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520A -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520A
KR20150131520A KR1020140058254A KR20140058254A KR20150131520A KR 20150131520 A KR20150131520 A KR 20150131520A KR 1020140058254 A KR1020140058254 A KR 1020140058254A KR 20140058254 A KR20140058254 A KR 20140058254A KR 20150131520 A KR20150131520 A KR 2015013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ilm
hole
fixing
insertion block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190B1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김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훈 filed Critical 김상훈
Priority to KR102014005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5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커플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심축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중심축과의 결합과정에서 중심축이나 볼트의 마모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중심축이나 볼트의 빈번한 교체를 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커플러과의 결합을 위해 중심축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손쉽고 제작과정에서 중심축의 원치않는 변형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Position fixing equipment of roll film}
본 발명은 롤 형태의 필름이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과정에서 롤 필름의 불필요한 좌우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필름이 설정된 경로를 통해 정확히 풀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기 등에는 합지공정 등에 사용될 종이 등의 필름이 사용되는데,
이때 필름은 롤 형태를 이루면서 양단부가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진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필름의 풀림이나 감김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축 중 롤필름 양측 지점에는 별도의 위치고정용 커플러가 설치되고 각 커플러가 롤필름의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중심축에 고정설치됨에 따라 롤필름이 회전 과정에서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커플러는 중심축이 관통된 상태에서 둘레면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볼트가 삽입된 후 볼트의 단부가 중심축 둘레면을 가압함에 따라 중심축에 고정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렇게 볼트 단부와 중심축 둘레면 간의 가압에 의해서만 커플러의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장기간 반복사용 시 중심축 중 볼트 단부가 접촉되는 지점이 마모될 수밖에 없으므로 중심축과 볼트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경제적 부담이 수반된다.
그리고 볼트와 중심축 표면 간의 접촉이 특정지점에서만 국부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커플러의 고정력이 높지 못한 단점도 갖는다.
또한 볼트 단부와의 원활한 접촉을 위해 중심축의 둘레면 중 볼트가 접촉되는 지점에는 별도의 평면 가공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만큼 중심축의 제작이 어려워짐은 물론, 평면가공 과정에서 중심축의 변형이 초래될 가능성도 크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2776(2004.11.0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커플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중심축과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심축과의 결합과정에서 중심축이나 볼트의 마모현상이 최소화 되도록 함으로써 중심축이나 볼트의 빈번한 교체를 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커플러와의 결합을 위해 중심축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손쉽고 제작과정에서 중심축의 원치않는 변형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양측단부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롤필름의 양측 중앙 끼움홀을 관통하고 있는 바아 형태의 중심축 및 상기 롤필름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양측면 중앙이 상기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롤필름의 끼움홀에 삽입되어 밀착 가능한 삽입블록, 상기 삽입블록 중 상기 롤필름과 대칭되는 쪽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체결블록, 상기 체결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블록과 상기 중심축을 결합 및 분리 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블록은 일측면이 상기 삽입블록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중앙에는 반원 형태의 제1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관통홈이 상기 중심축의 둘레면 중 절반구간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반원 형태의 제2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홈이 상기 중심축의 둘레면 중 나머지 절반구간을 둘러싸고 있되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면 중 제2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일측구간은 절개간극을 통해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있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를 나사체결 형태로 관통한 후 절개간극을 관통한 뒤 상기 고정부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면 중 상기 제2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일측구간이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구간은 상기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와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가압부 중 상기 삽입블록과 마주하는 면과 삽입블록 사이에는 보조절개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조절개간극을 통해 상기 삽입블록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중 상기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중심축의 중심점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 중 상기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중심축의 중심점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간극은 상기 고정부와 가압부 중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압부 간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쪽 구간에는 가변유도공이 적어도 상기 가압부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변유도공의 일측 테두리는 상기 제2관통홈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압부가 절개간극을 통해 고정부와 분할된 상태에서 체결부의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 과정에서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와 가압부 사이가 오므라들면서 중심축 둘레면 전체를 무는 형태로 중심축과 결합 되므로, 기존에 비해 중심축과 커플러 간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고정부와 가압부가 중심축의 둘레면 전체를 동시에 가압하는 방식으로 결합 되므로, 기존과 달리 결합과정에서 중심축 표면의 훼손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중심축의 수시 교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절개간극과 보조절개간극을 형성시킴에 따라 가압부가 고정부와 일체화된 상태에서도 쉽게 중심축의 가압 및 가압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 및 고정부 간 마주하는 면이 중심축의 중심점과 상하 어긋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의 가압 과정에서 충분한 가압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가변유도홈이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의 작동과정에서 가압부와 고정부 간의 벌어짐과 오므라짐 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을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3은 제1, 2커플러의 구조를 나탄낸 확대 사시도
도4는 커플러와 롤필름 및 중심축 간 결합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도4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6은 도4 및 도5의 단면도
도7 및 도8은 가압부가 체결부에 의해 작동되어 중심관을 가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8은 제2커플러의 삽입블록이 롤필름에 결합된 상태의 개략도
도9는 가압부와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심축(100)과 커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중심축(100)은 롤필름(20)을 거치시킴과 동시에 롤필름(20)의 회전 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 바아(bar) 형태이고 양단부가 인쇄기 등의 설치장치(10)에 연결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중심축(100)에는 롤필름(20)이 설치되는데, 롤필름(20)은 인쇄기 등에 사용되는 종이 등의 필름이 원형 관 형태의 코어(미도시) 둘레에 롤(roll) 형태로 감겨진 형태이고 중심축(100)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중심축(100)이 코어의 중심에 관통 형성된 끼움홀(22)에 관통 되어진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롤필름(20)은 일단부가 일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전체가 중심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필름이 풀려지게 되고, 반대로 회전할 경우 필름이 코어 둘레에 감겨지는 형태가 된다.
