작에 의해 무선접속을 확립하고, 무선접속정보가 보존된 후,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을 근접시켜서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선택한 접속처에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정보를 덮어 쓰는 방식으로 보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설정 조작을 행해서 접속처를 선택하면(도 3의 단계S301, S302), 도 8a에 나타낸 화면이 표시부(106)에 표시된다. 그 후에,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와 스마트 폰(200)을 근접시켜서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행하면, 유저가 선택한 접속처에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정보가 불휘발성 메모리(105)에 덮어 써지는 방식으로 보존된다. 또한, 유저는, 도 8a의 화면에서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행하지 않고, 조작부(107)를 거쳐서 SSID나 패스워드를 설정하여서, 무선접속을 확립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3의 단계S303이후의 처리).
예를 들면, 유저가 도 4b의 화면에 있어서 접속처로서 "SET1"을 선택한 후,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 "SET1"에 근접 무선통신의 무선접속정보가 덮어 써지는 방식으로 보존된다. 이때,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처의 명칭을 "SET1(NFC)"으로서 재기록하여, 유저가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는, 도 6의 흐름도에서 단계S602와 단계S603의 사이에 추가의 처리를 더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 6의 흐름도와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단계S901∼단계S902는, 도 6의 단계S601∼S602와 같다.
단계S902에 계속되는 단계S912에서는, 제어부(103)는, 단계S909와 같은 처리(도 6의 단계S609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즉, 스마트 폰(200)과 근접 무선통신을 개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근접 무선통신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903에 진행되고, 유저에 의한 SSID의 입력 등을 접수해서 접속하게 된다. 한편, 근접 무선통신을 개시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910에 진행된다. 단계S910에서는, 도 6의 단계S610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즉,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접속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와 같은 처리의 흐름이 된다.
단계S904∼단계S906은, 도 6의 단계S604∼단계S606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단계S907에서는, 도 6의 단계S607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즉, 처리가 단계S6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것에 의거하여 단계S909에서 YES가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러므로, 가령 단계S912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단계S910의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도, 이 경우에는 단계S901에서 YES라고 판정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판정 결과로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 개시한 것이라고 판정된다.
또한, 단계S908에서는, 단계S903에서 유저 조작에 의해 입력 및 설정되는 SSID나 패스워드를, 단계S902에서 선택한 접속처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한다. 이것에 더해서, 단계S912에서 YES의 판정 결과로서 단계S910이 실행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910에서 송신한 접속 정보가, 단계S902에서 선택된 접속처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되게 된다.
단계S911에서는, 도 6의 단계S611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의 조작을 수반하면서 근접 무선통신에 의한 무선접속을 확립했을 경우에는,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한 접속 이력으로서 기록하는 것이 아니고, 유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이력의 영역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이력의 보존 영역의 확보와 접속 확립까지의 수순을 동시에 간략화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복수의 통신 모드를 구비할 경우에 대해서 고려한 예를 제시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는, 도 4f에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200)과의 접속 후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기록 매체(11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송신하기 위한 모드(이하, 선택 전송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더해서, 보다 손쉬운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재생중의 (예를 들면, 화면에 표시된) 한 장의 화상을, 근접 무선통신을 개시함으로써 무선LAN접속을 확립하여서 자동적으로 송신하는 모드(터치 전송 모드)를 구비한다. 터치 전송 모드는, 화상을 한 장만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근접 무선통신을 개시함으로써 천이한다. 이 경우, 무선LAN접속을 확립한 후에, 유저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재생중의 화상이 무선LAN을 거쳐서 스마트 폰(200)에 송신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이것들 두개의 모드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10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 밖의 모드를 갖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전송 모드에서는, 재생하고 있는 화상을 송신하기 때문에, 접속 후에 송신할 화상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유저는, 선택 전송 모드에 비교해서, 터치 전송 모드를 보다 용이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친구의 스마트 폰에 대하여, 차례차례로, 재생하고 있는 화상을 공유하고 싶은 경우에 편리하다. 따라서, 선택 전송 모드에 비교하여, 터치 전송 모드는, 이용 빈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고, 또한 그 접속 상대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선택 전송 모드에서는 통신의 이력을 보존하고, 터치 전송 모드에서는 통신의 이력을 보존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의 동작을 실현하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처리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우선 단계S1OO1∼단계S1OO8은, 도 3의 단계S301∼단계S308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계속되는 단계S1O12에서는, 제어부(103)는, 한 장 화상 재생중에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LAN접속이 개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바꿔 말하면, 단계S1OO9에서 YES라고 판정된 시점에서, 한 장 화상 재생중이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한 장 화상 재생중에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LAN접속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본 흐름도를 종료하고, 어플리케이션층의 서비스에 천이한다. 바꿔 말하면, 단계S1OO7, S1OO8, S1O11의 처리(각각 도 3의 단계S307, S308, S311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 즉, 이력을 보존하지 않는다.
