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604A -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604A
KR20150131604A KR1020140058508A KR20140058508A KR20150131604A KR 20150131604 A KR20150131604 A KR 20150131604A KR 1020140058508 A KR1020140058508 A KR 1020140058508A KR 20140058508 A KR20140058508 A KR 20140058508A KR 20150131604 A KR20150131604 A KR 2015013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ser
door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남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1604A/ko
Publication of KR2015013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7Voic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장치는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수신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하는 음향인식부;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음향인식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통하여 사용자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음향인식부를 구동하고, 상기 음향인식부를 통해 인식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차량의 도어를 열도록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HLE DOOR}
본 명세서는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문이나 트렁크 도어는 키를 삽입하여 열거나, 리모컨 키의 열림 버튼을 눌러 열거나 또는 운전석 주위에 설치된 트렁크 핸들을 잡아당겨 이것에 연결된 트렁크 케이블에 의해 트렁크 래치의 해제로 열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양손에 짐을 든 상태와 같이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혼자서 트렁크나 문을 열기 위해서는 짐을 내려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최근에 널리 보급된 리모컨 키를 사용하더라도 그 조작에 어려움이 따른다. 더군다나 눈, 비가 내리는 기상 조건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은 더욱 가중된다.
이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현재보다 더욱 손쉽게 차량의 문이나 트렁크를 열수 있는 기술이 요청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수신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하는 음향인식부;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음향인식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통하여 사용자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음향인식부를 구동하고, 상기 음향인식부를 통해 인식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차량의 도어를 열도록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저주파 또는 고주파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식수단은 스마트 키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차량 트렁크 도어일 수 있다.
상기 기 정의된 음향은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의 단어 또는 소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통하여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응답을 통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하기 위한 음향인식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음향인식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주기마다 저주파 또는 고주파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식수단은 스마트 키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차량 트렁크 도어일 수 있다.
상기 기 정의된 음향은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의 단어 또는 소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에서 정해진 음향으로 차량 문을 자동으로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차량 부근으로 접근이 어렵거나, 후면 범퍼 아래에 둔덕이나 장애물이 있어 모션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제어를 위한 음향 인식에 문제가 없으며, 주위 상황에 따라 개폐를 억제함으로써 차량 파손이나 인명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음성 또는 음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door)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예: 짐을 든 상태)에서 사용자 인식 수단(예: 차량 리모컨)을 소지한 상태로 차량 근방으로 다가가서 정해진 음향(음성 또는 소음)으로 차량 문(예: 트렁크 도어)를 자동으로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의 어느 문(door)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트렁크(trunk)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짐을 든 상태로 사용자 인식 수단(10)을 소지하고 차량 트렁크 근방으로 접근하면,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사용자 인식 수단(1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고 사용자 인식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의 무선신호 송수신부(110)는 저주파(LF) 또는 고주파(HF)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10)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무선신호 송수신부(110)로 응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10)은 사용자 아이디(ID)를 응답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수단(10)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수신한 응답(및/또는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인증)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되면, 음향(sound)을 인식하기 위한 음향인식부(120, 예; 마이크)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음향(sound)은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단어 또는 특정 음향(휘파람 소리, 혀 차는 소리 등)일 수 있다.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음향이 미리 정의된 음향인 경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트렁크 도어를 연다. 이때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차량 주변에 사람이 있을 경우 트렁크 도어를 열 때 부딪힐 우려가 있으므로, 사전 경고음 발생 이후에 트렁크 도어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음성 또는 음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door)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예: 짐을 든 상태)에서 사용자 인식 수단(예: 차량 리모컨)을 소지한 상태로 차량 근방으로 다가가서 정해진 음향(음성 또는 소음)으로 차량 문(예: 트렁크 도어)를 자동으로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무선신호 송수신부(110), 음향인식부(120), 도어 구동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110)는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수신한다. 한편, 상기 음향인식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한다.
상기 도어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도어를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110)와 상기 음향인식부(120)를 제어한다. 즉,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인증)되면 상기 음향인식부(120)를 구동한다. 그 후, 상기 음향인식부(120)로 수신된, 사용자가 발신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도어를 열도록 도어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의 신원정보 및/또는 기 정의된 음향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짐을 든 상태로 사용자 인식 수단(10)을 소지하고 차량 트렁크 근방으로 접근하면,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사용자 인식 수단(10)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고 사용자 인식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110)는 저주파(LF) 또는 고주파(HF)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10)은 상기 무선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무선신호 송수신부(110)로 응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10)은 사용자 신원 정보(ID)를 응답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수단(10)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수신한 응답(및/또는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인증)하고, 기 설정된 사용자인 것으로 인증되면, 음향(sound)을 인식하기 위한 음향인식부(예; 마이크)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음향(sound)은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단어 또는 특정 음향(휘파람 소리, 혀 차는 소리 등)일 수 있다.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음향이 미리 정의된 음향인 경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트렁크 도어를 연다. 이때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차량 주변에 사람이 있을 경우 트렁크 도어를 열 때 부딪힐 우려가 있으므로, 사전 경고음 발생 이후에 트렁크 도어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기존의 모션센서를 이용 한 트렁크 열림 기술은 사용자가 센서가 위치 한 곳으로 이동하여 짐을 든 상태에서 미리 약속된 동작을 취해야 하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도 3a와 같이, 센싱 영역(A)이 협소하고, 트렁크 뒤로 충분한 공간이 없을 경우의 위험성을 회피할 방안이 없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명세서의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도 3b와 같이 센싱 영역(B)이 넓기 때문에, 주차 시 트렁크 뒤에 벽이 있어 사람의 접근이 어렵거나, 후면 범퍼 아래에 둔덕이나 장애물이 있어 모션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음향 인식에 문제가 없다.
더 나아가,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트렁크가 벽면에 일정 거리(D) 이하로 근접하여 있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향을 인식하더라도 도어의 열림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대신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차량 주변에 사람이 있을 경우 트렁크 도어를 열 때 부딪힐 우려가 있으므로, 사전 경고음 발생 이후에 트렁크 도어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100)는 이러한 주변 장애물, 벽면, 사람의 인식을 별도의 센서나 영상 처리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방법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개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음성 또는 음향을 기반으로 차량 도어(door)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기 힘든 상황(예: 짐을 든 상태)에서 사용자 인식 수단(예: 차량 리모컨)을 소지한 상태로 차량 근방으로 다가가서 정해진 음향(음성 또는 소음)으로 차량 문(예: 트렁크 도어)를 자동으로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S510). 이때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소정의 주기마다 저주파 또는 고주파 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은 그에 대한 응답을 발신하며,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응답을 수신하여 사용자 신원을 확인한다(S520). 이때, 상기 사용자 인식수단은 스마트 키일 수 있다.
상기 확인 과정을 통하여 인식수단의 소지자가 기 설정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하기 위한 음향인식부를 구동한다(S530).
이후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음향인식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수신한다(S540). 이때 상기 기 정의된 음향은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의 단어 또는 소리(휘파람 소리, 혀 차는 소리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상기 차량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도어를 연다(S550). 이때 상기 도어는 차량 트렁크 도어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명세서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차량 도어 개폐 장치
110: 무선신호 송수신부
120: 음향 인식부
130: 도어 구동부
140: 제어부

