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53A -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53A
KR20150133053A KR1020140059898A KR20140059898A KR20150133053A KR 20150133053 A KR20150133053 A KR 20150133053A KR 1020140059898 A KR1020140059898 A KR 1020140059898A KR 20140059898 A KR20140059898 A KR 20140059898A KR 20150133053 A KR20150133053 A KR 2015013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fastening member
fastening
case
conta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건식
박종석
조염근
우람찬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053A/ko
Priority to EP15150301.8A priority patent/EP2947539B1/en
Priority to US14/592,491 priority patent/US9483074B2/en
Priority to CN201510036988.1A priority patent/CN105100305B/zh
Publication of KR2015013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ic Clock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핀을 구비하는 거치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 서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와치(watch)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웨어러블 기기가 주목받음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형태 및 그 특성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와 거치대 간의 새로운 전기적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일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접촉핀을 구비하는 거치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 서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부재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 소정 빈공간(empty space)을 남기고 삽입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는 상기 체결홀의 안착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홀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나사결합시, 상기 헤드부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상기 안착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에는, 상기 접촉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게 리세스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에는 상기 체결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부와 통전되는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시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을 따라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부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부와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제1 및 제2케이스에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와 접촉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홀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핀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1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핀은 상기 체결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접촉핀 이외의 다른 접촉핀에 인접하는 경우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다른 접촉핀과 같은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스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제2케이스에는 윈도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치(watch)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접촉핀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거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거치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촉핀은 상기 거치 가이드의 코너 부분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접촉핀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 소정 빈공간(empty space)을 남기고 삽입된다.
상기 접촉핀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체결홀의 빈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탄성 가압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압축 및 인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제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핀은 상기 체결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접촉핀 이외의 다른 접촉핀에 인접하는 경우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다른 접촉핀과 같은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시 접촉핀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거치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별도의 단자가 불필요하므로, 보다 심플하고 고급화된 이동 단말기의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체결부재들은 제1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들의 이격 배치에 따르면, 단자들이 밀집하여 구비되는 기존 구조와 달리, 오동작 및 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따르면, 체결부재와 접촉핀이 기존 구조에 비하여 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보다 급속적인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체결홀의 상부에 접촉핀의 삽입을 위한 빈공간이 구비되어, 체결부재와 접촉핀 간의 접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및 배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이동 단말기와 거치대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을 보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접촉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시, 역방향의 거치를 방지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8a 및 도 8b는 도 3b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단부 및 도 4에 도시된 접촉핀의 단부를 각각 보인 개념도들.
도 9 및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와 거치대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정보,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 중에서도 스마트 와치와 같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10)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인 사시도 및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대(20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100)를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대(200)를 포함한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100a) 및 단말기 본체(100a)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0b)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00a)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 10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1, 102)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 및 제2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케이스(101)가 제2케이스(102)의 배면측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며, 제2케이스(102)의 전면측 개구부에 윈도우(151a)가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단말기 본체(100a)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101, 102)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101, 102)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a)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2케이스(102)에 장착되어 제1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a)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 본체(100a)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0b)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0b)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0b)는 단말기 본체(100a)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밴드(100b)가 