한편, 한 장 화상 재생중에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LAN접속이 개시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1OO7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처리의 개시에 대응한 영역에 이력을 보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손쉽게 접속 확립하는 모드에서는, 접속 영역을 나눌 뿐만 아니라, 이력을 보존하지 않는 시퀀스도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보다 적절하게 이력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선접속정보 보존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통신 상대기기에 따라, 무선접속정보를 보존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화상을 축적하는 서버와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접속하고, 서버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화상을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서버로서는, 홈 네트워크 스토리지로서 무선통신을 활용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알려져 있고,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많은 화상을 백업할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을 축적하는 서버는, 통상은 옥내에 설치되고, 디지털 카메라(100)가 삼각대등으로 설치되지 않으면, 디지털 카메라(100)를 서버에 가까이 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은 일어날 가능성이 보다 적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소유자와 서버의 소유자는 동일한 사람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접속처를 복수 보존할 필요도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대기기가 서버일 경우, 무선접속시에 무선접속정보를 보존해서 이력을 덮어 써버리는 것은, 보통 불필요하고, 필요한 이력을 덮어 써버릴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LAN접속한 상대가 서버일 경우에는, 이력을 보존하지 않는다.
상기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처리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우선 단계S11O1∼단계S11O8은, 도 3의 단계S301∼단계S308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S11O7에서, 제어부(103)가,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해서 무선LAN접속이 개시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111의 처리(도 3의 단계S311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단계S1112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112에서는, 제어부(103)는, 통신 상대가 서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서버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1111을 실행하지 않고, 본 흐름도를 종료하고, 어플리케이션층의 서비스에 천이한다. 즉, 이력을 보존하지 않는다.
한편, 서버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단계S1111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처리의 개시에 대응한 영역에 이력을 보존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 상대기기가 서버등과 같이, 무선접속시에 무선접속정보를 보존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무선접속정보를 무선접속시에 보존하는 불필요한 처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등의 촬상장치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기기와 근접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기능에 의해 무선 접속 확립가능한 장치이면 적용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스마트 폰으로부터의 캐리어의 출력을 검지함으로써, 근접 무선통신을 개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즉, 디지털 카메라가 타겟, 스마트 폰이 이니시에이터(initiator)로서 기능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들의 역할이 반대이어도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가 정기적으로 캐리어를 출력하고, 스마트 폰(200)이 이것에 응답하는 구성으로 통신을 개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제4 실시예에서는, 통신 상대기기의 종류에 따라 이력을 보존할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통신 상대의 기능에 따라 이력을 보존할 것인가 아닌가를 바꾸어도 된다. 즉, 통신 상대가, 근접 무선통신으로만 접속될 수 있는 기기일 경우(조작부재를 갖지 않는 기기 등), 이력을 보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력을 선택하여서 무선LAN접속을 확립할 수 없을 경우(예를 들면, 상대기기에 조작부재가 없으면, 자신의 기계에 있는 이력을 선택함으로써 무선LAN접속 처리에 대응한, 상대기기측의 처리를 기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력을 보존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도 11의 단계S1112에서, 상대기기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기기가 근접 무선통신으로만 접속될 수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또한, 이 판정의 기준으로서, 기기의 종류와 기능을 서로 관련시킨 테이블을 준비해 두어서,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대기기의 기종으로부터 상대 기기의 기능을 판별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대기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디지털 카메라(100)가 AP가 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서는, 상대기기가 서버와 같이, 전력공급이 비교적 안정적인 기기일 경우에는, 상대기기가 AP의 역할을 하는 쪽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접속 상대에 따라서, 스스로가 AP가 될지, AP가 된 상대와 접속을 확립할지를 바꾸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접속 상대에의 전력공급이 안정적인가 아닌가에 관해서는, 기종을 참조하여 판정한다. 참조하는 기종은, 예를 들면 접속전에 어느 기종과 접속하고 싶은지를 유저에게 선택시킴으로써 판정하거나, 근접 무선통신으로 상대기기의 정보를 취득해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1의 통신부이며, 상기 제1의 통신부와는 다른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의 통신부;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
    상기 제2의 통신부를 사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유지부; 및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구별해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를 삭제하지 않고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삭제하지 않고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영역과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영역을 나누어서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구별되는, 통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새롭게 공유된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킬 경우, 이미 유지되어 있는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덮어 씀으로써 상기 새롭게 공유된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현재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를 삭제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통신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는, 자동적으로 랜덤한 값을 포함하도록, 미리 생성되는, 통신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외부장치에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서 송신되는, 통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로서 유지되는 수의 상한과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로서 유지되는 수의 상한이 서로 다른, 통신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로서 유지되는 수의 상한은 1인, 통신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공유된 제2의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통신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DHCP서버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2의 통신부를 거쳐서 상기 외부장치에 IP어드레스를 할당하는, 통신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 또는 기능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할 것인가 아닌가를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에 송신되고,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에 송신되지 않는, 통신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기 위한 촬상 모드와, 촬상한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일 화면에 표시하는 단일 재생 모드와, 촬상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일 화면에 표시하는 멀티 재생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소정의 모드 동안에 공유된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제2의 통신부를 거쳐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의 확립에 사용된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지 않도록 상기 유지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통신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가 구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는, 통신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선택하는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고 있는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통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제2의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통신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보다 통신 가능한 거리가 긴, 통신장치.