특히 롤필름(20)이 회전하면서 필름이 풀려질 때에는 회전과정에서 좌우 이동되지 않아야지만 필름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풀려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롤필름에는 커플러가 연결된다.
커플러(200)는 위 설명처럼 롤필름(20)의 회전과정에서 롤필름(20)의 원치 않는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삽입블록(210)과 체결블록(220) 및 체결부(27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삽입블록(210)은 롤필름(2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롤필름(20)와 중심축(100) 간의 일체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롤필름(20)의 끼움홀(22)과 거의 같은 지름을 갖는 원형관 형태이고 롤필름(20)을 향하는 쪽과 반대되는 쪽의 테두리에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가압판(212)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삽입블록(210)의 중심지점에는 체결공(214)이 좌우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축(100)이 체결공(214)을 관통함에 따라, 삽입블록(210) 전체가 중심축(100)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삽입블록(210)과 함께 커플러(200)를 구성하는 체결블록(220)은 중심축(100)과의 결합 및 해제를 제어하여 커플러의 위치고정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형블록 형태이고 삽입블록(210) 중 롤필름(20)을 향하는 쪽 면과 반대되는 쪽 면으로부터 중심축(10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삽입블록(210)과 체결블록(220)은 동심을 이루며 체결블록(220)의 중심점에는 관통홀(221)이 좌우 관통형성되되 관통홀(221)은 삽입블록(210)의 체결공(214)과 동일선상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체결공(214)과 연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중심축(100)이 관통홀(221)을 관통함에 따라 삽입블록(210)과 체결블록(220)은 중심축(100)에 의해 동시에 관통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블록(220)이 부분적으로 기능이 나뉘어져 고정부(222)와 가압부(224)로 나뉘어진다.
그 중 고정부(222)는 삽입블록(210)과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부(224)에 의해 중심축이 가압되는 과정에서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체결블록(220) 중 중심축(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측 절반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일측면이 삽입블록(210)과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체결블록(220)의 체결공(214) 중 고정부(222) 쪽에 형성되는 지점은 반원 홈 형태의 제1관통홈(223)이 된다.
이러한 고정부와 함께 체결블록을 구성하는 가압부(224)는 중심축(100)과 결합과정에서 중심관에 가압력을 가해 고정부(222)와 더불어 중심축(100)을 무는 형태로 결합을 유도하는 것으로, 체결블록(220) 중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222)와 대칭지점에 위치하는 절반 면적에 해당하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체결블록(220)의 체결공(214) 중 가압부(224) 쪽에 형성되는 지점은 고정부(222)의 제1관통홈(223)과 대칭되는 형태의 제2관통홈(225)이 된다.
이때 가압부(224)는 삽입블록(210)을 향하는 면이 고정부와 달리 중심축(100)을 사이에 두고 일측 지점은 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반면 타측은 고정부(222)와 분할된 구조를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결블록(220) 전체 중 중심축(100)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고정부(222)와 체결부(27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반대쪽 지점에는 가압부(224)와 고정부(222) 간 경계지점을 일정 폭으로 절개한 슬릿 형태의 절개간극(230)이 형성된다.