제2케이스(102)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밴드(100b)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00b)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0b)에는 파스너(fastener; 100c)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0c)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0c)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거치대(200)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00)는 거치대(200)에 안착되어, 거치대(200)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거나, 거치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거치대(200)는 바닥면에 놓이거나 벽면에 고정되며, 이동 단말기(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00a)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a)는 단말기 본체(100a)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200)는 케이블(C)을 통하여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거치대(20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220, 도 5 참조)이 배치되며, 회로기판(220)에는 이동 단말기(10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촉핀(230)이 실장된다. 접촉핀(230)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부(200a)로부터 돌출되어, 단말기 본체(100a)가 수용부(200a)에 수용되면 단말기 본체(100a)에 구비되는 단자(후술할 체결부재(130))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 간의 체결구조 및 이동 단말기(100)와 거치대(200) 간의 전기적 연결구조가 일체화된 구조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일체화된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이동 단말기(100)와 거치대(200)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는 서로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00a)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목에 착용시, 제1케이스(101)는 사용자의 손목 상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 제2케이스(102)는 외부로 노출되는 프론트 케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181)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81)은 제1케이스(101)에 안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81)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면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를 서로 결합시킨다. 체결부재(130)는 제1 및 제2케이스(101, 10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나사(screw)가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0)는 제1 및 제2케이스(101, 102)를 서로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회로기판(181)을 관통하게 되며, 회로기판(1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체결부재(130)는 제1케이스(101)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81)을 관통하여, 제2케이스(10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조에 의하면, 체결부재(130)의 단부, 즉 헤드부(132)는 제1케이스(101)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부재(130)는, 단말기 본체(100a)가 거치대(200)에 거치시, 접촉핀(230)과 접촉되도록 접촉핀(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체결부재(130)는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100a)가 거치대(200)에 거치시, 접촉핀(230)과 접촉되어 회로기판(181)과 거치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체결부재(130)는 본연의 기능인 체결 기능에 더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거치대(200) 간의 전기적 연결 기능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거치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에 거치대의 접촉핀과 접촉되는 단자가 필요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체결부재(130)가 상기 단자의 전기적 연결 기능도 담당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단자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보다 심플하고 고급화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체결부재(130)는 이동 단말기(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체결부재들(130a, 130b, 130c, 130d)이 제1케이스(101)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체결부재들(130a, 130b, 130c, 130d)은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들(130a, 130b, 130c, 130d)은 사각형 형태의 제1케이스(101)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VBUS, D-, D+, GND 단자로 각각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들(130a, 130b, 130c, 130d)의 이격 배치에 따르면, 단자들이 밀집하여 구비되는 기존 구조와 달리, 오동작 및 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따르면, 체결부재(130)와 접촉핀(230)이 기존 구조에 비하여 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보다 급속적인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체결부재(130)와 회로기판(181)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81)의 적어도 일면에는 회로부(181b)가 형성되며, 회로부(181b)는 전원공급부(190), 메모리(170) 등과 연결된다. 회로기판(181)에는 체결부재(130)가 관통하는 관통홀(181a)이 형성되고, 관통홀(181a)의 내측벽에는 체결부재(130)와 접촉되어 회로부(181b)와 통전되는 연결부(181c)가 구비된다.
연결부(181c)는 체결부재(130)가 관통홀(181a)에 삽입시 체결부재(13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관통홀(181a)의 내측벽을 따라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81c)는 회로부(181b)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부(181b)가 절연 재질의 기판에 기설정된 패턴 형태로 형성될 때, 일부가 연장되어 관통홀(181a)의 내측벽에 형성됨으로써, 체결부재(130)와 접촉되는 연결부(181c)를 구성할 수 있다.
관통홀(181a)의 내측벽에는 체결부재(13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체결부재(130)는 회로기판(181)에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회로기판(18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와 연결부(181c) 간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 시스템(10)에는 체결부재(130)와 접촉핀(230) 간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앞선 도 2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거치대(200)는 거치대 본체(201)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외형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거치 가이드(210)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 가이드(210)는 밴드(100b)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되어, 양측 거치 가이드(210) 사이에 밴드(100b)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거치 가이드(21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200a)가 한정되어, 이동 단말기(100)가 정확한 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0)는 제1케이스(101)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접촉핀(230)은 거치 가이드(210)의 코너 부분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케이스(101)에는 체결부재(130)가 삽입되는 체결홀(101a)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101a)은 외부와 연통되는 제1홀(101a') 및 체결부재(130)의 바디부(131)가 삽입되는 제2홀(10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홀(101a')은 제2홀(101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그 경계에는 체결부재(130)의 헤드부(132)가 안착되는 안착면(101b)이 형성된다. 즉, 헤드부(132)는 안착면(101b)에 안착되고, 제1홀(101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 구조에서, 체결부재(130)는, 이동 단말기(100)가 거치대(200)에 거치시 접촉핀(230)이 체결홀(10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101a)의 상부에 소정 빈공간(empty space, S)을 남기고 삽입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130)가 완전히 체결되어 헤드부(132)가 안착면(101b)에 안착되면, 체결홀(101a) 상부에는 제1홀(101a')의 깊이에서 헤드부(132)의 높이를 제외한 만큼의 깊이를 가지는 빈공간(S)이 형성된다.