Claims (10)

  1.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수신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하는 음향인식부;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음향인식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통하여 사용자 신원이 확인되면, 상기 음향인식부를 구동하고, 상기 음향인식부를 통해 인식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차량의 도어를 열도록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 송수신부는,
    소정의 주기마다 저주파 또는 고주파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수단은 스마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차량 트렁크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음향은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의 단어 또는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개폐 장치.
  6. 차량 도어(door) 개폐 장치가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방법으로서,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인식수단의 응답을 통하여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응답을 통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가 발신하는 음향을 인식하기 위한 음향인식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음향인식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음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향이 기 정의된 음향인 경우, 도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는,
    소정의 주기마다 저주파 또는 고주파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수단은 스마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차량 트렁크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음향은 기 설정된 사용자 음성의 단어 또는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058508A 2014-05-15 2014-05-15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KR20150131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08A KR20150131604A (ko) 2014-05-15 2014-05-15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08A KR20150131604A (ko) 2014-05-15 2014-05-15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04A true KR20150131604A (ko) 2015-11-25

Family

ID=5484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508A KR20150131604A (ko) 2014-05-15 2014-05-15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16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35A (ko) * 2016-07-20 201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트렁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01542A (ko) 2019-06-28 2021-01-07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935A (ko) * 2016-07-20 201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트렁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01542A (ko) 2019-06-28 2021-01-07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40B1 (ko) 핸즈프리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630318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644761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US9243439B2 (en) System for speech activated movement of a vehicle backdoor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756132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9747634A (zh) 用于远程停车辅助系留的音频警报
JP5663729B2 (ja) 原動機付き車両の開閉パネルを自動的にロック解除する装置
EP2843172A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runk or power tailgate
JP6512183B2 (ja) 乗員検知システム及び乗員検知装置
JP6228386B2 (ja) ハンズフリートランクオープンシステム及びオープン方法
CN105398420A (zh) 一种汽车无钥匙进入系统检测方法
US20070176737A1 (en) Device for actuating a vehicle door locking system
JP2014148842A (ja) 車両扉開閉装置
EP3631133B1 (en) Voice activated liftgate
KR102182900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660066A (zh) 控制车辆的车门的设备与方法
JP7081873B2 (ja) 自動車の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KR20150131604A (ko) 차량용 도어 개폐 장치
EP33491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 closing element of a closable opening of a vehicle
KR20110105470A (ko) 듀얼 경보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5591A (ko) Avm을 이용한 차량 도어 자동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04564B2 (en) Automotive detec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1448032B1 (ko) 차량의 윈도우와 스크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03232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10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