이때 절개간극(230)은 체결블록(220)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체결공(214)을 향해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부가 관통홀(221)과 연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체결블록(220)은 중심축(100)을 중심으로 일측이 절개간극(230)에 의해 가압부(224)와 고정부(222)로 분할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체결블록(220)은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가압부(224)와 고정부(222)로 구분되되, 가압부(224)와 고정부(222)는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일측단부가 상호 일체로 연결되되 반대쪽은 절개간극(230)에 의해 상호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절개간극(230)은 일정한 폭을 유지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가압부(224)가 상측에 위치하고 고정부(222)가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부(224) 중 절개간극(230)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222)와 마주하는 면은 중심축(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약간 더 위쪽에 위치되고 고정부(222) 중 절개간극(230)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224)와 마주하는 면은 중심축(1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약간 아래쪽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해당 지점에는 절개간극(230)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따라서 가압부(224)와 고정부(222) 간 상호 마주하는 면은 절개간극(230)의 폭 만큼 벌어진 형태를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절개간극(230)과 더불어 체결블록(220)에는 보조절개간극(240)이 더 형성되는데,
보조절개간극(240)은 가압부(224)의 상하 회동이 원활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 6]과 같이 가압부(224)와 삽입블록(210)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부(224)는 일측면이 삽입블록(210)과 완전히 분리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고정부(222)는 삽입블록(210)과 일체화 되는 반면 가압부(224)는 삽입블록(210)과 분리된 상태에서 고정부(222)와도 일측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더불어 고정부(222)와 가압부(224) 간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쪽 중 관통홀(221)의 테두리 부근에는 원형 홀 형태의 가변유도공(226)이 형성된다.
가변유도공(226)은 가압부(224)가 고정부(222)와의 일체화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이 원할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원형 홀 형태로 절개간극(230)과 대층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일측 테두리가 관통홀(221)과 연통된 상태에서 가압부(224)와 고정부(222)의 양측면을 관통 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고정부(222)와 가압부(224)에는 후술하는 체결부(27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공(250)과 제2설치공(260)이 형성된다.
그 중 제1설치공(250)은 체결부(270)와 가압부(224)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단순 통공 형태이고 가압부(224) 중 절개간극(230)이 형성되어 있는 쪽 둘레면에 형성되되 가압부(224)를 상하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설치공(260)은 체결부(270)와 가압부(224) 간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역시 단순 통공 형태이고 고정부(222) 중 절개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쪽 둘레면에 형성되되 제1설치공(250)과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상하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가압부(224) 및 고정부(222)와 더불어 커플러(200)를 구성하는 체결부(270)는 커플러(200)를 중심축(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체결볼트(272)와 가압너트(274)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체결볼트(272)는 가압부(224)와 고정부(222)를 연결합과 동시에 가압력을 가압력에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볼트 형태이고 하단부가 가압부(224)의 제1설치공(250)과 절개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뒤 제2설치공(260)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체결볼트(272)의 상단부에는 손잡이(275)가 설치되어 손잡이(275)를 통해 체결볼트(272)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손잡이(275)는 체결볼트(272)의 작동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너트(274)는 체결볼트(272)의 하단부와 체결되어 체결볼트(272)에 의한 가압력이 가압부(224)와 고정부(222)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공지의 헬리코일(heli coil) 형태이고 고정부(222)의 제2설치공(260) 하단부에 삽입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체결볼트(272)가 가압부(224)와 절개간극(2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뒤 제2설치공(26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하단부가 가압너트(274)에 삽입 체결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272)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압부(224)와 고정부(222) 간 벌어짐과 오므라짐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가압너트(274)는 헬리코일 형태 외에 일반적인 너트(nut)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체결부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압부를 이동시켜 중심축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커플러(200)는 중심축(100) 중 롤필름(20)의 양측 대칭지점에 위치됨에 따라 제1커플러(200a)와 제2커플러(200b)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제1커플러(200a)의 삽입블록(210)은 원형인 반면 제2커플러(200b)의 삽입블록(210)은 각형을 이루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커플러(200b)의 삽입블록(210)은 둘레면을 따라 여러 각을 이루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5각이나 8각 등의 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커플러(200b)의 삽입블록(210)은 롤필름(20)을 향하는 쪽 단부로 달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전체적으로 일측 방향을 향해 테이퍼 진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2커플러(200b)의 삽입블록(210) 중 면적이 가장 큰 쪽 테두리는 롤필름(20)의 코어 내경보다 크게 제작되고 면적이 가장 작은 쪽 테두리는 롤필름의 끼움홀(22)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해당 삽입블록(210)이 롤필름(20)의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지게 되고 테두리가 각형을 이룸에 따라 [도 9]처럼 테두리의 각 모서리(215)가 롤필름(20)의 끼움홀(22)에 내부면에 박히는 형태가 되므로 삽입블록(210)이 롤필름(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헛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중심축(100)에 롤필름(20)을 설치한 상태에서 중심축(100) 중 롤필름(20)의 양측 대칭지점에 제1커플러(200a)와 제2커플러(200b)를 배치시킨 후 중심축(100)의 양단부를 설치장치(10)에 연결 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6]처럼 제1커플러(200a)의 삽입블록(210)과 제2커플러(200b)의 삽입블록(210)을 롤필름(20)의 끼움홀(22)에 삽입시키는데,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2커플러(200b)의 삽입블록(210)은 테이퍼 구조에 의해 끼움홀(22)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되고 삽입과정에서 테두리의 각 모서리(215)가 [도 9]와 같이 롤필름의 끼움홀(22) 내부면에 박히는 형태로 삽입됨에 따라 해당 삽입블록(210)과 롤필름이 일체화 된다.