접촉핀(230)은 이동 단말기(100)가 거치대(200)에 거치되면 상기 빈공간(S)에 삽입된다. 상기 빈공간(S)에 삽입된 접촉핀(230)은 체결부재(130)의 헤드부(132)와 접촉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원치 않는 외력이 작용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측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체결부재(130)와 접촉핀(230)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접촉핀(230)을 개념적으로 표현하였다. 접촉핀(230)은 단순히 거치대(200)로부터 돌출된 구성이 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접촉핀(230)의 다른 예를 도 6a 및 도 6b의 개념도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접촉핀(230')은 적어도 일부가 거치대(200')로부터 돌출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축방향을 따라 압축 및 인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촉핀(230')은 제1핀(231'), 제2핀(232') 및 탄성부재(233')를 포함한다.
제1핀(231')은 회로기판(220')에 실장되고, 회로부(2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핀(232')은 제1핀(2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제1핀(2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탄성부재(233')는 제1핀(231')의 단부와 제2핀(232')의 내측벽에 각각 지지되어, 제2핀(232')이 제1핀(231')의 축방향을 따라 탄성 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2핀(232')의 단부는, 탄성부재(233')의 인장력에 의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핀(231')의 수용홈(231a')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접촉핀(230")은 회로기판(220")에 실장되고, 거치대(200")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거치대(200")의 내외측으로 탄성 거동 가능한 클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예들은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핀(230, 230', 230")을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접촉핀(230, 230', 230")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기 공지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핀도 본 발명의 접촉핀(230)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핀(230', 230")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접촉핀(230', 230")은 체결부재(130)를 탄성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결부재(130)와 접촉핀(230', 230") 간의 접촉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가 거치대(200)에 거치시, 역방향의 거치를 방지하는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체결부재(130)는 대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접촉핀(23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1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본체(100a)가 수용부(200a)에 인접하게 배치되면, 체결부재(130)와 접촉핀(230)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단말기 본체(100a)가 수용부(200a)에 이끌리듯이 수용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와 접촉핀(230)이 자력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회전(본 도면에서는 180도 회전)된 상태로 거치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정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30)가 대응되지 않는 접촉핀(230)과 접촉되면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또는 거치대(200)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역방향 거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핀(230)은 체결부재(130)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며, 체결부재(130)는 대응되는 접촉핀(230) 이외의 다른 접촉핀(230)에 인접하는 경우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다른 접촉핀(230)과 같은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30a)는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접촉핀(230a)은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가 180도 회전된 상태로 거치대(200) 상에 배치되면, 체결부재(130a)는 (+)극성을 가지는 접촉핀(230c)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역방향 거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b에 도시된 체결부재(130)의 단부 및 도 4에 도시된 접촉핀(230)의 단부를 각각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체결홀(101a)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130)의 헤드부(132)에는, 접촉핀(2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게 리세스되는 리세스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핀(230)은 리세스부(132a)와 동일한 형상 또는 리세스부(132a)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접촉핀(230)이 체결부재(130)의 리세스부(132a)에 삽입되어, 접촉핀(230)과 체결부재(130)가 서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접촉핀(230)과 리세스부(132a)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100)와 거치대(1200)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181)에는 회로부(1181b)와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부재(1182)가 장착된다. 본 도면에서는, 연결부재(1182)가 회로기판(1181)과 제2케이스(1102) 사이에 배치되고, 회로부(1181b)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보이고 있다.
연결부재(1182)는 회로기판(1181)의 관통홀(1181a)에 대응되는 홀(1182a)을 구비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체결부재(1130)는 제1케이스(1101), 회로기판(1181) 및 연결부재(1182)를 차례로 관통하여 제2케이스(1102)에 체결되게 된다. 그 결과, 체결부재(1130)는 연결부재(1182)와 접촉되어, 회로부(118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182)는 회로기판(1181)에 실장되고, 체결부재(11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재(1130)와 회로기판(1181) 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전시 충전 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보다 급속적인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부재(2130)의 헤드부(2132) 및 헤드부(2132)가 안착되는 체결홀(2101a)의 안착면(2101b) 사이에는 체결홀(2101a)을 실링하는 실링부재(2133)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2133)에 의해, 체결홀(2101a)을 통하여 먼지, 액체와 같은 이물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실링부재(2133)는 러버,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130)는 제1 및 제2케이스(2101, 2102)에 나사결합되며, 실링부재(2133)는 체결부재(2130)가 제1 및 제2케이스(2101, 2102)에 나사결합시, 헤드부(2132)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안착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는 논리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도 9 및 도 10의 이동 단말기(1100, 2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의 이동 단말기(1100, 2100)에도 도 7에서 설명한 역방향 거치 방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 구조도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는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와 거치대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바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접촉핀을 구비하는 거치대에 거치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기 본체;
    서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watch) 타입의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체결부재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 소정 빈공간(empty space)을 남기고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는 상기 체결홀의 안착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홀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에 나사결합시, 상기 헤드부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상기 안착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안착면에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부에는, 상기 접촉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게 리세스되는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에는 상기 체결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부와 통전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시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을 따라 루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로부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부와 통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제1 및 제2케이스에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와 접촉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홀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핀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1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은 상기 체결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접촉핀 이외의 다른 접촉핀에 인접하는 경우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다른 접촉핀과 같은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2케이스의 배면측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케이스의 전면측 개구부에는 윈도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15. 와치(watch)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접촉핀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거치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watch)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거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거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은 상기 거치 가이드의 코너 부분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접촉핀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접촉핀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 소정 빈공간(empty space)을 남기고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시 상기 체결홀의 빈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탄성 가압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압축 및 인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제1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핀은 상기 체결부재와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2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접촉핀 이외의 다른 접촉핀에 인접하는 경우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다른 접촉핀과 같은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 시스템.