  19.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1의 통신부와 제2의 통신부를 갖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의 통신부와는 다른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단계;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의 통신단계에서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 중 하나를 사용해서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단계;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에 사용된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유지단계; 및
    상기 제1의 통신단계에서 공유된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유지단계에서 유지시킬 경우, 상기 접수된 유저 조작에 근거해 설정되는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와 구별해서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2의 통신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20. 컴퓨터에 청구항 19에 따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50070214A 2014-05-20 2015-05-20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1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4514 2014-05-20
JP2014104514A JP6355424B2 (ja) 2014-05-20 2014-05-20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659A true KR20150133659A (ko) 2015-11-30
KR101761106B1 KR101761106B1 (ko) 2017-07-25

Family

ID=5343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214A KR101761106B1 (ko) 2014-05-20 2015-05-20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9078B2 (ko)
EP (1) EP2947854B1 (ko)
JP (1) JP6355424B2 (ko)
KR (1) KR101761106B1 (ko)
CN (1) CN105101050B (ko)
RU (1) RU262833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3050B2 (ja) * 2014-09-08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659170B2 (ja) * 2016-05-27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33003A (ja) * 2016-08-24 2018-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68463B2 (ja) 2016-11-18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7999B2 (ja) * 2016-12-27 2021-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RU2701127C1 (ru) * 2019-04-26 2019-09-24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Способ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считывания и записи с носителя информации
JP7438676B2 (ja) * 2019-06-27 2024-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479908B2 (ja) * 2020-04-06 2024-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2944B2 (ja) 2005-12-16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8719431B2 (en) * 2006-10-26 2014-05-06 Blackberry Limited Transient WLAN connection profiles
US8107879B2 (en) * 2007-12-31 2012-01-31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multiple wireless connections
JP4506856B2 (ja) * 2008-03-1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844611B2 (ja) * 2008-09-30 2011-12-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接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43675B2 (ja) 2010-05-13 2015-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03832A (ja) 2011-03-28 2012-10-22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288228B2 (en) * 2011-08-05 2016-03-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nection setup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5843634B2 (ja) * 2012-01-30 2016-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3162322A (ja) 2012-02-03 2013-08-19 Canon Inc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249085A (zh) 2012-02-07 2013-08-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WiFi数据传输方法和终端
JP6004752B2 (ja) * 2012-06-04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017770A (ja) * 2012-07-11 2014-01-30 Canon Inc 無線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179882A (ja) * 2012-07-23 2015-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4082587A (ja) 2012-10-15 2014-05-08 Ricoh Co Ltd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94684B2 (ja) * 2013-02-28 2016-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携帯端末、これらを含む画像記録システム、画像記録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192381B2 (ja) * 2013-06-24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63768B1 (ko) * 2013-10-16 2020-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18882A (ru) 2016-12-10
KR101761106B1 (ko) 2017-07-25
US20150341968A1 (en) 2015-11-26
CN105101050A (zh) 2015-11-25
JP2015220677A (ja) 2015-12-07
CN105101050B (zh) 2019-02-19
US9999078B2 (en) 2018-06-12
RU2628335C2 (ru) 2017-08-16
EP2947854A1 (en) 2015-11-25
JP6355424B2 (ja) 2018-07-11
EP2947854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106B1 (ko) 통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882768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80722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6092622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705203B2 (ja) 通信装置、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170922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542976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472179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77999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6058970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79908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52465B (zh) 通信设备、通信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5813270B1 (ja) 通信装置、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033379B2 (ja) 通信装置、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813261B2 (ja) 通信装置、通信端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6034103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23511B2 (ja) 通信装置、データ処理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7184184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120568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1022797A (ja) 通信装置
US2014016456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80307A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7200141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