그리고 제1커플러(200a)의 삽입블록(210)은 끼움홀(22)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 형태이므로 해당 삽입블록(210)이 롤필름의 끼움홀(22)에 끼워졌을 때 롤필름(20)의 중심과 중심축(100) 및 제1, 2커플러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된다.
따라서 롤필름(20)은 회전과정에서 커플러(200)와 중심축(100) 간의 중심이 어긋남에 따른 흔들림 현상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1커플러(200a)와 제2커플러(200b)를 중심축(100)에 고정시키는데, 이 과정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체결볼트(272)를 회전시키면 가압너트(274)와의 나사체결 구조에 의해 체결볼트(272)가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커플러의 가압부(224)가 고정부(222)와의 일체된 지점을 기준으로 아래쪽, 즉 고정부(222)를 향해 회동된다.
이렇게 가압부(224)가 아래로 회동 되는 과정에서 가압부(224)와 고정부(222)는 중심축을 양쪽에서 무는 형태로 가압하게 되고 가압부(224)와 고정부(222) 중 절개간극(230)을 사이에 둔 쪽 단부가 상호 맞닿아 밀착됨에 따라 가압부(224)와 고정부(222)가 중심축(100) 전체 둘레면을 강하게 가압하여 물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압부(224)는 삽입블록(210) 과의 경계지점에 보조절개간극(240)이 형성됨에 따라 상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공(214)의 일측에 가변유도공(226)이 관통홀(221)과 연통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224)의 회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224)와 고정부(222) 간 일측 경계지점에 절개간극(230)을 형성시키고, 이 상태에서 체결부(270)를 통해 가압부를 회동시킴에 따라 중심축(100)이 각 체결블록(220)에 물림 형태로 결합 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심축(100)의 전체 둘레면이 체결블록(220)에 의해 균일하게 가압되므로, 기존 볼트단부와의 접촉력만을 통해 커플러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비해 견고한 밀착고정력을 얻을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 볼트 고정구조와 달리 가압구조에 의해 커플러와 중심축 간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볼트와 중심축(100) 간의 마모에 의한 교체 현상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위 실시 예에서는 가압부(224)와 고정부(222)가 일측은 상호 일체화 되고 타측에만 절개간극(230)이 형성된 형태인 반면, 본 실시 예에서는 가압부(224)가 고정부(222)와 완전히 분리된 형태인 것에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와 가압부(224)는 상호 대칭되는 반원 형태로 완전히 분할돈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정부(222)의 상부면 중간지점에는 제1관통홈(223)이 형성되어 중심축(100)의 하측 절반 둘레면이 제1관통홈(223)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부(224)의 하부면 중간 지점에는 제2관통홈(225)이 형성되고 중심축(100)의 둘레면 중 상측 절반 구간이 제2관통홈(225)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압부(224)과 고정부(222)는 중심축(100)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형태로 마주하게 되고, 이때 제1설치공(250)과 제2설치공(260)은 가압부(224) 및 고정부(222)의 양측 단부에 모두 형성되며, 체결부(270) 또한 각 제1설치공(250)과 제2설치공(260)에 동시에 설치된다.