KR1020140059898A 2014-05-19 2014-05-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KR20150133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98A KR20150133053A (ko) 2014-05-19 2014-05-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EP15150301.8A EP2947539B1 (en) 2014-05-19 2015-01-07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US14/592,491 US9483074B2 (en) 2014-05-19 2015-01-08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CN201510036988.1A CN105100305B (zh) 2014-05-19 2015-01-23 手表式移动终端和具有手表式移动终端的移动终端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898A KR20150133053A (ko) 2014-05-19 2014-05-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53A true KR20150133053A (ko) 2015-11-27

Family

ID=5229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898A KR20150133053A (ko) 2014-05-19 2014-05-19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3074B2 (ko)
EP (1) EP2947539B1 (ko)
KR (1) KR20150133053A (ko)
CN (1) CN1051003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138A1 (ko) * 2017-10-11 2019-04-18 컨스핀솔루션(주)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1387S1 (en) * 2014-12-17 2018-02-27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Wrist-worn communication device
KR20160139733A (ko) * 2015-05-28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514574B (zh) * 2015-12-30 2019-08-27 联想(北京)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USD781853S1 (en) * 2016-03-07 2017-03-21 Apple Inc. Wearable device
US10566715B2 (en) * 2017-09-29 2020-02-18 Apple Inc. Reduced net force electrical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889A (ja) * 1999-12-21 2001-06-29 Casio Comput Co Ltd 身体装着型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システム
JP2001186584A (ja) * 1999-12-27 2001-07-06 Casio Comput Co Ltd 外部接続用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US7006408B2 (en) * 2002-10-18 2006-02-28 Zhuhai Xonix Electronic Watch Company Limited Wristwatch capable of storing and transmitting data
CN100481630C (zh) * 2003-02-21 2009-04-22 Eta瑞士钟表制造股份有限公司 用于在便携式电子仪器和外部设备之间建立电连接、尤其用于对所述仪器的电池进行再充电的装置
JP4945337B2 (ja) * 2007-06-19 2012-06-0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BRPI0804769A2 (pt) * 2007-11-05 2009-06-1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óvel
KR101587092B1 (ko) * 2008-11-04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587138B1 (ko) * 2009-08-27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084651B1 (ko) * 2010-03-05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KR20130032195A (ko) * 2011-09-22 2013-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US9591913B2 (en) * 2013-11-15 2017-03-14 Jwin Electronics Corp. Protection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138A1 (ko) * 2017-10-11 2019-04-18 컨스핀솔루션(주)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7539A2 (en) 2015-11-25
US9483074B2 (en) 2016-11-01
EP2947539A3 (en) 2015-12-09
CN105100305A (zh) 2015-11-25
EP2947539B1 (en) 2016-08-17
US20150331446A1 (en) 2015-11-19
CN105100305B (zh)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12B1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3053A (ko)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 시스템
KR101741585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04068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9692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9914A (ko) 이동 단말기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20160012436A (ko) 웨어러블 기기
KR101812182B1 (ko)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팩
US20170078461A1 (en) Mobile terminal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752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477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6006448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8444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0732A (ko) 전자기기
KR101587178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092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0821A (ko) 이동단말기
KR20170111806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868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