이때 가압부(224) 중 고정부(222)와 마주하는 면은 중심축(100)의 중심점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되도록 제작되고, 고정부(222) 중 가압부(224)와 마주하는 면은 중심축(100)의 중심점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됨에 따라, 가압부(224)와 고정부(222)가 중심축(10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였을 때 양 단부 중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절개간극(230)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각 체결부(270)를 작동시키면 가압부(224) 전체가 아래로 직선 하강하면서 중심축(100)의 둘레면을 가압하게 되고, 결국 고정부(222)와 가압부(224)가 중심축(100) 둘레면 전체를 가압하는 형태로 중심축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중심축 10 : 설치장치
20 : 롤필름 22 : 끼움홀
200 : 커플러 200a : 제1커플러
200b : 제2커플러 210 : 삽입블록
212 : 가압판 214 : 체결공
215 : 모서리 220 : 체결블록
221 : 관통홀 226 : 가변유도공
222 : 고정부 223 : 제1관통홈
224 : 가압부 225 : 제2관통홈
230 : 절개간극 240 : 보조 절개간극
250 : 제1설치공 260 : 제2설치공
270 : 체결부 272 : 체결볼트
274 : 가압너트 275 : 손잡이

Claims (5)

  1. 양측단부가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롤필름의 양측 중앙 끼움홀을 관통하고 있는 바아 형태의 중심축 및 상기 롤필름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양측면 중앙이 상기 중심축에 의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롤필름의 끼움홀에 삽입되어 밀착 가능한 삽입블록,
    상기 삽입블록 중 상기 롤필름과 대칭되는 쪽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체결블록,
    상기 체결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블록과 상기 중심축을 결합 및 분리 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블록은,
    일측면이 상기 삽입블록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중앙에는 반원 형태의 제1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관통홈이 상기 중심축의 둘레면 중 절반구간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반원 형태의 제2관통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홈이 상기 중심축의 둘레면 중 나머지 절반구간을 둘러싸고 있되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면 중 제2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적어도 일측구간은 절개간극을 통해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있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압부를 나사체결 형태로 관통한 후 절개간극을 관통한 뒤 상기 고정부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면 중 상기 제2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일측구간이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구간은 상기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와 분할되어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가압부 중 상기 삽입블록과 마주하는 면과 삽입블록 사이에는 보조절개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조절개간극을 통해 상기 삽입블록과 분리되어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부 중 상기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부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중심축의 중심점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 중 상기 절개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중심축의 중심점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간극은 상기 고정부와 가압부 중 상호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압부 간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쪽 구간에는 가변유도공이 적어도 상기 가압부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가변유도공의 일측 테두리는 상기 제2관통홈과 연통되어 있는
    롤필름의 위치고정장치.
KR1020140058254A 2014-05-15 2014-05-15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KR10159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54A KR101593190B1 (ko) 2014-05-15 2014-05-15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54A KR101593190B1 (ko) 2014-05-15 2014-05-15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520A true KR20150131520A (ko) 2015-11-25
KR101593190B1 KR101593190B1 (ko) 2016-02-15

Family

ID=5484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254A KR101593190B1 (ko) 2014-05-15 2014-05-15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908B1 (ja) * 1999-07-06 2000-08-14 北海道 甘味飲料
JP2002356253A (ja) 2001-03-30 2002-12-10 Kyocera Mita Corp ロール紙被保持フランジ
JP4967822B2 (ja) 2007-05-30 2012-07-04 株式会社寺岡精工 ロール紙固定装置
JP2011195278A (ja) 2010-03-19 2011-10-06 Seiko Epson Corp ロール媒体支持装置及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90B1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144B1 (ko) 알루미늄 로드 신선장치
DE102017205633B4 (de) Schneidvorrichtung und Schneid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Drahtes
KR101593190B1 (ko)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KR101635948B1 (ko) 와이어 쏘 장치용 와이어 풀리 정렬장치 및 와이어 풀리 정렬용 지그
KR101454850B1 (ko) 파이프 간격 유지 장치
KR20160039949A (ko) 안전 차단봉
KR101256082B1 (ko) 필름 권취용 보빈
KR101462839B1 (ko) 롤 필름의 위치고정장치
CN204234506U (zh) 一种用于开卷机或卷取机上可涨缩的铜带增径套
KR20110135212A (ko) 벨트 래퍼를 이용한 고강도 스트립 권취 장치
KR20190009176A (ko) 롤 재료 가변방지 장치
KR101448698B1 (ko) 허스롤
US1836528A (en) Foil holder for bursting valves
DE19842837A1 (de) Dicht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bdichtung von Druckzonen in einer Papiermaschine
US2096965A (en) Spool
KR101439335B1 (ko) 플랜지 절단기
KR20170100157A (ko) 두루마리형 원단지 풀림위치 변화 방지장치
JP3635362B2 (ja) 電磁弁の位置センサ
US10744573B2 (en) Methods for cutting aligned full size holes
KR20170027912A (ko) 철재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외주링 제조장치
KR20170101399A (ko) 두루마리형 원단지의 설치장치
KR20180000950U (ko) 클램프링 체결용 지그장치
KR20170101401A (ko) 두루마리형 원단지의 설치장치
KR101823514B1 (ko) 전자 기기용 단자대 배선 어셈블리
RU2693985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